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공화당이 216석, 민주당이 214석을 얻어 공화당이 다수당이 되었지만, 과반수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진보당은 3석, 사회당은 1석, 금주당은 1석을 얻었다. 이 선거는 몬태나주에서 재닛 랭킨이 미국 최초의 여성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는 등 사회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선거 - 1916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916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제65대 미국 의회 구성을 위해 치러진 선거로, 민주당이 다수당을 유지했으나 일부 주에서 정당 간 의석 변동이 있었다.
  • 1916년 선거 - 19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제1차 세계 대전 중 실시된 19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우드로 윌슨은 공화당의 찰스 에반스 휴즈와의 접전 끝에 재선에 성공했으며, 당시 선거는 멕시코 내전과 제1차 세계 대전이라는 국제적 배경 속에서 윌슨의 불간섭주의 외교 정책과 휴즈의 전쟁 대비 주장이 주요 쟁점이 되었다.
  • 1916년 미국 - 존스 법
    존스 법은 1916년 미국 의회를 통과한 법률로, 필리핀에 자치 정부를 수립하고 양원제 입법부를 창설하여 필리핀 독립의 토대를 마련했다.
  • 1916년 미국 - 1916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916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제65대 미국 의회 구성을 위해 치러진 선거로, 민주당이 다수당을 유지했으나 일부 주에서 정당 간 의석 변동이 있었다.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선거 정보
선거 이름1916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국가미국
국기 연도1912년
유형입법부
진행 여부아니오
이전 선거1914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14년
다음 선거1918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18년
선출 의석 수435석 (미국 미국 하원)
과반 의석 수218석
선거 날짜1916년 11월 7일
1916년 미국 하원 지도
선거 결과
지도 크기320px
지도 설명결과: 민주당 유지 민주당 획득 공화당 유지 공화당 획득 진보당 유지 진보당 획득 금주법 지지 유지 사회주의 유지
정당별 결과
정당 1미국 공화당
제임스 로버트 만
제임스 로버트 만
지도자 1제임스 만
지도자 취임일 11911년 3월 4일
지도자 선거구 1일리노이 제2선거구
지난 선거 결과 1196석
의석 1215
의석 변동 119
득표수 18,052,247
득표율 148.09%
변동 15.47%
정당 2미국 민주당
챔프 클라크
챔프 클라크
지도자 2챔프 클라크
지도자 취임일 21909년 3월 4일
지도자 선거구 2미주리 제9선거구
지난 선거 결과 2230석
의석 2214
의석 변동 216
득표수 27,641,274
득표율 245.64%
변동 23.68%
정당 4진보당
지난 선거 결과 46석
의석 43석
의석 변동 43
득표수 4131,103
득표율 40.78%
변동 47.22%
정당 5미국 사회당
지난 선거 결과 51석
의석 51석
득표수 5604,304
득표율 53.61%
변동 50.93%
정당 7금주당
지난 선거 결과 71석
의석 71석
득표수 7248,451
득표율 71.48%
변동 70.20%
정당 8독립 (미국)
지난 선거 결과 81석
의석 81
득표수 865,586
득표율 80.39%
변동 80.16%
의장
선거 전챔프 클라크
선거 전 정당미국 민주당
선거 후챔프 클라크
선거 후 정당미국 민주당

2. 주요 정당별 결과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주요 정당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정당별 의석수
정당의석수변동
공화당216석19
민주당214석16
진보당3석2
사회당1석
금지당1석1
합계435석



공화당은 216석을 얻어 원내 제1당이 되었지만, 과반 확보에는 실패했다. 민주당은 214석으로 제2당이 되었으나, 진보당(3석), 사회당(1석)과 연합하여 원내 과반을 확보함으로써 하원 운영권을 유지했다.

2. 1. 민주당 (미국)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214석을 얻어, 216석을 얻은 공화당에 이어 제2당이 되었다. 민주당은 이전 선거에 비해 16석을 잃었지만, 진보당 3석, 사회당 1석과 연합하여 과반수를 확보, 하원을 장악했다.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정당별 의석수
정당의석수변동
공화당216석19
민주당214석16
진보당3석2
사회당1석
금지당1석1
합계435석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주별 민주당 의석 변동
총 의석민주당 의석변동
앨라배마1010
애리조나11
아칸소77
캘리포니아1141
콜로라도43
코네티컷511
델라웨어111
플로리다44
조지아1212
아이다호20
일리노이2764
인디애나1347
아이오와1101
캔자스851
켄터키119
루이지애나871
메인401
메릴랜드641
매사추세츠164
미시간1311
미네소타101
미시시피88
미주리1614
몬태나211
네브래스카63
네바다10
뉴햄프셔202
뉴저지1231
뉴멕시코111
뉴욕43163
노스캐롤라이나10101
노스다코타30
오하이오22134
오클라호마861
오리건30
펜실베이니아366
로드아일랜드31
사우스캐롤라이나77
사우스다코타31
테네시108
텍사스1818
유타221
버몬트20
버지니아109
워싱턴511
웨스트버지니아621
위스콘신1103
와이오밍10



민주당은 남부 주에서 강세를 유지했지만, 북부와 서부 주에서는 의석을 잃었다.

2. 2. 공화당 (미국)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은 216석을 획득하여, 전체 435석 중 49.7%를 차지했다. 이는 이전 선거에 비해 19석 증가한 수치이다.

정당의석수의석 비율변동
공화당21649.7%19



공화당은 캘리포니아, 코네티컷, 델라웨어, 일리노이, 인디애나, 아이오와, 캔자스, 메인, 메릴랜드, 미시간, 미네소타, 몬태나, 뉴햄프셔, 뉴저지, 뉴욕, 오클라호마, 워싱턴, 웨스트버지니아, 위스콘신 주에서 의석을 늘렸다. 특히 일리노이(5석 증가), 인디애나(7석 증가), 뉴욕(4석 증가)에서 큰 폭으로 의석이 증가했다. 그러나 오하이오 주에서는 4석을 잃었다.

2. 3. 진보당 (미국)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진보당은 3석을 얻어, 이전 선거에 비해 2석 감소하였다. 이는 진보당의 쇠퇴를 보여주는 결과였다.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의 진보당 의석 변화
의석 수변동
캘리포니아11
일리노이01
루이지애나11
미네소타01
뉴욕01
펜실베이니아11
워싱턴02
합계32


2. 4. 사회당 (미국)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사회당은 3.6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석을 획득했다. 이는 뉴욕에서 당선된 것으로, 사회당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2. 5. 기타 정당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진보당은 3석, 금주당은 1석, 사회당은 1석을 각각 획득하였다.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기타 정당 결과
정당의석 수변동
진보당32
금주당11
사회당1


