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선수 명단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 경기에 참가한 각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을 담고 있다. 미국이 금메달을, 중국이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이 문서에는 각 팀의 선수 명단, 예비 선수, 감독 정보 등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으며, 조별 리그, 준결승, 결승전 결과와 최종 순위, 그리고 대회의 의의와 영향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은 미국의 5개 도시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아르헨티나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경기는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금메달, 중국이 은메달,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 올림픽 축구 연령 초과 선수 명단
    올림픽 축구에서는 각 국가의 U-23 대표팀이 연령 초과 선수 3명을 선발할 수 있으며, 이 문서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중미, 카리브 제도 등 각 대륙별 연령 초과 선수 명단을 정리한다.
  •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은 서울 올림픽 축구 대회에 참가한 여러 국가들의 선수 명단을 감독, 포지션, 선수 정보와 함께 상세히 나열하고 각 팀의 조별 리그 결과 및 주요 경기 내용을 간략하게 언급한다.
  • 올림픽 축구 -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08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중국 5개 도시에서 진행되었으며, 각 대륙별 예선과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결과를 통해 본선 진출팀이 결정되었고, 미국이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 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축구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런던을 포함한 6개 도시에서 경기가 진행되었고, 미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캐나다가 프랑스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선수 명단
대회 정보
대회1996년 하계 올림픽
종목축구
성별여자
참가 선수 명단
국가미국
등번호선수 이름
포지션생년월일 (나이)
출전 횟수클럽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토니 디치코
1브리아나 스커리
골키퍼1971년 9월 2일 (24세)
2밀리사 제퍼슨
수비수1971년 3월 24일 (25세)
3카리나 르블랑
골키퍼1980년 3월 30일 (16세)
4칼라 오버벡
수비수1968년 5월 9일 (28세)
5티페니 밀브렛
공격수1972년 10월 23일 (23세)
6브랜디 채스테인
미드필더1968년 7월 21일 (27세)
7섀넌 맥밀런
미드필더1972년 10월 7일 (23세)
8미아 햄
공격수1972년 3월 17일 (24세)
9줄리 파우디
미드필더1966년 1월 23일 (30세)
10미셸 에이커스
미드필더1966년 2월 1일 (30세)
11조이 포셋
공격수1967년 2월 6일 (29세)
12카린 제닝스-개버라
미드필더1965년 1월 4일 (31세)
13크리스틴 릴리
미드필더1971년 7월 12일 (24세)
14신디 팔레르모
수비수1962년 11월 7일 (33세)
15티샤 벤투리니
미드필더1973년 3월 3일 (23세)
16재니스 바인즈
수비수1968년 12월 28일 (27세)
17댄 윌커슨
수비수1970년 2월 12일 (26세)
18암버 번스
골키퍼1975년 11월 25일 (20세)
추가 정보
미국 올림픽 대표팀1996년 금메달

2. 조별 리그 (E조, F조)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여자 축구 조별 리그는 E조와 F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E조에는 미국, 중국, 스웨덴, 덴마크가 속했다.[2][3][4][5][6][7][8][9] F조에는 노르웨이, 브라질, 독일, 일본이 속했다.[3][11][13][14][15]

2. 1. E조

E조에는 미국, 중국, 스웨덴, 덴마크가 속했다.[2][3][4][5][6][7][8][9] 디시코 감독의 미국은 금메달, 마위안안 감독의 중국은 은메달을 획득했고, 시몬손 감독의 스웨덴과 간츠호른 감독의 덴마크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 1. 1.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토니 디치코 감독이 이끄는 미국은 홈 팬들의 열렬한 응원을 받으며 금메달을 획득했다.[7][8][9] 브리애나 스커리, 미아 햄, 미셸 에이커스, 줄리 파우디, 크리스틴 릴리 등 스타 선수들이 대거 포진했다. 특히, 미아 햄은 뛰어난 골 결정력으로 팀 공격을 이끌며 미국의 우승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미국은 이 토너먼트를 위해 16명의 선수와 4명의 예비 선수 명단을 발표했다.[7][8][9] 로리 페어는 예비 선수로 초청되었지만, 팀에 합류하지 못한 것에 대한 실망감으로 거절했다.[10]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 (나이)출장득점당시 소속팀
GK1스커리1971-09-07|1971년 9월 7일영어 (24세)410
GK2하비1965-06-04|1965년 6월 4일영어 (31세)0
FW3팔로1978-05-08|1978년 5월 8일영어 (18세)8노스캐롤라이나 타르 힐스
DF4오버벡 (주장)1968-05-09|1968년 5월 9일영어 (28세)957
MF5로버츠1977-05-05|1977년 5월 5일영어 (19세)496노스캐롤라이나 타르 힐스
DF6채스테인1968-07-21|1968년 7월 21일영어 (28세)369
DF7윌슨1976-07-08|1976년 7월 8일영어 (20세)0노스캐롤라이나 타르 힐스
MF8맥밀런1974-10-07|1974년 10월 7일영어 (21세)236시로키 FC 세레나
FW91972-03-17|1972년 3월 17일영어 (24세)11662
FW10에이커스1966-02-01|1966년 2월 1일영어 (30세)10492
MF11파우디1971-01-23|1971년 1월 23일영어 (25세)9116
FW12거버라1965-01-09|1965년 1월 9일영어 (31세)11353
MF13릴리1971-07-22|1971년 7월 22일영어 (25세)11645
DF14포셋1968-02-08|1968년 2월 8일영어 (28세)9615맨해튼 비치 아약스
MF15벤튜리니1973-03-03|1973년 3월 3일영어 (23세)6625
FW16밀브렛1972-10-23|1972년 10월 23일영어 (23세)6023시로키 FC 세레나



