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는 1949년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시·읍·면 의회와 도 의회를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다. 4월 25일에 시·읍·면 의회 선거가, 5월 10일에 도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시·읍·면 의회 선거는 전국 1,397개 지역에서 진행되었으며, 자유당이 다수의 의석을 확보했다. 도 의회 선거는 한국 전쟁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7개 도에서 실시되었으며, 자유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1949년 7월에 제정·공포된 지방자치법에 근거하여 실시되었다. 선거 제도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1]
1952년 4월 25일에 실시된 시·읍·면 의회 선거는 한국 전쟁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면 의회 선거는 93%의 투표율을 보여 시(80%)나 읍(88%)보다 월등히 높았다.
2. 선거 제도
3. 시·읍·면 의회 선거
이번 선거를 통해 17개 시에서 378명, 72개 읍에서 1,115명, 1,308개 면에서 16,051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
3. 1. 선거 결과 (시·읍·면 의회)
1952년 4월 25일, 시(市), 읍(邑) 및 면(面) 의회 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는 한국 전쟁으로 인해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 1,397개 시·읍·면(17개 시, 72개 읍, 1,308개 면)에서 실시되었다.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인구 이동이 잦았고, 군 복무 등으로 인해 전체 인구의 42% 정도만이 선거인 명부에 등재되었다.
자유당 | 민주국민당 | 대한국민당 | 국민회 | 한청 | 노총 | 기타 | 무소속 | |
---|---|---|---|---|---|---|---|---|
시 | 114 | 7 | 2 | 29 | 40 | 5 | 9 | 172 |
읍 | 274 | 7 | 0 | 155 | 229 | 6 | 14 | 430 |
면 | 4,056 | 21 | 16 | 2,437 | 2,574 | 12 | 68 | 6,867 |
4. 도 의회 선거
1952년 5월 10일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광역의회 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도는 한국 전쟁으로 인해 복구되지 않아 선거가 실시되지 않았고, 전라북도 남원·완주·순창 및 정읍의 4개 군은 치안 관계로 선거를 연기하여 7개 도에서만 실시되었다. 총 306명의 도 의원을 선출하는 이 선거에는 824명이 입후보하였으며, 선거인 수는 6,358,383명, 투표율은 81.2%였다.
정당별 당선자 수는 다음과 같다.
4. 1. 선거 결과 (도 의회)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광역의회에 해당하는 도 의회 의원 선거는 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되었다. 총 306석의 의석을 두고 선거가 치러졌다. 선거인 수는 6,358,383명 이였으며, 투표자 수는 5,165,226명으로 투표율은 81%였다.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강원도는 한국 전쟁으로 인해 복구되지 않아 선거지역에서 제외되었고, 전라북도 남원·완주·순창 및 정읍의 4개 군은 치안 관계로 선거를 연기하여 7개 도에서만 실시되었다.
도 | 의원 정수 | 당파별 당선자 수 | |||||||
---|---|---|---|---|---|---|---|---|---|
자유당 | 민국당 | 국민회 | 한청 | 노총 | 기타 | 무소속 | 합계 | ||
충청북도 | 28 | 18 | align="right"| | 2 | 1 | align="right"| | align="right"| | 7 | 28 |
충청남도 | 46 | 23 | 1 | 2 | 9 | align="right"| | 1 | 10 | 46 |
전라북도 | 32 | 13 | 1 | 1 | 9 | align="right"| | align="right"| | 8 | 32 |
전라남도 | 59 | 49 | 1 | 2 | 2 | 1 | align="right"| | 4 | 59 |
경상북도 | 61 | 18 | align="right"| | 11 | 6 | align="right"| | 1 | 25 | 61 |
경상남도 | 60 | 19 | 1 | 11 | 3 | 1 | align="right"| | 25 | 60 |
제주도 | 20 | 7 | align="right"| | 3 | 4 | align="right"| | align="right"| | 6 | 20 |
합계 | 306 | 147 | 4 | 32 | 34 | 2 | 2 | 85 | 306 |
4. 2. 지역별 결과 (도 의회)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광역의회인 도의회 의원 선거가 5월 10일에 치러졌다.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도는 한국 전쟁으로 인해 복구되지 않아 선거가 실시되지 않았고,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7개 도에서만 실시되었다.- 투표일: 1952년 5월 10일
- 선거인 수: 6,358,383명
- 투표율: 81.2%
- 선출 의원 수: 306명
5. 평가 및 영향
1952년 이승만 정권은 지방 자치 실시를 결정했다. 한국 전쟁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 자치 실시와 의회 선거를 서두른 배경에는 반 이승만 세력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국회를 통한 간접 선거로는 재선이 절망적이었던 이승만 대통령이 지방 의회 구성을 통해 지지 세력을 형성하고, 그 지지 세력을 기반으로 한 직접 선거제 개헌을 실현하려던 의도가 있었다.
선거 결과, 시·읍·면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도의회에서는 자유당이 다수를 차지했다. 자유당 당선자 중 다수는 이승만 지지파인 원외 자유당이었다. 자유당은 1951년 12월, 야당에 대항할 필요성을 절감한 이승만에 의해 결성되었으나, 개헌 방침을 놓고 이승만 지지파인 원외 자유당과 반 이승만 파인 원내 자유당으로 분열되었다. 야당 (국민당·국민회·한청·노총은 이승만 지지파)인 민주국민당은 지방 의원 총 당선자 17,850명 중 39명(0.2%)에 그쳐, 지방 의회의 거의 전부가 이승만 지지파로 채워졌다.
참조
[1]
웹사이트
"[지방선거 알리미]지방선거의 역사"
https://www.nec.go.k[...]
[2]
웹사이트
CLAIR REPORT NUMBER 103
http://www.clair.or.[...]
1995-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