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8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알렉산드르 알레힌의 사망으로 공석이 된 세계 체스 챔피언 자리를 결정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FIDE는 1938년 AVRO 대회 참가자 중 생존자들을 중심으로 대회를 열기로 결정했고, 막스 오이베, 미하일 보트빈니크, 폴 케레스, 바실리 스미슬로프, 새뮤얼 리셰브스카이, 5명의 선수가 5라운드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미하일 보트빈니크가 14점으로 우승하며 새로운 세계 챔피언이 되었고, 바실리 스미슬로프가 2위, 폴 케레스와 새뮤얼 리셰브스카이가 공동 3위를 기록했다. 대회 결과와 관련하여, 폴 케레스가 보트빈니크의 우승을 돕기 위해 고의로 패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체스 역사가들의 연구 결과 고의적인 패배는 없었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네덜란드 - 브뤼셀 조약
브뤼셀 조약은 냉전 초기 소련의 위협과 부흥하는 독일에 대비하여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영국 5개국이 체결한 상호방위 조약으로, 서유럽 연합(WEU)으로 발전 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출범으로 역할이 축소되어 종료되었다. - 1948년 네덜란드 - 1948년 하계 올림픽 네덜란드 선수단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네덜란드 선수단은 파니 블랑케르스-코언의 4관왕을 포함하여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다양한 종목과 미술 경기에도 참가했다.
1948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1948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
관련 대회 | 월드 체스 챔피언십 1948 |
주관 기구 | FIDE |
![]() | |
개최지 | 네덜란드 헤이그,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 |
대회 기간 | 1948년 3월 2일 – 1948년 5월 17일 |
참가자 수 | 5명 |
참가 국가 수 | 3개국 |
우승자 | 미하일 보트비니크 |
우승 점수 | 20점 중 14점 |
이전 대회 | 1937년 |
다음 대회 | 1951년 |
2. 궐위 기간
이전에는 새 세계 챔피언이 되려면 이전 챔피언을 매치에서 이겨야 했다. 알레힌의 사망은 이를 불가능하게 만들어, 세계 챔피언 자리가 비는 궐위 기간이 발생했다.[13]
이전에는 세계 체스 챔피언이 되려면 이전 챔피언을 매치에서 이겨야 했지만, 알렉산드르 알레힌의 사망으로 인해 이러한 방식이 불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세계 체스 챔피언 자리는 공석이 되었고,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논의가 있었다.[13]
이 상황은 큰 혼란을 야기했고, 많은 선수들과 해설가들이 서로 다른 해결책을 제시했다. 국제 체스 연맹(FIDE)는 재정, 통신 및 이동 문제로 인해 이 궐위 상황을 해결할 방법을 찾기 어려웠다.[13]
최종 해결책은 FIDE의 최초 제안 및 소련의 제안과 유사했다. 1938년 AVRO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 중 생존한 6명, 즉 막스 오이베, 미하일 보트빈니크, 폴 케레스, 살로 플로르, 루벤 파인, 새뮤얼 리셰브스카이가 4회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대회를 치르는 것이었다.
이후 플로르는 바실리 스미슬로프로 대체되었는데, 스미슬로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등장한 더 강력한 젊은 선수였다. 파인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초대를 거절했다. 파인 대신 미구엘 나이도르프를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지만,[12] 결국 5명이 5라운드 로빈 대회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13]
3. 1948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국제 체스 연맹(FIDE)는 재정, 통신, 이동 문제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해결책을 찾았다.[13] FIDE는 1938년 AVRO 체스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들 중 생존한 6명, 즉 막스 오이베, 미하일 보트빈니크, 파울 케레스, 살로 플로르, 루벤 파인, 새뮤얼 리셰브스카이를 초청하여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살로 플로르는 바실리 스미슬로프로 교체되었고, 루벤 파인은 불참하면서 최종적으로 5명의 선수가 참가하게 되었다.[13]
