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8년 FIFA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8년 FIFA 월드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된,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에 열린 마지막 FIFA 월드컵이다. 프랑스는 1936년 FIFA 총회 투표에서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며, 이탈리아가 헝가리를 결승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총 37개국이 예선에 참가하여 14장의 본선 진출권을 두고 경쟁했으며, 오스트리아는 안슐루스로 인해 기권했다. 이탈리아는 1934년에 이어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브라질의 레오니다스 다 시우바가 7골로 득점왕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6월 - 황하 제방 붕괴 사건
황하 제방 붕괴 사건은 1938년 중일 전쟁 중 국민혁명군이 일본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황하 제방을 인위적으로 붕괴시켜 광범위한 지역에 홍수를 일으킨 사건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일본군의 진격을 늦추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사건 이후 중국과 일본은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선전전을 펼쳤다. - 1938년 프랑스 - 뮌헨 협정
뮌헨 협정은 1938년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가 체결하여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데텐란트 지역을 독일에 할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체코슬로바키아는 협상에 참여하지 못한 채 강제로 수용해야 했고,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 1938년 FIFA 월드컵 예선 - 193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193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9개조로 나뉘어 진행되어 독일, 스웨덴, 노르웨이, 폴란드, 루마니아, 스위스, 헝가리,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체코슬로바키아가 본선에 진출했으나, 오스트리아는 독일 병합으로 참가 무산, 대체 국가 잉글랜드의 거절로 이어졌다. - 1938년 FIFA 월드컵 예선 - 193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1조
193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1조는 독일, 스웨덴, 에스토니아, 핀란드가 경쟁하여 독일과 스웨덴이 본선에 진출한 조이다.
1938년 FIFA 월드컵 | |
---|---|
1938년 FIFA 월드컵 | |
![]() | |
개최국 | 프랑스 |
개최 기간 | 1938년 6월 4일 ~ 6월 19일 |
참가 팀 수 | 15 |
대륙 연맹 수 | 4 |
개최 도시 수 | 9 |
개최 경기장 수 | 10 |
경기 결과 | |
우승팀 | 이탈리아 |
우승 횟수 | 2 |
준우승팀 | 헝가리 |
3위팀 | 브라질 |
4위팀 | 스웨덴 |
총 경기 수 | 18 |
총 득점 | 84 |
총 관중 수 | 374835 |
득점왕 | 레오니다스 (7골) |
대회 정보 | |
이전 대회 | 1934 |
다음 대회 | 1950 |
2. 개최국 선정
개최지는 1936년 8월 13일 베를린에서 열린 FIFA 총회에서 투표로 결정되었다. 1차 투표 결과 프랑스가 아르헨티나와 독일을 제치고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12]
개최국 | 득표수 | 결과 |
---|---|---|
프랑스 | 19 | 개최 |
아르헨티나 | 4 | 탈락 |
독일 | — | 유치 포기 |
FIFA는 이번 월드컵부터 개최국과 전 대회 우승국은 본선에 자동 진출하는 '자동 진출권'을 도입했다. 그러나 남미는 개최국인 프랑스가 예선에서 탈락할 것을 우려한 쥘 리메의 프랑스 구하기라 비난하며, 월드컵이 유럽만의 축구대회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
1934년 이탈리아 대회에 이어 두 번째로 연속으로 유럽에서 대회를 개최하기로 한 결정은 남아메리카에서 분노를 일으켰다. 남아메리카에서는 개최지를 두 대륙이 번갈아 가며 가져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는 참가를 포기했다.
3. 지역 예선
이후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조별예선에서 탈락하기 전까지 모든 개최국이 2라운드 이상 진출하였다. 2001년 이전 대회 우승국의 자동 진출권은 폐지되었으며, 2002년 FIFA 월드컵의 프랑스를 끝으로 이전 대회 우승국 역시 지역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다.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미국, 멕시코는 유럽에서 월드컵이 연속으로 개최되는 것에 항의하여 대회 참가를 거부했다. 스페인은 스페인 내전으로 인해 참가할 수 없었다.
