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36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열린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피겨 스케이팅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동메달 1개를 추가했다. 카를 셰퍼는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에서 금메달을, 일제 파우신과 에리히 파우신 조는 페어에서 은메달을, 펠릭스 카스파르는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에서 동메달을, 막스 슈티플은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오스트리아 - 1936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참가한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축구 은메달을 포함해 다양한 종목에서 금 4개, 은 6개, 동 2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스포츠 정신을 보여주었다.
  • 1936년 오스트리아 - 페루 대 오스트리아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 8강전에서 오스트리아가 페루를 꺾었지만, 페루의 재경기 요구와 FIFA의 경고 조치에 페루가 선수단을 철수하며 올림픽 정신과 스포츠 정치 관계 논쟁을 야기했다.
  • 1936년 스포츠 - 1936년 동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1936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독일 선수단은 스키 점프, 아이스하키에서 금메달, 노르딕 복합, 알파인 스키, 피겨 스케이팅에서 은메달, 루지, 알파인 스키, 피겨 스케이팅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봅슬레이, 알파인 스키,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피드 스케이팅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했다.
  • 1936년 스포츠 - 1936년 동계 올림픽 일본 선수단
    1936년 동계 올림픽 일본 선수단은 선수 34명과 임원 14명으로 구성되어 스키, 스케이트,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종목에 출전했으나, 스키 점프의 이구로 쇼지와 스피드 스케이팅의 이시하라 쇼조가 각각 7위와 4위를 기록했을 뿐 아이스하키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1936년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
대회 정보
NOCAUT
NOC 명칭오스트리아 올림픽 위원회
대회 종류동계 올림픽
연도1936
개최지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웹사이트www.olympia.at 오스트리아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참가 정보
참가 선수60명 (남자 50명, 여자 10명)
종목8개
기수카를 셰퍼
성적
순위6위
금메달1개
은메달1개
동메달2개
올림픽 참가 역사
첫 참가자동
마지막 참가자동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해당 없음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해당 없음
관련 정보1906년 중간 올림픽

2. 메달 집계

오스트리아는 1936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로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9위를 기록했다. 카를 셰이퍼는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막스 슈티플은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 1.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 피겨 스케이팅1113
-- 스피드 스케이팅0011
합계1124



오스트리아는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로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피겨 스케이팅에서 카를 셰이퍼가 1932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에 이어 금메달을 획득하여 2연패를 달성했다.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0m에서는 막스 슈티플이 오스트리아 선수로는 처음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 2. 메달리스트

에릭 파우신피겨 스케이팅페어
펠릭스 카스파르피겨 스케이팅남자 싱글막스 스티플스피드 스케이팅남자 10000m


3. 주요 선수

이번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오스트리아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3. 1. 카를 셰퍼

남자 싱글에서 카를 셰퍼는 필수 종목과 프리 스케이팅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총점 422.7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 이는 1932년 동계 올림픽에 이은 2연패였다. 셰퍼는 뛰어난 기술과 예술성으로 심사위원들을 사로잡았으며, 오스트리아 동계 스포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셰퍼는 나치즘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선수종목필수 종목프리 스케이팅순위점수최종 순위
카를 셰퍼남자 싱글117422.7


3. 2. 막스 슈티플

남자 10000m에서 막스 슈티플은 17:30.0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오스트리아 스피드 스케이팅 역사상 첫 메달이었다. 슈티플은 1500m와 5000m에서도 각각 5위를 기록했다.

종목선수시간순위
1500m막스 슈티플2:21.65
5000m막스 슈티플8:35.05
10,000m막스 슈티플17:30.0


3. 3. 일제 파우신과 에릭 파우신

에릭 파우신피겨 스케이팅페어


3. 4. 펠릭스 카스파르

남자 싱글에서 필수 종목 5위, 프리 스케이팅 2위를 기록, 총점 400.1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선수종목필수 종목프리 스케이팅순위점수최종 순위
펠릭스 카스파르남자 싱글5224400.1


4. 세부 종목별 결과

1936년 동계 올림픽에서 오스트리아 선수단은 다음과 같은 종목별 성적을 거두었다.

