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45년 프랑스 국민투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5년 프랑스 국민투표는 1945년 10월 21일에 실시되었으며, 두 개의 질문에 대한 찬반을 묻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질문은 총선으로 구성될 의회가 제헌 의회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한 찬반을 묻는 것이었고, 두 번째 질문은 새로운 헌법이 시행될 때까지 공공 사무를 투표 용지 뒷면에 제시된 법률 제안에 따라 조직되는 것에 동의하는지를 묻는 것이었다. 첫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압도적인 찬성(96.4%)을 얻었으며, 두 번째 질문에서는 66.5%의 찬성률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국민투표 - 1945년 몽골 독립 국민투표
    1945년 몽골 독립 국민투표는 몽골 인민 공화국에서 실시되어 투표자 100%의 찬성으로 몽골의 독립을 확고히 했으며, 이후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승인을 받았으나, 결과의 진실성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었다.
  • 1945년 프랑스 - 독일의 항복문서
    독일의 항복문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의 무조건 항복을 규정하며, 독일의 완전한 군사적 패배 인정, 무장 해제, 분할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 1945년 프랑스 - 1945년 프랑스 총선
    1945년 프랑스 총선은 1945년 10월 21일에 치러졌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의 정치적 재편을 결정하는 중요한 선거로서, 3당 연합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고 국민의회가 헌법 제정 및 제4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1945년 10월 - 유엔 헌장
    유엔 헌장은 제2차 세계대전 후 국제 평화와 안보 유지를 목표로 1945년에 제정된 국제연합의 기본 규약으로서 회원국의 권리와 의무, 유엔 주요 기관의 기능과 권한, 국제 분쟁 해결 절차, 평화에 대한 위협 대응 방안 등을 규정하며 국제법의 근간을 이룬다.
  • 1945년 10월 - 베트남 전쟁 (1945년~1946년)
    베트남 전쟁 (1945년~1946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약화된 틈을 타 베트남의 독립을 추구하는 베트민과 프랑스, 연합군 간의 초기 분쟁으로, 북위 16도선 분할 점령과 프랑스의 재진주 시도, 베트민의 저항, 하노이 전투를 거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프랑스 국민투표
국민투표 개요
명칭1945년 프랑스 헌법 국민투표
프랑스어 명칭Référendum constitutionnel français de 1945
날짜1945년 10월 21일
위치프랑스
질문 1
질문 내용현재 선출된 의회가 헌법 제정 의회로서 기능하는 것에 동의하는가?
선택지찬성
반대
찬성18,584,746표
반대699,136표
총 투표수20,353,985표
유권자 수25,744,992명
질문 2
질문 내용새 헌법이 시행될 때까지, 투표용지 뒷면에 쓰여진 법안에 따라 정부가 조직되는 것에 동의하는가?
선택지찬성
반대
찬성12,794,943표
반대6,449,206표
총 투표수20,353,985표
유권자 수25,744,992명

2. 배경

유권자들은 같은 날 선출된 의회가 제헌 의회로서 기능하는 것을 승인할지 여부와, 새로운 헌법이 승인될 때까지 투표 용지에 명시된 법안에 따라 국가를 통치할지 여부를 묻는 질문을 받았다. 만약 첫 번째 제안이 부결되었다면 제3공화국 체제가 부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제안이 승인됨에 따라, 선거로 선출된 의회가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고 1년 뒤 국민에게 이를 제안하여 제4공화국이 탄생하는 길을 열었다. 두 제안 모두 79.8%라는 높은 투표율로 가결되었다.[4]

3. 국민투표 질문

유권자들은 1945년 10월 21일 총선과 함께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두 가지 질문에 답해야 했다.[4]

첫 번째 질문은 같은 날 선출된 의회가 제헌 의회로서 기능하는 것에 동의하는지 여부였다. 만약 이 제안이 부결되었다면, 제3공화국 체제가 부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제안이 가결됨에 따라, 새로 선출된 의회는 헌법을 제정하고 1년 후 국민에게 이를 제안하여 제4공화국 출범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4]

두 번째 질문은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어 시행될 때까지, 투표용지 뒷면에 제시된 법률안에 따라 임시 정부를 조직하고 공공 사무를 운영하는 것에 동의하는지 여부였다.[4]

두 제안 모두 79.8%의 높은 투표율 속에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되었다.[4]

3. 1. 첫 번째 질문

국민투표의 첫 번째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 지금 선출될 의회가 제헌 의회 역할을 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질문 1 결과 요약'''
선택프랑스 본토총계
득표수%득표수%
찬성17,957,86896.4%18,584,74696.4%
반대670,6723.6%699,1363.6%
유효표 합계18,628,540100.0%19,283,882100.0%
무효/기권표1,025,7441,070,103
총 투표수19,654,28420,353,985
등록 유권자수25,744,992
투표율79.06%



