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21년 전국체육대회 야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1년 전국체육대회 야구는 1921년 10월 31일부터 11월 3일까지 경성에서 개최된 제2회 전조선야구대회이다. 청년부와 중학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 청년부 결승전에서 판정 시비로 인해 몰수 경기가 선언되었고, 중학부 결승에서는 기권 사태가 발생했다.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이 청년부에서,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중학부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1년 야구 - 192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192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은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가 각각 8개 팀으로 154경기를 치렀으며, 뉴욕 자이언츠가 월드 시리즈에서 뉴욕 양키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1921년 야구 - 크리스티 매슈슨
    크리스티 매슈슨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전설적인 투수로, 뉴욕 자이언츠에서 17시즌 동안 373승과 2.13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1905년 월드 시리즈 3경기 완봉승, 5회 최다 탈삼진, 4회 최다 승리, 5회 최저 평균자책점 등을 달성했고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선수 은퇴 후에는 신시내티 레즈 감독을 역임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중 독가스 노출로 인한 결핵으로 요절했다.
  • 1921년 전국체육대회 경기 종목 - 1921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1921년 전국체육대회 정구는 제2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청년부와 중학부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금강구락부와 송도고등보통학교가 각 부문에서 우승했다.
  • 1921년 전국체육대회 경기 종목 - 1921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1921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조선체육회 주최로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으나, 경기 규칙 해석 차이, 미숙한 운영 등으로 인해 중등부와 청년부 모두 우승팀 없이 중단되었다.
1921년 전국체육대회 야구
대회 정보
연도1921
종류하계
종목야구
영어 종목Baseball
야구 픽토그램
야구 픽토그램
개최국일제강점기 조선
개최 도시경성
개최 기간1921년 10월 31일 ~ 11월 3일
경기장경성중학 운동장
용산철도국 운동장
선수단4
종목 수2
남자 종목2
일반부
일반부 종목 수1
일반부 남자 종목1
18세 이하부
18세 이하부 종목 수1
18세 이하부 남자 종목1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20
다음 대회1922

2. 대회 준비

조선체육회는 후원사인 동아일보 1921년 10월 20일자 지면을 통해 10월 31일부터 사흘간 제2회 전조선야구대회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1] 1921년 6월 23일부터 6월 25일까지 개최된 제1회 전조선소년야구대회 결승전에서 배재고등보통학교 측의 항의 과정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으로 징계를 받게 되면서,[2]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할 수가 없었다. 이에 조선체육회는 경기장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1] 결국 10월 31일에는 경성중학 운동장, 11월 1일과 11월 2일에는 용산철도국 운동장에서 경기를 진행하였다.[1]

3. 대회 진행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와 달리 경성부 외 지역 선수단이 참가한 이번 대회에는, 중학부 종목에 개성학당 야구단, 경신학교 야구단,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송도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오산학교 야구단,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7개 선수단이 참가했다.[1][3][4] 청년부 종목에는 대구청년회 야구단, 맹신운동부 야구단, 반도청년회 야구단, 서울청년회 야구단, 숭실대학 야구단, 전경신 야구단, 천도교청년회 야구단, 필운운동부 야구단, 한용청년회 야구단 등 9개 팀이 참가했다.[1][3][4] 제1회 전조선소년야구대회 결승전 난동으로 배재고등보통학교가 징계를 받아 중학부와 청년부 종목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자, 배재고등보통학교 관련 야구인들이 모여 반도구락부를 결성하여 참가했다.[1]

청년부 결승전은 전경신과 반도구락부의 경기로 진행되었다. 3회초 반도구락부 공격 상황에서 전경신 투수의 보크 판정에 대해 전경신 측이 항의하면서 몰수게임이 선언되었고, 반도구락부가 우승을 차지했다.[1] 중학부 결승에서는 청년부 결승에서의 몰수패 처리에 불만을 품은 전경신이 기권하면서 휘문고등보통학교가 우승했다.[1]

반도구락부가 받은 청년단 야구대회 우승기는 현재까지 보존되어 등록문화재 제498호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전국체육대회 관련 유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4. 경기장