3. 주요 선거구별 결과

의석민주당진보당공화당기타의석변동의석변동의석변동의석변동앨라배마선거구1010000애리조나전원11000아칸소선거구77000캘리포니아선거구114111511[5]1콜로라도선거구43010코네티컷선거구5110410델라웨어전원1110010플로리다선거구44000조지아선거구1212000아이다호전원20020일리노이선거구
+2 전원2764012150인디애나선거구13470970아이오와선거구110101110캔자스선거구8510310켄터키선거구119020루이지애나선거구8711100메인선거구4010410메릴랜드선거구6410210매사추세츠선거구1640120미시간선거구131101210미네소타선거구10101910미시시피선거구88000미주리선거구1614020몬태나전원2110110네브래스카선거구63030네바다전원10010뉴햄프셔선거구2020220뉴저지선거구12310910뉴멕시코전원1110010뉴욕선거구43163012641[4]노스캐롤라이나선거구101010010노스다코타선거구30030오하이오선거구221340940오클라호마선거구8610210오리건선거구30030펜실베이니아선거구
+4 전원366112910로드아일랜드선거구31020사우스캐롤라이나선거구77000사우스다코타선거구31020테네시선거구108020텍사스선거구
+2 전원1818000유타선거구2210010버몬트선거구20020버지니아선거구109010워싱턴선거구51102410웨스트버지니아선거구6210410위스콘신선거구110301130와이오밍전원10010합계4352141632216192[4]1



3. 1. 앨라배마

선거구후보정당초선 연도결과득표
제1선거구오스카 L. 그레이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제2선거구S. 허버트 덴트 주니어민주당1908년현직 재선
제3선거구헨리 B. 스티갈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제4선거구프레드 L. 블랙몬민주당1910년현직 재선
제5선거구J. 토마스 헤플린민주당1904년 (특별)현직 재선
제6선거구윌리엄 B. 올리버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제7선거구존 L. 버넷민주당1898년현직 재선
제8선거구에드워드 B. 알몬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제9선거구조지 허들스턴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제10선거구없음민주당신설 선거구민주당 획득

[4]

3. 2. 애리조나

1911년부터 애리조나주 연방 하원의원을 역임한 칼 헤이든이 재선에 성공했다.

1916년 애리조나주 연방 하원의원 선거 결과[4]
후보정당득표율
칼 헤이든민주당60.40%
토머스 매독공화당37.90%
피터 로버트슨사회당1.70%


3. 3. 아칸소

선거구후보정당선거비고득표
제1선거구타데우스 H. 카라웨이민주당1912년현직 재선.100.0%
제2선거구윌리엄 A. 올드필드민주당1908년현직 재선.73.55%
제3선거구존 N. 틸만민주당1914년현직 재선.62.37%
제4선거구오티스 윙고민주당1912년현직 재선.100.0%
제5선거구헨더슨 M. 재코웨이민주당1910년현직 재선.74.24%
제6선거구새뮤얼 M. 테일러민주당1913년현직 재선.100.0%
제7선거구윌리엄 S. 굿윈민주당1910년현직 재선.71.91%

[4]

3. 4. 캘리포니아

1916년 캘리포니아주 연방 하원의원 선거 결과[5]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비고
제1선거구클래런스 F. 리민주당48.8당선, 민주당 획득
제2선거구존 E. 레이커민주당71.0당선
제3선거구찰스 F. 커리공화당66.7당선
제4선거구줄리어스 칸공화당77.2당선
제5선거구존 I. 놀란공화당84.7당선
제6선거구존 A. 엘스턴진보당64.6당선
제7선거구덴버 S. 처치민주당51.0당선
제8선거구에버리스 A. 헤이스공화당68.6당선
제9선거구찰스 H. 랜드금주당57.8당선
제10선거구윌리엄 스테판스 (진보당) 사임으로 공석, 후임 미선출헨리 Z. 오스본 (공화당): 49.5
제11선거구윌리엄 케트너민주당44.5당선


3. 5. 콜로라도

선거구후보정당득표율
제1선거구벤자민 C. 힐리어드민주당
제2선거구찰스 B. 팀벌레이크공화당
제3선거구에드워드 키팅민주당
제4선거구에드워드 T. 테일러민주당

[6]

3. 6. 코네티컷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당선 여부
제1선거구오거스틴 로너건민주당49.58%당선
제1선거구피터 D. 오클리공화당46.17%낙선
제1선거구존 M. 클라인사회당2.53%낙선
제1선거구찰스 J. 팬처금주당1.37%낙선
제1선거구프레데릭 펠러먼사회노동당0.35%낙선
제2선거구리처드 P. 프리먼공화당52.75%당선
제2선거구대니얼 P. 던민주당44.55%낙선
제2선거구앨버트 보드먼사회당1.55%낙선
제2선거구프레데릭 L. 홀금주당0.94%낙선
제2선거구찰스 H. 펑크사회노동당0.22%낙선
제3선거구존 Q. 틸슨공화당48.52%당선
제3선거구토머스 L. 라일리민주당47.15%낙선
제3선거구윌리엄 E. 화이트사회당3.30%낙선
제3선거구에드윈 비어즐리금주당0.68%낙선
제3선거구존 P. 존슨사회노동당0.36%낙선
제4선거구에비니저 J. 힐공화당53.79%당선
제4선거구예레미야 도노반민주당42.96%낙선
제4선거구조지 모팻사회당2.37%낙선
제4선거구알프레드 P. 엥스트롬금주당0.61%낙선
제4선거구에드워드 프라이어사회노동당0.27%낙선
제5선거구제임스 P. 글린공화당49.79%당선
제5선거구윌리엄 케네디민주당46.97%낙선
제5선거구마이클 콘튼사회당2.52%낙선
제5선거구조셉 B. 리드금주당0.61%낙선
제5선거구호칸 라르손사회노동당0.22%낙선



1916년 코네티컷주에서는 5명의 하원의원을 선출했다. 1선거구에서는 현직 의원이었던 공화당의 P. 데이비스 오키가 낙선하고, 민주당의 오거스틴 로너건이 당선되었다. 나머지 2, 3, 4, 5선거구에서는 모두 공화당 현직 의원들이 재선에 성공했다.[1]

3. 7. 델라웨어

후보정당득표율
앨버트 F. 폴크민주당47.64%
토머스 W. 밀러공화당47.26%
에드워드 G. 브래드퍼드진보당4.16%
프레더릭 K. 밀러사회당0.95%

[4]

3. 8. 플로리다

민주당 유지.플로리다 2프랭크 클라크민주당1904재선.플로리다 3에메트 윌슨민주당1912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플로리다 4윌리엄 J. 시어스민주당1914재선.

[4]

3. 9. 조지아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조지아주)[4]
선거구후보자정당초선 연도결과
조지아 1찰스 G. 에드워즈민주당1906년은퇴, 민주당 유지
제임스 W. 오버스트리트 당선
조지아 2프랭크 파크민주당1913년재선
조지아 3찰스 R. 크리스프민주당1912년재선
조지아 4윌리엄 C. 아담슨민주당1896년재선
조지아 5윌리엄 S. 하워드민주당1910년재선
조지아 6제임스 W. 와이즈민주당1914년재선
조지아 7고든 리민주당1904년재선
조지아 8사무엘 J. 트리블민주당1910년재선
조지아 9토마스 M. 벨민주당1904년재선
조지아 10칼 빈슨민주당1914년재선
조지아 11존 R. 워커민주당1912년재선
조지아 12윌리엄 W. 라슨민주당1916년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윌리엄 W. 라슨 당선


3. 10. 아이다호

At-large|앳 라지영어로 2석로버트 M. 매크라켄공화당1914년현직 재지명 실패.
공화당 유지.[4]애디슨 T. 스미스공화당1912년현직 재선.