4. 1. 알파인 스키

1936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 여자 복합 종목에서 오스트리아 선수들은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지만, 여러 선수들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여자

선수종목활강회전합계
시간순위1차 시기2차 시기순위총 점수순위
그레테 니슬복합6:12.8141:38.51:38.71076.8614
헤르타 로스미니6:40.8201:49.2[1]1:48.01770.6917
그레테 바이케르트6:47.0211:41.9[1]1:52.91570.4718
케테 레트너7:02.4231:43.41:52.91668.8820


4. 2. 봅슬레이

오스트리아는 봅슬레이 2인승과 4인승 종목에 출전했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썰매선수종목1차 시기2차 시기3차 시기4차 시기합계순위
AUT-1한스 슈퇴러, 한스 로텐슈타이너2인승1:28.12 (8위)1:25.20 (11위)1:30.55 (14위)1:28.13 (17위)5:52.00 (13위)
AUT-2한스 볼크마, 안톤 칼텐베르거2인승1:33.71 (20위)1:26.28 (14위)1:30.50 (13위)1:31.81 (20위)6:02.30 (19위)
AUT-1프란츠 로렌츠, 리하르트 로렌츠, 프란츠 볼게무트, 루돌프 횔4인승1:27.38 (13위)1:26.84 (12위)1:26.17 (12위)1:24.74 (11위)5:45.13 (11위)
AUT-2빅토르 비겔바이어, 프란츠 베드나르, 로베르트 베드나르, 요한 바티스트 구데누스4인승1:30.70 (14위)1:29.62 (14위)1:30.95 (14위)1:26.64 (13위)5:57.91 (13위)


4. 3. 크로스컨트리 스키

오스트리아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에 남자 선수만 참가시켰다.

남자 18km 종목에서는 하랄 보시오가 1시간 24분 39초로 28위, 한스 얌니히가 1시간 26분 20초로 36위, 프레드 뢰스너가 1시간 27분 5초로 39위, 에리히 갈비츠가 1시간 27분 28초로 41위를 기록했다.

남자 4 x 10km 계주에서는 에리히 갈비츠, 프레드 뢰스너, 하랄 보시오, 한스 바우만이 출전하여 3시간 2분 48초로 8위를 기록했다.

선수종목기록순위
하랄 보시오18km1'24:3928
한스 얌니히1'26:2036
프레드 뢰스너1'27:0539
에리히 갈비츠1'27:2841
에리히 갈비츠, 프레드 뢰스너, 하랄 보시오, 한스 바우만4 x 10km 계주3'02:488


4. 4. 피겨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에서 오스트리아는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강세를 보였다. 카를 셰퍼는 1932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에 이어 남자 싱글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2연패를 달성했다. 펠릭스 카스파르는 남자 싱글에서 동메달을, 일제 파우신과 에리크 파우신 조는 페어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4. 4. 1. 남자 싱글

남자 싱글 종목에서 카를 셰퍼는 컴펄서리 피겨와 프리 스케이팅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합계 422.7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1] 펠릭스 카스파르는 컴펄서리 피겨에서 5위, 프리 스케이팅에서 2위를 기록하며 합계 400.1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1] 레오폴트 린하트는 11위, 헬무트 메이는 14위를 기록했다.[1]

선수컴펄서리 피겨프리 스케이팅플레이스점수순위
카를 셰퍼117422.7
펠릭스 카스파르5224400.1
레오폴트 린하트16780364.211
헬무트 메이141596354.814


4. 4. 2. 여자 싱글

여자 싱글에 출전한 오스트리아 선수들은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헤디 슈테누프가 6위를 기록했다.