등록되지 않은 예비 선수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 (나이)출장득점당시 소속팀
MF17크롬웰1970-06-15|1970년 6월 15일영어 (26세)1
DF18스테이플스1974-04-17|1974년 4월 17일영어 (22세)0
MF19스트레이퍼1978-05-25|1978년 5월 25일영어 (18세)00노트르담 파이팅 아이리시
GK20웨버1971-06-13|1971년 6월 13일영어 (25세)0


2. 1. 2.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마위안안 감독이 이끄는 중국은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아 여자 축구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쑨원, 류아이링 등 뛰어난 선수들이 활약하며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미국에 아쉽게 패했다. 중국은 조직적인 수비와 빠른 역습을 바탕으로 강한 인상을 남겼다.[2][3]

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
GK가오훙高紅|가오훙중국어1967년 11월 27일(1967-11-27) (28세)
GK중훙롄中紅蓮|중훙롄중국어1967년 10월 27일(1967-10-27) (28세)
DF왕리핑王麗萍|왕리핑중국어1973년 11월 12일(1973-11-12) (22세)
DF판윈제范運傑|판윈제중국어1972년 4월 29일(1972-04-29) (24세)
DF위훙치于紅旗|위훙치중국어1973년 2월 2일(1973-02-02) (23세)
DF셰후이린謝慧琳|셰후이린중국어1975년 1월 17일(1975-01-17) (21세)
DF원리룽溫利蓉|원리룽중국어1969년 10월 2일(1969-10-02) (26세)
MF자오리훙趙利紅|자오리훙중국어1972년 12월 25일(1972-12-25) (23세)
MF수이칭샤水慶霞|수이칭샤중국어1966년 12월 18일(1966-12-18) (29세)
MF쑨원 (주장)孫雯|쑨원중국어1973년 4월 6일(1973-04-06) (23세)
MF류아이링劉愛玲|류아이링중국어1967년 5월 2일(1967-05-02) (29세)
MF류잉劉英|류잉중국어1974년 6월 11일(1974-06-11) (22세)
MF천위펑陳玉鳳|천위펑중국어1970년 1월 17일(1970-01-17) (26세)
FW웨이하이잉韋海英|웨이하이잉중국어1971년 5월 1일(1971-05-01) (25세)
FW쑨칭메이孫慶梅|쑨칭메이중국어1966년 6월 19일(1966-06-19) (30세)
FW스구이훙施桂紅|스구이훙중국어1968년 2월 13일(1968-02-13) (28세)



미등록 예비 선수
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
리야팅李亞婷|리야팅중국어
FW장옌張岩|장옌중국어1972년 8월 6일(1972-08-06) (23세)
GK자오옌趙燕|자오옌중국어1972년 5월 7일(1972-05-07) (24세)
DF니우리지에牛麗杰|니우리지에중국어1969년 4월 12일(1969-04-12) (27세)


2. 1. 3.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벵트 시몬손 감독이 이끄는 스웨덴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5][6]

