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7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바실리 스미슬로프는 미하일 보트빈니크를 12.5-9.5로 꺾고 세계 체스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스미슬로프는 1956년 도전자 결정전에서 우승하여 보트빈니크에게 도전할 자격을 얻었다. 1956년 도전자 결정전은 암스테르담에서 열렸으며, 바실리 스미슬로프가 11.5점으로 우승했다. 1955년 예테보리에서 열린 인터조널 토너먼트에서는 데이비드 브론스타인이 1위를 차지했고, 상위 9명의 선수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소련 - 스푸트니크 1호
스푸트니크 1호는 1957년 소련이 발사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으로,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어 우주 경쟁을 촉발하고 과학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1958년 대기권에 재진입하여 소멸되었다. - 1957년 소련 - 키시팀 사고
키시팀 사고는 1957년 소련 마야크 핵 연료 재처리 시설에서 냉각 시스템 고장으로 액체 방사성 폐기물 탱크가 폭발하며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어 주변 지역을 오염시킨 국제원자력사고등급 레벨 6의 방사능 누출 사고이다. - 소련의 스포츠 대회 - 1966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1966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티그란 페트로샨이 보리스 스파스키를 꺾고 타이틀을 방어한 대회이며, 12-12 무승부 시 챔피언이 타이틀을 유지하는 규정이 적용되었고, 1934년 이후 챔피언이 도전자를 점수로 이긴 대회로 기록된다. - 소련의 스포츠 대회 - 1969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1969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티그란 페트로시안과 보리스 스파스키의 타이틀 매치에서 스파스키가 승리하며 새로운 챔피언이 되었고, 도전자 결정전에는 벤트 랄센 우승의 인터조널 토너먼트와 보비 피셔의 기권, 그리고 스파스키가 코르치노이를 꺾고 도전 자격을 얻은 1968년 도전자 결정전 등이 있었다.
1957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정식 명칭 | 1957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
개최 기간 | 1957년 3월 2일 ~ 4월 29일 |
경기 장소 | 모스크바 |
참가자 | |
선수 1 | 미하일 보트비니크 |
선수 2 | 바실리 스미슬로프 |
결과 | |
우승자 | 미하일 보트비니크 |
점수 | 12½ – 9½ |
2. 1955년 인터조널 토너먼트
1955년 8월부터 9월까지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열린 인터조널 토너먼트에는 총 21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도전자 결정전 진출권을 두고 경쟁을 벌였다. 이 대회 결과, 데이비드 브론스타인이 15점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폴 케레스, 오스카 판노, 티그란 페트로샨을 포함한 상위 9명의 선수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2. 1. 1955년 인터조널 토너먼트 결과
1955년 8-9월에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인터조널 토너먼트가 열렸다. 상위 9명이 도전자 결정전으로 진출했다.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총점 | 타이브레이크 | ||
---|---|---|---|---|---|---|---|---|---|---|---|---|---|---|---|---|---|---|---|---|---|---|---|---|
1 | 데이비드 브론스타인|데이비드 브론스타인ru | x | 1 | 1 | ½ | 1 | ½ | ½ | ½ | ½ | ½ | ½ | ½ | ½ | ½ | 1 | 1 | 1 | 1 | 1 | 1 | 1 | 15 | |
2 | 폴 케레스|폴 케레스ru | 0 | x | 1 | ½ | ½ | ½ | ½ | ½ | 1 | ½ | 1 | 1 | 1 | ½ | 1 | 1 | 0 | 1 | ½ | ½ | 1 | 13½ | |
3 | 오스카 판노|오스카 판노es | 0 | 0 | x | ½ | 0 | 1 | ½ | ½ | 1 | ½ | 1 | 1 | 1 | ½ | ½ | 1 | ½ | 1 | 1 | 1 | ½ | 13 | |