3. 11. 일리노이

선거구의원정당최초 당선결과후보
1구마틴 B. 매든공화당1904년재선
2구제임스 R. 만공화당1896년재선
3구윌리엄 W. 윌슨공화당1914년재선
4구제임스 T. 맥더멋민주당1906년은퇴
5구아돌프 J. 사바스민주당1906년재선
6구제임스 맥앤드류민주당1912년재선
7구프랭크 부캐넌민주당1910년낙선
8구토머스 갤러거민주당1908년재선
9구프레더릭 A. 브리튼공화당1912년재선
10구조지 E. 포스공화당1914년재선
11구아이라 C. 코플리공화당1910년재선
12구찰스 유진 풀러공화당1914년재선
13구존 C. 맥켄지공화당1910년재선
14구클라이드 H. 테베너민주당1912년낙선
15구에드워드 존 킹공화당1914년재선
16구클로드 U. 스톤민주당1910년낙선
17구존 A. 스털링공화당1914년재선
18구조지프 G. 캐넌공화당1914년재선
19구윌리엄 B. 매킨리공화당1914년재선
20구헨리 T. 레이니민주당1902년재선
21구로렌 E. 휠러공화당1914년재선
22구윌리엄 A. 로덴버그공화당1914년재선
23구마틴 D. 포스터민주당1906년재선
24구토머스 서틀러 윌리엄스공화당1914년재선
25구에드워드 E. 데니슨공화당1914년재선
광역구버넷 M. 치퍼필드공화당1914년은퇴rowspan="2" |
윌리엄 E. 윌리엄스민주당1912년낙선


3. 12. 인디애나

인디애나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 년도결과당선자
인디애나 1찰스 리브민주당1912년은퇴.
민주당 유지.
조지 K. 덴턴 (민주당)
인디애나 2윌리엄 A. 컬롭민주당1908년낙선.
공화당 획득.
오스카 E. 블랜드 (공화당)
인디애나 3윌리엄 E. 콕스민주당1906년재선.윌리엄 E. 콕스 (민주당)
인디애나 4링컨 딕슨민주당1904년재선.링컨 딕슨 (민주당)
인디애나 5랄프 W. 모스민주당1908년낙선.
공화당 획득.
에버렛 샌더스 (공화당)
인디애나 6핀리 H. 그레이민주당1910년낙선.
공화당 획득.
다니엘 W. 콤스톡 (공화당)
인디애나 7메릴 무어스공화당1914년재선.메릴 무어스 (공화당)
인디애나 8존 A. M. 에데어민주당1906년인디애나 주지사 출마를 위해 은퇴.
공화당 획득.
앨버트 H. 베스탈 (공화당)
인디애나 9마틴 A. 모리슨민주당1908년은퇴.
공화당 획득.
프레드 S. 퍼넬 (공화당)
인디애나 10윌리엄 R. 우드공화당1914년재선.윌리엄 R. 우드 (공화당)
인디애나 11조지 W. 라우흐민주당1906년낙선.
공화당 획득.
밀턴 크라우스 (공화당)
인디애나 12사이러스 클라인민주당1908년낙선.
공화당 획득.
루이스 W. 페어필드 (공화당)
인디애나 13헨리 A. 반하트민주당1908년재선.헨리 A. 반하트 (민주당)

[4]

3. 13. 아이오와

공화당 승리

[4]

3. 14. 캔자스

공화당 획득캔자스 3구필립 P. 캠벨공화당1902년재선 성공캔자스 4구더들리 둘리틀민주당1912년재선 성공캔자스 5구가이 T. 헬버링민주당1912년재선 성공캔자스 6구존 R. 코넬리민주당1912년재선 성공캔자스 7구조에트 쇼즈민주당1914년재선 성공캔자스 8구윌리엄 A. 에어스민주당1914년재선 성공

[4]

3. 15. 켄터키

선거구후보정당득표율비고
제1선거구앨번 W. 바클리민주당현직 재선
제2선거구데이비드 H. 킨첼로민주당현직 재선
제3선거구로버트 Y. 토마스 주니어민주당현직 재선
제4선거구벤 존슨민주당현직 재선
제5선거구J. 스와거 셔리민주당현직 재선
제6선거구아서 B. 라우스민주당현직 재선
제7선거구J. 캠벨 칸트릴민주당현직 재선
제8선거구하비 헬름민주당현직 재선
제9선거구윌리엄 J. 필즈민주당현직 재선
제10선거구존 W. 랭리공화당현직 재선
제11선거구케일럽 파워스공화당현직 재선

[4]

3. 16. 루이지애나

선거구후보자정당당선 년도비고
1구앨버트 에스토피날민주당1908년현직 재선[4]
2구H. 가랜드 뒤프레민주당1910년현직 재선[4]
3구휘트멜 P. 마틴진보당1914년현직 재선[4]
4구존 T. 왓킨스민주당1904년현직 재선[4]
5구라일리 J. 윌슨민주당1914년현직 재선[4]
6구루이스 L. 모건민주당1912년현직 재선[4]
7구래디슬라스 라자로민주당1912년현직 재선[4]
8구제임스 벤자민 애스웰민주당1912년현직 재선[4]


3. 17. 메인

메인은 1916년 9월 11일에 조기 선거를 실시했다. 이전에도 더 일찍 선거를 치른 주가 여러 곳 있었지만, 1914년과 1958년 사이에는 메인주가 유일하게 조기 선거를 실시했다.[4]

3. 18. 메릴랜드

3. 19. 매사추세츠

매사추세츠
선거구후보자정당초선 연도결과득표율
제1선거구앨런 T. 트레드웨이공화당1912년재선
제2선거구프레데릭 H. 질레트공화당1892년재선
제3선거구캘빈 페이지공화당1914년재선
제4선거구사무엘 윈슬로우공화당1912년재선
제5선거구존 제이콥 로저스공화당1912년재선
제6선거구어거스터스 P. 가드너공화당1902년재선
제7선거구마이클 프랜시스 펠란민주당1912년재선
제8선거구프레데릭 W. 댈린저공화당1914년재선
제9선거구어니스트 W. 로버츠공화당1912년재선 실패[4]
제10선거구피터 테이그민주당1914년재선
제11선거구조지 H. 팅컴공화당1914년재선
제12선거구제임스 A. 갤리반민주당1914년재선
제13선거구윌리엄 헨리 카터공화당1914년재선
제14선거구리처드 올니 2세민주당1914년재선
제15선거구윌리엄 S. 그린공화당1898년재선
제16선거구조지프 월시공화당1914년재선


3. 20. 미시간

wikitext

[4]