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출전 경기득점당시 소속팀
GK닐손Annelie Nilssonsv1971년 6월 14일 (25세)230순난나 SKsv
GK울리카 칼손Ulrika Karlssonsv1970년 10월 14일 (25세)50밸링에 IFsv
DF산델Cecilia Sandellsv1968년 6월 10일 (28세)140엘프셰 AIKsv
DF야콥손Åsa Jakobssonsv1966년 6월 2일 (30세)521기데온스베리 IFsv
DF네스볼드Annika Nessvoldsv1971년 2월 24일 (25세)316말뫼 FFsv
DF벵트손Kristin Bengtssonsv1970년 1월 12일 (26세)462FK 아테네 모스no
DF스벤손구스타프손Camilla Svensson-Gustafssonsv1969년 1월 20일 (27세)160Jitex BK/JG93sv
MF포흐야넨Anna Pohjanensv1974년 1월 25일 (22세)237순난나 SKsv
MF순드하게 (주장)Pia Sundhagesv1960년 2월 13일 (36세)14169함마르뷔 IFsv
MF스베드베리Malin Swedbergsv1968년 9월 15일 (27세)483엘프셰 AIKsv
MF안데르손Malin Anderssonsv1973년 5월 4일 (23세)3314엘프셰 AIKsv
MF칼테Ulrika Kaltesv1970년 5월 19일 (26세)5220엘프셰 AIKsv
FW비데쿨Lena Videkullsv1962년 12월 9일 (33세)10565말뫼 FFsv
FWMaria Kunsv1973년 4월 17일 (23세)30기데온스베리 IFsv
FWJ. 칼손Julia Carlssonsv1975년 4월 8일 (21세)50엘프셰 AIKsv
FW융베리Hanna Ljungbergsv1979년 1월 8일 (17세)31순난나 SKsv



예비 선수
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출전 경기득점당시 소속팀
GK라르손Eva Larssonsv1973년 2월 27일 (23세)00
DF룅크비스트Åsa Lönnqvistsv1970년 4월 14일 (26세)271
MF보발Pernilla Bowallsv1972년 8월 16일 (23세)70Jitex BK/JG 93sv
FW발그렌Anneli Wahlgrensv1971년 1월 15일 (25세)103밸링에 IFsv


2. 1. 4. [[덴마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

간츠호른 감독이 이끄는 덴마크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H. 옌센 등 공격진이 분전했지만, 수비 불안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4]

1996년 7월 21일 기준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 경기 수득점소속 클럽
GK도르테 라르센Dorthe Larsen|도르테 라르센da1969년 8월 8일31포르투나 예르링
DF아네테 라우르센Annette Laursen|아네테 라우르센da1975년 2월 26일17HEI 오르후스
DF보니 마센Bonny Madsen|보니 마센da1967년 8월 10일55루고
DF카마 플렝Kamma Flæng|카마 플렝da1976년 3월 30일21HEI 오르후스
DF리케 홀름Rikke Holm|리케 홀름da1972년 3월 22일39HEI 오르후스
MF크리스티나 페테르센Christina Petersen|크리스티나 페테르센da1974년 9월 17일24포르투나 예르링
MF비르기트 크리스텐센Birgit Christensen|비르기트 크리스텐센da1976년 5월 31일24포르투나 예르링
MF리스베트 콜링Lisbet Kolding|리스베트 콜링da1965년 4월 6일64HEI 오르후스
FW헬레 옌센Helle Jensen|헬레 옌센da1969년 3월 23일74포르투나 예르링
FW기테 크로그Gitte Krogh|기테 크로그da1977년 5월 13일28HEI 오르후스
FW레네 마센Lene Madsen|레네 마센da1973년 3월 11일26포르투나 예르링
DF레네 테르프Lene Terp|레네 테르프da1973년 4월 15일26베일레 BK
MF아네 도트 에게르스 닐센Anne Dot Eggers Nielsen|아네 도트 에게르스 닐센da1975년 11월 6일30HEI 오르후스
MF메레테 페데르센Merete Pedersen|메레테 페데르센da1973년 6월 30일10OB
FW크리스티나 본데Christina Bonde|크리스티나 본데da1973년 9월 28일15포르투나 예르링
GK헬레 비에레고르Helle Bjerregaard|헬레 비에레고르da1968년 6월 21일56뢰도브레 BK



'''등록되지 않은 예비 선수'''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 경기 수득점소속 클럽
GK크리스티나 옌센Christina Jensen|크리스티나 옌센da1974년 1월 21일1OB
MF루이세 한센Louise Hansen|루이세 한센da1975년 5월 4일6TSV 지겐
FW이레네 스텔링Irene Stelling|이레네 스텔링da1971년 7월 25일49하트포드 호크스


2. 2. F조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F조에는 노르웨이, 브라질, 독일, 일본이 속했다. 노르웨이는 동메달을 획득했고, 브라질은 4위를 기록했다. 독일일본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 2. 1.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에벤 펠레루드 감독이 이끄는 노르웨이는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5] 에스페세트, 리세, 메달렌 등 베테랑 선수들이 팀을 이끌었다. 노르웨이는 탄탄한 조직력을 바탕으로 4강에 진출, 브라질을 꺾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노르웨이는 이번 대회에 16명의 선수와 3명의 예비 선수를 선발했다.[15] 대회 기간 중 프루스퇼이 부상으로 스퇴레와 교체되었다.[16]