4 | 티그란 페트로샨|티그란 페트로샨ru | ½ | ½ | ½ | x | ½ | ½ | ½ | ½ | ½ | ½ | ½ | ½ | 1 | ½ | ½ | ½ | 1 | ½ | 1 | 1 | 1 | 12½ | |
5 | 에핌 겔러|에핌 겔러ru | 0 | ½ | 1 | ½ | x | ½ | ½ | 1 | ½ | 0 | ½ | ½ | ½ | 0 | 1 | ½ | 1 | 1 | 1 | ½ | 1 | 12 | 111.75 |
6 | 라즐로 사보|라슬로 사보hu | ½ | ½ | 0 | ½ | ½ | x | ½ | ½ | ½ | ½ | ½ | 0 | ½ | ½ | 1 | ½ | 1 | 1 | 1 | 1 | 1 | 12 | 108.50 |
7 | 미로슬라브 필립|미로슬라프 필리프cs | ½ | ½ | ½ | ½ | ½ | ½ | x | ½ | 0 | ½ | ½ | ½ | 1 | ½ | 0 | 1 | ½ | ½ | ½ | 1 | 1 | 11 | 104.00 |
8 | 허만 필닉|헤르만 필니크es | ½ | ½ | ½ | ½ | 0 | ½ | ½ | x | 0 | ½ | ½ | ½ | ½ | 1 | 1 | ½ | ½ | ½ | ½ | 1 | 1 | 11 | 102.50 |
9 | 보리스 스파스키|보리스 스파스키ru | ½ | 0 | 0 | ½ | ½ | ½ | 1 | 1 | x | 1 | 0 | 0 | ½ | 1 | ½ | ½ | 1 | 0 | 1 | 1 | ½ | 11 | 102.50 |
10 | 조지 일리빗스키|게오르기 일리비츠키ru | ½ | ½ | ½ | ½ | 1 | ½ | ½ | ½ | 0 | x | ½ | 0 | 0 | ½ | ½ | 1 | ½ | ½ | 1 | ½ | 1 | 10½ | 100.50 |
11 | 루데크 파흐만|루데크 파흐만cs | ½ | 0 | 0 | ½ | ½ | ½ | ½ | ½ | 1 | ½ | x | ½ | ½ | ½ | 1 | ½ | ½ | ½ | 1 | ½ | ½ | 10½ | 99.25 |
12 | 미구엘 나이도프|미겔 나이도르프es | ½ | 0 | 0 | ½ | ½ | 1 | ½ | ½ | 1 | 1 | ½ | x | 0 | 0 | 0 | ½ | ½ | 1 | ½ | 1 | 0 | 9½ | 94.00 |
13 | 카를로스 구이마드|카를로스 기마르es | ½ | 0 | 0 | 0 | ½ | ½ | 0 | ½ | ½ | 1 | ½ | ½ | x | ½ | 1 | 0 | 1 | ½ | 0 | ½ | 1 | 9½ | 89.50 |
14 | 브라슬라브 라바르|브라슬라프 라바르sh | ½ | ½ | ½ | ½ | 1 | ½ | ½ | 0 | 0 | ½ | ½ | 1 | ½ | x | ½ | ½ | ½ | 0 | 0 | 1 | 0 | 9 | 93.50 |
15 | 안드리아 퍼더러|안드리야 푸데레르sh | 0 | 0 | ½ | ½ | 0 | 0 | 1 | 0 | ½ | ½ | 0 | 1 | 0 | ½ | x | 1 | 1 | 1 | 1 | 0 | ½ | 9 | 81.25 |
16 | 볼프강 언지커|볼프강 운치커de | 0 | 0 | 0 | ½ | ½ | ½ | 0 | ½ | ½ | 0 | ½ | ½ | 1 | ½ | 0 | x | ½ | ½ | ½ | 1 | 1 | 8½ | |
17 | 기디언 스탈버그|기데온 스톨베리sv | 0 | 1 | ½ | 0 | 0 | 0 | ½ | ½ | 0 | ½ | ½ | ½ | 0 | ½ | 0 | ½ | x | 1 | ½ | ½ | 1 | 8 | 74.00 |
18 | 아서 비스기어|아서 비스과이어영어 | 0 | 0 | 0 | ½ | 0 | 0 | ½ | ½ | 1 | ½ | ½ | 0 | ½ | 1 | 0 | ½ | 0 | x | ½ | 1 | 1 | 8 | 70.50 |
19 | 안토니오 메디나|안토니오 메디나 가르시아es | 0 | ½ | 0 | 0 | 0 | 0 | ½ | ½ | 0 | 0 | 0 | ½ | 1 | 1 | 0 | ½ | ½ | ½ | x | 0 | 0 | 5½ | 53.25 |
20 | 잔 하인 도너|얀 헤인 도너nl | 0 | ½ | 0 | 0 | ½ | 0 | 0 | 0 | 0 | ½ | ½ | 0 | ½ | 0 | 1 | 0 | ½ | 0 | 1 | x | ½ | 5½ | 49.25 |
21 | 보드간 슬라이와|보그단 실바pl | 0 | 0 | ½ | 0 | 0 | 0 | 0 | 0 | ½ | 0 | ½ | 1 | 0 | 1 | ½ | 0 | 0 | 0 | 1 | ½ | x | 5½ | 48.50 |
1956년 4월과 5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도전자 결정전이 개최되었다. 1954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패배한 바실리 스미슬로프는 이 토너먼트에 자동으로 진출했고, 인터조널 토너먼트의 상위 9명과 맞붙었다. 스미슬로프는 다시 한번 우승하여 1957년 세계 선수권 대회로 진출했다.[1]
소련의 데이비드 브론스타인이 15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폴 케레스, 오스카 판노, 티그란 페트로샨 등 상위 9명의 선수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3. 1956년 도전자 결정전
