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2년 동계 올림픽 캐나다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캐나다 선수단은 아이스하키에서 금메달 1개,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은메달 1개와 동메달 4개, 피겨 스케이팅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아이스하키에서는 위니펙 하키 클럽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3연패를 달성했고, 스피드 스케이팅의 알렉산더 허드는 1500m 은메달, 500m 동메달을 획득했다. 윌리 로건은 1500m와 5000m에서 동메달을, 프랭크 스택은 100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에서는 몽고메리 윌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 1932년 동계 올림픽 폴란드 선수단
1932년 동계 올림픽 폴란드 선수단은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아이스하키 종목에 출전하였으며, 아이스하키 팀은 조별 리그에서 패했다. - 193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 1932년 동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193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독일 선수단은 봅슬레이 남자 4인승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하고 피겨 스케이팅과 아이스하키 종목에도 출전하여 아이스하키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1932년 스포츠 - 1932년 동계 올림픽 폴란드 선수단
1932년 동계 올림픽 폴란드 선수단은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아이스하키 종목에 출전하였으며, 아이스하키 팀은 조별 리그에서 패했다. - 1932년 스포츠 - 1932년 동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193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독일 선수단은 봅슬레이 남자 4인승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하고 피겨 스케이팅과 아이스하키 종목에도 출전하여 아이스하키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1932년 동계 올림픽 캐나다 선수단 | |
---|---|
대회 정보 | |
NOC | CAN |
NOC 명칭 | 캐나다 올림픽 위원회 |
웹사이트 | 캐나다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영어/프랑스어) |
대회 종류 | 동계 올림픽 |
연도 | 1932 |
개최지 | 레이크플래시드 |
참가 정보 | |
참가 선수 | 42 (남자: 38, 여자: 4) |
종목 | 6 |
기수 | 해럴드 심프슨(아이스하키) |
성적 | |
순위 | 4위 |
금메달 | 1 |
은메달 | 1 |
동메달 | 5 |
올림픽 참가 기록 |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
관련 정보 | |
관련 대회 | 1906 중간 올림픽 |
2. 메달 집계
이번 대회에서 캐나다는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5개로 총 7개의 메달을 획득했다.[1] 아이스하키 남자 종목에서 샤모니 동계 올림픽,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에 이어 금메달을 획득하여 3연패를 달성했다.[1]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캐나다 남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위니펙 하키 클럽) | 아이스하키 | 남자 | |
알렉산더 허드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500m | |
알렉산더 허드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m | |
윌리엄 로건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500m | |
윌리엄 로건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0m | |
프랭크 스택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0,000m | |
몽고메리 윌슨 | 피겨 스케이팅 | 남자 싱글 |
2. 1.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 | 합계 | |||
---|---|---|---|---|
1 | 0 | 0 | 1 | |
0 | 1 | 4 | 5 | |
0 | 0 | 1 | 1 | |
합계 | 1 | 1 | 5 | 7 |
2. 2. 메달리스트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 | 캐나다 남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위니펙 하키 클럽) William Cockburn|윌리엄 코크번영어, Clifford Crowley|클리포드 크롤리영어, Albert Duncanson|앨버트 던컨슨영어, George Garbutt|조지 가벗영어, Roy Hinkel|로이 힌켈영어, Victor Lindquist|빅터 린드퀴스트영어, Norman Malloy|노먼 맬로이영어, Walter Monson|월터 몬슨영어, Kenneth Moore|케네스 무어영어, Romeo Rivers|로미오 리버스영어, Harold Simpson|해럴드 심슨영어, Hugh Sutherland|휴 서덜랜드영어, Stanley Wagner|스탠리 와그너영어, Alston Wise|앨스턴 와이즈영어 | 아이스하키 | 남자 |
![]() | 알렉산더 허드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500m |
![]() | 알렉산더 허드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m |
윌리 로건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500m | |
윌리 로건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0m | |
프랑크 스택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0000m | |
몽고메리 윌슨 | 피겨 스케이팅 | 남자 싱글 |
193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캐나다 선수단은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스피드 스케이팅 등 여러 종목에서 경기를 펼쳤다.
