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프랑스 선수단은 총 101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프랑스는 펜싱, 요트, 양궁, 사격 등 다양한 종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펜싱에서는 1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또한, 여러 비공식 종목에서도 금메달을 포함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며 자국에서 열린 올림픽에서 최고의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00년 하계 올림픽 크리켓 - 1900년 하계 올림픽 영국 선수단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영국 선수단은 요트, 테니스, 육상 등 다양한 종목에 참가하여 금메달 15개를 포함한 총 30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align=center| || 아르망 바를레 || 조정 || 남자 싱글스컬 || 8월 26일
|-
| align=center| || 샤를로 앙리 부케르 앙리 아크브루크 에밀 델샴브르 장 카노 || 조정 || 남자 유타포어 || 8월 26일
|-
| align=center| || 조르주 텔랑디에 || 사이클 || 남자 스프린트 || 9월 13일
|-
| align=center| || 루이 바스티앵 || 사이클 || 남자 25km || 9월 15일
|-
| align=center| || 레옹 비노쉬 블라디미르 아이토프 빅토르 라르샹데 샤를 공두앵 알렉상드르 파라몽 앨버트 루즈벨트 앙드레 리시만 에밀 사라드 오귀스트 지루 조제프 올리비에 장 기 고티에 장 콜라 콩스탕탱 앙리케즈 드 쥐비에라 프랑츠 레셸 위베르 르페브르 A. 알베르 J. 에르베 || 럭비 || 남자 || 10월 28일
|-
| align=center| || 로베르 랭즐레 장 샤르코 텍시에 1세 텍시에 2세 || 요트 || 0.5t급 || 3월 22일
|-
| align=center| || 뒤발 샤를 위고 오귀스트 알베르트 F. 빌라미야나 || 요트 || 2t급 || 3월 22일
|-
| align=center| || 고디네 두세 미알라레 쉬스 || 요트 || 3t급 || 3월 22일
|-
| align=center| || 로베르 랭즐레 장 샤르코 텍시에 1세 텍시에 2세 || 요트 || 0.5t급 || 3월 24일
|-
| align=center| || 윌리암 마르탱 자크 보드리에 장 르 브레 쥘 발통 F. 마르코트 || 요트 || 1t급 || 3월 24일
|-
| align=center| || 고디네 두세 미알라레 쉬스 || 요트 || 3t급 || 3월 25일
|-
| align=center| || 로베르트 귀플레 모리스 귀플레 샤를리 기레스트 A. 뒤보 J. 뒤보 || 요트 || 10t급 || 3월 25일
|-
| align=center| || 앙리 마송 || 펜싱 || 남자 플뢰레 개인전 || 5월 21일
|-
| align=center| || 알퐁스 키르크호페 || 펜싱 || 남자 마스터 플뢰레 || 5월 29일
|-
| align=center| || 루이 페레 || 펜싱 || 남자 에페 개인전 || 6월 14일
|-
| align=center| || 에밀 부놀 || 펜싱 || 남자 마스터 에페 || 6월 14일
|-
| align=center| || 모리스 뒤르크티 에셰가라이 || 펠로타 || 남자 || 6월 14일
|-
| align=center| || 레옹 티에보 || 펜싱 || 남자 사브르 개인전 || 6월 25일
|-
| align=center| || 요앵 || 크로케 || 단구 || 6월 28일
|-
| align=center| || 비네로 || 크로케 || 복구 || 7월 4일
|-
| align=center| || 헬렌 프레보스 || 테니스 || 여자 단식 || 7월 11일
|-
| align=center| || 앙리 델로주 || 육상 || 남자 1500m || 7월 15일
|-
| align=center| || 앙리 타오쟁 || 육상 || 남자 400m 허들 || 7월 15일
프랑스는 올림픽 양궁 6개 종목에서 금메달 7개 중 4개, 은메달 8개 중 5개, 동메달 5개 중 4개를 획득했다. 벨기에와 네덜란드만이 나머지 7개의 메달을 가져가며 경쟁했다.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선수 중 많은 선수들의 이름이 기록되지 않아 알려지지 않았다. 프랑스 선수 13명은 성씨만 알려져 있으며, 116명은 어떤 방식으로든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129명의 양궁 선수들은 7개의 양궁 종목 전체에서 240개의 출전 기회를 가졌다.
선수
종목
결선
점수
순위
샤를 프레데릭 프티
오 꼬르동 도레 33m
미상
20px
빅토르 티보
미상
20px
에두아르 보댕
오 꼬르동 도레 50m
26
5
드네
26
6
에밀 피세
28
20px
갈리나르
26
7
앙리 엘르
27
4
앙리 에루앵
31
20px
르콩트
25
8
샤를 프레데릭 프티
오 샤플레 33m
미상
20px
빅토르 티보
미상
20px
앙리 엘르
오 샤플레 50m
미상
20px
에밀 메르시에
미상
20px
외젠 무쟁
미상
20px
앙리 에루앵
챔피언십 뒤 몽드
22
20px
오귀스트 세르리에
쉬르 라 페르슈 아 라 에르스
미상
20px
에밀 그뤼미오
쉬르 라 페르슈 아 라 피라미드
미상
20px
오귀스트 세르리에
미상
20px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프랑스는 육상에서 처음 두 번의 올림픽에 모두 출전한 9개 국가 중 하나였다. 22명의 선수들이 총 28개 종목에 출전하여 18개 종목에서 경쟁했다. 미셸 테아토는 룩셈부르크인이었지만 파리에 살았고, 그의 마라톤 우승은 처음에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 프랑스에 귀속되었다. 테아토의 금메달을 제외하면, 프랑스는 이 스포츠에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육상 리더보드에서 3위를 기록했다.
프랑스는 제2회 근대 올림픽 펜싱 경기에서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 7개의 금메달 중 5개, 전체 21개의 메달 중 15개를 획득했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
!rowspan="2"|선수
!rowspan="2"|종목
!colspan="3"|1라운드
!colspan="3"|8강
!colspan="3"|패자부활전
!colspan="3"|준결승
!colspan="3"|결승
|- style="font-size:95%"
!승리
!패배
!순위
!승리
!패배
!순위
!승리
!패배
!순위
!승리
!패배
!순위
!승리
!패배
!순위
|-align=center
|align=left|가스통 아킬레
| rowspan="90" align="left" |남자 에페
|
|
|3-7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아담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가스통 알리베르
|
|
|1 '''Q'''
|
|
|1 '''Q'''
|
|
|1 '''Q'''
|2
|3
|7
|-align=center
|align=left|안드레아크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루이 바스티앙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바쟁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A. 베르제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에르만 조르주 베르제
|
|
|2 '''Q'''
|
|
|4-6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라울 비도
|
|
|2 '''Q'''
|
|
|4-6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모리스 부아동
|
|
|2 '''Q'''
|
|
|1 '''Q'''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알베르 카엥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클레망 드 부아시에르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드 카제노브
|
|
|3-7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로랑 드 샹포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티옹 드 라 욤
|
|
|3-7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자크 드 라 슈발리에리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코스티에스코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앙리 장 데뷔
|
|
|2 '''Q'''
|
|
|4-6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델프라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장 드레퓌스
|
|
|2 '''Q'''
|
|
|1 '''Q'''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뒤클로
|
|
|3-7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뒤크르엘
|
|
|3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피에르 드 위그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마리 조제프 아나톨 엘리에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페르난데스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피쇼
|
|
|3-7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모리스 플뢰리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에두아르 푸시에
|
|
|2 '''Q'''
|
|
|4-6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스탄 프랑수아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가르디에스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그라드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알렉상드르 기유망
|
|
|1 '''Q'''
|
|
|3 '''Q'''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아드리앙 기용
|
|
|1 '''Q'''
|
|
|4-6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에리송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장-앙드레 일레레
|
|
|2 '''Q'''
|
|
|4-6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자크 홀슈슈
|
|
|2 '''Q'''
|
|
|1 '''Q'''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이반 이바노비치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모리스 제이
|
|
|2 '''Q'''
| colspan="3" |기권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조르주 드 라 팔레즈
|
|
|2 '''Q'''
|
|
|3 '''Q'''
|
|
|1 '''Q'''
|3
|3
|4
|-align=center
|align=left|드 라 투르나블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앙리 드 라보르드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라퐁텐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라리비에르
|
|
|3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드 라스티크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엘리, 드 라스투르 백작
|
|
|2 '''Q'''
|
|
|2 '''Q'''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드 로가르디에르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레모인 소위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조르주 르로이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마르셀 레비
|
|
|1 '''Q'''
|
|
|3 '''Q'''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샤를 루아실롱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루케타스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로베르 마르크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마세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드 뫼즈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밀러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알퐁스 모케
|
|
|2 '''Q'''
|
|
|4-6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모레일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아킬레 모린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모소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페베레이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루이 페레'''
|
|
|1 '''Q'''
|
