맨위로가기

180도 규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0도 규칙은 영화 및 영상 제작에서 화면 속 두 대상 간의 가상의 선을 설정하고, 카메라가 이 선의 한쪽 면에서만 촬영해야 한다는 규칙이다. 이 규칙은 시청자가 공간을 인식하고 장면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연속 편집의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진다. 180도 규칙은 종종 지켜지지만, 때로는 의도적으로 파괴되어 특정 효과를 연출하기도 하며,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불가피하게 위반되는 경우도 있다.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이 규칙 준수가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위반이 시청 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화 기법 - 로케이션 촬영
    로케이션 촬영은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 작품을 스튜디오가 아닌 실제 장소에서 촬영하는 방식으로, 비용 절감과 현실감 있는 영상 묘사라는 장점이 있지만, 촬영 지연, 장소 확보, 안전 문제, 환경 보호 등 고려해야 할 사항도 존재한다.
  • 영화 기법 - 점프 컷
    점프 컷은 동일한 피사체의 숏을 부자연스럽게 연결하여 화면의 불연속성을 강조하는 영화 편집 기법이며, 정치적 메시지 전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180도 규칙
영화 촬영의 180도 규칙
정의영화 촬영에서 카메라 위치를 설정하는 기본 원칙.
내용액션의 축 (line of action) 또는 상상선 (imaginary line)을 기준으로 180도 반원 내에서만 카메라를 위치시켜야 함.
이 규칙을 따르면 화면 방향이 일관성을 유지하여 관객이 장면을 이해하기 쉬움.
목적관객의 혼란을 방지하고 공간적 연속성을 유지.
규칙 설명
축의 설정등장인물 간의 시선, 움직임 방향 등에 의해 결정됨.
카메라 위치축의 한쪽 면에 카메라를 배치.
축을 넘어가면 화면의 좌우가 반전되어 관객에게 혼란을 줄 수 있음.
예외의도적인 혼란을 주기 위해 규칙을 깨는 경우도 존재.
카메라가 축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등장인물이 축을 넘어가는 경우.
추가 설명
중요성영화 문법의 기본.
자연스러운 장면 전환과 공간 이해에 필수적.
관련 용어액션의 축 (Line of Action)
상상선 (Imaginary Line)
30도 규칙 (30-degree rule)
참고 문헌
참고 도서Film Directing Fundamentals (Nicholas T. Proferes, 2005)
영상의 원리(映像の原則) (토미노 요시유키(富野由悠季), 2024)

2. 정의

'''예상선'''(imaginary line|이매지너리 라인영어)은 주제와 주제, 또는 주제와 그 진행 방향을 가상적으로 연결한 선이다.[22][23]

전형적으로 마주보는 두 명의 캐릭터를 연결한 가상선이 이매지너리 라인이 된다.[22] 자동차가 길을 달릴 때 운전석과 조수석에 캐릭터가 나란히 있는 장면에서는, 두 명의 캐릭터를 연결한 가상선이 이매지너리 라인①, 자동차와 진행 방향을 연결한 가상선이 이매지너리 라인②가 된다.[23]

이매지너리 라인과 영상


180도 규칙은 동일한 장면 촬영 시 카메라는 이매지너리 라인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규칙이다.[25] 위의 그림에서 인물 갑과 인물 을을 잇는 직선이 이매지너리 라인이다. A의 카메라 위치에서 촬영한 컷을 넣으면, 다음에 B의 카메라 위치에서 을을 촬영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C에서는 촬영하지 않는다.

3. 180도 규칙

180도 규칙은 같은 장면 촬영 시 카메라는 이매지너리 라인(예상선)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규칙이다.[25]

예를 들어 A와 B 두 사람이 대화하는 장면에서, A가 왼쪽에 있고 B가 오른쪽에 있다면 B가 화면에 보이지 않아도 A는 언제나 오른쪽을 바라보아야 하며, B는 항상 왼쪽을 바라보아야 한다. 만약 카메라가 원래 위치의 반대편으로 이동하면, B가 왼쪽에 있고 A가 오른쪽에 있게 되므로 시청자를 혼란시키고 장면의 흐름을 깨게 된다.