3. 1. 대회 진행 및 결과
대회는 5명의 선수가 5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미하일 보트빈니크가 20점 만점에 14점으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세계 체스 챔피언에 등극했다. 바실리 스미슬로프가 11점으로 2위, 파울 케레스와 새뮤얼 리셰브스카이가 10.5점으로 공동 3위를 기록했다. 막스 오이베는 4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5]
토너먼트 전, 보트빈니크는 1946년 흐로닝언에서의 승리와 전쟁 전의 성적으로 인해 우승 후보로 여겨졌다. 케레스와 레셰프스키는 국제 대회의 베테랑이었다. 전 세계 챔피언이었던 오이베는 흐로닝언 이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스미슬로프는 서방 세계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그가 두 번의 국제 대회에만 참가했기 때문이다. 흐로닝언에서 3위를, 1947년 바르샤바에서 공동 2위를 기록했다.[3]
소련은 보트빈니크, 케레스, 스미슬로프를 포함한 약 21명의 대규모 대표단을 파견했다. 그들의 세컨드는 각각 비야체슬라프 라고진, 알렉산더 톨루쉬, 블라디미르 알라토르체프였다. 통신원은 이고르 본다레프스키, 살로 플로르, 안도르 릴리엔탈이었다. 판정 위원회 위원은 알렉산더 코토프였고, 단장 포스트니코프, 모스크바에서 온 개인 의사, 보트빈니크의 아내와 어린 딸도 함께 했다.[4] 미국 대표단은 레셰프스키 한 명뿐이었으며, 그는 혼자 여행했고 로데베이크 프린스가 마지막 순간에 그의 세컨드로 합류했다. 테오 판 스헬팅가는 오이베의 세컨드를 맡았다.[3]
대회는 부분적으로 헤이그 (3월 2일부터 25일까지)와 모스크바 (4월 11일부터 5월 17일까지)에서 진행되었다.
선수 | 보트빈니크 | 스미슬로프 | 케레스 | 레셰프스키 | 오이베 | 승 | 무 | 패 | 점수 |
---|---|---|---|---|---|---|---|---|---|
미하일 보트빈니크 | – | ½ ½ 1 ½ ½ | 1 1 1 1 0 | 1 ½ 0 1 1 | 1 ½ 1 ½ ½ | 10 | 8 | 2 | 14 |
바실리 스미슬로프 | ½ ½ 0 ½ ½ | – | 0 0 ½ 1 ½ | ½ ½ 1 ½ ½ | 1 1 0 1 1 | 6 | 10 | 4 | 11 |
파울 케레스 | 0 0 0 0 1 | 1 1 ½ 0 ½ | – | 0 ½ 1 0 ½ | 1 ½ 1 1 1 | 8 | 5 | 7 | 10½ |
새뮤얼 리셰브스카이 | 0 ½ 1 0 0 | ½ ½ 0 ½ ½ | 1 ½ 0 1 ½ | – | 1 ½ ½ 1 1 | 6 | 9 | 5 | 10½ |
막스 오이베 | 0 ½ 0 ½ ½ | 0 0 1 0 0 | 0 ½ 0 0 0 | 0 ½ ½ 0 0 | – | 1 | 6 | 13 | 4 |
3. 2. 대회 결과표
보트빈니크 | 스미슬로프 | 케레스 | 리셰브스카이 | 오이베 | 총점 | |
---|---|---|---|---|---|---|
– | ½ ½ 1 ½ ½ | 1 1 1 1 0 | 1 ½ 0 1 1 | 1 ½ 1 ½ ½ | 14 | |
½ ½ 0 ½ ½ | – | 0 0 ½ 1 ½ | ½ ½ 1 ½ ½ | 1 1 0 1 1 | 11 | |
0 0 0 0 1 | 1 1 ½ 0 ½ | – | 0 ½ 1 0 ½ | 1 ½ 1 1 1 | 10½ | |
0 ½ 1 0 0 | ½ ½ 0 ½ ½ | 1 ½ 0 1 ½ | – | 1 ½ ½ 1 1 | 10½ | |
0 ½ 0 ½ ½ | 0 0 1 0 0 | 0 ½ 0 0 0 | 0 ½ ½ 0 0 | – | 4 |
선수 | 5라운드 | 10라운드 | 15라운드 | 20라운드 | 25라운드 |
---|---|---|---|---|---|
보트빈니크 | 3½ | 6 | 9 | 12 | 14 |
스미슬로프 | 2 | 4 | 5½ | 8½ | 11 |
케레스 | 2 | 4 | 6½ | 7½ | 10½ |
리셰브스카이 | 2½ | 4½ | 6 | 8½ | 10½ |
오이베 | 0 | 1½ | 3 | 3½ | 4 |
선수 | 보트빈니크 | 스미슬로프 | 케레스 | 리셰브스카이 | 오이베 | 승 | 무 | 패 | 점수 |
---|---|---|---|---|---|---|---|---|---|
– | ½ ½ 1 ½ ½ | 1 1 1 1 0 | 1 ½ 0 1 1 | 1 ½ 1 ½ ½ | 10 | 8 | 2 | 14 | |
½ ½ 0 ½ ½ | – | 0 0 ½ 1 ½ | ½ ½ 1 ½ ½ | 1 1 0 1 1 | 6 | 10 | 4 | 11 | |
0 0 0 0 1 | 1 1 ½ 0 ½ | – | 0 ½ 1 0 ½ | 1 ½ 1 1 1 | 8 | 5 | 7 | 10½ | |