3. 21. 미네소타

후보정당득표율비고
시드니 앤더슨공화당65.5%현직 재선
헨리 M. 램버턴민주당34.5%
프랭클린 엘스워스공화당100%현직 재선
찰스 R. 데이비스공화당71.1%현직 재선
에드워드 F. 켈리민주당28.9%
칼 반 다이크민주당61.2%현직 재선
다리우스 F. 리스공화당30.6%
헤르몬 필립스사회당4.8%
히얄마르 O. 페테르센금주당1.7%
어니스트 룬딘공화당42.4%조지 R. 스미스 의원 재지명 실패, 공화당 유지
매디슨 C. 바울러민주당26.3%
토머스 라티머사회당16.7%
아서 L. 마르크베금주당14.6%
해롤드 너트슨공화당56.8%찰스 A. 린드버그 의원 상원의원 출마, 공화당 유지
윌리엄 F. 도노휴민주당35.7%
존 너트슨금주당7.5%
앤드루 볼스테드공화당53.5%현직 재선
엥게브레트 E. 로벡금주당30.1%
어브 타운젠드민주당16.4%
클래런스 B. 밀러공화당51.6%현직 재선
줄스 J. 앤더슨사회당26.3%
버트 N. 휠러금주당22.1%
할보르 스테네르손공화당66.8%현직 재선
칼 스완슨민주당21.8%
티모시 A. 톰슨사회당11.4%
토머스 D. 셜진보당45.0%현직 재선, 이후 공화당 합류, 공화당 획득
로웰 E. 젭슨공화당30.1%
닐 크로닌민주당16.3%
존 가브리엘 솔티스사회당8.6%


3. 22. 미시시피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미시시피)
후보자선거구정당지난 선거결과득표
이제키엘 S. 캔들러 주니어제1선거구민주당1900년현직 재선[8]100%
허버트 D. 스티븐스제2선거구민주당1910년현직 재선[9]97.56%
벤자민 G. 험프리 2세제3선거구민주당1902년현직 재선[10]100%
토마스 U. 시슨제4선거구민주당1908년현직 재선[11]100%
윌리엄 W. 베너블제5선거구민주당1916년 (특별)현직 재선[12]94.62%
팻 해리슨제6선거구민주당1910년현직 재선[13]94.65%
퍼시 퀸제7선거구민주당1912년현직 재선[14]100%
제임스 콜리어제8선거구민주당1908년현직 재선[15]97.56%


3. 23. 미주리

선거구후보자정당초선 연도결과득표
제1구밀턴 A. 롬주민주당1897년 (특별)민주당 유지* 밀턴 A. 롬주 (민주당) 54.38%
* 에드워드 S. 브라운 (공화당) 44.20%
* M. L. 퍼거슨 (사회당) 1.42%
제2구윌리엄 W. 러커민주당1898년현역 재선* 윌리엄 W. 러커 (민주당) 57.72%
* O. A. 피켓 (공화당) 41.47%
* 에드윈 A. 힐 (사회당) 0.82%
제3구조슈아 W. 알렉산더민주당1906년현역 재선* 조슈아 W. 알렉산더 (민주당) 54.22%
* 레비 T. 몰턴 (공화당) 44.49%
* 줄리어스 C. 휴즈 (금주당) 0.75%
* 조지 밀러 (사회당) 0.55%
제4구찰스 F. 부허민주당1906년현역 재선* 찰스 F. 부허 (민주당) 53.58%
* 제이콥 가이거 (공화당) 45.06%
* 조셉 쿤젤만 (사회당) 0.84%
* A. B. 레이 (금주당) 0.51%
제5구윌리엄 P. 볼랜드민주당1908년현역 재선* 윌리엄 P. 볼랜드 (민주당) 58.68%
* 아이작 B. 킴브렐 (공화당) 39.86%
* 에드워드 D. 윌콕스 (사회당) 1.35%
* 칼 오버호 (사회노동당) 0.11%
제6구클레멘트 C. 디킨슨민주당1910년 (특별)현역 재선* 클레멘트 C. 디킨슨 (민주당) 54.20%
* R. O. 크로포드 (공화당) 45.81%
제7구코트니 W. 햄린민주당1906년현역 재선* 코트니 W. 햄린 (민주당) 50.47%
* 셔먼 P. 휴스턴 (공화당) 48.94%
* 사무엘 H. 맥엘바인 (금주당) 0.59%
제8구도르시 W. 섀클퍼드민주당1899년 (특별)현역 재선* 도르시 W. 섀클퍼드 (민주당) 51.99%
* 노스 토드 젠트리 (공화당) 48.02%

[4]

3. 24. 몬태나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당선 여부
민주당존 M. 에반스재선 성공
톰 스타우트낙선 (은퇴)
공화당재닛 랭킨당선
조지 W. 파낙선
사회당존 맥거피낙선
앨버트 F. 메이스너낙선



이 선거는 몬태나주가 1992년 1992년에 하원 의석이 1석으로 줄어들 때까지 광역 선거구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선거였다. 또한, 공화당의 재닛 랭킨이 당선되어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하원의원이 된 선거이기도 하다.

3. 25. 네브래스카

선거구후보자정당첫 당선결과득표율
네브래스카 1구C. 프랭크 레비스공화당1914년현직 재선
네브래스카 2구찰스 O. 로벡민주당1910년현직 재선
네브래스카 3구댄 V. 스티븐스민주당1911년 (특별)현직 재선
네브래스카 4구찰스 H. 슬론공화당1910년현직 재선
네브래스카 5구애슈턴 C. 샐렌버거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네브래스카 6구모제스 킨케이드공화당1902년현직 재선

[4]

3. 26. 네바다

에드윈 E. 로버츠 의원이 1910년 선거에서 당선된 이후 재선되었다.[4]

정당후보득표율
공화당에드윈 E. 로버츠43.6%
민주당에드윈 E. 케인40.5%
사회노동당마틴 J. 스캔런15.9%


3. 27. 뉴햄프셔

후보정당이전 선거결과
사이러스 A. 설로웨이공화당1914현직 재선
에드워드 힐스 웨이슨공화당1914현직 재선

[4]

3. 28. 뉴저지

wikitext

뉴저지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4]
선거구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1구
2구
3구
4구
5구
6구
7구
8구
9구
10구
11구
12구


3. 29. 뉴멕시코

베니그노 C. 에르난데스 의원이 재선에 실패했다.

1916년 뉴멕시코주 연방 하원의원 선거 결과[4]
정당득표율
민주당48.88%
공화당48.05%
사회당3.07%



'''윌리엄 B. 월턴'''(민주당)이 당선되었다.