이 규칙의 이름은 A와 B를 잇는 직선(가상선)을 기준으로 한쪽에서는 A와 B의 좌우 위치가 바뀌지 않는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따라서 180도 규칙을 지킬 경우 카메라는 가상선 반대편으로 넘어갈 수 없다.

그림 1에서 인물 갑과 을을 잇는 직선이 이매지너리 라인이다. A 카메라 위치에서 촬영한 컷을 넣으면, 다음에 B 카메라 위치에서 을을 촬영하는 것은 있어도, C에서는 촬영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매지너리 라인을 넘는 촬영은 피한다.

4. 규칙의 이유와 의의

180도 규칙은 영화 편집 형식 중 하나인 연속 편집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규칙은 컷이 나뉘어 등장인물을 따로 보여줄 경우에도 시청자가 화면상에서 공간을 지각하는 데 안정감을 주어, 등장인물이 동일 시공간 내에 있다고 느낄 수 있게 한다. 반면, 이 규칙을 지키지 않고 가상선을 넘으면 시청자는 화면상의 시공간을 이해하는 데 혼란을 겪게 된다.[22][23] 이 규칙이 항상 지켜지는 것은 아니며, 시청자를 혼란스럽게 만들기 위해 의도적으로 어기기도 한다.

영상은 감상하는 사람을 시간적으로 구속하는 매체이다. 180도 규칙은 그런 영상을 한 번 본 것만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원칙 중 하나이다. 그림 1의 A→B는 자연스러운 느낌이 드는 반면, A→C에서는 두 사람이 마주 보고 있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진행 방향의 가상선을 넘으면, 기관차의 주행 방향이 반대로 보이는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5. 규칙의 예시

180도 규칙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대화 장면:''' A와 B 두 사람이 대화할 때, A가 왼쪽에 있고 B가 오른쪽에 있다면 B가 화면에 보이지 않아도 A는 항상 오른쪽을, B는 항상 왼쪽을 바라보아야 한다. 카메라가 가상선 반대편으로 이동하면 A와 B의 좌우 위치가 바뀌어 시청자를 혼란스럽게 하고 장면의 흐름을 깰 수 있다.[22]
  • '''이동 장면:''' 캐릭터가 왼쪽으로 걷고 있다면, 다른 카메라로 촬영할 때도 캐릭터는 첫 번째 샷의 왼쪽 프레임에서 나가서 다음 샷의 오른쪽 프레임으로 들어와야 한다.
  • '''차량 추격전:''' 차량이 한 샷에서 프레임 오른쪽에서 나갔다면, 다음 샷에서는 프레임 왼쪽에서 들어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방향 감각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림 1에서 인물 갑과 인물 을을 잇는 직선이 예상선(이매지너리 라인)이다. A 카메라 위치에서 촬영한 컷을 넣은 후, B 카메라 위치에서 을을 촬영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C에서는 촬영하지 않는다.[25]

6. 규칙을 넘는 방법과 예외

180도 규칙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상황에서는 의도적으로 또는 불가피하게 규칙을 어기기도 한다. 가상의 선은 시청자가 장면의 위치와 행동 방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영화 제작자는 때때로 의도적으로 180도 규칙을 깨뜨려 방향 감각을 상실하게 만들거나, 긴장감, 불안감 등 특정한 효과를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는 ''잔 다르크의 수난''에서, 스탠리 큐브릭은 ''샤이닝''의 화장실 장면에서 이 방식을 사용했다.[4]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카메라를 물리적으로 올바른 위치에 놓을 수 없는 경우에도 180도 규칙이 깨질 수 있다. 이때는 컷 전환 전에 대사나 소리를 미리 겹치는 등의 기법으로 위반을 숨길 수 있다.[7]

6. 1. 리버스 컷

이전 샷을 따라가는 샷이 180도 선의 반대쪽에 위치하면 "리버스 컷"이라고 한다. 리버스 컷은 장면에서 반대 관점을 제시하여 시청자를 혼란시키고, 결과적으로 원래 샷에서 설정된 행동과 공간적 방향의 관점을 변경한다.[2]

180도 선을 넘을 필요가 있는 장면의 행동이나 상황으로 인해 특정 상황으로 인해 선을 넘는 것과 관련된 혼란을 피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장면의 움직임을 변경하거나, 모든 샷이 180도 선의 해당 측면에서 보이는 뷰를 반영하도록 카메라를 장면의 한쪽에 설치할 수 있다.[2]

선을 넘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장면에서 카메라가 선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아치형으로 움직이는 여러 샷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 샷은 시청자가 다른 각도에서 장면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캐릭터가 왼쪽 뒤에서 프레임 안으로 걸어 들어와 오른쪽 건물 모퉁이를 향해 걸어가는 모습이 보이면, 건물 모퉁이를 돌 때 카메라가 건물 반대편에서 카메라를 향해 다가와 왼쪽에서 프레임에 들어가는 모습을 포착한 다음 카메라를 향해 곧바로 걸어와 프레임의 왼쪽으로 나갈 수 있다.