개최국 프랑스와 전 대회 우승국 이탈리아는 자동으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남은 14개의 본선 진출 자리는 유럽 11개, 아메리카 2개, 아시아 1개로 배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유럽 이외 국가는 브라질, 쿠바, 네덜란드령 동인도(인도네시아) 3개국만 참가했는데,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최초의 아시아 국가였다.[1] 이는 월드컵 역사상 개최 대륙 이외 국가의 최소 참가 기록이다.
오스트리아는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지만, 예선 종료 후 안슐루스로 독일에 합병되었다. 오스트리아는 기권했고, 일부 선수들은 독일 대표팀에 합류했지만, 마티아스 쉰델라르는 통합팀에서 뛰기를 거부했다.[2] 라트비아는 오스트리아 예선 조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참가 초청을 받지 못했고, 오스트리아의 자리는 공석으로 남았으며, 1차전 상대였을 스웨덴은 자동으로 2라운드에 진출하게 되었다.
쿠바와 네덜란드령 동인도(인도네시아)가 이 대회에 처음이자 유일하게 참가했다. 폴란드와 노르웨이도 이 대회를 통해 월드컵에 데뷔했다. 루마니아는 1970년까지, 폴란드와 네덜란드는 1974년까지, 노르웨이는 1994년까지 월드컵 본선에 다시 진출하지 못했다. 통일된 독일 팀은 1994년까지 다시 출전하지 않았지만, 오스트리아는 1954년에 복귀하여 3위를 차지했다.대륙 연맹 출전
枠수예선 조
예선 순위출전국·지역 출전 횟수 UEFA/CAF 2+11[11] 개최국 France|프랑스프랑스어 3회 연속 3회째 전 대회 우승국 Italia|이탈리아it 2회 연속 2회째 유럽 예선 1조 1위 Deutsches Reich|독일de 2회 연속 2회째 2위 Sverige|스웨덴sv 2회 연속 2회째 2조 1위 Norge|노르웨이no 첫 출전 3조 1위 Polska|폴란드pl 첫 출전 4조 1위 România|루마니아ro 3회 연속 3회째 5조 1위 Schweiz|스위스de 2회 연속 2회째 6조 1위 Magyarország|헝가리hu 2회 연속 2회째 7조 1위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 2회 연속 2회째 9조 1위 Nederland|네덜란드nl 2회 연속 2회째 2위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 3회 연속 3회째 CONMEBOL 1 남아메리카 예선 10조 1위 Brasil|브라질pt 3회 연속 3회째 CONCACAF 1 북중미카리브해 예선 11조 1위 Cuba|쿠바es 첫 출전 AFC 1 아시아 예선 12조 1위 Nederlands-Indië|네덜란드령 동인도nl 첫 출전 지역 예선 국가/팀 유럽 (UEFA) 21개 팀 중 12개 팀 France|프랑스프랑스어 (개최국), Italia|이탈리아it (1934년 FIFA 월드컵 우승국), Deutsches Reich|독일de, Sverige|스웨덴sv, Norge|노르웨이no, România|루마니아ro, Schweiz|스위스de, Magyarország|헝가리hu,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 Polska|폴란드pl, Nederland|네덜란드nl,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 남미 (CONMEBOL) 2개 팀 중 1개 팀 (1장) Brasil|브라질pt 북중미&카리브 (CONCACAF) 7개 팀 중 1개 팀 (1장) Cuba|쿠바es 아시아 (AFC) 2개 팀 중 1개 팀 (1장) Nederlands-Indië|네덜란드령 동인도nl
4. 개최 도시 및 경기장
1938년 FIFA 월드컵은 프랑스의 10개 도시, 10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당초 11개 경기장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오스트리아가 기권하면서 리옹의 제를랑 스타드는 사용되지 않았다.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사진 |
---|---|---|---|
앙티브 | 스타드 두 포트 카레 | 7,000명 | ![]() |
보르도 | 파르크 레스퀴르 | 35,200명 | ![]() |
르아브르 | 스타드 카비에 베르테 | 16,382명 | |
릴 | 스타드 빅터 보케이 | 15,000명 | |
마르세유 | 스타드 벨로드롬 | 45,000명 | |
파리 | 파르크 데 프랭스 | 48,713명 | ![]() |
콜롱브 (파리 인근) | 스타드 올랭피크 드 콜롱브 | 60,000명 | ![]() |
랭스 | 스타드 오구스테 들로네 | 21,684명 | ![]() |
스트라스부르 | 스타드 드 라 메노 | 29,320명 | |
툴루즈 | 스타드 드 툴루즈 | 35,472명 |
5. 선수 명단
1938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8년 FIFA 월드컵 본선에는 당초 16개 팀이 진출할 예정이었으나, 앙슐루스로 인해 오스트리아가 기권하면서 15개 팀이 참가했다.