3. 30. 뉴욕

선거구후보정당득표율 (%)비고
뉴욕 1프레데릭 C. 힉스공화당63.2현직 재선
뉴욕 2C. 포프 콜드웰민주당51.83현직 재선
뉴욕 3조셉 V. 플린민주당49.3현직 재선
뉴욕 4해리 H. 데일민주당48.18현직 재선
뉴욕 5제임스 P. 메이허민주당49.91현직 재선
뉴욕 6프레데릭 W. 로위공화당60.7현직 재선
뉴욕 7존 J. 피츠제럴드민주당63.47현직 재선
뉴욕 8다니엘 J. 그리핀민주당60.74현직 재선
뉴욕 9오스카 W. 스위프트공화당57현직 재선
뉴욕 10루벤 L. 해스켈공화당45.02현직 재선
뉴욕 11다니엘 J. 리오던민주당56.21현직 재선
뉴욕 12마이어 런던사회당47.42현직 재선
뉴욕 13크리스토퍼 D. 설리반민주당48.11현직 사퇴, 민주당 유지
뉴욕 14피오렐로 라 과디아공화당43.28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뉴욕 15마이클 F. 콘리민주당59.88현직 재선
뉴욕 16피터 J. 둘링민주당51.73현직 재선
뉴욕 17존 F. 카루민주당51.16현직 재선
뉴욕 18조지 B. 프란시스공화당46.06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뉴욕 19월터 M. 챈들러공화당54.8공화당 후보로 현직 재선, 공화당 획득
뉴욕 20아이작 시겔공화당36.11현직 재선
뉴욕 21G. 머레이 헐버트민주당53.13현직 재선
뉴욕 22헨리 브럭너민주당63.54현직 재선
뉴욕 23다니엘 C. 올리버민주당46.87현직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뉴욕 24벤자민 L. 페어차일드공화당53.72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뉴욕 25제임스 W. 허스테드공화당59.48현직 재선
뉴욕 26에드먼드 플랫공화당54.18현직 재선
뉴욕 27찰스 B. 워드공화당56.43현직 재선
뉴욕 28롤린 B. 샌퍼드공화당55.49현직 재선
뉴욕 29제임스 S. 파커공화당84.99현직 재선
뉴욕 30조지 R. 런민주당47.06현직 사퇴, 민주당 획득
뉴욕 31버트런드 스넬공화당67.22현직 재선
뉴욕 32루터 W. 모트공화당62.68현직 재선
뉴욕 33호머 P. 스나이더공화당55.58현직 재선
뉴욕 34조지 W. 페어차일드공화당58.69현직 재선
뉴욕 35월터 W. 매기공화당60.9현직 재선
뉴욕 36노먼 J. 굴드공화당62.32현직 재선
뉴욕 37해리 H. 프랫공화당49.91현직 재선
뉴욕 38토마스 B. 던공화당?현직 재선


3. 31. 노스캐롤라이나

후보자정당첫 당선결과
존 H. 스몰민주당1898현직 재선.
클로드 키친민주당1900현직 재선.
조지 E. 후드민주당1914현직 재선.
에드워드 W. 포민주당1900현직 재선.
찰스 맨리 스테드먼민주당1910현직 재선.
한니발 L. 고드윈민주당1906현직 재선.
로버트 N. 페이지민주당1902현직 은퇴.
민주당 유지.
로버트 L. 도턴민주당1910현직 재선.
에드윈 Y. 웹민주당1902현직 재선.
제임스 제퍼슨 브리트공화당1914현직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4]

3. 32. 노스다코타

결과
헨리 T. 헬게센공화당1910[4]
조지 M. 영공화당1912[4]
패트릭 노턴공화당1912[4]


3. 33. 오하이오

wikitext

[4]


3. 34. 오클라호마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당선자
제1선거구제임스 S. 데이븐포트민주당1910년현직 의원 재선 실패.
공화당 획득.
토머스 A. 챈들러 (공화당)
제2선거구윌리엄 W. 헤이스팅스민주당1914년현직 재선윌리엄 W. 헤이스팅스 (민주당)
제3선거구찰스 D. 카터민주당1907년현직 재선찰스 D. 카터 (민주당)
제4선거구윌리엄 H. 머리민주당1912년현직 의원 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톰 D. 매키언 (민주당)
제5선거구조지프 B. 톰슨민주당1912년현직 재선조지프 B. 톰슨 (민주당)
제6선거구스콧 페리스민주당1907년현직 재선스콧 페리스 (민주당)
제7선거구제임스 V. 매클린틱민주당1914년현직 재선제임스 V. 매클린틱 (민주당)
제8선거구딕 T. 모건공화당1908년현직 재선딕 T. 모건 (공화당)

[4]

3. 35. 오리건

1916년 미국 하원 선거[4]
후보자정당선거 결과비고결과
윌리스 C. 호울리공화당1906년현직 재선
니콜라스 J. 시노트공화당1912년현직 재선
클리프턴 N. 맥아더공화당1914년현직 재선



오리건주 출신 미국 하원 의원 목록도 참조.