|
|2 '''Q'''
|
|
|2 '''Q'''
|4
|1
|
|- align="center"
| align="left" |앙리 플롬메
|
|
|1 '''Q'''
|
|
|2 '''Q'''
|
|
|2 '''Q'''
|0
|6
|9
|- align="center"
| align="left" |쥘 드 프라델
|
|
|1 '''Q'''
|
|
|3 '''Q'''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드 프라딘
|
|
|3-7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프뢰로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프로스페르
|
|
|3-7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앙드레-마리 라벨
|
|
|1 '''Q'''
| colspan="3" |기권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조르주 레드유일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장-조제프 르노
|
|
|1 '''Q'''
| colspan="3" |기권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막스 호드리게스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조제프 호드리게스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쥘 로페
|
|
|1 '''Q'''
|
|
|4-6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앙드레 드 로미유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조제프-마리 로제
|
|
|1 '''Q'''
|
|
|3 '''Q'''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피에르 로젠바움
|
|
|3-7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살바나악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레옹 세'''
|
|
|1 '''Q'''
|
|
|2 '''Q'''
|
|
|3 '''Q'''
|3
|2
|
|- align="center"
| align="left" |드 세곤자크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빌리 술츠바허
|
|
|3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장 타이에페르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레옹 티에보
|
|
|2 '''Q'''
|
|
|2 '''Q'''
|
|
|1 '''Q'''
|2
|4
|8
|- align="center"
| align="left" |아돌프 토메거스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피에르 토메거스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앙드레 틴탕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드 바르스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베베
|
|
|3-6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앙리 에브라르 드 빌뇌브
|
|
|1 '''Q'''
|
|
|4-6
| colspan="6"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에드몽 윌러스
|
|
|2 '''Q'''
|
|
|1 '''Q'''
|
|
|2 '''Q'''
|2
|4
|6
|- align="center"
| align="left" |리차드 월리스
|
|
|1 '''Q'''
|
|
|1 '''Q'''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 align="center"
| align="left" |베베르
|
|
|3-7
| colspan="3" |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사비에르 안체티
|align=left rowspan=39|남자 마스터 에페
|
|
|3-6
|colspan=6|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에마뉘엘 안드리외
|
|
|3-6
|colspan=6|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아세
|
|
|3-6
|colspan=6|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오포르
|
|
|1 '''Q'''
|colspan=6|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알베르 아야'''
|
|
|1 '''Q'''
|colspan=6|
|
|
|1 '''Q'''
|
|
|
|-align=center
|align=left|펠릭스 아야
|
|
|2 '''Q'''
|colspan=6|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조르주-루이 베지
|
|
|1 '''Q'''
|colspan=6|
|
|
|3 '''Q'''
|
|
|9
|-align=center
|align=left|보르멜
|
|
|3-6
|colspan=6|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길베르 부뇰'''
|
|
|1 '''Q'''
|colspan=6|
|
|
|1 '''Q'''
|
|
|
|-align=center
|align=left|브라사르
|
|
|1 '''Q'''
|colspan=6|
|
|
|2 '''Q'''
|
|
|6
|-align=center
|align=left|세레
|
|
|3-6
|colspan=6|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샤를 클라피에
|
|
|2 '''Q'''
|colspan=6|
|
|
|4-6
| colspan="3"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샤를 클레리
|
|
|3-6
|colspan=6|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마리-루이 다모트
|
|
|1 '''Q'''
|colspan=6|
|
|
|3 '''Q'''
|
|
|5
|-align=center
|align=left|드브리네이
|
|
|3-6
|colspan=6|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데프레이
|
|
|3-6
|colspan=6|진출 실패
| colspan="6" |진출 실패
|-align=center
|align=left|엘리에 뒤프레
|
|
|3-6
|colspan=6|진출 실패
| colspan="6"
2. 2. 메달리스트
3. 정식 종목
미셸 샴푸드리 앙드레 카스타네 앙리 델로주 자크 샤스타니에
5000m 단체전
colspan=6 bgcolor="wheat"|
29
프랑스 선수단은 다양한 트랙 경기에 참가하여 주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었다. 루이 세공디는 1500m에 출전했으나, 기록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모리스 살로메즈는 800m에서 예선 4위로 결선 진출에 실패했고, 샤를 로베르 페디드는 400m에서 예선 3위로 결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다재다능한 아돌프 클링겔외페는 60m, 200m, 110m 허들에 출전했지만, 60m와 200m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했고 110m 허들에서는 기권했다.
앙리 델로주는 800m에서 예선 1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결승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하지만 1500m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기량을 입증했다.
앙리 타오쟁은 허들 종목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200m 허들에서는 예선 4위에 머물렀지만, 400m 허들에서는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외젠 슈아셀은 110m 허들에서 기권했지만, 200m 허들에서는 예선 2위로 결승에 진출, 최종 4위를 기록했다.
자크 샤스타니에는 2500m 장애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4000m 장애물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장 레퀴예는 110m 허들에서 부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결승에서는 4위에 머물렀다. 조르주 클레멩은 400m에서 예선 4위로 탈락했다.
단체전에서는 가스통 라그뇨, 미셸 샴푸드리, 앙드레 카스타네, 앙리 델로주, 자크 샤스타니에가 팀을 이루어 5000m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미셸 테아토는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에밀 샴피옹은 은메달을 차지하며 프랑스의 강세를 이어갔다. 오귀스트 마르셰와 조르주 투크 다오니는 경기를 완주하지 못했고, 외젠 베스는 4위를 기록했다.
레옹 모니에는 높이뛰기에서 1.60m를 기록하며 7위를 차지했고, 에밀 곤티에는 장대높이뛰기에서 3.10m를 기록하며 공동 4위를 기록했다. 알베르 델라노이는 멀리뛰기에서 6.755m로 예선 3위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 최종 5위를 기록했고, 세단뛰기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알렉상드르 튀페리는 세단뛰기에서 6위를 기록했다. '''에밀 토르슈뵈프'''는 제자리 멀리뛰기에서 3.03m를 기록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에밀 곤티에와 앙드레 루스벨트는 원반던지기에서 각각 30.0m와 기록 없음으로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펠로타
1900년 하계 올림픽 펠로타는 프랑스 선수단의 활약이 두드러진 종목 중 하나였다. 모리스 뒤르케티와 에체가라이로 구성된 프랑스 팀은 스페인 팀과 결승에서 맞붙을 예정이었으나, 경기 직전에 기권했다는 설도 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프랑스 팀의 은메달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크리켓
프랑스는 1900년 하계 올림픽 크리켓 종목에 프랑스 체육 클럽 연합 소속 선수단으로 참가했다. 이 팀은 2일간 12명이 참가한 단 한 경기를 158점 차로 패했다. 프랑스 체육 클럽 연합 소속 선수 중 최소 11명은 영국 국적이었으며, 스코어시트에 "엑스트라"로 표시된 선수들은 프랑스인이었을 수도 있다.
아르튀르 맥에보이, 앙리 테리, 필립 토말랭, A.J. 슈네도, D. 로뱅송, F. 로그, J. 브레, R. 오른, T.H. 요르당, W. 브로브냉, W. 앙데르셍, W.T. 아트랠 등은 프랑스 크리켓 국가대표팀으로 1900년 하계 올림픽 크리켓에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사이클
프랑스는 사이클 종목에 두 번째로 출전하여 다시 한번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 이 종목에서 수여된 9개의 메달 중 6개를 프랑스 사이클 선수들이 차지했는데,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였다. 59명의 프랑스 사이클 선수들이 출전했다. 루이 바스티앵은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25k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 사이클의 위상을 드높였다. 루이 힐데브랑 또한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25km에서 은메달을 차지하며 뛰어난 기량을 입증했다. 오귀스트 도맹은 동메달을 추가하며 프랑스의 강세를 이어갔다.
조르주 타일란디에는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스프린트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프랑스 사이클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그는 예선에서 1분 36.8초, 준준결승에서 2분 00.6초, 준결승에서 2분 42.6초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실력을 과시했고, 결승에서는 2분 52.0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페르낭 상즈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의 스프린트 강세를 입증했다.
프랑스 선수단은 스프린트 종목에 다수 참가하여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조르주 타일란디에는 압도적인 기량으로 예선에서 1분 36.8초, 준준결승에서 2분 00.6초, 준결승에서 2분 42.6초를 기록하며 모두 1위로 통과, 결승에서도 2분 52.0초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페르낭 상즈 또한 준수한 성적으로 결승에 진출했지만, 아쉽게 알베르 타이야니에에 밀려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IOC 집행위원회는 1900년 파리 올림픽에서 로이드 힐데브란트의 은메달을 영국에서 프랑스로 변경하는 것을 승인했다. 루이 바스티앵은 25분 36.2초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 로이드 힐데브란트 또한 은메달을 차지하며 프랑스의 사이클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 오귀스트 도맹은 동메달을 추가하며 프랑스 선수단의 압승을 완성했다.
그 외 막심 베르트랑이 4위를 기록했으며, 레옹 갱젬브르, 루이 트루셀리에, A. 포르셰, J. 베라르는 경기를 포기했다.