최종 토너먼트에 참가한 모든 국가대표팀 명단은 '''1938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결선 토너먼트
1934년 FIFA 월드컵과 마찬가지로 1938년 FIFA 월드컵도 16개 팀이 참가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90분 경기 후 동점일 경우 30분 연장전이 주어졌다. 연장전 후에도 동점이면 재경기를 치렀다. 이는 단판 토너먼트 방식을 사용한 마지막 월드컵 대회였다.
1라운드 7경기 중 5경기가 연장전까지 진행되었고, 2경기는 재경기가 치러졌다. 재경기에서는 쿠바가 루마니아를, 스위스는 독일을 꺾었다. 오스트리아가 독일에 합병되면서 기권하여 스웨덴은 부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15]
8강전에서는 스웨덴이 쿠바를 8-0으로 대파했고, 프랑스는 이탈리아에, 스위스는 헝가리에 패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브라질과의 재경기 끝에 패했다.
준결승에서는 헝가리가 스웨덴을 5-1로, 이탈리아가 브라질을 2-1로 꺾었다. 3·4위전에서는 브라질이 스웨덴을 4-2로 이겼다.
결승전에서는 이탈리아가 헝가리를 4-2로 꺾고 월드컵 2연패를 달성했다. 이탈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50년 대회까지 16년간 월드컵 우승국 자리를 지켰다.[8]
6. 1. 16강전
1938년 FIFA 월드컵 16강전은 1938년 6월 4일부터 6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총 7경기가 열렸으며, 이 중 5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이 벌어졌고, 2경기는 재경기가 치러졌다.[4]- 독일 대 스위스: 6월 4일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첫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고,[15] 6월 9일 재경기에서는 스위스가 독일을 4-2로 꺾었다. 스위스는 2-0으로 앞서가던 독일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독일이 1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한 유일한 사례였다.[5]
- 헝가리 대 네덜란드령 동인도: 6월 5일 랭스의 스타드 오구스테 들로네에서 열린 경기에서 헝가리가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6-0으로 대파했다.
- 스웨덴 대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가 독일에 합병되면서 기권하여 스웨덴이 부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3]
- 쿠바 대 루마니아: 6월 5일 툴루즈의 스타드 드 툴루즈에서 열린 경기는 3-3 무승부로 끝났고, 6월 9일 재경기에서는 쿠바가 루마니아를 2-1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4]
- 프랑스 대 벨기에: 6월 5일 파리의 스타드 올랭피크 드 콜롱브에서 열린 경기에서 프랑스가 벨기에를 3-1로 꺾었다.
- 이탈리아 대 노르웨이: 6월 5일 마르세유의 스타드 벨로드롬에서 열린 경기는 연장전 끝에 이탈리아가 노르웨이를 2-1로 꺾었다.
- 브라질 대 폴란드: 6월 5일 스트라스부르의 스타드 드 라 메노에서 열린 경기는 연장전 끝에 브라질이 폴란드를 6-5로 꺾었다. 이 경기는 양 팀 선수들이 많은 골을 기록하며 명승부로 기록되었다.
- 체코슬로바키아 대 네덜란드: 6월 5일 르아브르의 스타드 카비에 베르테에서 열린 경기는 연장전 끝에 체코슬로바키아가 네덜란드를 3-0으로 꺾었다.
