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7년–1989년 티베트 불온사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7년부터 1989년까지 티베트에서는 중국 정부에 대항하는 일련의 불온사태가 발생했다. 1987년 9월,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 평화 계획을 발표했지만 중국 정부는 이를 거부했고, 라싸에서 승려들의 시위가 발생하여 중국 당국에 의해 진압되었다. 10월에는 국경절 시위가 폭력 사태로 번져 사상자가 발생했고, 외국 언론인들이 추방되었다. 1988년 3월과 12월에도 라싸에서 폭동이 발생했으며, 1989년 1월에는 관련자들에 대한 형사 처벌이 내려졌다. 1989년 3월, 종교 행사 중 학살이 발생하고 외국인 기자들이 추방되었으며, 4월에는 후야오방의 사망이 베이징 천안문 사태의 원인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87년–1989년 티베트 불온사태
개요
명칭1987년-1989년 티베트 불온사태
전체티베트 독립운동
날짜1987년 9월 27일~1989년 3월 7일
지역중화인민공화국 서남부 각지(사천성, 서장자치구, 청해성, 운남성, 감숙성)
원인티베트 독립 요구
목적티베트 독립 요구
종류시위, 폭동
상태시위의 유혈진압
관련 세력
시위대 (1)티베트인
시위대 (2)중국 공산당
주요 인물
시위대 (1)제14대 달라이 라마
제10대 판첸 라마
시위대 (2)후진타오
사상자
시위대 (1) (중국 정부측 주장)사망자 20여명, 부상자 100여명 이상
시위대 (1) (티베트측 주장)사망자 500여명 이상, 부상자 750여명 이상

2. 1987년

1987년 9월 27일, 라싸에서 가두시위가 발생하여 하루 만에 중국 당국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날 밤은 "검은 밤"이라고 불린다.[26] 10월 1일에는 라싸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세라 사원 승려 1명을 포함한 6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다. 중국 당국은 이 과정에서 공안 19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발표했다.[27] 시위대는 공안에게 돌을 던지고 경찰서에 불을 질렀으며, 조캉 사원 앞에서 한 시위자가 공안에게서 총을 빼앗으려 하자 공안이 군중에게 발포했다.[28]

2. 1. 9월

9월 21일, 달라이 라마는 미국 의회 인권 코커스 연설에서 티베트 문제 해결을 위한 5개항 평화 계획을 발표했다.[2] 9월 23일, 중국 정부는 달라이 라마의 5개항 평화 계획을 거부했다.[3] 9월 27일, 라싸에서 드레풍 사원 승려 21명이 티베트 국기를 흔들며 བོད་རང་བཙན་|뵈랑짱bo(티베트 독립)을 외치는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점차 많은 일반인들과 합류했다. 중국 당국은 시위를 진압하여 승려들과 시민들을 체포했다.[5][4] 여러 뉴스 보도에서는 이날을 "검은 밤"이라고 불렀다.[17][18]

2. 2. 10월

1987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절에 라싸에서 세라 사원 승려를 중심으로 폭동이 발생하여 승려 1명을 포함해 6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다. 중국 당국은 이 과정에서 공안 19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발표했다.[27] 시위대는 공안에게 돌을 던지고 경찰서에 불을 질렀다. 조캉 사원 앞에서 한 시위자가 공안에게서 총을 빼앗으려 시도했고, 위협을 느낀 공안들이 군중에게 발포했다.[28]

3. 1988년

1988년에는 모늘람 목기원 대법회 등 여러 행사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티베트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3월과 12월 라싸에서 발생한 폭동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중국 측과 티베트 측의 사망자 수 주장은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제14대 달라이 라마유럽 의회 연설을 통해 중국 정부와의 협력을 강조하며 요구를 완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3. 1. 3월

1988년 3월 5일, 라싸에서 모늘람 목기원 대법회(대기도회) 행사 도중 폭동이 발생했다. 중국 측은 3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으나, 티베트 측은 30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한다.[30]

3. 2. 6월

달라이 라마 텐진 갸초는 1988년 6월 15일 유럽 의회 연설에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협력을 통해 티베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발언하며, 중국 정부에 대한 요구를 완화했다.[29]

3. 3. 12월

1988년 12월 10일, 라싸에서 폭동이 재발했다. 중국 측 주장에 따르면 1명이 사망했으나, 비공식 자료에서는 12명이 사망했다고 한다.[30]

4. 1989년

1989년에는 다음과 같은 사건들이 있었다.