0 ½ 1 0 0 | ½ ½ 0 ½ ½ | 1 ½ 0 1 ½ | – | 1 ½ ½ 1 1 | 6 | 9 | 5 | 10½ | |
0 ½ 0 ½ ½ | 0 0 1 0 0 | 0 ½ 0 0 0 | 0 ½ ½ 0 0 | – | 1 | 6 | 13 | 4 |
4. 논란
1948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이후, 파울 케레스가 미하일 보트빈니크의 우승을 위해 고의로 패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케레스는 보트빈니크와의 첫 4경기에서 모두 패배하고, 마지막 경기에서만 승리했는데, 이 점이 의혹을 더욱 증폭시켰다.[6][7][8][9][10][11][14][15][16]
4. 1. 케레스 고의 패배 의혹에 대한 반박
체스 역사가 테일러 킹스턴은 소련 체스 관계자들이 케레스에게 보트빈니크의 우승을 방해하지 말라는 암시를 주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케레스가 고의로 패배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4][15][16] 킹스턴은 추가 증거를 공개하고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6][7][8]유리 아베르바흐는 스탈린이 케레스에게 보트빈니크에게 지라고 명령하지 않았을 것이며, 당시 소련 내 반유대주의 정서 때문에 러시아인인 스미슬로프가 더 선호되는 후보였다고 증언한다.[9] 아베르바흐는 케레스가 에스토니아에 대한 여러 차례의 침략과 1946년 말까지 소련 관리들의 대우로 인해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경쟁자들보다 정신적으로 강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10][11]
케레스는 벤트 라르센에게 이 소문이 사실이 아니며, 보트빈니크에게 정정당당하게 졌다고 말했다. 케레스는 인터뷰를 통해 고의 패배 의혹을 부인했다.
참조
[1]
서적
From Morphy to Fischer
Batsford
1973
[2]
웹사이트
Interregnum
http://www.chesshist[...]
Chess History Center
2003–2004
[3]
문서
harvnb|Horowitz|1973|p=121
[4]
문서
harvnb|Yanofsky|Slavekoorde|Horowitz|Kmoch|1988|pp=368, 376 and harvnb|Horowitz|1973|p=121
[5]
웹사이트
1948 FIDE Title Tournament
http://www.mark-week[...]
[6]
웹사이트
The Keres–Botvinnik Case: A Survey of the Evidence – Part I
http://www.chesscafe[...]
The Chess Cafe
2010-02-17
[7]
웹사이트
The Keres–Botvinnik Case: A Survey of the Evidence – Part II
http://www.chesscafe[...]
The Chess Cafe
2010-02-17
[8]
웹사이트
The Keres–Botvinnik Case Revisited: A Further Survey of the Evidence
http://www.chesscafe[...]
The Chess Cafe
2008-09-15
[9]
웹사이트
Paul Keres vs Mikhail Botvinnik (1948) Too Big To Fail
https://www.chessgam[...]
[10]
웹사이트
Yuri Averbakh: An Interview with History – Part 1
http://www.chesscafe[...]
The Chess Cafe
2008-09-15
[11]
웹사이트
Yuri Averbakh: An Interview with History – Part 2
http://www.chesscafe[...]
The Chess Cafe
2008-09-15
[12]
서적
From Morphy to Fischer
Batsford
1973
[13]
웹인용
Interregnum
http://www.chesshist[...]
Chess History Center
2003–2004
[14]
웹인용
The Keres–Botvinnik Case: A Survey of the Evidence – Part I
http://www.chesscafe[...]
The Chess Cafe
2010-02-17
[15]
웹인용
The Keres–Botvinnik Case: A Survey of the Evidence – Part II
http://www.chesscafe[...]
The Chess Cafe
2010-02-17
[16]
웹인용
The Keres–Botvinnik Case Revisited: A Further Survey of the Evidence
http://www.chesscafe[...]
The Chess Cafe
2008-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