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대회로, 시드니 시 수립 15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다. 육상, 수영, 복싱, 사이클, 론볼, 조정, 레슬링 등 7개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데시마 노먼이 육상에서 5관왕을 차지했다. 총 15개 국가 및 지역이 참가했으며, 피지와 실론이 처음으로 참여했다. 대회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다가 1950년에 재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38년 극동 선수권 대회
- 시드니의 스포츠 대회 - 2000년 하계 올림픽
2000년 하계 올림픽은 2000년 9월 15일부터 10월 1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개최되었으며, 태권도와 트라이애슬론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고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이 한반도기를 들고 공동 입장했으며, 미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시드니의 스포츠 대회 - 2000년 하계 패럴림픽
2000년 하계 패럴림픽은 2000년 호주 시드니에서 123개국 선수들이 18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호주가 종합 1위를 차지했으나, 스페인 농구팀 부정 출전 사건 등 논란이 있었고, 패럴림픽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193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 |
---|---|
대회 개요 | |
정식 명칭 | 제3회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
영문 명칭 | III British Empire Games |
개최 도시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참가 국가 수 | 15개국 |
참가 선수 | 464명 |
경기 종목 수 | 7경기 71종목 |
개막일 | 1938년 2월 5일 |
폐막일 | 1938년 2월 12일 |
개막 선언 | 존 로더, 제2대 웨이크허스트 남작 |
주 경기장 | 시드니 크리켓 그라운드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제2회 |
다음 대회 | 제4회 |
기타 | |
관련 웹사이트 | 코먼웰스 게임 연맹 - 시드니 1938 |
2. 개최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의 도시 수립 150주년 기념행사를 겸하여 치러진 대회였다.[4][5] 주경기장으로 시드니 크리켓 그라운드를 활용하고, 이밖에 시드니 스포츠 그라운드, 노스 시드니 올림픽 수영장, 헨슨 파크 등의 경기장이 활용됐다. 개막식에는 총 4만여 명의 관객이 참석했다. 선수촌은 시드니 쇼그라운드의 부지를 활용하였다.[4][5]
193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에서는 육상, 수영, 복싱, 사이클, 론볼, 조정, 레슬링 등 7개 종목이 진행되었다. 여자 선수는 복싱과 레슬링을 제외한 종목에 참가하였다.
대회 초반 오스트레일리아의 데시마 노먼이 육상 트랙 필드 종목에서 5개의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이 대회 수영 여자 배영 220야드 경기에 출전하여 5위를 기록한 마거렛 도비는 훗날 오스트레일리아 수상이 되는 고프 휘틀럼의 아내가 되었다.
이 대회가 폐막하고 제2차 세계 대전이 터지면서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은 수년간 중단되었다가 1950년 대회부터 재개되었다.
3. 경기 종목
3. 1. 육상
오스트레일리아의 데시마 노먼이 5관왕을 달성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여자 선수는 복싱과 레슬링을 제외한 경기에 참가했다.
193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육상
3. 2. 수영
오스트레일리아의 고프 휘틀럼(훗날 오스트레일리아 수상)의 부인 마거렛 도비가 여자 배영 220야드 경기에서 5위를 기록했다.