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1938년 6월 4일 | 독일 | 1 – 1 (연장) | 스위스 |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 27,152명 |
1938년 6월 5일 | 헝가리 | 6 – 0 | 네덜란드령 동인도 | 랭스, 스타드 오구스테 들로네 | 9,000명 |
1938년 6월 5일 | 스웨덴 | 부전승[15] | 오스트리아 | 리옹, 스타드 드 제를랑 | |
1938년 6월 5일 | 쿠바 | 3 – 3 (연장) | 루마니아 | 툴루즈, 스타드 드 툴루즈 | 7,000명 |
1938년 6월 5일 | 프랑스 | 3 – 1 | 벨기에 | 파리, 스타드 올랭피크 드 콜롱브 | 30,454명 |
1938년 6월 5일 | 이탈리아 | 2 – 1 (연장) | 노르웨이 | 마르세유, 스타드 벨로드롬 | 19,000명 |
1938년 6월 5일 | 브라질 | 6 – 5 (연장) | 폴란드 | 스트라스부르, 스타드 드 라 메노 | 13,452명 |
1938년 6월 5일 | 체코슬로바키아 | 3 – 0 (연장) | 네덜란드 | 르아브르, 스타드 카비에 베르테 | 11,000명 |
1938년 6월 9일 | 독일 | 2 – 4 | 스위스 |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 20,025명 |
1938년 6월 9일 | 쿠바 | 2 – 1 | 루마니아 | 툴루즈, 스타드 드 툴루즈 | 8,000명 |
6. 2. 8강전
1938년 FIFA 월드컵 8강전은 1938년 6월 12일에 4경기, 6월 14일에 1경기가 치러졌다.경기 | 결과 | 장소 | 관중 수 | 비고 |
---|---|---|---|---|
헝가리 vs 스위스 | 2 - 0 | 릴 스타드 빅터 보케이 | 15,000명 | 샤로시, 즈센겔러 득점[18] |
스웨덴 vs 쿠바 | 8 - 0 | 앙티브 스타드 두 포트 카레 | 7,000명 | 셸레르[19][20][21], 베터스트룀[22], 니베리, 안데르손[23] 득점 |
이탈리아 vs 프랑스 | 3 - 1 | 파리 스타드 올랭피크 드 콜롱브 | 58,455명 | 콜라우시, 피올라, 이스러 득점 |
브라질 vs 체코슬로바키아 | 1 - 1 | 보르도 파르크 레스퀴르 | 22,021명 | 레오니다스, 네예들리 득점, 연장전까지 진행 |
브라질 vs 체코슬로바키아 | 2 - 1 | 보르도 파르크 레스퀴르 | 18,141명 | 레오니다스, 호베르투[24], 코페츠키 득점, 재경기 |
특히 브라질과 체코슬로바키아의 8강 1차전은 격렬한 경기 양상으로 인해 보르도 전투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경기는 월드컵 역사상 마지막으로 치러진 재경기였다.
6. 3. 4강전
1938년 6월 16일, 헝가리는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스웨덴을 5-1로 크게 이겼다.[6] 같은 날 마르세유의 스타드 벨로드롬에서는 이탈리아가 브라질을 2-1로 꺾었다.[6] 이 경기는 이탈리아와 브라질이 월드컵에서 여러 차례 치른 중요한 경기 중 하나였다. 브라질의 스타 선수 레오니다스가 부상으로 결장한 가운데, 이탈리아가 승리했다.[6]경기 | 날짜 | 시간 | 장소 | 결과 | 관중 수 |
---|---|---|---|---|---|
헝가리 vs 스웨덴 | 1938년 6월 16일 | 18:00 |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 5 - 1 | 20,000명 |
이탈리아 vs 브라질 | 1938년 6월 16일 | 18:00 | 마르세유, 스타드 벨로드롬 | 2 - 1 | 33,000명 |
6. 4. 3·4위전
1938년 6월 19일 17시, 보르도의 파르크 레스퀴르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브라질이 스웨덴을 4-2로 꺾었다.[6] 스웨덴은 요나손과 니베리가 득점했지만, 브라질은 로메우, 레오니다스 (2골), 페라치오의 득점으로 승리했다.[6] 이 경기의 관중 수는 12,000명이었고, 주심은 벨기에의 욘 랑게누스였다.[6]6. 5. 결승전