선수컴펄셔리 피겨프리 스케이팅플레이스점수순위
헤디 슈테누프8340387.66
에미 푸칭어9449381.87
그레테 라이너101165373.49
비앙카 셴크1614102356.414


4. 4. 3. 페어

일제 파우신과 에리크 파우신 조는 페어 종목에서 11.4점을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1] 엘레아노어 보멜과 프리츠 베히틀러 조는 8.8점으로 14위를 기록했다.[1]

선수점수최종 순위
일제 파우신, 에리크 파우신11.4
엘레아노어 보멜, 프리츠 베히틀러8.814


4. 5. 아이스하키

오스트리아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예선 리그에서 2승 1패를 기록하며 선전했지만, 2차 예선에서 3패를 기록하며 결승 라운드 진출에는 실패했다.

경기무승부득점실점점수
캐나다33002436
오스트리아32011174
폴란드310211122
라트비아30033270



날짜상대결과
2월 7일폴란드2-1 (0-0, 0-0, 2-1)
2월 8일캐나다2-5 (0-4, 2-1, 0-0)
2월 9일라트비아7-1 (4-0, 0-0, 3-1)



2차 예선에서는 스웨덴, 미국, 체코슬로바키아에 모두 패하며 탈락했다.

경기득점실점승점
미국3300516
체코슬로바키아3210644
스웨덴3102362
오스트리아3030140



날짜상대결과
2월 11일스웨덴0-1 (0-1, 0-0, 0-0)
2월 12일미국0-1 (0-0, 0-1, 0-0)
2월 13일체코슬로바키아1-2 (0-0, 1-2, 0-0)



출전 선수
헤르만 바이ass
한스 트라우텐베르크
루돌프 보이타
오스카르 노바크
프리츠 뎀머
프란츠 춍게이
한스 타처
빌리발트 스타네크
람베르트 노이마이어
프란츠 쉴러
에밀 자이들러
제프 괴블


4. 6. 노르딕 복합

오스트리아 노르딕 복합 선수들은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후베르트 쾨스팅거가 15위를 기록했다.

이 종목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는 크로스컨트리 스키의 주요 메달 종목과 통합되었다. 일부 선수는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노르딕 복합 경기에 모두 출전했으며, 18km 기록은 두 종목 모두에 사용되었다.

스키 점프(노멀힐) 경기는 스키 점프의 주요 메달 종목과 별도로 진행되었다.

선수종목크로스컨트리스키 점프합계
시간점수순위1차 거리2차 거리총점순위점수순위
발터 델레 카르트개인1시간 37분 14초125.84648m49.5m207.44333.233
마르쿠스 마이어1시간 27분 31초173.72847m49.5m188.223361.925
후베르트 쾨스팅거1시간 25분 9초186.01544m48m189.220375.215
한스 바우만1시간 22분 49초198.5740m44m173.636372.117


4. 7. 스피드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막스 슈티플이 남자 100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오스트리아에 유일한 메달을 안겼다.

막스 슈티플은 이 외에도 1500m와 5000m에서 각각 5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카를 바줄레크는 1500m에서 6위, 5000m에서 8위, 10000m에서 11위를 기록했다. 카를 레반은 500m에서 6위, 1500m에서 12위를 기록했다.

4. 7. 1. 남자

;남자

선수종목기록순위
구스타프 슬라네크500m46.724
카를 프로하스카5000m9:02.624
프란츠 오르트너10000m19:19.127
카를 레반500m44.86
1500m2:24.312
페르디난드 프라인들500m46.421
1500m2:29.025
빌리 뢰빙어5000m8:53.919
10000m18:46.524
막스 슈티플1500m2:21.65
5000m8:35.05
10000m17:30.0
카를 바줄레크500m45.113
1500m2:22.26
5000m8:38.48
10000m17:57.111



막스 슈티플은 100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을 뿐만 아니라, 1500m와 5000m에서도 5위를 기록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