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1912년 하계 올림픽의 다이빙 종목 중 하나이다. 예선전은 1m와 3m 스프링보드를 번갈아 사용하며 진행되었고, 각 선수들은 1m 보드에서 두 가지 다이빙을, 3m 보드에서 세 가지 다이빙을 선보였다. 결승전은 순위 포인트 총합으로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파울 귄터(독일)가 금메달, 한스 루버(독일)가 은메달, 쿠르트 베렌스(독일)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독일은 이 종목에서 메달을 모두 석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2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레인 하이다이빙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레인 하이다이빙은 10m와 5m 플랫폼을 번갈아 사용하며, 예선과 결승을 거쳐 스웨덴의 에리크 아들레르스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12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경기는 10m와 5m 보드를 번갈아 사용했으며, 에릭 아들레르스가 금메달을, 알베르트 취르너가 은메달을, 구스타프 블롬그렌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레인 하이다이빙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플레인 하이다이빙은 10m와 5m 플랫폼을 번갈아 사용하며, 예선과 결승을 거쳐 스웨덴의 에리크 아들레르스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경기는 10m와 5m 보드를 번갈아 사용했으며, 에릭 아들레르스가 금메달을, 알베르트 취르너가 은메달을, 구스타프 블롬그렌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다이빙 남자 스프링보드 - 19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1908년 런던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종목은 화이트 시티 경기장에서 진행되었으며, 알버트 자코비가 금메달, 조지 가빈이 은메달, 헨리 테일러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다이빙 남자 스프링보드 -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경기는 2008년 8월 18일부터 19일까지 베이징 국가수영장에서 진행되었으며, 허(중국)가 금메달, 알렌산드르 데스파티(캐나다)가 은메달, 카이 친(중국)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올림픽 종목 정보 | |
연도 | 1912 |
종류 | 하계 |
종목 | 다이빙 |
세부 종목 | 남자 스프링보드 |
개최 도시 | 스톡홀름 |
경기장 | 스톡홀름 올림픽 스타디움 |
참가국 | 7 |
참가 선수 | 18 |
금메달 | 파울 귄터 |
개최 기간 | 1912년 7월 8일~7월 9일 |
은메달 | 한스 루버 |
동메달 | 쿠르트 베렌스 |
금메달 국가 | GER |
은메달 국가 | GER |
동메달 국가 | GER |
이전 대회 | 1908년 |
다음 대회 | 1920년 |
역대 올림픽 다이빙 |
2. 경기 진행
스프링보드 종목은 3m 보드와 1m 보드를 번갈아 사용하며 진행되었다. 각 선수는 1m 보드에서 러닝 플레인 다이빙과 전방 공중제비 다이빙을, 3m 보드에서 스탠딩 플레인 다이빙과 러닝 플레인 다이빙, 그리고 선수가 선택한 방식의 다이빙 3회를 선보였다. 심사위원단은 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선수에게 '포인트'와 '점수'를 부여했다. 여기서 포인트는 선수 순위를 매긴 것으로, 5인 심사위원의 포인트를 합산하여 총 포인트를 집계했다. '점수'는 현재 다이빙 종목에서 채택하는 채점 방식과 동일했다.
2. 1. 예선전
예선전에서는 각 조마다 '포인트'가 가장 낮은 선수 2명이 결승에 진출하고, 모든 조에서 '점수'가 가장 높은 선수 2명이 추가로 진출하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순위 포인트 자체를 결승 진출의 기준으로 삼지는 않았다.순위 | 선수 | 국가 | 포인트 | 점수 |
---|---|---|---|---|
1 | 쿠르트 베렌스 | 독일 | 6 | 80.14 |
2 | 파울 귄터 | 독일 | 9 | 78.14 |
3 | 아서 매칼리넌 | 미국 | 15 | 68.02 |
4 | 에른스트 브란스텐 | 스웨덴 | 20 | 65.02 |
5 | 스벤 뉠룬드 | 스웨덴 | 28 | 62.60 |
6 | 에스킬 브로드 | 스웨덴 | 29 | 62.60 |
7 | 오스카르 베첼 | 핀란드 | 33 | 58.70 |
욘 얀손(스웨덴)과 알베르트 취르너(독일) 선수가 결승에 진출했다.
순위 | 선수 | 국가 | 포인트 | 점수 |
---|---|---|---|---|
1 | 한스 루버 | 독일 | 6 | 77.50 |
2 | 로버트 지머만 | 캐나다 | 11 | 76.60 |
3 | 조지 가이드지크 | 미국 | 16 | 74.03 |
4 | 허버트 포트 | 영국 | 17 | 73.94 |
5 | 에른프리드 아펠크비스트 | 스웨덴 | 25 | 62.61 |
6 | 악셀 룬스트룀 | 스웨덴 | 30 | 58.42 |
7 | 에리크 셰데르 | 스웨덴 | 35 | 53.56 |
2. 1. 1. 1조
wikitable순위 | 선수 | 국가 | 포인트 | 점수 |
---|---|---|---|---|
1 | 쿠르트 베렌스 | 독일 | 6 | 80.14 |
2 | 파울 귄터 | 독일 | 9 | 78.14 |
3 | 아서 매칼리넌 | 미국 | 15 | 68.02 |
4 | 에른스트 브란스텐 | 스웨덴 | 20 | 65.02 |
5 | 스벤 뉠룬드 | 스웨덴 | 28 | 62.60 |
6 | 에스킬 브로드 | 스웨덴 | 29 | 62.60 |
7 | 오스카르 베첼 | 핀란드 | 33 | 58.70 |
2. 1. 2. 2조
욘 얀손(스웨덴)과 알베르트 취르너(독일) 선수가 결승에 진출했다.
2. 1. 3. 3조
wikitable순위 | 선수 | 국가 | 포인트 | 점수 |
---|---|---|---|---|
1 | 한스 루버 | 6 | 77.50 | |
2 | 로버트 지머만 | 11 | 76.60 | |
3 | 조지 가이드지크 | 16 | 74.03 | |
4 | 허버트 포트 | 17 | 73.94 | |
5 | 에른프리드 아펠크비스트 | 25 | 62.61 | |
6 | 악셀 룬스트룀 | 30 | 58.42 | |
7 | 에리크 셰데르 | 35 | 53.56 |
2. 2. 결승전
결승전에서는 순위 포인트 총합을 기준으로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으며, 다이빙 점수는 동점자 순위 결정에만 사용되었다.순위 | 선수 | 국가 | 포인트 | 점수 |
---|---|---|---|---|
파울 귄터 | 독일 | 6 | 79.23 | |
한스 루버 | 독일 | 9 | 76.78 | |
쿠르트 베렌스 | 독일 | 22 | 73.73 | |
4 | 알베르트 취르너 | 독일 | 23 | 73.33 |
5 | 로버트 지머만 | 캐나다 | 24 | 72.54 |
6 | 허버트 포트 | 영국 | 28 | 71.45 |
7 | 욘 얀손 | 스웨덴 | 32 | 69.64 |
8 | 조지 가이드지크 | 미국 | 36 | 68.01 |
독일은 이 종목에서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을 모두 획득하여, 메달을 석권하였다.
3. 메달리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