1938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1938년 6월 19일 프랑스 파리의 스타드 올랭피크 드 콜롱브에서 열린 1938년 FIFA 월드컵의 결승전이다. 이탈리아가 헝가리를 4-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경기 초반 이탈리아가 콜라우시의 골로 앞서나갔지만, 헝가리는 2분 만에 티트코시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이탈리아는 피올라와 콜라우시의 연속골로 다시 리드를 잡았고, 전반전을 3-1로 앞선 채 마쳤다. 후반 25분 헝가리의 샤로시가 한 골을 만회했지만, 피올라가 다시 골을 넣어 이탈리아가 4-2로 승리했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한 팀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월드컵은 12년 동안 중단되었고, 이탈리아는 1934년부터 1950년까지 16년 동안 월드컵 우승국 자리를 지켰다.[8]
경기 정보 | ||
---|---|---|
날짜 | 1938년 6월 19일 | |
시간 | 17:00 (현지 시각) | |
경기장 | 스타드 올랭피크 드 콜롱브, 파리 | |
관중 수 | 45,000명 | |
주심 | 조르주 카프드빌 (프랑스) | |
헝가리 | 2 - 4 | |
이탈리아 | ||
티트코시 (8분) 샤로시 (70분) | 득점 | 콜라우시 (6분, 35분) 피올라 (16분, 82분)[25] |
7. 우승국
- -
'''이탈리아'''는 1934년과 1938년에 연속으로 우승하였다.[1][4]
8.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국가 | 득점 |
---|---|---|---|
1 | 레오니다스 | -- | 7 |
2 | 샤로시 죄르지 | -- | 5 |
죄르지 젠게셸러 | -- | ||
실비오 피올라 | -- | ||
5 | 지노 콜라우시 | -- | 4 |
에른스트 빌리모프스키 | -- | ||
7 | 페라시오 | -- | 3 |
로메우 | -- | ||
구스타브 베터스트룀 | -- | ||
아르네 니베리 | -- | ||
토레 셸레르 | -- | ||
앙드레 아베글렌 | -- | ||
엑토르 소코로 | -- | ||
14 | 올드리치 네예들리 | -- | 2 |
장 니콜라 | -- | ||
실비우 빈데아 | -- | ||
슈테판 도베이 | -- | ||
18 | 앙리 이셈보르스 | -- | 1 |
호베르투 | -- | ||
토마스 페르난데스 | -- | ||
카를로스 올리베이라 | -- | ||
후안 투냐스 | -- | ||
블라스티밀 코페츠키 | -- | ||
요세프 코스탈렉 | -- | ||
요세프 제만 | -- | ||
오스카 이스러 | -- | ||
에밀 베이낭트 | -- | ||
조셉 가우첼 | -- | ||
빌헬름 하네만 | -- | ||
코후트 빌모스 | -- | ||
사시 페렌츠 | -- | ||
톨디 게챠 | -- | ||
티트코시 팔 | -- | ||
피에트로 페라리스 | -- | ||
주세페 메아차 | -- | ||
아르네 브루스타드 | -- | ||
프리드릭 쉐프케 | -- | ||
율리우 바라치 | -- | ||
22 | 스벤 요나손 | -- | 1 |
23 | 알프레드 비첼 | -- | 1 |
24 | 오이겐 발라스체크 | -- | 1 |
자책골 | |||
에른스트 뢰쳐 (독일전) | -- | 1 |
9. 최종 순위
1986년, FIFA은 1986년까지의 모든 월드컵에서 각 팀의 순위를 대회 성적, 전반적인 결과 및 상대팀의 질을 기준으로 발표하는 보고서를 발간했다.[9][10] 1938년 대회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1 | 이탈리아 | 4 | 4 | 0 | 0 | 11 | 5 | +6 | 8 | |
2 | 헝가리 | 4 | 3 | 0 | 1 | 15 | 5 | +10 | 6 | |
3 | 브라질 | 5 | 3 | 1 | 1 | 14 | 11 | +3 | 7 | |
4 | 스웨덴 | 3 | 1 | 0 | 2 | 11 | 9 | +2 | 2 | |
8강전 탈락 | ||||||||||
5 | 체코슬로바키아 | 3 | 1 | 1 | 1 | 5 | 3 | +2 | 3 | |
6 | 스위스 | 3 | 1 | 1 | 1 | 5 | 5 | 0 | 3 | |
7 | 쿠바 | 3 | 1 | 1 | 1 | 5 | 12 | −7 | 3 | |
8 | 프랑스 | 2 | 1 | 0 | 1 | 4 | 4 | 0 | 2 | |
16강전 탈락 | ||||||||||
9 | 루마니아 | 2 | 0 | 1 | 1 | 4 | 5 | -1 | 1 | |