  • '''1월 19일''' - 1988년 폭동에 관여한 사람들에 대한 형사처벌이 내려졌다. 처벌 수위는 징역 3년에서 사형까지 다양했다.[30]
  • '''1월 28일''' - 제14대 달라이 라마 다음가는 티베트 불교의 권위자인 제10대 판첸 라마가 사망했다. 중국 정부는 판첸 라마의 환생체를 직접 찾아 나섰다.[30]
  • '''2월 6일''' - 모늘람과 신년회(로사르)에서 폭동이 발생했다. 중국 정부는 로사르 전날 행해지는 연례행사인 "모늘람 첸모"를 취소시켰다.[30]
  • '''3월 5일''' - 종교행사가 학살로 끝났다. 중국 측 발표에서는 11명이 죽고 100명이 다쳤다고 되어 있다. 중국 측 주장에 따르면 학살의 원인은 중국 공안들에게 투석이 가해졌기 때문이라 하나 티베트 측에서는 공안이 종교행사를 공격했다고 한다.[30]
  • '''3월 6일''' - 폭동이 라싸 시내 중심부로 번졌다. 한인 상점들이 약탈당하고 비상사태가 발령되었다.[30]
  • '''3월 7일''' - 기자를 비롯한 모든 외국인들이 티베트에서 쫓겨났다. 이 때문에 중국 국외에 티베트 상황에 대한 정보가 단절되게 된다. 중국 정부 발표에 따르면 이틀 동안 다섯 명이 죽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라싸에 있었던 중국 기자 탕다시안(Tang Daxian)은 인민 387명과 종교인 82명이 죽고 부상자는 721명에 달하며 이는 자신이 공안국에서 확인한 보고서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30]
  • '''4월 15일''' - 티베트에서 인민해방군을 철수시키자고 주장한 온건파 후야오방이 죽었다. 후야오방의 죽음은 불과 2달 뒤 베이징에서 벌어진 제3차 천안문 사태의 원인이 되었고, 이번에도 중국 당국은 유혈진압을 감행했다.[30]

4. 1. 1월

1988년 폭동에 관여한 사람들에 대한 형사처벌이 내려졌다. 처벌 수위는 징역 3년에서 사형까지 다양했다.[29] 제14대 달라이 라마 다음가는 티베트 불교의 권위자인 제10대 판첸 라마가 사망했다.[30] 중국 정부는 판첸 라마의 환생체를 직접 찾아 나섰다.

4. 2. 2월

1989년 2월 6일, 중국 정부는 로사르 전날 행해지는 연례행사인 "모늘람 첸모"를 취소시켰다. 이 와중에 모늘람과 신년회(로사르)에서 폭동이 발생하였다.[30]

4. 3. 3월

1989년 3월 5일, 종교행사가 학살로 끝났다. 중국 측은 11명이 죽고 100명이 다쳤다고 발표했다. 중국 측은 학살의 원인이 중국 공안들에게 투석이 가해졌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지만, 티베트 측에서는 공안이 종교행사를 공격했다고 주장한다.[30]

3월 6일, 폭동이 라싸 시내 중심부로 번졌다. 한인 상점들이 약탈당하고 비상사태가 발령되었다.[30]

3월 7일, 기자를 비롯한 모든 외국인들이 티베트에서 쫓겨났다. 이 때문에 중국 국외에 티베트 상황에 대한 정보가 단절되게 된다. 중국 정부 발표에 따르면 이틀 동안 다섯 명이 죽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라싸에 있었던 중국 기자 탕다시안(Tang Daxian)은 인민 387명과 종교인 82명이 죽고 부상자는 721명에 달하며 이는 자신이 공안국에서 확인한 보고서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30]