루이 트루셀리에는 9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 선수 중 가장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아돌프 카이롱은 4점으로 6위, 샤퓌는 8점으로 4위를 차지했다. J. 베라르는 5점으로 5위, 옥타브 쿠아지와 페르디낭 바세로는 각각 4점으로 공동 7위, 마르셀 도히와 제르맹은 각각 2점으로 공동 9위, 조르주 콩드르는 1점으로 공동 12위를 기록했다.
나폴레옹 뮈라는 바야르(Bayard)라는 말을 타고 4.90m를 뛰어 4위를 기록했다. 페이르 드 벨르가르드는 톨라(Tolla)라는 말을 타고 5.30m를 뛰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나폴레옹 뮈라는 '더 제너럴'이라는 말을 타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의 위상을 드높였다. 빅토르 아르슈누는 '르투르넬'과 함께 은메달을 차지했으며, 로베르 드 몽테스키우는 '그레이 레그'를 타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편 폴 아엥티엔은 '마부르닌'을 타고 4위를 기록했다.
장 드 뇌플리즈는 우편 마차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에 값진 메달을 안겨주었다. 한편, 레옹 토메는 은메달을 차지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펜싱
프랑스 펜싱은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두며 펜싱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총 7개의 금메달 중 5개를 휩쓸었으며, 전체 21개의 메달 중 15개를 가져오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프랑스는 1900년 하계 올림픽 양궁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금메달 7개 중 4개, 은메달 8개 중 5개, 동메달 5개 중 4개를 휩쓸며 양궁 강국임을 입증했다. 벨기에와 네덜란드만이 나머지 메달을 가져갔다.
당시 프랑스 선수 중 일부는 이름이 제대로 기록되지 않아 알려지지 않았고, 13명은 성씨만, 116명은 신원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총 129명의 양궁 선수들이 7개 종목에서 240번 출전했다.
선수
종목
결선
점수
순위
샤를 프레데릭 프티
오 꼬르동 도레 33m
미상
빅토르 티보
미상
에두아르 보댕
오 꼬르동 도레 50m
26
5
드네
26
6
에밀 피세
28
갈리나르
26
7
앙리 엘르
27
4
앙리 에루앵
31
르콩트
25
8
샤를 프레데릭 프티
오 샤플레 33m
미상
빅토르 티보
미상
앙리 엘르
오 샤플레 50m
미상
에밀 메르시에
미상
외젠 무쟁
미상
앙리 에루앵
챔피언십 뒤 몽드
22
오귀스트 세르리에
쉬르 라 페르슈 아 라 에르스
미상
에밀 그뤼미오
쉬르 라 페르슈 아 라 피라미드
미상
오귀스트 세르리에
미상
앙리 에루앵은 오 코르동 도레 50m에서 31점을 획득하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의 뛰어난 기량은 프랑스 양궁의 위상을 드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에밀 그뤼미오는 쉬르 라 페르슈 아 라 피라미드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 선수단의 저력을 과시했다. 외젠 무갱은 오 샤플레 50m에서 금메달을 차지하며 프랑스의 압도적인 우위를 이어갔다.
이 외에도 빅토르 티보와 샤를 프레데릭 프티는 각각 오 샤플레 33m와 오 코르동 도레 33m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 양궁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앙리 엘르 역시 오 샤플레 50m에서 은메달을 추가하며 프랑스 선수단의 메달 행진에 기여했다.
3. 2. [[파일:Athletics pictogram.svg|30px]] 육상
미셸 샴푸드리 앙드레 카스타네 앙리 델로주 자크 샤스타니에
5000m 단체전
colspan=6 bgcolor="wheat"|
29
프랑스는 육상에서 처음 두 번의 올림픽에 모두 출전한 9개 국가 중 하나였다. 22명의 선수들이 총 28개 종목에 출전하여 18개 종목에서 경쟁했다. 프랑스는 이 스포츠에서 첫 번째 올림픽 챔피언십을 획득했지만, 그 승리가 프랑스에 귀속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미셸 테아토는 룩셈부르크인이었지만 파리에 살았고, 그의 마라톤 우승은 처음에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 프랑스에 귀속되었지만,[6] 현재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그의 메달을 룩셈부르크에 귀속시키고 있다. 테아토의 금메달을 제외하면, 프랑스는 이 스포츠에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육상 리더보드에서 3위를 기록했다.
3. 2. 1. 트랙 경기
미셸 샴푸드리 앙드레 카스타네 앙리 델로주 자크 샤스타니에
5000m 단체전
colspan=6 bgcolor="wheat"|
29
은메달
3. 2. 2. 도로 육상
프랑스 선수단은 마라톤에 미셸 테아토, 에밀 샴피옹, 오귀스트 마르셰, 외젠 베스, 조르주 투크 다오니가 참가했다.
미셸 테아토는 2시간 59분 45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의 우승은 프랑스 육상의 자존심을 드높이는 쾌거였다. 에밀 샴피옹은 3시간 4분 17초로 은메달을 차지하며 프랑스의 강세를 이어갔다.
오귀스트 마르셰와 조르주 투크 다오니는 경기를 완주하지 못했다. 외젠 베스는 4시간 00분 43초로 4위를 기록했다.
당시 마라톤 코스는 파리 시내를 통과하는 험난한 코스였으며, 선수들은 무더운 날씨와 싸워야 했다. 미셸 테아토는 뛰어난 체력과 정신력으로 이러한 악조건을 극복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1900년 하계 올림픽 펠로타는 프랑스 선수단의 활약이 두드러진 종목 중 하나였다. 프랑스는 자체 팀을 파견하여 펠로타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모리스 뒤르케티와 에체가라이로 구성된 프랑스 팀은 스페인 팀인 프란시스코 비요타, 호세 데 아메솔라 이 아스피수아 조와 결승에서 맞붙었다. 일부 자료에서는 프랑스 팀이 스페인 팀에게 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경기 직전에 기권했다는 설도 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프랑스 팀의 은메달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프랑스는 1900년 하계 올림픽 크리켓 종목에 프랑스 체육 클럽 연합(Union des Sociétés Françaises de Sports Athlétiques) 소속 선수단으로 참가했다. 이 팀은 2일간 12명이 참가한 단 한 경기를 158점 차로 패했다.
프랑스 체육 클럽 연합 소속 선수 중 최소 11명은 영국 국적이었으며, 그중 두 명은 프랑스에서 태어났다. H. F. 로크스를 비롯하여, 스코어시트에 "엑스트라"로 표시된 선수들은 프랑스인이었을 수도 있다.
팀
종목
결선
순위
상대팀
결과
남자
패 78 - 117
패 26 - 145/5d
팀
종목
결승
상대 점수
순위
남자
패 158점 차
아르튀르 맥에보이, 앙리 테리, 필립 토말랭, A.J. 슈네도, D. 로뱅송, F. 로그, J. 브레, R. 오른, T.H. 요르당, W. 브로브냉, W. 앙데르셍, W.T. 아트랠 등은 프랑스 크리켓 국가대표팀으로 1900년 하계 올림픽 크리켓에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조르주 타일란디에는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스프린트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프랑스 사이클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그는 예선에서 1분 36.8초, 준준결승에서 2분 00.6초, 준결승에서 2분 42.6초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실력을 과시했고, 결승에서는 2분 52.0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페르낭 상즈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의 스프린트 강세를 입증했다.
조르주 타일란디에는 압도적인 기량으로 예선에서 1분 36.8초, 준준결승에서 2분 00.6초, 준결승에서 2분 42.6초를 기록하며 모두 1위로 통과, 결승에서도 2분 52.0초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페르낭 상즈 또한 준수한 성적으로 결승에 진출했지만, 아쉽게 알베르 타이야니에에 밀려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IOC 집행위원회는 1900년 파리 올림픽에서 로이드 힐데브란트의 은메달을 영국에서 프랑스로 변경하는 것을 승인했다.
3. 5. 2. 25km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25km 종목에서 프랑스는 루이 바스티앵이 25분 36.2초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 로이드 힐데브란트 또한 28분 09.4초로 은메달을 차지하며 프랑스의 사이클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 오귀스트 도맹은 29분 36.2초로 동메달을 추가하며 프랑스 선수단의 압승을 완성했다.
그 외 막심 베르트랑이 4위를 기록했으며, 레옹 갱젬브르, 루이 트루셀리에, A. 포르셰, J. 베라르는 경기를 포기했다.
프랑스 선수들의 뛰어난 활약은 프랑스 사이클의 위상을 드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3. 5. 3. 포인트 레이스
1900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포인트 레이스에서 프랑스 선수들은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선수
종목
점수
순위
J. 베라르
남자 포인트 레이스
5
5
아돌프 카이롱
4
6
샤퓌
8
4
조르주 콩드르
1
=12
옥타브 쿠아지
4
=7
마르셀 도히
2
=9
제르맹
2
=9
루이 트루셀리에
9
3
페르디낭 바세로
4
=7
루이 트루셀리에는 9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 선수 중 가장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아돌프 카이롱은 4점으로 6위, 샤퓌는 8점으로 4위를 차지했다. J. 베라르는 5점으로 5위, 옥타브 쿠아지와 페르디낭 바세로는 각각 4점으로 공동 7위, 마르셀 도히와 제르맹은 각각 2점으로 공동 9위, 조르주 콩드르는 1점으로 공동 12위를 기록했다.