3. 3. 복싱
193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에서 복싱은 남자부 경기만 진행되었다. 플라이급에서는 조니 주베르(SAF), 밴텀급에서는 윌리엄 버틀러(ENG), 페더급에서는 바니 헨리쿠스(CEY), 라이트급에서는 해리 그로브스(ENG), 웰터급에서는 빌 스미스(AUS), 미들급에서는 데니스 리어든(WAL|1807), 라이트 헤비급에서는 닉 월마란스(SAF), 헤비급에서는 토머스 오스본(CAN|1921)이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체급 | 금 | 은 | 동 |
---|---|---|---|
플라이급 | 조니 주베르/Johnny Joubert영어 (SAF) | 조 게뇽 (CAN) | 휴 캐머런/Hugh Cameron영어 (SCO) |
밴텀급 | 윌리엄 버틀러/William Butler영어 (ENG) | 헨드릭 크노에센/Hendrik Knoesen영어 (SAF) | 잭 딜런/Jack Dillon영어 (AUS) |
페더급 | 바니 헨리쿠스/Barney Henricus영어 (CEY) | 제임스 왓슨/James Watson영어 (SCO) | 케네스 모란/Kenneth Moran영어 (NZL) |
라이트급 | 해리 그로브스/Harry Groves영어 (ENG) | 해리 허스트/Harry Hurst영어 (CAN) | 윌리엄 풀턴/William Fulton영어 (RHO) |
웰터급 | 빌 스미스/Bill Smith영어 (AUS) | 아서 히니/Arthur Heeney영어 (NZL) | 앤드루 치린도니스/Andrew Chirlindonis영어 (RHO) |
미들급 | 데니스 리어든/Denis Reardon영어 (WAL) | 모리스 데니스/Maurice Dennis영어 (ENG) | 렉스 캐리/Rex Carey영어 (CAN) |
라이트 헤비급 | 닉 월마란스/Nick Wolmarans영어 (SAF) | 세실 오버렐/Cecil Overell영어 (AUS) | 조셉 윌비/Joseph Wilby영어 (ENG) |
헤비급 | 토머스 오스본/Thomas Osborne영어 (CAN) | 클로드 스털리/Claude Sterley영어 (SAF) | 레슬리 할리/Leslie Harley영어 (AUS) |
3. 4. 사이클
wikitable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타임 트라이얼 | 22x20px 밥 포터 (AUS) 1:15.2 | 22x20px 태스만 존슨 (AUS) 1:15.7 | 22x20px 어니스트 밀스 (ENG) 1:15.9 |
스프린트 1000 야드 | 22x20px 덩크 그레이 (AUS) | 22x20px 밥 포터 (AUS) | 22x20px 조지 자일스 (NZL) |
10마일 스크래치 | 22x20px 윌리엄 맥스필드 (ENG) 24:44.0 | 22x20px 레이 힉스 (ENG) | 22x20px 시드 로즈 (SAF) |
종목 | 금메달 | 시간/기록 | 은메달 | 시간/기록 | 동메달 | 시간/기록 |
---|---|---|---|---|---|---|
도로 경기 | 22x20px 헤니 빈네만(SAF) | 2'53:29.6 | 22x20px 존 브라운 (NZL) | s.t. | 22x20px 레이 존스 (ENG) | s.t. |
3. 4. 1. 트랙
wikitable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타임 트라이얼 | 1:15.2 | 1:15.7 | 1:15.9 |
스프린트 1000 야드 | |||
10마일 스크래치 | 24:44.0 | 시드 로즈 (SAF) |
여자 선수는 복싱과 레슬링을 제외한 경기에 참가했다.
3. 4. 2. 로드
wikitable종목 | 금메달 | 시간/기록 | 은메달 | 시간/기록 | 동메달 | 시간/기록 |
---|---|---|---|---|---|---|
도로 경기 | 헤니 빈네만(SAF) | 2'53:29.6 | s.t. | s.t. |
3. 5. 론볼
론볼은 193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에서 열린 종목 중 하나였다. 여자 선수는 복싱과 레슬링을 제외한 경기에 참가했다.3. 6. 조정
193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의 조정 경기는 남자부 경기만 진행되었다.[3] 싱글 스컬에서는 Herb Turner(오스트레일리아)가 8분 24초로 금메달을, Peter Jackson(잉글랜드)이 은메달을, Robert Smith(뉴질랜드)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블 스컬에서는 Cecil Pearce와 William Bradley(오스트레일리아)가 7분 29.4초로 금메달을, Jack Offer와 Dick Offer(잉글랜드)가 은메달을, Gus Jackson과 Robert Smith(뉴질랜드)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블 스컬 경기는 초청 경기였으며 원래는 메달이 수여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이 메달도 집계된다. 동메달은 뉴질랜드가 획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콕스드 포어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Don Fraser, Gordon Freeth, Harry Kerr, Jack Fisher, Stewart Elder)가 7분 16.8초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뉴질랜드(Albert Hope, George Burns, John Rigby, Ken Boswell, Jim Clayton)가 1.25 길이 차이로 은메달, 캐나다(Donald Davis, James Temple, James MacDonald, Kenneth Jaggard, Max Winkler)가 0.75 길이 차이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에이트에서는 