3. 36. 펜실베이니아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펜실베이니아주) 결과[4]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비고
펜실베이니아 1구윌리엄 스콧 베어공화당71.68%현직 재선
William Scott Vare|윌리엄 스콧 베어영어 (공화당) 71.68%
로렌스 E. 맥크로신 (민주당) 26.33%
존 L. 실비 (사회당) 1.99%
펜실베이니아 2구조지 S. 그레이엄공화당75.97%현직 재선
George S. Graham|조지 S. 그레이엄영어 (공화당) 75.97%
토머스 E. 셰이 (민주당) 22.60%
해리 A. 골드버그 (사회당) 1.43%
펜실베이니아 3구J. 햄튼 무어공화당73.59%현직 재선
J. Hampton Moore|J. 햄튼 무어영어 (공화당) 73.59%
조셉 하거티 (민주당) 23.58%
에마누엘 클라인 (사회당) 1.55%
아브라함 L. 와인스톡 (진보당) 1.28%
펜실베이니아 4구조지 W. 에드먼즈공화당68.17%현직 재선
George W. Edmonds|조지 W. 에드먼즈영어 (공화당) 68.17%
패트릭 H. 린치 (민주당) 28.97%
제이콥 H. 루트 (사회당) 2.36%
존 스테이 (금주당) 0.50%
펜실베이니아 5구피터 E. 코스텔로공화당59.32%현직 재선
Peter E. Costello|피터 E. 코스텔로영어 (공화당) 59.32%
마이클 도노호 (민주당) 34.12%
클래런스 O. 프랫 (금주당) 4.46%
존 N. 랜드버그 (사회당) 2.04%
올리버 윙거트 (단일세당) 0.05%
펜실베이니아 6구조지 P. 다로우공화당67.59%현직 재선
George P. Darrow|조지 P. 다로우영어 (공화당) 67.59%
J. 워싱턴 로그 (민주당) 30.86%
로버트 A. 메이스 (사회당) 1.55%
펜실베이니아 7구토머스 S. 버틀러공화당62.99%현직 재선
Thomas S. Butler|토머스 S. 버틀러영어 (공화당) 62.99%
에드워드 B. 캐서트 (민주당) 34.12%
조셉 H. 패스칼 (금주당) 1.92%
월터 N. 로지 (사회당) 0.97%
펜실베이니아 8구헨리 윈필드 왓슨공화당56.99%현직 재선
Henry Winfield Watson|헨리 윈필드 왓슨영어 (공화당) 56.99%
조셉 히콕 (민주당) 39.96%
프랭크 R. 화이트사이드 (사회당) 1.88%
찰스 N. 람보 (금주당) 0.92%
제임스 H. 딕스 (단일세당) 0.25%
펜실베이니아 9구윌리엄 W. 그리스트공화당64.19%현직 재선
William W. Griest|윌리엄 W. 그리스트영어 (공화당) 64.19%
헨리 F. 마이어스 (민주당) 30.42%
S. S. 와츠 (금주당) 3.57%
E. W. 스토너 (사회당) 1.82%
펜실베이니아 10구존 R. 파공화당53.05%현직 재선
John R. Farr|존 R. 파영어 (공화당) 53.05%
빅터 벌셸 (민주당) 43.74%
자일스 클라크 (금주당) 1.80%
리 B. 우드콕 (사회당) 1.41%
펜실베이니아 11구존 J. 케이시민주당42.30%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토머스 W. 템플턴 당선.
Thomas W. Templeton|토머스 W. 템플턴영어 (공화당) 53.44%
John J. Casey|존 J. 케이시영어 (민주당) 42.30%
얼 W. 휴스테드 (사회당) 2.39%
조나단 R. 데이비스 (금주당) 1.86%
펜실베이니아 12구로버트 D. 히턴공화당61.06%현직 재선
Robert D. Heaton|로버트 D. 히턴영어 (공화당) 61.06%
로버트 에메트 리 (민주당) 36.12%
W. J. 맥도널드 (사회당) 2.83%
펜실베이니아 13구아서 G. 드월트민주당49.86%현직 재선
Arthur G. Dewalt|아서 G. 드월트영어 (민주당) 49.86%
호러스 W. 샨츠 (공화당) 41.26%
엘우드 W. 레플러 (사회당) 7.94%
G. A. 루스 (금주당) 0.94%
펜실베이니아 14구루이스 T. 맥패든공화당55.60%현직 재선
Louis T. McFadden|루이스 T. 맥패든영어 (공화당) 55.60%
존 D. 브레넌 (민주당) 36.21%
윌리엄 S. 히어먼스 (금주당) 5.21%
프랭크 E. 우드 (진보당) 1.75%
워디 아서 (사회당) 1.23%
펜실베이니아 15구에드가 R. 키스공화당59.54%현직 재선
Edgar R. Kiess|에드가 R. 키스영어 (공화당) 59.54%
체스터 H. 애시턴 (민주당) 34.69%
패트릭 A. 맥고완 (사회당) 5.77%
펜실베이니아 16구존 V. 레셔민주당51.81%현직 재선
John V. Lesher|존 V. 레셔영어 (민주당) 51.81%
I. 클린턴 클라인 (공화당) 44.47%
윌리엄 B. 코흐 (사회당) 3.73%
펜실베이니아 17구벤자민 K. 포흐트공화당50.43%현직 재선
Benjamin K. Focht|벤자민 K. 포흐트영어 (공화당) 50.43%
조지 A. 해리스 (민주당) 47.05%
프랭크 톰슨 (사회당) 2.52%
펜실베이니아 18구아론 S. 크레이더공화당51.65%현직 재선
Aaron S. Kreider|아론 S. 크레이더영어 (공화당) 51.65%
해리 B. 소스먼 (민주당) 42.66%
조지 A. 스타이너 (사회당) 2.99%
J. A. 스프렌켈 (금주당) 2.71%
펜실베이니아 19구워렌 W. 베일리민주당46.78%현직 재선 실패, 공화당 존 M. 로즈 당선.
John M. Rose|존 M. 로즈영어 (공화당) 50.44%
Warren W. Bailey|워렌 W. 베일리영어 (민주당) 46.78%
대니얼 W. 머피 (사회당) 2.79%
펜실베이니아 20구C. 윌리엄 베일스공화당-현직 은퇴, 민주당 앤드루 R. 브로드벡 당선.
Andrew R. Brodbeck|앤드루 R. 브로드벡영어 (민주당) 50.22%
사무엘 K. 맥콜 (공화당) 44.34%
헨리 H. 트럼프헬러 (금주당) 3.20%
윌리엄 H. 데호프 (사회당) 2.24%
펜실베이니아 21구찰스 H. 롤랜드공화당47.65%현직 재선
Charles H. Rowland|찰스 H. 롤랜드영어 (공화당) 47.65%
윌리엄 E. 토비아스 (민주당) 46.95%
조지 W. 폭스 (사회당) 5.40%
펜실베이니아 22구아브라함 L. 케이스터공화당-현직 재지명 실패, 공화당 에드워드 E. 로빈스 당선.
Edward E. Robbins|에드워드 E. 로빈스영어 (공화당) 48.44%
사일러스 A. 클라인 (민주당) 39.20%
찰스 커닝햄 (사회당) 7.14%
R. S. 어윈 (금주당) 5.22%
펜실베이니아 23구로버트 F. 호프우드공화당45.67%현직 재선 실패, 민주당 브루스 F. 스털링 당선.
Bruce F. Sterling|브루스 F. 스털링영어 (민주당) 48.15%
Robert F. Hopwood|로버트 F. 호프우드영어 (공화당) 45.67%
윌리엄 H. 림 (사회당) 3.90%
대니얼 스터전 (금주당) 2.28%
펜실베이니아 24구헨리 W. 템플공화당54.35%현직 재선
Henry W. Temple|헨리 W. 템플영어 (공화당) 54.35%
윌리엄 J. 멜론 (민주당) 34.93%
W. K. 램지 (사회당) 6.76%
J. B. 스미스 (금주당) 3.96%
펜실베이니아 25구마이클 리벨 주니어민주당-현직 은퇴, 공화당 헨리 알덴 클라크 당선.
Henry Alden Clark|헨리 알덴 클라크영어 (공화당) 43.14%
찰스 N. 크로스비 (민주당) 41.94%
윌리엄 W. 킨클레이드 (금주당) 9.75%
랄프 W. 틸롯슨 (사회당) 5.17%
펜실베이니아 26구헨리 J. 스틸민주당53.46%현직 재선
Henry J. Steele|헨리 J. 스틸영어 (민주당) 53.46%
윈프레드 D. 루이스 (공화당) 43.23%
엘머 E. 필드 (금주당) 3.01%
펜실베이니아 27구S. 테일러 노스공화당-현직 재지명 실패, 공화당 네이선 L. 스트롱 당선.
Nathan L. Strong|네이선 L. 스트롱영어 (공화당) 55.91%
해리 C. 골든 (민주당) 33.96%
존 B. 데산티스 (금주당) 5.66%
루벤 아인슈타인 (사회당) 4.47%
펜실베이니아 28구사무엘 H. 밀러공화당-현직 은퇴, 공화당 오린 D. 블리클리 당선.
Orrin D. Bleakley|오린 D. 블리클리영어 (공화당) 47.68%
얼 H. 베실린 (민주당) 35.97%
A. R. 리치 (금주당) 10.06%
윌리엄 E. 애시 (사회당) 6.09%
펜실베이니아 29구스티븐 G. 포터공화당67.83%현직 재선
Stephen G. Porter|스티븐 G. 포터영어 (공화당) 67.83%
A. M. 톰슨 (민주당) 24.14%
칼 C. 유르세크 (사회당) 6.00%
로버트 J. 스미스 (금주당) 2.03%
펜실베이니아 30구윌리엄 H. 콜먼공화당46.94%현직 재선 실패, 진보당 M. 클라이드 켈리 당선.
M. Clyde Kelly|M. 클라이드 켈리영어 (진보당) 47.58%
William H. Coleman|윌리엄 H. 콜먼영어 (공화당) 46.94%
윌리엄 아담스 (사회당) 5.48%
펜실베이니아 31구존 M. 모린공화당87.20%현직 재선
John M. Morin|존 M. 모린영어 (공화당) 87.20%
프레드 C. 브리테인 (금주당) 6.40%
제임스 데블린 (사회당) 6.40%
펜실베이니아 32구앤드루 J. 바흐펠드공화당45.72%현직 재선 실패, 민주당 가이 E. 캠벨 당선.
Guy E. Campbell|가이 E. 캠벨영어 (민주당) 45.84%
Andrew J. Barchfeld|앤드루 J. 바흐펠드영어 (공화당) 45.72%
윌리엄 W. 누닝 (사회당) 6.48%
조지 E. 브릭스 (금주당) 1.96%
펜실베이니아 광역구존 R. K. 스콧공화당14.01%현직 재선
토머스 S. 크라고공화당14.15%현직 재선
대니얼 F. 라페안공화당-현직 은퇴, 공화당 맬론 M. 갈랜드 당선.
맬론 M. 갈랜드공화당13.93%현직 재선
Thomas S. Crago|토머스 S. 크라고영어 (공화당) 14.15%
John R. K. Scott|존 R. K. 스콧영어 (공화당) 14.01%
Mahlon M. Garland|맬론 M. 갈랜드영어 (공화당) 13.93%
Joseph McLaughlin|조셉 맥러플린영어 (공화당) 12.82%
Thomas W. Ross|토머스 로스영어 (민주당) 9.98%
존 J. 무어 (민주당) 9.31%
조셉 T. 킨슬리 (민주당) 9.31%
제이콥 B. 와이델리히 (민주당) 9.05%
윌리엄 A. 프로서 (사회당) 0.99%
엘리자베스 N. 블레어 (사회당) 0.96%
존 W. 슬레이턴 (사회당) 0.96%
프레드 W. 화이트사이드 (사회당) 0.96%
프레드 고프 (금주당) 0.63%
로버트 C. 베어 (진보당) 0.59%
아서 그레이엄 (진보당) 0.58%
프랭크 L. 모턴 (금주당) 0.56%
버틀러 C. 맥그루 (금주당) 0.55%
J. 캘빈 럼멜 (금주당) 0.53%