루이 드 샹사뱅은 테르프시코레를 타고 2분 26초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에 값진 메달을 안겼다. 샤를, 베튄-스컬리 백작은 팁-톱을 타고 참가했으나, 시간은 불명이며 4위에서 37위 사이의 순위를 기록했다.
그 외 드 쿨롬비에, 도작 드 라 마르티니, 위베르 뒤테크, 도미니크 가르데르, 폴 앙탱젠, 루이 드 아브랭쿠르, 모리스 제앵, 앙리 르클레르(엑스트라-드라이, 질), 나폴레옹 뮈라, 아르튀르 필리포, 외젠 푸아데바르, 비뉴 등의 선수들이 참가했으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4위에서 37위 사이의 순위를 기록했다.
3. 6. 2. 높이뛰기
프랑스는 높이뛰기에 다수의 선수를 출전시켜 좋은 성적을 거뒀다.
도미니크 가르데르는 카넬라(Canella)를 타고 1.85m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도미니크 가데르는 프랑스의 위상을 드높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폴 앙티앙(Paul Antin), 앙리 르클레르, 나폴레옹 뮈라, 위뇰(Ugnol)은 각각 넬(Nell), 마호메트(Mahomet), 아르카디우스(Arcadius), 선라이즈(Sunrise)를 타고 1.70m를 기록하며 공동 5-8위를 기록했다. 나폴레옹 뮈라는 바야르(Bayard)를 타고도 출전했으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9-19위 사이로 추정된다. 위베르 뒤테크(Hubert Dautech) 역시 출전했으나 말의 이름과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고 9-19위 사이로 추정된다.
나폴레옹 뮈라는 바야르(Bayard)라는 말을 타고 4.90m를 뛰어 4위를 기록했다. 페이르 드 벨르가르드는 톨라(Tolla)라는 말을 타고 5.30m를 뛰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한편, 앙리 플로크는 카멜리아(Camelia)라는 말을 타고 출전했으나, 기록은 알려지지 않았고 5위를 기록했다. 자크 드 프뤼넬 또한 톨라(Tolla)라는 말을 타고 5.30m를 뛰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3. 6. 4. 해킹 앤 헌터 복합
1900년 하계 올림픽의 해킹 앤 헌터 복합 종목은 프랑스 선수들에게 다양한 결과를 안겨주었다.
나폴레옹 뮈라는 '더 제너럴'이라는 말을 타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의 위상을 드높였다. 빅토르 아르슈누는 '르투르넬'과 함께 은메달을 차지했으며, 로베르 드 몽테스키우는 '그레이 레그'를 타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편 폴 아엥티엔은 '마부르닌'을 타고 4위를 기록했다.
그 외에 피에르 루이 알라레, 샤를 바보, 꼬르동, 루이 드 샹사뱅, 크루아 후작, 피에르 디용, 모리스 포아슈, 루이 다브랭쿠르, 조르주 드 라가렌느, 마티외 마리 드 레셉스, 르네 알프레드 로베르 드 캥시, 모리스 제앵, 블랑슈 드 마르시니, 잔 물랭, 오귀스트 루아, 비뉴일 외 최대 26명의 선수가 참가했지만, 5위에서 51위 사이의 순위를 기록했다.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프랑스 선수단은 4두 마차 종목에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장 드 뇌플리즈는 우편 마차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에 값진 메달을 안겨주었다. 한편, 레옹 토메는 은메달을 차지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그 외 베르트랑 샤뉘, 루이 뒤 두에 드 그라빌, 페르디낭 드 라리보아지에르, 아드리앵 드 노아이, 폴 드 생레제, 샤를 외젠 아마블 드 보스, 자크 드 와뤼, 조프루아 당디뉴, 자크 다르린쿠르, 옥타브 갈리스, 제임스 헤네시, 자크 라 카즈, 필리프 베르네 등의 선수들은 우편 마차 종목에서 5위부터 31위 사이의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필리프 베르네는 4위를 기록하며 메달 획득에 아쉽게 실패했다.
3. 7. [[파일:Fencing pictogram.svg|30px]] 펜싱
프랑스 펜싱은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두며 펜싱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총 7개의 금메달 중 5개를 휩쓸었으며, 전체 21개의 메달 중 15개를 가져오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3. 7. 1. 플뢰레 개인전
1900년 하계 올림픽 펜싱 남자 플뢰레 개인전에 참가한 프랑스 선수들의 성적은 다음과 같다.
선수
종목
예선
준준결선
패자부활전
준결선
순위결정전
결선
승
패
순위
승
패
순위
승
패
순위
승
패
순위
승
패
순위
승
패
순위
가르디에
플뢰레 개인전
?
align=center colspan=9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고티에
플뢰레 개인전
?
align=center colspan=9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귀에랭
플뢰레 개인전
?
?Q
?
?Q
colspan=3 bgcolor="ddeeff"|
3
4
5 q
?
16
align=center colspan=3
그로사르
플뢰레 개인전
?
align=center colspan=9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뒤크로
플뢰레 개인전
?
?Q
?
?Q
colspan=3 bgcolor="ddeeff"|
?
7 q
?
13
align=center colspan=3
로바르 마르
플뢰레 개인전
?
?Q
?
align=center colspan=6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마르태내
플뢰레 개인전
?
?Q
?
align=center colspan=6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앙드레 드 쇼넹
플뢰레 개인전
?
?Q
?
?q
?
align=center colspan=3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앙리 마송
플뢰레 개인전
?
?Q
?
?Q
colspan=3 bgcolor="ddeeff"|
5
2
2 Q
colspan=3 bgcolor="wheat"|
5
2
앙리 요비에
플뢰레 개인전
?
?Q
?
?q
?
align=center colspan=3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야크텔
플뢰레 개인전
?
?Q
?
colspan=3 bgcolor="ddeeff"|
align=center colspan=3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에밀 코스트
플뢰레 개인전
?
?Q
?
?Q
colspan=3 bgcolor="ddeeff"|
7
0
1 Q
colspan=3 bgcolor="wheat"|
6
1
외젠 드 루이 베르게
플뢰레 개인전
?
?Q
?
?q
?
?Q
?
8 q
?
10
align=center colspan=3
조르주 댈롱 카바나
플뢰레 개인전
?
?q
?
?Q
?
4 Q
colspan=3 bgcolor="wheat"|
2
5
7
조르주 베르게
플뢰레 개인전
?
align=center colspan=9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칼베
플뢰레 개인전
?
?Q
?
align=center colspan=6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클로드 드 부아시에르
플뢰레 개인전
?
?Q
?
?Q
colspan=3 bgcolor="ddeeff"|
2
5
6 q
?
9
align=center colspan=3
텔레페르
플뢰레 개인전
?
?Q
?
?q
?
align=center colspan=3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파스라
플뢰레 개인전
?
align=center colspan=9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팡탱
플뢰레 개인전
?
?Q
?
?q
?
align=center colspan=9
페랑
플뢰레 개인전
?
?Q
?
?q
?
align=center colspan=3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펠라봉
플뢰레 개인전
?
align=center colspan=9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펠래외 드바외
플뢰레 개인전
?
?Q
?
?Q
colspan=3 bgcolor="ddeeff"|
?
2 Q
colspan=3 bgcolor="wheat"|
4
3
4
피오
플뢰레 개인전
?
align=center colspan=9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피에르 조르주 루이 드위그
플뢰레 개인전
?
?Q
?
?q
?
?Q
?
3 Q
colspan=3 bgcolor="wheat"|
3
4
5
폴 레로이
플뢰레 개인전
?
align=center colspan=9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푸시에
플뢰레 개인전
?
align=center colspan=9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프로스페르 세나
플뢰레 개인전
?
?Q
?
?q
?
?Q
5
2
3 Q
colspan=3 bgcolor="wheat"|
3
4
6
프래수
플뢰레 개인전
?
?Q
?
align=center colspan=6
colspan=3 bgcolor="wheat"|
align=center colspan=3
에밀 코스트는 압도적인 실력으로 결승에서 6승 1패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앙리 마송은 결승에서 5승 2패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뤼시앵 메리냐크는 압도적인 실력으로 준결승에서 7전 전승, 결승에서 6승 1패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알퐁스 키르쇼페 또한 준결승에서 6승 1패, 결승에서 6승 1패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장 밥티스트 미미아그는 준결승에서 6승 1패를 기록했지만, 결승에서 4승 3패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이 외에도 다수의 프랑스 선수들이 마스터 플뢰레에 참가하여 열띤 경쟁을 펼쳤다.