잉글랜드(Basil Beazley, Desmond Kingsford, John Sturrock, John Burrough, John Turnbull, Peter Jackson, Rhodes Hambridge, J. Tim Turner, William Reeve)가 6분 29초로 금메달을, 오스트레일리아(Joe Gould, Alfred Gregory, Ted Bromley, Frank le Souef, Gordon Yewers, Richard Paramor, William Godfrey Thomas, Bill Dixon, Doug Bowden)가 0.75 길이 차이로 은메달을, 뉴질랜드(Gus Jackson, Cyril Stiles, Rangi Thompson, Howard Benge, John Charters, Les Pithie, Oswald Denison, James Gould, William Stodart)가 2 길이 차이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3. 7. 레슬링
모든 경기는 남자부만 진행되었다.종목 | 금 | 은 | 동 |
---|---|---|---|
밴텀급 | 테드 퍼셀/Ted Purcell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버논 블레이크/Vernon Blake영어 (캐나다) | 레이 카조/Ray Cazaux영어 (잉글랜드) |
페더급 | 로이 퍼체이스/Roy Purchase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래리 클라크/Larry Clarke영어 (캐나다) | 조 제넷/Joe Genet영어 (뉴질랜드) |
라이트급 | 딕 개러드/Dick Garrard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버논 토마스/Vernon Thomas영어 (뉴질랜드) | 앨프리드 하딩/Alfred Harding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
웰터급 | 톰 트레바스키스/Tom Trevaskis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펠릭스 스탠더/Felix Stander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 제리 포듀르스키/Jerry Podjursky영어 (뉴질랜드) |
미들급 | 테리 에반스/Terry Evans영어 (캐나다) | 피터 셰스비/Peter Sheasby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슬리 제퍼스/Leslie Jeffers영어 (잉글랜드) |
라이트 헤비급 | 에디 스카프/Eddie Scarf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시드니 그린스팬/Sidney Greenspan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 토마스 워드/Thomas Ward영어 (스코틀랜드) |
헤비급 | 잭 나이트/Jack Knight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짐 드라이든/Jim Dryden영어 (뉴질랜드) | 존 윌란/John Whelan영어 (캐나다) |
여자 선수는 복싱과 레슬링을 제외한 경기에 참가했다.
4. 참가국
제3회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에는 총 15개 국가 및 지역이 참가했다. 피지 및 실론(현재의 스리랑카)이 처음으로 참가했다.
4. 1. 참가국 목록
제3회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에는 총 15개 국가가 참가했다. 피지 및 실론(현재의 스리랑카)이 처음으로 참가했다.
5. 메달 순위
순위 | 국가·지역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gold; width:|wikitable sortable}}"|금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silver; width:}|wikitable sortable}}"|은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c96; width:}|wikitable sortable}}"|동 !scope="col" style="width:}|wikitable sortable}};"|계 |- | 1 ||style="text-align:left;"| 오스트레일리아 || 25 || 19 || 22 || 66 |- | 2 ||style="text-align:left;"| 잉글랜드 || 15 || 15 || 10 || 40 |- | 3 ||style="text-align:left;"| 캐나다 || 13 || 16 || 15 || 44 |- | 4 ||style="text-align:left;"| 남아프리카 연방 || 10 || 10 || 6 || 26 |- | 5 ||style="text-align:left;"| 뉴질랜드 || 5 || 7 || 13 || 25 |- | 6 ||style="text-align:left;"| 웨일스 || 2 || 1 || 0 || 3 |- | 7 ||style="text-align:left;"| 실론 || 1 || 0 || 0 || 1 |- | 8 ||style="text-align:left;"| 스코틀랜드 || 0 || 2 || 3 || 5 |- | 9 ||style="text-align:left;"| 영국령 기아나 || 0 || 1 || 0 || 1 |- | 10 ||style="text-align:left;"| 남로디지아 || 0 || 0 || 2 || 2 |- || || |'''합계'''||71 || 71 || 71 || 213 |} 참조
[1]
웹사이트
Sydney 1938
https://web.archive.[...]
2019-12-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