3. 37. 로드아일랜드

선거구후보자정당초선 연도결과득표
조지 F. 오쇼네시민주당1910년현직 재선
월터 R. 스티네스공화당1914년현직 재선
앰브로즈 케네디공화당1912년현직 재선

[4]

3. 38. 사우스캐롤라이나

민주당 유지.새뮤얼 J. 니콜스민주당1915년 (보궐)현직 재선.데이비드 E. 핀리민주당1898년현직 재선.J. 윌라드 랙스데일민주당1912년현직 재선.A. 프랭크 레버민주당1901년 (보궐)현직 재선.


3. 39. 사우스다코타

1구찰스 H. 딜런공화당1912년현직 재선.
2구로열 C. 존슨공화당1914년현직 재선.
3구해리 갠디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3. 40. 테네시

선거구후보정당득표율 (%)비고
제1선거구샘 R. 셀스공화당96.85현직 재선
제2선거구리처드 W. 오스틴공화당90.02현직 재선
제3선거구존 A. 문민주당53.85현직 재선
제4선거구코델 헐민주당60.19현직 재선
제5선거구윌리엄 C. 휴스턴민주당86.42현직 재선
제6선거구조 바이언스민주당84.07현직 재선
제7선거구레뮤얼 P. 패짓민주당62.98현직 재선
제8선거구테투스 W. 심스민주당50.35현직 재선
제9선거구피니스 J. 개릿민주당75.40현직 재선
제10선거구허버트 피셔민주당67.95케네스 맥켈러 (미국 상원 의원 출마) 사퇴, 민주당 의석 유지

[4]

3. 41. 텍사스

선거구후보자정당첫 당선 년도결과득표
제1선거구유진 블랙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제2선거구마틴 다이즈 시니어민주당1908년현직 재선
제3선거구제임스 영민주당1910년현직 재선
제4선거구샘 레이번민주당1912년현직 재선
제5선거구해턴 W. 섬너스민주당1912년현직 재선
제6선거구루퍼스 하디민주당1906년현직 재선
제7선거구알렉산더 W. 그레그민주당1902년현직 재선
제8선거구조 H. 이글민주당1912년현직 재선
제9선거구조지 F. 버지스민주당1900년상원 선거 출마로 은퇴
민주당 유지
제10선거구제임스 P. 부캐넌민주당1913년현직 재선
제11선거구로버트 L. 헨리민주당1896년상원 선거 출마로 은퇴
민주당 유지
제12선거구오스카 칼러웨이민주당1910년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제13선거구존 H. 스티븐스민주당1896년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제14선거구제임스 L. 슬레이든민주당1896년현직 재선
제15선거구존 N. 가너민주당1902년현직 재선
제16선거구윌리엄 R. 스미스민주당1902년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전체 선거구
(2석)
제임스 H. 데이비스민주당1914년재지명 실패
민주당 유지
rowspan=2 |
A. 제프 맥레모어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4]

3. 42. 유타

선거구당선인정당첫 당선결과득표
제1선거구조셉 하웰공화당1902년현직 은퇴.
민주당 획득.[4]
제2선거구제임스 H. 메이스민주당1914년현직 재선.[4]


3. 43. 버몬트

선거구후보정당초선 년도결과득표
제1선거구프랭크 L. 그린공화당1912년 (보궐)현직 재선
제2선거구포터 H. 데일공화당1914년현직 재선

[4]

3. 44. 버지니아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버지니아 주 결과[4]
선거구후보정당득표율 (%)
버지니아 1구윌리엄 A. 존스민주당76.5
버지니아 2구에드워드 E. 홀랜드민주당82.4
버지니아 3구앤드루 J. 몬태규민주당93.6
버지니아 4구월터 A. 왓슨민주당90.8
버지니아 5구에드워드 W. 손더스민주당57.8
버지니아 6구카터 글래스민주당73.6
버지니아 7구토머스 W. 해리슨민주당61.8
버지니아 8구찰스 C. 칼린민주당71.8
버지니아 9구C. 배스컴 슬렘프공화당51.9
버지니아 10구헨리 D. 플러드민주당69.9


3. 45. 워싱턴

[4]

선거구후보자정당초선 년도결과득표
제1선거구윌리엄 E. 험프리공화당1902년현직 의원은 미국 상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
공화당 유지.
제2선거구린들리 H. 해들리공화당1914년현직 재선.
제3선거구앨버트 존슨공화당1912년현직 재선.
제4선거구윌리엄 라 폴레트공화당1910년현직 재선.
제5선거구클래런스 딜민주당1914년현직 재선.


3. 46. 웨스트버지니아

1916년 미국 하원 선거 - 웨스트버지니아
매튜 M. 닐리민주당1913년 (특별)현직 재선.
조지 M. 보워스공화당1916년 (특별)현직 재선.
없음 (신설 선거구)신설 선거구.
공화당 획득.
공석헌터 H. 모스 주니어 (공) 1916년 7월 15일 사망.
공화당 유지.
에드워드 쿠퍼공화당1914년현직 재선.
rowspan=2 |아담 B. 리틀페이지
민주당1914년현직 재선.rowspan=2 |
하워드 서덜랜드
공화당1912년현직은 미국 상원 의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사임.
공화당 손실.