3. 7. 6. 아마추어 마스터 에페
1900년 하계 올림픽 펜싱의 아마추어 마스터 에페 종목에서 프랑스 선수단의 성적은 다음과 같다.
레옹 세는 에페 개인전에서 예선과 준준결승을 통과하여 준결승에서 3위를 기록, 최종적으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그는 아마추어 마스터 에페에서도 동메달을 추가하며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프랑스의 위상을 드높였다. 알베르 로베르 아야 역시 아마추어 마스터 에페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 펜싱의 저력을 과시했다.
3. 8. [[파일:Football pictogram.svg|30px]] 축구
클럽 프랑세즈는 프랑스를 대표하여 축구 대회에 참가했다. 이 클럽은 업튼 파크 F.C.에게 0-4로 패했지만, 브뤼셀 자유 대학교 팀을 6-2로 꺾고 3개 팀 경쟁에서 2위를 차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팀
종목
결선
순위
상대팀
결과
남자
패 0 - 4
승 6 - 2
1900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서 클럽 프랑세즈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종목
조별 리그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순위
클럽 프랑세즈
남자 토너먼트
업튼 파크 F.C. 패 0–4
브뤼셀 자유 대학교 승 6–2
당시 클럽 프랑세즈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피에르 알르망 |age=|caps=|goals=|club=클럽 프랑세즈|clubnat=프랑스}}
루이 바흐 |age=|caps=|goals=|club=클럽 프랑세즈|clubnat=프랑스}}
알프레드 블로흐 |age=|caps=|goals=|club=클럽 프랑세즈|clubnat=프랑스}}
1900년 하계 올림픽의 남자 개인전에는 프랑스를 대표하여 앙리, 바론 푸아 등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앙리는 총 5031점을 얻어 개인전 3위에 올랐으며, 바론 푸아는 4991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두 선수 모두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프랑스 선수단의 좋은 성적에 기여했다.
3. 9. 2. 여자 개인전
1900년 하계 올림픽의 여자 개인전에는 프랑스 선수들이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프로망-뫼리스는 뛰어난 기량으로 주목을 받았다. 다른 프랑스 선수들의 순위와 기록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샤를로, 앙리 부케르, 앙리 아크브루크, 에밀 델샴브르, 장 카노로 구성된 팀은 유타포어 결승에서 7분 11초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다내엘 수베이랑, 샤를 페랭, 에밀 베게랭, 조르주 륌프 팀은 7분 18초로 은메달을 차지했다. 라울 파올리, 앙투앙 베렌, 카를로스 델투르는 유타페어에서 7분 57.2초를 기록하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아르망 바를레는 싱글스컬에서 7분 35.6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앙드레 고댕은 싱글스컬에서 7분 41.6초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한편, 뤼시앵 마르티네와 왈레프는 유타페어에서 7분 34.4초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자크 르 라바쇠르, 프레데릭 블랑시, 그리고 영국의 E. 윌리엄 익쇼가 팀을 이룬 Ollé는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1, 2차 경기 모두 1위를 차지하여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는 프랑스 요트계의 쾌거로 기록되었다. 고디네, 두세, 미알라레, 쉬스가 함께한 Favorite 팀은 1, 2차 경기에서 모두 2위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꾸준한 경기력을 보여준 결과였다. 드 코티농, 에밀 장 퐁텐, 페르디낭 슐라테로 구성된 Gwendoline 팀은 1차 경기에서 3위를 기록했으나, 2차 경기에서는 아쉽게도 DNF(Did Not Finish)를 기록했다. 오귀스트 도니가 이끄는 Mignon 팀은 1차 경기에서 4위, 2차 경기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자유형 경기에서는 모든 프랑스 선수들이 DNF(Did Not Finish)를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3. 11. 4. 3~10톤
두세 미알라레 쉬스
3t급
Favorite
2:20:03
4:23:57
colspan=2 bgcolor="wheat"|
/
자유형
Favorit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드 코티농 에밀 장 퐁텐 페르디낭 슐라테
3t급
Gwendoline
2:24:48
-
DNF
colspan=2 bgcolor="wheat"|
/ DNF
자유형
Gwendolin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자크 르 라바쇠르 프레데릭 블랑시 E. 윌리엄 익쇼
3t급
Ollé
2:17:30
4:17:34
colspan=2 bgcolor="wheat"|
/
자유형
Ollé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3. 11. 5. 20+톤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20+톤급 요트 경기에 참가한 프랑스 선수들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선수
종목
요트
제1경기
제2경기
제3경기
최종 순위
에밀 빌라드, P. 페르크
20t급
Estérel
4:17:12 (1위)
3:43:21 (2위)
3:22:36 (1위)
29점 ()
장 드카즈
20t급
Quand-même
4:18:46 (2위)
3:46:11 (3위)
3:28:09 (3위)
25점 ()
크로니에
20t급
Rozenn
DSQ
3:47:27 (4위)
3:26:59 (2위)
20점 (4위)
?
20t급
Luna
4:21:37 (4위)
4:02:43 (6위)
3:36:12 (5위)
18점 (6위)
프랑스 선수단은 '''에밀 빌라드'''와 '''P. 페르크'''가 Estérel 요트를 타고 출전하여 압도적인 기량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장 드카즈'''는 Quand-même 요트를 이용하여 은메달을 차지하며 프랑스의 요트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한편, '''크로니에'''는 Rozenn 요트로 출전했지만, 실격 처리되는 아쉬움을 남겼다.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한 선수는 Luna 요트를 타고 6위를 기록했다.
3. 11. 6. 오픈 클래스
레옹 텔리에 앙리 모노
0.5t급
Sarcelle
1:19:31
2:07:52
4
colspan=2 bgcolor="wheat"|
/ 4
자유형
Sarcell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강이에르
1t급
Cinara
4:10:?
14
colspan=4 bgcolor="wheat"|
14
고디네 두세 미알라레 쉬스
3t급
Favorite
2:20:03
4:23:57
colspan=2 bgcolor="wheat"|
/
자유형
Favorit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길라르도니프라
자유형
Fémur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뒤발 샤를 위고 오귀스트 알베르트 F. 빌라미야나
2t급
Marthe
2:17:29
3:37:49
colspan=2 bgcolor="wheat"|
/
자유형
Marth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뒤보스크 뤼시엥 보드리에 에두아르드 망토이 자크 보드리에
2t급
Nina-Claire
2:26:28
4:10:17
4
colspan=2 bgcolor="wheat"|
/ 4
뒤플랑 레토
1t급
Galopin
4:03:58
10
colspan=4 bgcolor="wheat"|
10
자유형
Galopin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드 말라르틱
자유형
Jeannett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드 코티농 에밀 장 퐁텐 페르디낭 슐라테
3t급
Gwendoline
2:24:48
-
DNF
colspan=2 bgcolor="wheat"|
/ DNF
자유형
Gwendolin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레그뤼
1t급
Suzon IV
3:53:50
6
colspan=4 bgcolor="wheat"|
6
자유형
Suzon IV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로베르 랭즐레 장 샤를코 텍시에 1세 텍시에 2세
0.5t급
Quand-Même
1:08:54
1:40:42
colspan=2 bgcolor="wheat"|
/
로베르트 귀플레 모리스 귀플레 샤를리 기레스트 A. 뒤보 J. 뒤보
10t급
Gitana
colspan=2 bgcolor="wheat"|
4:35:44
colspan=2 bgcolor="wheat"|
로솔랭
1t급
Ariette
4:04:21
11
colspan=4 bgcolor="wheat"|
11
자유형
Ariett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로스벨트
자유형
Vervein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루이 오귀스트 도르뫼일
자유형
Carabinier
-
DSQ
colspan=4 bgcolor="wheat"|
DSQ
르로이
10t급
Mascaret
colspan=2 bgcolor="wheat"|
5:08:51
5
colspan=2 bgcolor="wheat"|
5
자유형
Mascaret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르쿠아트르
2t급
Alcyon
3:05:06
8
-
DNF
colspan=2 bgcolor="wheat"|
8 / DNF
자유형
Alcyon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마르셀 무아상
2t급
Ducky
2:31:14
5
4:48:07
7
colspan=2 bgcolor="wheat"|
5 / 7
자유형
Ducky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마르셀 므랑
자유형
Scamasax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마르셀 므랑 E. 미셸레 F. 미셸레
1t급
Scanasaxe
3:42:40
colspan=4 bgcolor="wheat"|
마르크 주세
1t급
Dick
4:03:00
9
colspan=4 bgcolor="wheat"|
9
막심 드송셰
자유형
Hébé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모리스 귀플레 로베르트 귀플레 샤를리 기레스트 A. 뒤보 J. 뒤보
자유형
Gitana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모리스 모노
0.5t급
Souriceau
1:21:01
4
2:08:04
5
colspan=2 bgcolor="wheat"|
4 / 5
자유형
Souriceau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무세트
10t급
Marsouin
colspan=2 bgcolor="wheat"|
5:16:50
6
colspan=2 bgcolor="wheat"|
6
자유형
Marsouin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알베르트 글랑다즈
1t급
Colette
4:08:?