180도 선의 양쪽에서 시퀀스 샷 사이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측면을 분리하는 180도 선을 따라 버퍼 샷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청자는 시퀀스에서 표현된 관점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2]

6. 2. 혼란 방지 방법

180도 선을 넘어야 하는 장면의 행동이나 상황 때문에 선을 넘을 때 혼란을 피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장면의 움직임을 변경하거나, 모든 샷이 180도 선의 해당 측면에서 보이는 뷰를 반영하도록 카메라를 장면의 한쪽에 설치할 수 있다.[2]

선을 넘는 또 다른 방법은 장면에서 카메라가 선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아치형으로 움직이는 여러 샷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샷은 시청자가 다른 각도에서 장면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움직임의 경우, 캐릭터가 왼쪽 뒤에서 프레임 안으로 걸어 들어와 오른쪽 건물 모퉁이를 향해 걸어가는 모습이 보이면, 건물 모퉁이를 돌 때 카메라가 건물 반대편에서 카메라를 향해 다가와 왼쪽에서 프레임에 들어가는 모습을 포착한 다음 카메라를 향해 곧바로 걸어와 프레임의 왼쪽으로 나갈 수 있다.

180도 선의 양쪽에서 시퀀스 샷 사이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측면을 분리하는 180도 선을 따라 버퍼 샷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청자는 시퀀스에서 표현된 관점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2]

이야기 속에서 인물의 위치가 바뀌는 일은 자주 있다. 이매지너리 라인은 컷 전환 시 넘는 것은 안 되지만, 동일 컷 내에서 넘는 것은 괜찮다. 일반적인 방법은 카메라가 이동하거나, 등장인물이 이동하거나, 혹은 다른 종류의 컷(폭발 등 화려한 장면, 제3자의 등장 등)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그림 2: 움직이는 것의 이매지너리 라인, 그것을 넘는 방법


그림 2의 예에서는, 열차의 진행 방향이 이매지너리 라인이다. 일단 진행 방향 오른쪽(A)에서 찍은 컷(A)을 넣었다면, 다음도 역시 오른쪽에서 찍은 컷(B)을 연결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진다(A→B). 여기서 왼쪽에서 찍은 컷(C)을 직접 연결하면 부자연스럽다(A→C).

6. 3. 의도적인 규칙 파괴

영화 제작자는 때때로 의도적으로 180도 규칙을 깨뜨려 방향 감각을 상실하게 만들거나, 긴장감, 불안감 등 특정한 효과를 만들어낸다.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는 ''잔 다르크의 수난''에서, 스탠리 큐브릭은 ''샤이닝''의 화장실 장면에서 이 방식을 사용했다.[4] 자크 드미, 틴토 브라스, 오즈 야스지로, 왕가위, 자크 타티 감독 역시 이 규칙을 무시했으며,[5] 라스 폰 트리에도 ''안티크라이스트''에서 이 규칙을 무시했다.[6]

영화 ''샤이닝''에서 스탠리 큐브릭은 180도 반전으로 양쪽에서 와이드 샷을 촬영하여 선을 넘었다.[3]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 ''네 멋대로 해라''에서 장 뤽 고다르는 첫 5분 동안 앞좌석과 뒷좌석을 오가는 자동차 장면에서 이 규칙을 깨뜨리며, 누벨바그가 유명해진 "미학적 반란"을 즉흥적으로 연출했다.[7]

180도 규칙이 우연히 깨지거나 기술적인 이유로 깨지는 경우, 이를 숨기기 위해 편집자는 대화의 단어를 컷 전에 미리 겹쳐서 시청자가 영화적 관습을 깨는 행위에서 벗어나 말하는 내용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파프리카''에서 두 명의 주요 캐릭터는 선을 넘는 것의 방향 감각 상실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시연한다.[10]

그림 2의 예에서는, 열차의 진행 방향이 이매지너리 라인이다. 일단 진행 방향 오른쪽(A)에서 찍은 컷(A)을 넣었다면, 다음도 역시 오른쪽에서 찍은 컷(B)을 연결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진다(A→B). 여기서 왼쪽에서 찍은 컷(C)을 직접 연결하면 부자연스럽다(A→C).

