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2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2년 하계 올림픽에서 아르헨티나 선수단은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여 종합 11위를 기록했다. 복싱에서 금메달 2개와 은메달 1개를, 육상에서 금메달 1개를 획득했다. 복싱에서는 카르멜로 로브레도(페더급), 산티아고 로벨(헤비급)이 금메달을, 아마도 아자르(미들급)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육상 남자 마라톤에서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수영, 펜싱, 사격, 역도 종목에도 선수들이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32년 하계 올림픽 스페인 선수단
193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스페인 선수단은 육상, 요트, 사격, 예술 종목에 출전하여 육상 남자 50km 경보 종목에서 금메달 1개, 요트 남자 모노타입급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 193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32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참가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수영과 사이클에서 금메달, 육상, 수영, 조정에서 은메달, 육상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총 9개 종목에 33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 193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32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32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육상은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남자 21개 종목과 여자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32개국 386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1932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32년 하계 올림픽 복싱
1932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복싱은 18개국 8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8개 체급에서 메달 경쟁을 펼친 경기로, 아르헨티나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1932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 |
---|---|
대회 정보 | |
NOC | 아르헨티나 올림픽 위원회 |
참가 대회 | 하계 올림픽 |
연도 | 1932년 |
개최지 | 로스앤젤레스 |
참가 정보 | |
참가 선수 | 33명 |
참가 종목 | 6개 |
기수 | 알베르토 소리야 |
메달 정보 | |
순위 | 11위 |
금메달 | 3개 |
은메달 | 1개 |
동메달 | 0개 |
올림픽 참가 역사 | |
첫 참가 연도 | 1900년 |
마지막 참가 연도 | 현재 |
관련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아르헨티나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
2. 메달 집계
아르헨티나는 1932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여 종합 11위를 기록했다.
2. 1. 종목별 메달 집계
2. 2. 메달리스트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 | 카르멜로 로블레도 | 복싱 | 남자 페더급 (-57kg) |
-- | 산티아고 로벨 | 복싱 | 남자 헤비급 (+79kg) |
-- | 후안 사발라 | 육상 | 남자 마라톤 |
-- | 아마도 아사르 | 복싱 | 남자 미들급 (-72kg) |
아르헨티나는 1932년 하계 올림픽에서 육상, 복싱, 펜싱, 사격, 수영, 역도 등 다양한 종목에 참가했다.
3. 종목별 성적
육상 남자 마라톤에서는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가 금메달을 획득했고,[1] 100m 달리기에 출전한 카를로스 비안치는 준결승에 진출했다.[1]
복싱에서는 카르멜로 로블레도(페더급), 산티아고 로벨(헤비급)이 금메달을, 아마도 아사르(미들급)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펜싱에는 남자 선수 5명이 참가하여, 로베르토 라라즈, 앙헬 고로도, 로돌포 발렌수엘라가 남자 플뢰레 개인전에, 라울 사우세도, 로베르토 라라즈, 로돌포 발렌수엘라, 앙헬 고로도가 남자 플뢰레 단체전에, 라울 사우세도가 남자 에페 개인전에, 카르멜로 메를로가 남자 사브르 개인전에 출전했다.[1]
사격에서는 안토니오 다네리와 시그프리도 보겔이 50m 소총 복사에 출전하여 각각 16위와 22위를 기록했다.
수영에서는 남자 자유형 4 × 200m 계영에서 아르헨티나 대표팀이 6위를 기록했고,[1] 레오폴도 타이에르와 알프레도 로카는 자유형 100m, 후스토 호세 카라발로는 평영 200m에 출전했으나 모두 예선에서 탈락했다.[1]
역도에서는 훌리오 후아네다가 남자 75kg급에서 6위를 기록했다.
3. 1. [[파일:Boxing pictogram.svg|30px]] 복싱
카르멜로 로블레도는 페더급에서 어니스트 스미스(아일랜드)와 앨런 칼슨(스웨덴)을 판정으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 요제프 슐라인코퍼(독일)를 판정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산티아고 로벨은 헤비급에서 군나르 베를룬(핀란드)를 판정으로 이기고, 준결승에서 조지 모건(캐나다)를 TKO로 이긴 후, 결승에서 루이지 로바티(이탈리아)를 판정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아마도 아사르는 미들급에서 알도 롱기노티(이탈리아)와 로제 미셸로(프랑스)를 판정으로 이겼으나, 결승에서 카르멘 바르트(미국)에게 판정패하여 은메달에 머물렀다.
선수 | 종목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순위 | |||
후안 호세 트리요 | 플라이급 | 패 판정 | 진출 실패 | ||||
카를로스 페레이라 | 밴텀급 | 승 판정 | 패 기권 | 진출 실패 | |||
카르멜로 로블레도 | 페더급 | 부전승 | 승 판정 | 승 판정 | 승 판정 | 16x16px | |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 라이트급 | 패 판정 | 진출 실패 | ||||
루이스 사르델라 | 웰터급 | 패 판정 | 진출 실패 | ||||
아마도 아사르 | 미들급 | 부전승 | 승 판정 | 승 판정 | 패 판정 | 16x16px | |
라파엘 랑 | 라이트헤비급 | 부전승 | 패 판정 | 진출 실패 | 5 | ||
산티아고 로벨 | 헤비급 | 부전승 | 승 판정 | 승 TKO | 승 판정 | 16x16px |
3. 2. [[파일:Athletics pictogram.svg|30px]] 육상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는 남자 마라톤에서 2시간 31분 36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선수 | 세부 종목 | 결선 | |
---|---|---|---|
기록 | 최종 순위 | ||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 | 마라톤 | 2시간 31분 36초 | 1 |
100m 달리기에서는 엑토르 베라, 사무엘 히아코사가 예선에서 탈락했고, 카를로스 비안치는 준결승까지 진출했다.[1]
3. 3. [[파일:Swimming pictogram.svg|30px]] 수영
레오폴도 타이에르로베르토 페페르
알프레도 로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