13
colspan=4 bgcolor="wheat"|
13
자유형
Colett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앙리 멩고
자유형
Gyp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에밀 빌라드 P. 페르크
20t급
Estérel
4:17:12
1
3:43:21
2
3:22:36
1
29
에밀 사크레
0.5t급
Fantlet
-
DNF
1:35:59
colspan=2 bgcolor="wheat"|
DNF /
자유형
Fantlet
7:04:08
4
colspan=4 bgcolor="wheat"|
4
오귀스트 도니
3t급
Mignon
2:26:31
4
4:52:13
colspan=2 bgcolor="wheat"|
4 /
자유형
Mignon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오귀스트 도르묘일
1t급
Petit-Poucet
3:56:55
7
colspan=4 bgcolor="wheat"|
7
와랑오스트
2t급
Freia
2:33:54
6
4:11:22
5
colspan=2 bgcolor="wheat"|
6 / 5
자유형
Freia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외젠 라벤 앙리 라벤
2t급
Amulet
2:26:56
4
-
DNF
colspan=2 bgcolor="wheat"|
4 / DNF
자유형
Amulet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외젠 라벤 요네 파스트레 포티에 피에르 드 불로뉴
1t급
Sidi-Fekkar
-
DSQ
colspan=4 bgcolor="wheat"|
DSQ
요네 파스트레 포티에 피에르 드 불로뉴
자유형
Sidi-Fekkar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윌리암 마르탱
10t급
Pirouette
colspan=2 bgcolor="wheat"|
5:30:07
7
colspan=2 bgcolor="wheat"|
7
요트 선수 자크 보드리에 장 르 브레 쥘 발통 F. 마르코트
1t급
Crabe II
3:39:23
colspan=4 bgcolor="wheat"|
자유형
Crabe II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자크 드 콩스탕
0.5t급
Plume-Patte
1:21:37
5
-
DNF
colspan=2 bgcolor="wheat"|
5 / DNF
자크 르 라바쇠르 프레데릭 블랑시 E. 윌리엄 익쇼
3t급
Ollé
2:17:30
4:17:34
colspan=2 bgcolor="wheat"|
/
자유형
Ollé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장 드 샤방느
1t급
Crabe I
3:47:11
4
colspan=4 bgcolor="wheat"|
4
자유형
Crabe I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장 드카즈
20t급
Quand-même
4:18:46
2
3:46:11
3
3:28:09
3
25
장 드 콩스탕
1t급
Pierre et Jean
3:52:44
5
colspan=4 bgcolor="wheat"|
5
자유형
Pierre et Jean
?
5
colspan=4 bgcolor="wheat"|
5
장 르 브레
1t급
Crocodile
4:06:40
12
colspan=4 bgcolor="wheat"|
12
자유형
Crocodil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장 샤를코 로베르 랭즐레
자유형
Quand-Mêm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조르주 세미숑
0.5t급
Giselle
1:23:30
6
2:34:09
6
colspan=2 bgcolor="wheat"|
6 / 6
크로니에
20t급
Rozenn
-
DSQ
3:47:27
4
3:26:59
2
20
4
텍시에 1세 텍시에 2세
1t급
C.V.A.
4:00:32
8
colspan=4 bgcolor="wheat"|
8
2t급
Mamie
2:52:30
7
4:30:08
6
colspan=2 bgcolor="wheat"|
7 / 6
자유형
Mamie
-
DSQ
colspan=4 bgcolor="wheat"|
DSQ
폴 쿠튀르
자유형
Tornad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피에르 주르바이
0.5t급
Baby
1:06:16
1:48:44
colspan=2 bgcolor="wheat"|
/
자유형
Baby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E. 미셸레
10t급
Turquoise
colspan=2 bgcolor="wheat"|
-
DSQ
colspan=2 bgcolor="wheat"|
DSQ
E. 미셸레 F. 미셸레
자유형
Turquoise
6:12:12
colspan=4 bgcolor="wheat"|
G. 피게르드
자유형
Demi-Mondaine
-
DNF
colspan=4 bgcolor="wheat"|
DNF
?
20t급
Luna
4:21:37
4
4:02:43
6
3:36:12
5
18
6
3. 12. [[파일:Shooting pictogram.svg|30px]] 사격
프랑스는 제2회 근대 올림픽 경기에서 다시 사격에 참가했다. 프랑스는 그 해 사격 종목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지만, 금메달은 스위스의 5개에 비해 3개만을 획득했다. 남자 20m 속사 권총 경기는 프로 선수들에게 개방되었으며, 상금을 놓고 경쟁했기 때문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올림픽 메달 종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프랑스 선수들은 1900년 하계 올림픽의 권총 사격 종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레옹 모뢰는 25m 속사권총에서 57점으로 은메달을, 50m 자유권총에서는 435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루이 두포이는 50m 자유권총에서 442점으로 5위를 차지했다. 모리스 라루이는 25m 속사권총에서 58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의 위상을 드높였다. 모리스 르코크는 50m 자유권총에서 429점으로 11위를 기록했다. 아실 파로슈는 50m 자유권총에서 466점으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외젠 발므는 25m 속사권총에서 57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조제프 라베는 25m 속사권총에서 57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 트링테는 50m 자유권총에서 431점으로 10위를 차지했다. 폴 모로는 25m 속사권총에서 57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레옹 모뢰, 루이 두포이, 모리스 르코크, 아실 파로슈, 트링테는 50m 자유권총 단체전에서 2203점으로 은메달을 추가했다.
선수
세부 종목
점수
순위
레옹 모뢰
25m 속사권총
57
50m 자유권총
435
7
루이 두포이
50m 자유권총
442
5
모리스 라루이
25m 속사권총
58
모리스 르코크
50m 자유권총
429
11
아실 파로슈
50m 자유권총
466
외젠 발므
25m 속사권총
57
조제프 라베
25m 속사권총
57
6
트링테
50m 자유권총
431
10
폴 모로
25m 속사권총
57
4
레옹 모뢰 루이 두포이 모리스 르코크 아실 파로슈 트링테
50m 자유권총 단체전
2203
3. 12. 3. 산탄총 사격
프랑스 선수단은 1900년 하계 올림픽의 산탄총 사격 종목, 더 구체적으로는 트랩 사격에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프랑스 선수단은 1900년 하계 올림픽 수영 종목에 다수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데시레 메르셰는 1000m 자유형에서 18분 17.2초로 예선 4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드 로망은 200m 배영에서 3분 56.6초로 예선을 통과('''q''')하여 결선에 진출, 3분 38.0초로 6위를 기록했다. 그는 또한 4000m 자유형에서 1시간 50분 36.4초로 6위를 기록했지만 결선에는 진출하지 못했으며, 잠영에서는 145.2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라가르드는 4000m 자유형에서 1시간 38분 31.8초로 5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루이 마르탱은 1000m 자유형에서 16분 58.0초로 예선 3위('''q''')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 16분 30.4초로 5위를 기록했다. 또한 4000m 자유형에서는 1시간 22분 29.6초로 예선 2위('''q''')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 1시간 13분 08.4초로 동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다.
루이 마르크는 200m 장애물에서 3분 29.2초로 예선 4위('''q''')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 3분 30.6초로 10위를 기록했다. 잠영에서는 100.0점으로 8위를 기록했다.
뤼에는 4000m 자유형에서 1시간 46분 40.4초로 6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모리스 오셰피에는 200m 자유형에서 2분 48.0초로 예선 4위('''q''')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 2분 53.0초로 5위를 기록했다. 200m 장애물에서는 3분 16.2초로 예선 2위('''Q''')로 결선에 진출, 2분 58.0초로 7위를 기록했다. 1000m 자유형에서는 17분 13.2초로 예선 2위('''q''')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 16분 53.4초로 7위를 기록했다.
라포스톨레는 1000m 자유형에서 25분 52.0초로 3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프랑스는 200m 단체전에 여러 팀을 출전시켰다. 가세느, 로시에, 쥘 클레브노트, 페레, 펠로이로 구성된 팀은 65점으로 4위를 기록했고, 데시레 메르셰즈, 루이 마르탱, 우방, 장 뢰이뢰, 타르타라로 구성된 팀은 62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모리스 호슈피드, 베르트랑, 베르베케, 빅터 오셰피드, M. 카데로 구성된 팀은 51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헬렌 프레보스: 준준결승에서 조지나 존스를 2-0으로 꺾고, 준결승에서 헤드비가 로센바우모바를 2-0으로 꺾었으나, 결승에서 샬럿 쿠퍼에게 0-2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3. 14. 3. 남자 복식
1900년 하계 올림픽 남자 복식 테니스 경기에서 프랑스 선수들은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막스 데퀴지와 미국의 바실 스팰딩 드 가멘디어 조는 혼성팀으로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16강은 부전승으로 통과했으며, 준준결승에서 아치볼드 워든과 찰스 샌즈 조를 2-0으로 꺾고, 준결승에서 앙드레 프레보스와 조르주 드 라 샤펠 조를 2-0으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레지널드 도허티와 로렌스 도허티 조에게 0-3으로 패했다.