2라운드가 남은 상황에서 1위는 스미슬로프(10점), 2위는 폴 케레스(9½점), 3위는 에핌 겔러(9점)였다.[1] 17라운드에서 케레스는 미로슬라브 필립을 상대로 이기는 포지션에서 패배했고,[2] 스미슬로프와 겔러는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스미슬로프에게 1점 차 리드를 주었다. 스미슬로프는 또한 마지막 경기를 이겨 우승을 확정지었다.[3]선수 1 2 3-7 3-7 3-7 3-7 3-7 8-9 8-9 10 총점 1 바실리 스미슬로프 xx = = = = 1 = = = = 1 1 1 = 1 1 = = 1 11½ 2 폴 케레스 = = xx = = = = = = = 1 = = = 0 1 = 1 = 10 3-7 라슬로 사보 = = = = xx 1 = = = = = = 1 0 = = = 0 1 9½ 3-7 보리스 스파스키 1 = = = 0 = xx = = = 1 0 = = = = = = 1 9½ 3-7 티그란 페트로샨 = = = = = = = = xx 0 = 0 1 1 = = = 1 = 9½ 3-7 데이비드 브론스타인 = 0 = 0 = = = 0 1 = xx = 1 1 = = = = 1 9½ 3-7 에핌 겔러 0 0 = = = 0 1 = 1 0 = 0 xx 1 1 = 1 1 = 9½ 8-9 미로슬라브 필립 = 0 = 1 1 = = = 0 = 0 = 0 0 xx 1 0 = 1 8 8-9 오스카 파노 0 = 0 = = = = = = = = = = 0 0 1 xx 1 = 8 10 허먼 필닉 = 0 0 = 1 0 = 0 0 = = 0 0 = = 0 0 = xx 5
3. 1. 1956년 도전자 결정전 진행 과정
1956년 도전자 결정전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1956년 4-5월에 열렸다. 1954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의 패자였던 바실리 스미슬로프는 이 토너먼트에 자동으로 진출했고, 인터조널 토너먼트의 상위 9명과 맞붙었다. 바실리 스미슬로프가 우승하여 1957년 세계 선수권 대회로 진출했다.[1]
2라운드가 남은 상황에서 1위는 스미슬로프(10), 2위는 케레스(9½), 3위는 겔러(9)였다.[1] 17라운드에서 케레스는 필립을 상대로 이기는 포지션에서 패배했고,[2] 스미슬로프와 겔러는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스미슬로프에게 1점 차 리드를 주었다. 스미슬로프는 또한 마지막 경기를 이겼다.[3]
1 | 2 | 3-7 | 3-7 | 3-7 | 3-7 | 3-7 | 8-9 | 8-9 | 10 | 총점 | ||
---|---|---|---|---|---|---|---|---|---|---|---|---|
1 | 바실리 스미슬로프 | xx | = = | = = | 1 = | = = | = 1 | 1 1 | = 1 | 1 = | = 1 | 11½ |
2 | 폴 케레스 | = = | xx | = = | = = | = = | = 1 | = = | = 0 | 1 = | 1 = | 10 |
3-7 | 라슬로 사보 | = = | = = | xx | 1 = | = = | = = | = 1 | 0 = | = = | 0 1 | 9½ |
3-7 | 보리스 스파스키 | 1 = | = = | 0 = | xx | = = | = 1 | 0 = | = = | = = | = 1 | 9½ |
3-7 | 티그란 페트로샨 | = = | = = | = = | = = | xx | 0 = | 0 1 | 1 = | = = | 1 = | 9½ |
3-7 | 데이비드 브론스타인 | = 0 | = 0 | = = | = 0 | 1 = | xx | = 1 | 1 = | = = | = 1 | 9½ |
3-7 | 에핌 겔러 | 0 0 | = = | = 0 | 1 = | 1 0 | = 0 | xx | 1 1 | = 1 | 1 = | 9½ |
8-9 | 미로슬라브 필립 | = 0 | = 1 | 1 = | = = | 0 = | 0 = | 0 0 | xx | 1 0 | = 1 | 8 |
8-9 | 오스카 파노 | 0 = | 0 = | = = | = = | = = | = = | = 0 | 0 1 | xx | 1 = | 8 |
10 | 허먼 필닉 | = 0 | 0 = | 1 0 | = 0 | 0 = | = 0 | 0 = | = 0 | 0 = | xx | 5 |
3. 2. 1956년 도전자 결정전 결과
1954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패배한 바실리 스미슬로프는 이 도전자 결정전에 자동으로 진출하여, 인터조널 토너먼트 상위 9명과 경기를 치렀다. 스미슬로프는 이 대회에서 다시 우승하며 195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진출하게 되었다.[1]
2라운드를 남겨둔 상황에서 순위는 1위 스미슬로프(10점), 2위 케레스(9½점), 3위 겔러(9점)였다.[2] 17라운드에서 케레스는 필립을 상대로 이길 수 있는 경기에서 패배했고,[3] 스미슬로프와 겔러는 비기면서 스미슬로프가 1점 차로 앞서게 되었다. 스미슬로프는 마지막 경기에서도 승리했다.