조선체육회는 경기장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1] 10월 31일에는 경성중학 운동장에서 경기를 진행하고 11월 1일과 11월 2일에는 용산철도국 운동장에서 경기를 진행하였다.[1]

경기장도시
경성중학 운동장경성
용산철도국 운동장경성


5. 참가 선수단

1921년 10월 31일부터 사흘간 개최된 제2회 전조선야구대회에는 중학부 7개 선수단과 청년부 9개 선수단이 참가했다.[1] 특히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와 달리 경성부 외 지역 선수단이 참가하여 대회의 규모가 확대되었다.[1][3][4]

부문야구단도시첫 참가횟수
청년부대구청년회 야구단대구19211
맹신운동부 야구단경성19211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경성19211
서울청년회 야구단경성19211
숭실대학 야구단평양19211
전경신 야구단경성19211
천도교청년회 야구단경성19202
필운운동부 야구단경성19211
한용청년회 야구단인천19211
중학부개성학당 야구단개성19211
경신학교 야구단경성19202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경성19202
송도고등보통학교 야구단개성19211
오산학교 야구단정주19211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경성19202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경성19202


5. 1. 청년부

대구청년회 야구단(대구), 맹신운동부 야구단(경성),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경성), 서울청년회 야구단(경성), 숭실대학 야구단(평양), 전경신 야구단(경성), 천도교청년회 야구단(경성), 필운운동부 야구단(경성), 한용청년회 야구단(인천) 등 9개 팀이 참가했다.[1][3][4] 이 중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은 제1회 전조선소년야구대회 결승전에서 발생한 난동으로 배재고등보통학교가 징계를 받아 중학부와 청년부 종목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자, 배재고등보통학교 관련 야구인들이 모여 만든 선수단이다.[1]

청년부 결승에서 전경신 야구단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이 맞붙었는데, 3회초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 공격 상황에서 전경신 야구단 투수가 보크를 범했다는 판정이 나왔다. 이에 전경신 야구단 측이 항의하면서 몰수게임이 선언되었고,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이 우승을 차지했다.[1]


5. 2. 중학부

개성학당 야구단, 경신학교 야구단,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송도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오산학교 야구단,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 등 7개 선수단이 참가했다.[1] 중학부 결승에서는 청년부 결승에서 전경신이 몰수패 처리에 불만을 품고 기권하면서 휘문고등보통학교가 우승하게 되었다.[1]

야구단도시첫 참가횟수
개성학당 야구단개성19211
경신학교 야구단경성19202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경성19202
송도고등보통학교 야구단개성19211
오산학교 야구단정주19211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경성19202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경성19202


6. 경기 일정

조선체육회는 후원사인 동아일보의 1921년 10월 20일자 지면을 통해 10월 31일부터 사흘간 제2회 전조선야구대회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1] 10월 31일에는 경성중학 운동장에서, 11월 1일과 11월 2일에는 용산철도국 운동장에서 경기를 진행하였다.[1]

1921년10월11월
31일1일2일3일
청년부남자style="background-color: #3399FF;" |style="background-color: #3399FF;"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중학부남자style="background-color: #3399FF;" |style="background-color: #3399FF;" |style="background-color: #FFCC00;" |
일일 합계0011
누적 합계0012


7. 경기 결과

1921년 전국체육대회 야구 종목은 중학부와 청년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경성부 외 지역 선수단도 참가하여 중학부 7개 팀, 청년부 9개 팀이 참가했다.[1][3][4]

청년부 결승전에서는 전경신 야구단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의 경기 중 보크 판정 시비로 인해 전경신 야구단의 몰수패가 선언되면서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이 우승했다.[1] 중학부에서는 휘문고등보통학교와 경신학교 야구단이 결승에서 맞붙을 예정이었으나, 청년부 결승전의 몰수패 판정에 불만을 품은 경신학교 야구단이 기권하면서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우승했다.[1]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이 받은 청년단 야구대회 우승기는 현재까지 보존되어 등록문화재 498호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전국체육대회 관련 유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전조선야구대회 2회 청년단 우승기

7. 1. 청년부

청년부 종목에는 대구청년회 야구단, 맹신운동부 야구단,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 서울청년회 야구단, 숭실대학 야구단, 전경신 야구단, 천도교청년회 야구단, 필운운동부 야구단, 한용청년회 야구단 등 9개 야구단이 참가했다.[1][3][4]