앙드레 프레보스와 조르주 드 라 샤펠 조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6강은 부전승으로 통과했으며, 준준결승에서 에두아르 비스쿵 드 라스투르와 G. 르왼 조를 2-1로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막스 데퀴지와 바실 스팰딩 드 가멘디어 조에게 0-2로 패하여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에두아르 비스쿵 드 라스투르와 G. 르왼 조는 준준결승에서 앙드레 프레보스와 조르주 드 라 샤펠 조에게 1-2로 패하여 5위를 기록했다.
폴 르카롱과 P. 르브레통 조는 준준결승에서 레지널드 도허티와 로렌스 도허티 조에게 0-2로 패하여 5위를 기록했다.
A. 포시에 마그낭과 E. 뒤랑 조는 준준결승에서 아서 노리스와 해럴드 머호니 조에게 0-2로 패하여 5위를 기록했다.
헬렌 프레보스는 해럴드 머호니와 함께 혼합 복식에 출전하여 준결승에서 아치볼드 워든과 헤드비가 로센바우모바 조를 2-0으로 꺾었으나, 결승에서 레지널드 도허티와 샬럿 쿠퍼 조에게 0-2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카티 길루는 P. 베르디 델리슬과 한 조를 이루어 준준결승에서 부전승으로 올라왔으나, 준결승에서 아치볼드 워든과 헤드비가 로센바우모바 조에게 패배했다.
3. 15. [[파일:Tug of war pictogram.svg|30px]] 줄다리기
프랑스는 1900년 하계 올림픽에 줄다리기 팀을 출전시켰다. 프랑스 팀은 결승에서 덴마크와 스웨덴 연합팀에게 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당시 프랑스 팀은 레몽 바세, 샤를 공두앵, 에밀 사라드, 요세프 로포, 장 콜라스, 콩스탕탱 앙리크 드 쥐비에라로 구성되었다.
프랑스 선수단은 혼성팀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프란시스코 엔리케스 데 수비리아가 콜롬비아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선수
종목
상대 결과
순위
로제 바세, 장 콜라, 샤를 공두앵, 조제프 로포, 에밀 사라드, 프란시스코 엔리케스 데 수비리아(COL)
프랑스 선수들은 마차복합 종목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나폴레옹 무라트는 금메달, 드 몬테스키우 페즈네사크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프랑스의 위상을 높였다. 아르슈눌 또한 마차복합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레옹 토미와 바롱 드 뇌플리제는 우편마차 종목에서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추가했다.
프랑스 선수들은 헌터 및 해킹 결합 종목에도 참가하여 빅토르 아르슈누가 르투르넬을 타고 은메달, 로베르 드 몽테스키우가 그레이 레그를 타고 동메달, 나폴레옹 뮈라가 더 제너럴을 타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폴 아엥티엔은 4위를 기록했고, 그 외 다수의 선수들이 5위에서 51위 사이의 순위를 기록했다.
우편마차 경기에서 레옹 토미가 은메달, 바롱 드 뇌플리제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다른 프랑스 선수로는 베르트랑 샤뉘, 루이 뒤 두에 드 그라빌, 페르디낭 드 라리보아지에르, 장 드 뇌플리즈, 아드리앵 드 노아이, 폴 드 생레제, 샤를 외젠 아마블 드 보스, 자크 드 와뤼, 조프루아 당디뉴, 자크 다르린쿠르, 옥타브 갈리스, 제임스 헤네시, 자크 라 카즈, 필리프 베르네 등이 참가했다.
요트 종목에서 프랑스 선수단은 금메달 획득 수에서 영국과 동률을 이루었으며, 은메달과 동메달 20개 중 16개(각 8개)를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총 76명의 프랑스 선수들이 요트 종목에 참가했다.
길라르도니는 10t급 경기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로베르트 귀플레, 모리스 귀플레, 샤를리 기레스트, A. 뒤보, J. 뒤보 팀이 3위를 기록했다. 마르셀 므랑, E. 미셸레는 1t급 요트 경기 제2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오귀스트 도르뫼일은 1t급 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윌리암 마르탱, 자크 보드리에, 장 르 브레, 쥘 발통, F. 마르코트는 1t급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단일 레이스 종목에서 에밀 미슐레는 오픈 클래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에밀 사크레는 4위를 기록했다. 0~0.5톤 1차 레이스에서는 피에르 제르베가 금메달, 장-밥티스트 샤르코, 로베르 린젤레르, 프랑수아 텍시에, 오귀스트 텍시에가 은메달, 가스통 카이유, 앙리 모노, 레옹 텔리에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0~0.5톤 2차 레이스에서는 에밀 사크레가 금메달, 장-밥티스트 샤르코, 로베르 린젤레르, 프랑수아 텍시에, 오귀스트 텍시에가 은메달, 피에르 제르베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0.5~1톤 1차 레이스에서는 자크 보드리예, 장 르 브레, 펠릭스 마르코트, 윌리엄 마틴, 쥘 발통이 은메달, 마르셀 메랑, 에밀 미슐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0.5~1톤 2차 레이스에서는 루이 오귀스트-도르뫼이가 금메달, 마르셀 메랑, 에밀 미슐레가 은메달, 자크 보드리예, 장 르 브레, 펠릭스 마르코트, 윌리엄 마틴, 쥘 발통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오귀스트 알베르, 알베르 뒤발, 샤를 위고, 프랑수아 빌라미트야나는 1~2톤 1차 레이스에서 은메달, 1~2톤 2차 레이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자크 보드리예, 뤼시앙 보드리예, 에두아르 망투아, 뒤보스크는 1~2톤 1차 레이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프레데릭 블랑시, 자크 르 라바쇠르, E. 윌리엄 엑쇼는 2~3톤 1, 2차 레이스 모두 금메달을 휩쓸었고, 자크 두세, 오귀스트 고디네, 앙리 미알레, 레옹 쒸스는 2~3톤 1, 2차 레이스 모두 은메달을 획득했다.
알프레드 뒤부아, 쥘 뒤부아, 모리스 기플레, 로베르 기플레, 샤를 기레는 3~10톤 1차 레이스에서 동메달, 2차 레이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앙리 질라르도니는 3~10톤 1차 레이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레가타 종목에서는 에밀 빌라르, 폴 페르케르가 10~20톤에서 금메달, 장, 데카제 공작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사격 종목에서 프랑스는 총 10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금메달은 3개에 그쳤다. 남자 20m 속사 권총 경기는 프로 선수들에게 개방되어 상금을 놓고 경쟁했기 때문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올림픽 메달 종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외젠 발메, 모리스 라루이, 레옹 모로는 남자 20m 속사 권총에서 각각 동메달, 금메달, 은메달을 획득했다. 루이 뒤푸아, 레옹 모로, 모리스 르코크, 아킬 파로슈, 쥘 트리니테는 남자 50m 자유 권총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단체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오귀스트 카바디니, 모리스 르코크, 레옹 모로, 아킬 파로슈, 르네 토마는 남자 300m 자유 소총 각 자세별 경기 및 단체전에서 활약했다. 특히 아킬 파로슈는 복사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단체전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로제 드 바르바랭, 쥐스티니앙 드 클라리, 르네 기요 (BEL)는 남자 트랩에서 각각 금메달, 동메달, 은메달을 획득했다.
루이스 데브라이와 피에르 니베트는 러닝게임타겟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콩트 드 램버트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모리스 포레는 비둘기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빅토르 아르슈누는 르투르넬을 타고 은메달을, 로베르 드 몽테스키우는 그레이 레그를 타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나폴레옹 뮈라는 더 제너럴을 타고 금메달을 차지하며, 이 종목에서도 프랑스의 강세를 입증했다. 폴 아엥티엔은 4위를 기록했다. 그 외 다수의 선수들이 참가했지만, 5위에서 51위 사이의 순위를 기록했다.
프랑스 선수단은 1900년 하계 올림픽 요트 종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금메달 획득 수에서 영국과 동률을 기록했으며, 은메달과 동메달 20개 중 16개(각 8개)를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총 76명의 프랑스 선수들이 요트 종목에 참가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다.
비공식 종목에서 프랑스 선수들은 더욱 두각을 나타냈다.
선수
종목
제1경기
제2경기
최종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길라르도니
10t급
?
colspan=2 bgcolor="wheat"|
로베르트 귀플레 모리스 귀플레 샤를리 기레스트 A. 뒤보 J. 뒤보
10t급
?
colspan=2 bgcolor="wheat"|
마르셀 므랑 E. 미셸레
1t급
colspan=2 bgcolor="wheat"|
?
오귀스트 도르뫼일
1t급
colspan=2 bgcolor="wheat"|
?
윌리암 마르탱 자크 보드리에 장 르 브레 쥘 발통 F. 마르코트
1t급
colspan=2 bgcolor="wheat"|
?