6. 4. 불가피한 규칙 파괴

기술적인 문제(예: 카메라를 물리적으로 올바른 위치에 놓을 수 없는 경우)로 인해 180도 규칙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컷 전환 전에 대사나 소리를 미리 겹치는 등의 기법으로 위반을 숨길 수 있다.[7]

7. 180도 규칙과 함께 사용되는 스타일

180도 규칙과 함께 사용되는 몇 가지 스타일은 감정을 유발하거나 시각적 리듬을 만들 수 있다. 카메라를 축에 더 가깝게 이동하여 클로즈업 샷을 촬영하면, 롱 샷과 함께 사용할 때 장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8] 카메라를 축에서 더 멀리 이동하여 롱 샷을 촬영하면, 클로즈업 샷 이후에 장면의 액션에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다.[9]

8. 경험적 연구

180도 규칙 유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탐구하는 경험적 연구는 제한적이다.[11] 기본적인 전제는 이 규칙을 준수하면 등장인물이 화면의 올바른 쪽에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12] 따라서 이 규칙을 위반하면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13] 순간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14] 이는 장면의 리듬이나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대 해석된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경험적 증거가 아닌 영화 제작자의 주관적인 보고에 근거한다.[11]

일부 연구에 따르면 선을 넘는 것은 장면의 공간적 표현의 정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16] 또한 등장인물의 위치를 뒤바꾸면 시청자가 화면에서 상대적인 방향을 이해하는 데 지장을 줄 수 있다.[17] 위반은 장면 내 물체의 위치에 대한 공간 기억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만, 내러티브, 전개되는 사건의 순서,[18] 또는 내러티브 흐름의 이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9]

일반적으로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180도 규칙을 준수하는 것은 실용적인 의미에서 필수적이지 않다. 정확한 공간 표현은 장면에 중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영화의 더 긴 시간 동안 기억되지도 않는다.[17][20] 또한, 더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시청자는 위반 사항을 발견할 수 있지만, 이러한 위반 사항이 장면이나 영화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것을 보여준다.[21]

참조

[1] 서적 Film Directing Fundamentals Focal Press
[2] 웹사이트 Crossing The Line: Reverse Cut http://www.mediacoll[...] MediaCollege.com 2013-10-24
[3] 웹사이트 Crossing the line/180-degree rule broken http://www.cinematog[...] Cinematography.com 2012-08-24
[4] 웹사이트 180 degree rule - Project 5, Mind the Gap http://harrybladen.w[...] 2017-08-18
[5] 웹사이트 Loading... https://web.archive.[...] 2017-08-18
[6] 웹사이트 Mother (Nature) Will Eat You: Lars von Trier's Antichrist http://www.religiond[...] 2009-10-28
[7] 서적 The French New Wave Oxford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Trims, Clips, and Selects: Notes from the Cutting Room The Perfect Vision 1999-09
[9] 논문 Intensified Continuity: Visual Style in Contemporary American Film
[10] 문서 Paprika Sony Pictures Classics
[11] 서적 Psychocinematics: Exploring cognition at the movies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filmmaker’s handbook 2013: A comprehensive guide for the digital age Penguin
[13] 서적 Film art: An introduction McGraw Hill
[14] 서적 Film directing fundamentals: See your film before shooting Taylor & Francis
[15] 논문 Rules and strategies of visual narratives
[16] 논문 The coherence of visual narratives
[17] 문서 The perception of motion pictures Academic Press
[18] 논문 Perceiving the language of films
[19] 논문 The impact of continuity editing in narrative film on event segmentation
[20] 논문 Spatial representa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film
[21] 논문 Exploring the Effects of Violating the 180-Degree Rule on Film Viewing Preferences
[22] 인용
[23] 인용
[24] 인용
[25]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