10 | 독일 | 2 | 0 | 1 | 1 | 3 | 5 | –2 | 1 | |
11 | 폴란드 | 1 | 0 | 0 | 1 | 5 | 6 | −1 | 0 | |
12 | 노르웨이 | 1 | 0 | 0 | 1 | 1 | 2 | −1 | 0 | |
13 | 벨기에 | 1 | 0 | 0 | 1 | 1 | 3 | −2 | 0 | |
14 | 네덜란드 | 1 | 0 | 0 | 1 | 0 | 3 | −3 | 0 | |
15 | 네덜란드령 동인도 | 1 | 0 | 0 | 1 | 0 | 6 | −6 | 0 | |
16 | 오스트리아 | 기권 |
10. 기록
- '''총 득점:''' 84골 (18경기/평균 4.66골)
- '''월드컵 200호골:''' 토레 셸레르 (1938년 6월 12일 쿠바전)
- '''최다득점 선수:''' 레오니다스 (7골)
- '''해트트릭'''
- 1938년 6월 5일 브라질 대 폴란드 - 레오니다스 (해트트릭 7호)
- 1938년 6월 5일 브라질 대 폴란드 - 에른스트 빌리모브스키 (해트트릭 8호)
- 1938년 6월 12일 스웨덴 대 쿠바 - 구스타브 베터스트룀 (해트트릭 9호)
- 1938년 6월 12일 스웨덴 대 쿠바 - 토레 셸레르 (해트트릭 10호)
- 1938년 6월 16일 헝가리 대 스웨덴 - 기울라 즈센겔러 (해트트릭 11호)
참조
[1]
웹사이트
Did you know Dutch East Indies, erstwhile Indonesia, were the first flagbearers of Asia in FIFA World Cup?
https://www.fifa.com[...]
2024-01-02
[2]
뉴스
World Cup: 25 stunning moments … No11: Austria's Wunderteam
https://www.theguard[...]
2014-04-22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orld Cup Final Draw
https://web.archive.[...]
2012-03-26
[4]
서적
Tor!: The Story of German Football
https://books.google[...]
WSC Books
[5]
웹사이트
Germany crashed out of the World Cup group stages and finished bottom of Group F after defeat to South Korea
https://www.theguard[...]
2018-06-27
[6]
간행물
Faltaram os papéis
Editora Abril
2005-11-01 #추정 날짜
[7]
웹사이트
World Cup stunning moments: Mussolini's blackshirts' 1938 win
http://www.theguardi[...]
2018-04-05
[8]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2014-06-14
[9]
웹사이트
Mexico 1986
https://digitalhub.f[...]
FIFA
2021-07-08
[10]
웹사이트
FIFA World Cup: Milestones, facts & figures. Statistical Kit 7
https://web.archive.[...]
FIFA
2013-03-26
[11]
문서
1938년 3월 오스트리아의 독일 합병으로 인한 스웨덴의 부전승
[12]
문서
千田2006, 39頁
[13]
문서
千田2006, 40頁
[14]
문서
千田2006, 42頁
[15]
문서
오스트리아의 나치 독일 합병으로 인한 스웨덴의 부전승
[16]
문서
RSSSF 기록에 따른 골 기록 시간 (118분)
[17]
문서
RSSSF 기록에 따른 골 기록 시간 (111분)
[18]
문서
RSSSF 기록에 따른 골 기록 시간 (90분)
[19]
문서
RSSSF 기록에 따른 득점자 (하리 안데르손)
[20]
문서
RSSSF 기록에 따른 골 기록 시간 (60분)
[21]
문서
RSSSF 기록에 따른 득점자 및 시간 (하리 안데르손, 61분)
[22]
문서
RSSSF 기록에 따른 골 기록 시간 (22분)
[23]
문서
RSSSF 기록에 따른 골 기록 시간 (89분)
[24]
문서
FIFA의 레오니다스 득점 기록 수정 (2006년 호베르투로 정정)
[25]
문서
RSSSF 기록에 따른 골 기록 시간 (85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