순위 | 선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총점 |
---|---|---|---|---|---|---|---|---|---|---|---|---|
1 | Василий Смыслов|바실리 스미슬로프ru | xx | = = | = = | 0 = | = = | = 1 | 1 1 | = 1 | 1 = | = 1 | 11½ |
2 | Пауль Керес|폴 케레스ru | = = | xx | = = | = = | = = | = 1 | = = | = 0 | 1 = | 1 = | 10 |
3-7 | Szabó László|라즐로 사보hu | = = | = = | xx | 1 = | = = | = = | = 1 | 0 = | = = | 0 1 | 9½ |
3-7 | Борис Спасский|보리스 스파스키ru | 1 = | = = | 0 = | xx | = = | = 1 | 0 = | = = | = = | = 1 | 9½ |
3-7 | Тигран Петросян|티그란 페트로샨ru | = = | = = | = = | = = | xx | 0 = | 0 1 | 1 = | = = | 1 = | 9½ |
3-7 | Давид Бронштейн|데이비드 브론스타인ru | = 0 | = 0 | = = | = 0 | 1 = | xx | = 1 | 1 = | = = | = 1 | 9½ |
3-7 | Ефим Геллер|에핌 겔러ru | 0 0 | = = | = 0 | 1 = | 1 0 | = 0 | xx | 1 1 | = 1 | 1 = | 9½ |
8-9 | Miroslav Filip|미로슬라브 필립cs | = 0 | = 1 | 1 = | = = | 0 = | 0 = | 0 0 | xx | 1 0 | = 1 | 8 |
8-9 | Oscar Panno|오스카 파노es | 0 = | 0 = | = = | = = | = = | = = | = 0 | 0 1 | xx | 1 = | 8 |
10 | Herman Pilnik|허먼 필닉es | = 0 | 0 = | 1 0 | = 0 | 0 = | = 0 | 0 = | = 0 | 0 = | xx | 5 |
4. 1957년 챔피언십 매치
1957년 바실리 스미슬로프와 미하일 보트빈니크 간의 챔피언십 매치가 열렸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총점 | |
---|---|---|---|---|---|---|---|---|---|---|---|---|---|---|---|---|---|---|---|---|---|---|---|
바실리 스미슬로프 | 1 | ½ | ½ | 0 | 0 | 1 | ½ | 1 | ½ | ½ | ½ | 1 | 0 | ½ | ½ | ½ | 1 | ½ | ½ | 1 | ½ | ½ | 12½ |
미하일 보트빈니크 | 0 | ½ | ½ | 1 | 1 | 0 | ½ | 0 | ½ | ½ | ½ | 0 | 1 | ½ | ½ | ½ | 0 | ½ | ½ | 0 | ½ | ½ | 9½ |
바실리 스미슬로프가 미하일 보트빈니크를 12.5-9.5로 꺾고 새로운 세계 체스 챔피언이 되었다.
4. 1. 경기 형식
총 24경기를 진행하여 12.5점을 먼저 얻는 선수가 우승하는 방식이었다. 12-12로 동점이 될 경우, 당시 챔피언이었던 미하일 보트빈니크가 타이틀을 유지하게 된다.4. 2. 경기 결과
참조
[1]
웹사이트
1956 Amsterdam Candidates Tournament
https://www.mark-wee[...]
[2]
서적
From Morphy to Fischer
Batsford
1973
[3]
웹사이트
Amsterdam Candidates (1956)
https://www.chessg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