3. 종목별 경기 결과
크로스컨트리 스키남자 18km 종목에서는 해리 팽맨이 35위, 버드 클라크가 38위, 존 테일러가 39위, 존 커리가 40위를 기록했다. 50km 종목에서는 카레 잉스타드가 16위를 기록했고, 휴버트 더글러스와 월터 라이언은 완주하지 못했다.
피겨 스케이팅남자 싱글에서는 몽고메리 윌슨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싱글에서는 콘스탄스 윌슨-사무엘이 4위, 엘리자베스 피셔가 13위, 메리 리틀존이 15위를 기록했다. 페어에서는 콘스탄스 윌슨-사무엘과 몽고메리 윌슨 조가 5위, 프란시스 클로데와 챈시 뱅스 조가 6위를 기록했다.
아이스하키[1]
캐나다는 위니펙 하키 클럽을 주축으로 대표팀을 구성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캐나다는 미국, 독일, 폴란드와 경기를 치러 5승 1무의 성적을 거두었다.
노르딕 복합요스테인 노르모에가 10위, 하워드 배글리가 24위, 아서 그라벨이 30위, 로스 윌슨이 31위를 기록했다.
스키 점프밥 림번이 19위, 자크 랜드리가 20위, 아놀드 스톤이 29위, 레슬리 가그네가 30위를 기록했다.
스피드 스케이팅남자 500m에서 알렉스 허드가 동메달, 프랭크 스택은 4위, 윌리 로건은 5위를 기록했다. 1500m에서는 알렉스 허드가 은메달, 윌리 로건이 동메달, 프랭크 스택은 4위를 기록했다. 5000m에서는 윌리 로건이 동메달, 프랭크 스택은 7위, 해리 스미스는 8위를 기록했다. 10000m에서는 프랭크 스택이 동메달, 알렉스 허드는 7위를 기록했다.
3. 1. 노르딕 복합
캐나다는 노르딕 복합 남자 개인전에 4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이 경기는 18km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노멀힐 스키 점프로 구성되었다. 크로스컨트리 경기는 1932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경기의 일부로 진행되었으며, 일부 선수들은 두 종목에 모두 출전하여 18km 기록을 공유했다. 스키 점프 경기는 별도로 진행되었다.
선수 | 종목 | 크로스컨트리 기록 | 크로스컨트리 점수 | 크로스컨트리 순위 | 스키 점프 1차 시기 | 스키 점프 2차 시기 | 스키 점프 총계 | 스키 점프 순위 | 총점 | 최종 순위 |
---|---|---|---|---|---|---|---|---|---|---|
조세틴 노드모에 | 남자 개인전 | 1'42:56 | 165.96 | 18 | 53.0 | 52.5 | 201.6 | 9 | 367.56 | 10 |
호워드 베굴레이 | 1'50:35 | 133.50 | 25 | 51.0 | 51.5 | 185.2 | 21 | 318.70 | 24 | |
아서 그레이벨 | 2'00:18 | 94.50 | 33 | 50.5 | 51.5 | 184.1 | 22 | 278.60 | 30 | |
로스 윌슨 | 1'43:55 | 162.00 | 21 | 40.0 (추락) | 36.0 | 90.8 | 32 | 252.80 | 31 |
3. 2. 스키 점프
선수 |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합계 | |||||
---|---|---|---|---|---|---|---|---|---|
거리 | 점수 | 순위 | 거리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아놀드 스톤 | 남자 노멀힐 | 61.5m | 30.0 (넘어짐) | 33 | 49m | 85.5 | 26 | 115.5 | 29 |
레슬리 가그네 | 45m | 82.5 | 26 | 44.5m | 28.0 | 31 | 110.5 | 30 | |
자크 랜드리 | 52.5m | 91.7 | 21 | 54m | 95.1 | 19 | 186.8 | 20 | |
밥 림번 | 58m | 98.6 | 13 | 51m | 93.5 | 22 | 192.1 | 19 |
3. 3. 스피드 스케이팅
캐나다는 1932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전 종목에 선수를 출전시켰다.선수 | 종목 | 예선 기록 | 예선 순위 | 결선 기록 | 결선 순위 |
---|---|---|---|---|---|