1라운드 경기는 1921년 10월 31일 오전 9시경부터 경성중학 운동장에서 진행되었다.[5]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구청년회 야구단은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4]

2라운드에서 전경신 야구단대구청년회 야구단을 5:1로, 천도교청년회 야구단서울청년회 야구단을 14:11로 이겼다.[6] 준결승에서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천도교청년회 야구단을 16:2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고, 전경신 야구단은 부전승으로 결승에 진출했다.[7]

결승전에서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전경신 야구단이 맞붙었다. 3회초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 공격 상황에서 전경신 야구단 투수의 보크 판정을 두고 양 팀 간 분규가 발생했다.[3][8] 전경신 야구단 측은 주심의 판정에 불복하여 항의하였고, 주심은 경기 규칙집을 제시하며 정당성을 주장했다.[3] 이후 전경신 야구단이 경기에 복귀하지 않자 주심은 몰수패를 선언했고, 반도청년구락부 야구단이 우승을 차지했다.[3][8]

7. 2. 중학부

중학부 남자 종목에서는 개성학당 야구단, 경신학교 야구단, 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송도고등보통학교 야구단, 오산학교 야구단,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7개 야구단이 참가했다.[1][3][4]

1라운드, 준결승, 결승 경기가 진행되었다. 1라운드 첫번째 경기(경신학교 야구단 대 개성학당 야구단)는 22:3으로 경신학교가 승리했고, 두번째 경기(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대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는 13:2로 휘문고등보통학교가 승리했다.[7] 세번째 경기(송도고등보통학교 야구단보성고등보통학교 야구단)는 18:4로 송도고등보통학교가 승리했고, 오산학교 야구단은 부전승으로 준결승에 진출했다.[7]

준결승 첫번째 경기(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 대 오산학교 야구단)는 6:2로 휘문고등보통학교가 승리했고, 두번째 경기(경신학교 야구단 대 송도고등보통학교 야구단)는 6:5로 경신학교가 승리했다.[7]

휘문고등보통학교와 오산학교의 준결승 경기 모습


결승전은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경신학교 야구단의 경기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청년부 결승전 몰수패에 대한 항의로 경신학교 야구단이 기권하여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우승했다.[1][8]

우승 후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응원단이 신축 공사가 진행 중인 교사 앞에서 촬영한 기념 사진

8. 메달 집계

1921년 전국체육대회 야구 종목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순위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도2226
2평안북도0011
3경상북도0000
평안남도0000
합계2237



세부 종목별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청년부'''

순위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도1113
2경상북도0000
평안남도0000
합계1113



'''중학부'''

순위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도1113
2평안북도0011
합계1124


8. 1. 최종 순위

순위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도2226
2평안북도0011
3경상북도0000
평안남도0000
합계2237


8. 2. 청년부 메달 집계

순위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도1113
2경상북도0000
평안남도0000
합계1113


8. 3. 중학부 메달 집계

순위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도1102
2평안북도0011
합계1113


8. 4. 메달 수상자

wikitext

청년부 남자
colspan=4|
중학부 남자rowspan=2|rowspan=2|



```

에서 하위 섹션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을 제거하면 다음과 같다.

```wikitext

청년부 남자
colspan=4|
중학부 남자


8. 4. 1. 청년부


8. 4. 2. 중학부

순위팀명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1001
2경신학교 야구단0101
3송도고등보통학교 야구단0011
3오산학교 야구단0011


참조

[1]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2]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3]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https://www.sports.o[...] 대한체육회 2024-02-05
[4] 뉴스 空前(공전)의大野球戰(대야구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1-10-31
[5] 뉴스 𤍠球(𤍠구),秋空(추공)에飛(비)하고 驟雨(취우)가튼千餘觀衆(천여관중)의拍手(박수)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1-11-01
[6] 뉴스 緊張(긴장)한二回豫選(이회예선)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1-11-02
[7] 뉴스 全儆(전경)인가半島(반도)인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1-11-03
[8] 뉴스 終幕(종막)의大野球會(대야구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1-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