'''질문 1 상세 결과'''
항목득표수비율 (%)
찬성18,584,74696.37%
반대699,1363.63%
유효표 합계19,283,882100% (총 투표수의 94.74%)
무효표1,070,1035.26% (총 투표수 대비)
총 투표수20,353,985100% (투표율 79.06%)
기권5,391,00720.94% (선거인 대비)
등록 유권자수25,744,992100%


3. 2. 두 번째 질문

:''새로운 헌법이 시행될 때까지 공공 사무는 투표 용지 뒷면에 제시된 법률 제안에 따라 조직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선택프랑스 본토합계
득표수%득표수%
찬성12,317,88266.512,794,94366.5
반대6,217,51233.56,449,20633.5
무효/기권1,064,8901,109,836
총계19,645,28410020,353,985100
출처: 뇔렌 & 슈퇴버


4. 결과

1945년 10월 21일에 실시된 국민투표는 두 가지 주요 사안에 대해 프랑스 유권자들의 의사를 물었다.[4]

첫 번째 질문은 같은 날 1945년 프랑스 총선을 통해 선출된 의회가 새로운 헌법을 제정할 제헌 의회로서 기능하는 것에 동의하는지 여부였다. 이 제안은 투표자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가결되었다. 만약 이 제안이 부결되었다면 프랑스 제3공화국 체제가 그대로 유지될 예정이었으나, 가결됨으로써 새로운 공화국 수립의 길이 열렸다.[4]

두 번째 질문은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어 효력을 발휘하기 전까지, 투표 용지에 명시된 임시 법률안에 따라 국가를 운영하는 것에 동의하는지 묻는 것이었다. 이 질문 역시 과반수의 찬성으로 가결되었다.[4]

두 제안 모두 높은 투표율 속에 통과되었으며, 이 결과는 프랑스 제3공화국의 종식과 프랑스 제4공화국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정치적 전환점이 되었다.[4]

4. 1. 첫 번째 질문 (제헌 의회 구성)

국민투표의 첫 번째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지금 선출될 의회가 제헌 의회 역할을 하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이 질문은 1945년 프랑스 총선과 함께 치러졌으며, 유권자들은 같은 날 선출된 의회가 새로운 헌법을 제정할 제헌 의회로서 기능하는 것을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해야 했다. 만약 이 제안이 부결되었다면 프랑스 제3공화국 체제가 부활할 예정이었으나,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되었다. 이 결과는 선출된 의회가 헌법을 기안하고 1년 후에 국민에게 제안하여 프랑스 제4공화국을 탄생시키는 길을 열었다.[4]

=== 투표 결과 ===

선택프랑스 본토총계
득표수%득표수%
찬성17,957,86896.418,584,74696.4
반대670,6723.6699,1363.6
무효/기권1,025,7441,070,103
총계19,654,28410020,353,985100
출처: 뇔렌 & 슈퇴버



총 투표율은 79.8%였다.[4]

4. 2. 두 번째 질문 (임시 법률)

(신헌법 시행 전 임시 법률안 동의 여부)선택득표수비율 (%)찬성12,794,94366.49반대6,449,20633.51유효표 합계19,244,149100.00무효표1,109,836-총 투표수20,353,985-등록 유권자 수25,744,992-투표율79.06%출처: 뇔렌 & 슈퇴버[4]



투표 결과, 찬성표가 과반수를 넘어 가결되었다. 이로써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임시 법률에 따라 국가가 운영되게 되었다.[4] 투표율은 79.06% (다른 자료에서는 79.8%로 기록되기도 함)로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4]

5. 영향

국민투표 결과, 유권자들은 두 가지 제안을 모두 가결시켰다.[4] 투표율은 79.8%에 달했다.[4] 첫 번째 제안의 가결로, 같은 날 선출된 의회는 제헌 의회로서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게 되었다. 만약 이 제안이 부결되었다면 프랑스 제3공화국이 부활했을 것이지만, 가결됨에 따라 제헌 의회는 1년 안에 헌법 초안을 마련하여 국민에게 제안하게 되었고, 이는 프랑스 제4공화국의 탄생으로 이어졌다.[4] 두 번째 제안의 가결로, 새로운 헌법이 승인될 때까지 투표 용지에 명시된 임시 법안에 따라 국가가 통치되게 되었다.[4]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2] 서적
[3]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4] 서적
[5] 서적
[6]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