알렉산더 허드 | 500m | 44.9 | 1 Q | 불명 | |
윌리 로건 | 500m | 불명 | 2 Q | 불명 | 5 |
프랭크 스택 | 500m | 44.3 | 1 Q | 불명 | 4 |
레오폴드 실베스트르 | 500m | 불명 | 5 | 진출 실패 | |
알렉산더 허드 | 1500m | 불명 | 2 Q | 불명 | |
윌리 로건 | 1500m | 불명 | 2 Q | 불명 | |
프랭크 스택 | 1500m | 불명 | 2 Q | 불명 | 4 |
허버트 플랙 | 1500m | 불명 | 4 | 진출 실패 | |
알렉산더 허드 | 5000m | DNF | - | 진출 실패 | |
윌리 로건 | 5000m | 불명 | 3 Q | 불명 | |
프랭크 스택 | 5000m | 불명 | 4 Q | 불명 | 7 |
해리 스미스 | 5000m | 불명 | 4 Q | 불명 | 8 |
알렉산더 허드 | 10000m | 17:56.2 | 1 Q | 불명 | 7 |
윌리 로건 | 10000m | 불명 | 5 | 진출 실패 | |
프랭크 스택 | 10000m | 불명 | 2 Q | 불명 | |
매리온 매카시 | 10000m | DNF | - | 진출 실패 |
알렉산더 허드는 1500m에서 은메달,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윌리 로건은 1500m와 5000m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고, 프랭크 스택은 10000m에서 동메달을 추가하며 캐나다 스피드 스케이팅 대표팀의 선전에 기여했다.
3. 4. 아이스하키
캐나다는 아이스하키 남자 종목에서 샤모니 동계 올림픽,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에 이어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3연패를 달성했다.[1] 캐나다 올림픽 위원회는 1931년 앨런 컵 우승팀인 위니펙 하키 클럽을 국가대표로 선발했다.결승 라운드에서 캐나다는 5승 1무의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미국과의 첫 경기에서는 연장 접전 끝에 2:1로 승리하였고, 독일을 상대로는 4:1, 5:0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폴란드를 상대로는 각각 9:0, 10:0으로 대승을 거두며 막강한 공격력을 과시했다. 미국과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2:2 무승부를 기록하며 최종 성적 5승 1무로 금메달을 확정지었다.
경기 결과
2월 4일 | 미국 | 1:2 연장 (0:0, 0:1, 1:0, 0:0, 0:1) | 캐나다 |
2월 6일 | 캐나다 | 4:1 (2:0, 2:0, 0:1) | 독일 |
2월 7일 | 캐나다 | 9:0 (2:0, 5:0, 2:0) | 폴란드 |
2월 8일 | 캐나다 | 5:0 (2:0, 1:0, 2:0) | 독일 |
2월 9일 | 캐나다 | 10:0 (5:0, 1:0, 4:0) | 폴란드 |
2월 13일 | 미국 | 2:2 연장 (1:1, 1:0, 0:1, 0:0, 0:0, 0:0) | 캐나다 |
최고 득점 선수
팀 | 경기 | 골 | 어시스트 | 점수 |
---|---|---|---|---|
월터 몬슨 | 6 | 7 | 4 | 11 |
캐나다 대표팀 선수 명단
윌리엄 코크번 |
클리포드 크롤리 |
앨버트 던컨슨 |
조지 가버트 |
로이 헨켈 |
빅 린드퀴스트 |
노먼 맬로이 |
월터 몬슨 |
케네스 무어 |
로미오 리버스 |
핵 심슨 |
휴 서더랜드 |
스탠리 와그너 |
알스턴 와이즈 |
3. 5.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 종목 | 기록 | 순위 |
---|---|---|---|
아서 팡맨 | 18km | 1'43:12 | 35 |
윌리엄 클라크 | 18km | 1'46:33 | 38 |
존 테일러 | 18km | 1'48:11 | 39 |
존 커리 | 18km | 1'49:03 | 40 |
카레 잉스타드 | 50km | 5'19:19 | 16 |
데이비드 더글라스 | 50km | DNF | - |
월터 리안 | 50km | DNF | - |
3. 6. 피겨 스케이팅
몽고메리 윌슨쵸운세이 뱅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