3. 47. 위스콘신

[16]

선거구후보정당득표율비고
제1선거구헨리 앨런 쿠퍼공화당61.6%현직 재선
제이 W. 페이지민주당31.2%
윌리엄 J. 헨셰금주당3.7%
마이클 얍스사회민주당3.6%
제2선거구에드워드 보이그트공화당51.3%공화당 승리
마이클 E. 버크민주당45.9%현직 재선 실패
존 바우어파인드사회민주당2.8%
제3선거구존 M. 넬슨공화당61.8%현직 재선
M. J. 브릭스민주당35.1%
데이비드 L. 돕슨금주당2.2%
에밀 오르네사회민주당0.9%
제4선거구윌리엄 J. 캐리공화당35.5%현직 재선
윈필드 게이로드사회민주당32.7%
앤서니 슈체르빈스키민주당30.9%
윈프레드 D. 콕스금주당1.0%
제5선거구윌리엄 H. 스태퍼드공화당45.4%현직 재선
빅터 L. 버거사회민주당36.9%
라이먼 H. 브라운민주당17.2%
월리스 R. 드라우트금주당0.5%
제6선거구제임스 H. 데이비슨공화당52.3%공화당 승리
마이클 레일리민주당44.0%현직 재선 실패
로버트 징글러사회민주당2.4%
클래런스 O. 팅컴금주당1.3%
제7선거구존 J. 에쉬공화당68.2%현직 재선
허먼 그로토포르스트민주당27.0%
C. L. 클리퍼드금주당2.8%
찰스 A. 노첼만사회민주당2.1%
제8선거구에드워드 E. 브라운공화당67.5%현직 재선
존 칼메스민주당29.5%
찰스 키즈너사회민주당3.0%
제9선거구데이비드 G. 클래슨공화당52.5%공화당 승리
토머스 F. 코노프민주당46.0%현직 재선 실패
프레더릭 난만사회민주당1.5%
제10선거구제임스 A. 프리어공화당69.6%현직 재선
앤드루 서더랜드민주당28.0%
존 왈달금주당2.4%
제11선거구어바인 레너트공화당67.4%현직 재선
조지 C. 쿠퍼민주당25.9%
헨리 M. 팍스사회민주당6.7%


3. 48. 와이오밍

프랭크 W. 몬델 공화당 의원이 재선되었다.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와이오밍주)[4]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공화당프랭크 W. 몬델20,82349.02%
민주당존 D. 클라크20,37247.96%
사회당조지 E. 베이트먼1,1002.59%


4. 특별 선거

새 의원은 1916년 1월 4일에 선출되었다.
민주당 유지.웨스트버지니아 2선거구윌리엄 G. 브라운 2세민주당1910년현직 의원이 1916년 3월 9일에 사망했다.
새 의원은 1916년 5월 9일에 선출되었다.
공화당 획득.캘리포니아 10선거구윌리엄 스테판스진보당1910년현직 의원이 1916년 7월 22일 캘리포니아 부지사가 되기 위해 사임했다.
새 의원은 1916년 11월 7일에 선출되었다.
진보당 유지.버지니아 7선거구제임스 헤이민주당1896년현직 의원이 1916년 10월 1일 미국 청구 법원 판사가 되기 위해 사임했다.
새 의원은 1916년 11월 7일에 선출되었다.
민주당 유지.알래스카 준주 광역 선거구제임스 위커셤공화당1908년현직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 | | 선거 무효 소송 성공.
현직, 1919년 1월 7일 재임.
공화당 유지.하와이 준주 광역 선거구J. 쿠히오 칼라니아나올레공화당1902년현직 재선.필리핀 광역 선거구공석| 1916년 10월 16일, 마누엘 L. 케손 대표 사임.
국민당 유지.rowspan=2 |마누엘 언쇼무소속1912년현직 사임.
무소속 유지.


5. 선거의 영향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재선과 함께 민주당이 하원 다수당을 유지하면서, 당시 미국 사회의 정치적 분위기를 반영했다. 이 선거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유럽의 상황과 미국의 중립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였다.[1] 민주당은 윌슨 대통령의 지도력 아래 국내 개혁 정책과 더불어 국제 문제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통해 유권자들의 신뢰를 얻었다.

이 선거 결과는 미국의 진보주의 시대의 연장을 의미했다. 금주법과 같은 사회적 이슈에 대한 논쟁은 이 시기 정치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1]

5. 1. 사회 변화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여성 참정권 운동과 노동 운동 등 사회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는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와 노동자의 권리 향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1]

6. 한국에 대한 영향

191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당시 한국은 일제강점기 하에 있었으므로, 미국의 정치 상황이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는 어려웠다.

참조

[1] 웹사이트 MS - District 05 Special Election https://www.ourcampa[...] 2021-03-18
[2] 웹사이트 Our Campaigns - WV - District 02 Special Election Race - May 09, 1916 https://www.ourcampa[...] 2021-04-23
[3] 웹사이트 Our Campaigns - VA - District 07 Special Election Race - Nov 07, 1916 https://www.ourcampa[...] 2020-11-23
[4] 웹사이트 House general elections, All States, 1916 summary http://library.cqpre[...] 2023-09-13
[5] 웹사이트 JoinCalifornia - 11-07-1916 Election https://www.joincali[...] 2024-10-14
[6] 웹사이트 State of Colorado Elections Database » Search Past Election Results https://historicalel[...] 2024-10-10
[7] 웹사이트 Minnesota Historical Election Archive https://mn.electiona[...] 2024-10-14
[8] 웹사이트 MS - District 01 https://www.ourcampa[...] 2021-03-18
[9] 웹사이트 MS - District 02 https://www.ourcampa[...] 2021-03-18
[10] 웹사이트 MS - District 03 https://www.ourcampa[...] 2021-03-18
[11] 웹사이트 MS - District 04 https://www.ourcampa[...] 2021-03-18
[12] 웹사이트 MS - District 05 https://www.ourcampa[...] 2021-03-18
[13] 웹사이트 MS - District 06 https://www.ourcampa[...] 2021-03-18
[14] 웹사이트 MS - District 07 https://www.ourcampa[...] 2021-03-18
[15] 웹사이트 MS - District 08 https://www.ourcampa[...] 2021-03-18
[16] 웹사이트 Wisconsin U.S. House Election Results http://www.hhh.umn.e[...] Humphrey Institute of Public Affairs 2022-03-08
[17] 웹사이트 Our Campaigns - AK Territorial Delegate Race - Nov 07, 1916 https://www.ourcampa[...] 2020-01-15
[18] 웹사이트 Our Campaigns - AK Territorial Delegate - Recount Race - Jan 07, 1919 https://www.ourcampa[...]
[19] 웹사이트 HI Delegate At-Large https://www.ourcampa[...] 2004-06-09
[20] 웹사이트 PI Resident Commissioner https://www.ourcampa[...] 2006-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