4. 4. 4월

1989년 4월 15일, 티베트에서 인민해방군을 철수시키자고 주장한 온건파 후야오방이 사망했다. 후야오방의 죽음은 2달 뒤 베이징에서 벌어진 제3차 천안문 사태의 원인이 되었고, 중국 당국은 이번에도 유혈진압을 감행했다.[30]

참조

[1] 뉴스 DALAI LAMA URGES TIBETAN FREEDOM https://www.washingt[...] 2022-09-15
[2] 간행물 Five Point Peace Plan http://journals.sage[...] 1988
[3] 뉴스 China Opposes Dalai’s Statement. Beijing Review 1987-05-10
[4] 웹사이트 30 years of resistance https://www.tibetwat[...] 2022-09-15
[5] 뉴스 Demonstrations Disrupt Peace in Lhasa. Beijing Review 1987-10-12
[6] 서적 Lhasa: Streets with Memori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7] 뉴스 Demonstrations Disrupt Peace in Lhasa. Beijing Review 1987-10-12
[8] 서적 Circle of Protest: Political Ritual in the Tibetan Upris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9] 뉴스 Lhasa Riot Causes Death. Beijing Review 1989-03-19
[10] 서적 June Fourth: The Tiananmen Protests and Beijing Massacre of 19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11] 뉴스 Lhasa Goes Under Martial Law. Beijing Review 1989-03-26
[12] 뉴스 Tibet Expels Foreigners, Intensifies Crackdown https://www.latimes.[...] 2023-06-14
[13] 뉴스 Tibetans Fear More Secret Brutality. The Guardian 1989-03-10
[14] 뉴스 Lhasa: From Riots to Martial Law. Beijing Review 1989-02-04
[15] 뉴스 Chinese Said to Kill 450 Tibetans in 1989 https://www.nytimes.[...] 2022-09-15
[16] 뉴스 MARTIAL LAW ENDS IN TIBET'S CAPITAL https://www.nytimes.[...] 2022-09-15
[17] 웹사이트 Tibetans protest seeking release of political prisoners https://web.archive.[...] Tibetan Youth Congress 2009-12-05
[18] 웹사이트 Tibetans protest seeking release of political prisoners http://www.phayul.co[...] 2018-03-09
[19] 뉴스 CHINESE CURFEW IN THE TIBET CAPITAL https://www.nytimes.[...] 2022-09-15
[20] 서적 Circle of Protest: Political Ritual in the Tibetan Upris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21] 뉴스 FOREIGN REPORTERS ORDERED TO LEAVE TIBET https://www.washingt[...] 2023-06-14
[22] 웹사이트 Dutch Woman Wounded In Nationalist Unrest Allowed To Leave Tibet https://apnews.com/a[...] 2023-06-14
[23] 뉴스 Chinese Said to Kill 450 Tibetans in 1989 https://www.nytimes.[...] Associated Press 1990-08-14
[24] 뉴스 Tibet braces for crackdown Hobart Mercury 1989-03-10
[25] 뉴스 Tibetans fear more secret brutality. The Guardian 1989-03-10
[26] 웹인용 Tibetans protest seeking release of political prisoners https://web.archive.[...] Tibetan Youth Congress 2009-12-05
[27] 웹인용 Prisoners of Tibet (1987-1998) https://web.archive.[...] Tibetan Centre for Human Rights and Democracy 2009-12-05
[28] 뉴스 TIBETAN PROTEST FOR INDEPENDENCE BECOMES VIOLENT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1987-10-03
[29] 웹사이트 European Parliament on June 15, 1988 http://www.dalailama[...] 1988-06-15
[30] 뉴스 Chinese Said to Kill 450 Tibetans in 1989 http://www.nytimes.c[...] Associated Press 1990-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