단일 레이스 종목에서 에밀 미슐레는 오픈 클래스에서 6시간 12분 12초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하는 기염을 토했다. 에밀 사크레는 7시간 4분 8초로 4위를 기록했다. 0~0.5톤 1차 레이스에서는 피에르 제르베가 금메달, 장-밥티스트 샤르코, 로베르 린젤레르, 프랑수아 텍시에, 오귀스트 텍시에가 은메달, 가스통 카이유, 앙리 모노, 레옹 텔리에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0~0.5톤 2차 레이스에서는 에밀 사크레가 금메달, 장-밥티스트 샤르코, 로베르 린젤레르, 프랑수아 텍시에, 오귀스트 텍시에가 은메달, 피에르 제르베가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0.5~1톤 1차 레이스에서는 자크 보드리예, 장 르 브레, 펠릭스 마르코트, 윌리엄 마틴, 쥘 발통이 은메달, 마르셀 메랑, 에밀 미슐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0.5~1톤 2차 레이스에서는 루이 오귀스트-도르뫼이가 금메달, 마르셀 메랑, 에밀 미슐레가 은메달, 자크 보드리예, 장 르 브레, 펠릭스 마르코트, 윌리엄 마틴, 쥘 발통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오귀스트 알베르, 알베르 뒤발, 샤를 위고, 프랑수아 빌라미트야나는 1~2톤 1차 레이스에서 은메달, 1~2톤 2차 레이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자크 보드리예, 뤼시앙 보드리예, 에두아르 망투아, 뒤보스크는 1~2톤 1차 레이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프레데릭 블랑시, 자크 르 라바쇠르, E. 윌리엄 엑쇼는 2~3톤 1, 2차 레이스 모두 금메달을 휩쓰는 압도적인 실력을 과시했다. 자크 두세, 오귀스트 고디네, 앙리 미알레, 레옹 쒸스는 2~3톤 1, 2차 레이스 모두 은메달을 획득했다.
알프레드 뒤부아, 쥘 뒤부아, 모리스 기플레, 로베르 기플레, 샤를 기레는 3~10톤 1차 레이스에서 동메달, 2차 레이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앙리 질라르도니는 3~10톤 1차 레이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레가타 종목에서는 에밀 빌라르, 폴 페르케르가 10~20톤에서 금메달, 장, 데카제 공작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종목
시간
순위
2~3톤 1차 레이스
2:17:30
2:24:48
오귀스트 도니
2:26:31
4
2:20:03
2~3톤 2차 레이스
4:17:34
4:23:57
오귀스트 도니
4:52:13
–
3~10톤 1차 레이스
3:52.02
앙리 질라르도니
3:45.02
르로이
4:01.35
5
윌리엄 마틴
4:18.18
6
에밀 미슐레
3:55.16
4
앙리 맹고
시간 미상
8
시간 미상
9
3~10톤 2차 레이스
4:35:44
르로이
5:08:51
5
윌리엄 마틴
5:30:07
7
에밀 미슐레
–
피에르 무세트
5:16:50
6
올리비에, 브랑도아 백작
20+톤
6:20:58
4
오픈 클래스
–
루이 오귀스트-도르뫼이
–
–
–
–
–
폴 쿠튀르
–
–
장 드 샤반
–
장 드 콩스탕
시간 미상
5
–
드 말라르티크
–
막심 데송슈
–
오귀스트 도니
–
–
–
–
피에르 제르베
–
길라르도니프라
–
알베르 글랑다
–
–
장 르 브레
–
르캥트르
–
레그루
–
르로이
–
앙리 맹고
–
마르셀 메랑
–
6:12:12
마르셀 모아상
–
모리스 모노
–
피에르 무세트
–
G. 피제르
–
로즈벨트
–
포키온 로솔린
–
에밀 사크레
7:04:08
4
–
조르주 와렌호르스트
–
레가타 종목에서 에밀 빌라르, 폴 페르케르가 10~20톤에서 금메달, 장, 데카제 공작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종목
레이스
합계 점수
최종 순위
1
2
3
에밀 빌라르 폴 페르케르
10~20톤
10
9
10
29
장, 데카제 공작
9
8
8
25
조르주 크로니에
4
7
9
20
4
쥘 발통 루셀레
7
5
6
18
6
4. 2. 1. 10t급
순위
기록
순위
기록
순위
길라르도니
10t급
?
1
colspan=2 bgcolor="wheat"|
1
로베르트 귀플레 모리스 귀플레 샤를리 기레스트 A. 뒤보 J. 뒤보
10t급
?
3
colspan=2 bgcolor="wheat"|
3
마르셀 므랑 E. 미셸레
1t급
colspan=2 bgcolor="wheat"|
?
2
2
오귀스트 도르뫼일
1t급
colspan=2 bgcolor="wheat"|
?
1
1
윌리암 마르탱 자크 보드리에 장 르 브레 쥘 발통 F. 마르코트
1t급
colspan=2 bgcolor="wheat"|
?
3
3
4. 2. 2. 1t급
마르셀 므랑, E. 미셸레는 1t급 요트 경기에 참가하여 제2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오귀스트 도르뫼일은 1t급 요트 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윌리암 마르탱, 자크 보드리에, 장 르 브레, 쥘 발통, F. 마르코트는 1t급 요트 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4. 3. [[파일:Shooting pictogram.svg|30px]] 사격
프랑스는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사격 종목에 참가하여 총 10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금메달은 3개에 그쳤다.
남자 20m 속사 권총 경기는 프로 선수들에게 개방되어 상금을 놓고 경쟁했기 때문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올림픽 메달 종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다음은 프랑스 선수들의 세부 종목별 성적이다.
사수
종목
점수
순위
외젠 발메
남자 20m 속사 권총
57
조제프 라베
57
6
모리스 라루이
58
폴 모로
57
4
레옹 모로
57
루이 뒤푸아
남자 50m 자유 권총
442
5
레옹 모로
435
7
모리스 르코크
429
11
아킬 파로슈
466
쥘 트리니테
431
10
남자 50m 자유 권총 단체
2203
오귀스트 카바디니
남자 300m 자유 소총, 입사
278
10
모리스 르코크
268
19
레옹 모로
269
17
아킬 파로슈
265
19
르네 토마
254
24
오귀스트 카바디니
남자 300m 자유 소총, 슬사
286
17
모리스 르코크
271
22
레옹 모로
269
17
아킬 파로슈
287
16
르네 토마
259
27
오귀스트 카바디니
남자 300m 자유 소총, 복사
316
7
모리스 르코크
284
25
레옹 모로
325
4
아킬 파로슈
332
르네 토마
295
19
오귀스트 카바디니
남자 300m 자유 소총, 3자세
880
11
모리스 르코크
823
21
레옹 모로
880
11
아킬 파로슈
887
7
르네 토마
808
26
남자 300m 자유 소총 단체
4278
Ador
남자 트랩
알 수 없음
20
Anjou
알 수 없음
31
아메데 오브리
11
13
모리스 부케
알 수 없음
15
G. Brosselin
알 수 없음
27
쥘 샤르팡티에
12
7
A. Darnis
알 수 없음
28
로제 드 바르바랭
17
세자르 드 베텍스
16
4
쥐스티니앙 드 클라리
17
드 주베르
12
7
드 몽톨롱
알 수 없음
23
드 생 자크
알 수 없음
24
에두아르 제네
13
6
N. 기요
알 수 없음
29
르네 기요 (BEL)
17
Hilaret
15
5
조제프 라베
12
7
가스통 르그랑
알 수 없음
19
앙드레 메르시에
알 수 없음
21
레옹 모로
알 수 없음
16
자크 니비에르
알 수 없음
18
로제 니비에르
알 수 없음
22
피에르 페리에
알 수 없음
26
푸르셰노
알 수 없음
30
레베르댕
알 수 없음
17
시옹
12
7
수카레
알 수 없음
25
선수
종목
결선
기록
순위
루이스 데브라이
러닝게임타겟
20
모리스 포레
비둘기
20
콩트 드 램버트
러닝게임타겟
19
피에르 니베트
러닝게임타겟
20
참조
[1]
웹사이트
sports-reference
https://www.sports-r[...]
2015-09-12
[2]
서적
JO d'été. Tous les médaillés français de 1896 à nos jours
Talent Sport
2023
[3]
서적
JO d'été. Tous les médaillés français de 1896 à nos jours
Talent Sport
2023
[4]
서적
JO d'été. Tous les médaillés français de 1896 à nos jours
Talent Sport
2023
[5]
웹사이트
IOC changes Lloyd Hildebrand's silver medal from Great Britain to France
https://olympics.com[...]
2024-06-13
[6]
웹사이트
Michel THEATO (1878-1919)
http://www.pierrelag[...]
2017-02-18
[7]
웹사이트
IOC changes Lloyd Hildebrand's silver medal from Great Britain to France
https://olympics.com[...]
2024-06-13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