포지션등번호이름당시 나이소속팀
GK1노르뷔21세아테네 모스|아테네 모스no
DF2칼센25세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일본어
DF3에스페세트 (주장)23세IL 산비켄|IL 산비켄no
DF4N. 뉘마르크 안데르센23세IL 산비켄|IL 산비켄no
DF5뮈클레부스트23세SK 트론헤임스-외른|SK 트론헤임스-외른no
MF6리세26세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일본어
FW7A. 뉘마르크 안데르센23세IL 산비켄|IL 산비켄no
MF8스퇴레33세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일본어
FW9페테르센21세옐레로센 IF|옐레로센 IFno
FW10메달렌31세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일본어
FW11산다우네24세SK 트론헤임스-외른|SK 트론헤임스-외른no
GK12세트30세외사벡 IF|외사벡 IFsv
DF13스벤손29세아스케르 포트발|아스케르 포트발no
MF14하우겐32세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닛코 증권 드림 레이디스일본어
MF15탕에로스25세IL 산비켄|IL 산비켄no
FW16오뢰네스23세SK 트론헤임스-외른|SK 트론헤임스-외른no
MF17프루스퇼21세아스케르 포트발|아스케르 SKno



등록되지 않은 예비 선수
포지션등번호이름당시 나이소속팀
FW1822세아스케르 포트발|아스케르 SKno
GK19스테른호프19세SK 하우가르|SK 하우가르no


2. 2. 2.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조제 두아르치 감독이 이끄는 브라질 대표팀은 4위를 기록하며 남미 여자 축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1][3] 프레치냐, 시시 등 개인 기량이 뛰어난 선수들이 활약했지만, 조직력 부족으로 아쉽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브라질 대표팀은 화려한 개인기를 앞세워 공격적인 축구를 선보였으나, 수비에서 약점을 드러냈다.

브라질 대표팀은 이 대회에 16명의 선수와 4명의 예비 선수를 선발했다. 대회 기간 중 카치아가 부상으로 닐다와 교체되었다.[12]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
GK1메그Megpt1956년 1월 1일
DF2네네Nenêpt1976년 3월 31일
DF3수지Suzypt1967년 2월 7일
MF4판타Fantapt1966년 9월 14일
MF5마르시아 타파레우Marcia Taffarelpt1968년 5월 15일
DF6일라니Elanept1968년 6월 4일
FW7프레치냐Pretinhapt1975년 5월 19일
MF8포르미가Formigapt1978년 3월 3일
FW9미샤에우 작송Michael Jacksonpt1963년 11월 19일
MF10시시Sissipt1967년 6월 2일
FW11호젤리Roselipt1969년 9월 7일
GK12지지Didipt1963년 9월 22일
DF13마리자Marisapt1966년 9월 10일
FW14타니아Tâniapt1974년 10월 3일
MF15니우다Nildapt1972년 3월 25일
DF16소니아Sôniapt1968년 8월 4일
MF19카치아Kátiapt1977년 2월 18일



미등록 예비 선수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
MF17루사Russapt1963년 2월 12일
MF18레다 마리아Leda Mariapt1966년 4월 16일
GK20마라빌라Maravilhapt1973년 4월 10일


2. 2. 3.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게로 비잔츠 감독이 이끄는 독일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3] 나이트, 비크만, 모어 등 유럽 정상급 선수들이 포진했지만,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었다.[13]

독일은 이번 대회를 위해 16명의 선수와 4명의 예비 선수 명단을 발표했다.[13]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전 경기 수득점당시 소속팀
GK1골러1971년 1월 5일42그륀-바이스 브라우바일러de
DF2나르덴바흐1968년 8월 13일56TuS 아르바흐de
DF3아우스테르뮐1965년 10월 8일55FSV 프랑크푸르트de
DF4슈테게만1977년 9월 29일9FC 아인트라흐트 라인de
DF5피첸1968년 10월 25일81TSV 지겐de
MF6폴만1972년 2월 7일36FSV 프랑크푸르트de
MF7마르티나 포스1967년 12월 22일89FC 루멜른-칼덴하우젠de
MF8비크만1971년 10월 7일67그륀-바이스 브라우바일러de
FW9모어1967년 5월 29일101TuS 니더키르헨de
MF10나이트 (주장)1964년 5월 2일108TSV 지겐de
FW11브로커1966년 4월 7일43TuS 니더키르헨de
GK12크라우스1970년 11월 23일6FSV 프랑크푸르트de
DF13미네르트1973년 4월 7일28FSV 프랑크푸르트de
MF14P. 분더리히1975년 1월 26일19SG 프라움하임de
FW15프린츠1977년 10월 25일25FSV 프랑크푸르트de
MF16링고어1975년 10월 11일5SC 클링에 제크하흐de


등록되지 않은 예비 선수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전 경기 수득점당시 소속팀
DF17T. 분더리히1977년 10월 10일6SG 프라움하임de
FW18보른샤인1972년 3월 16일31FSV 프랑크푸르트de
MF19슈미제크1977년 7월 3일9FSV 프랑크푸르트de
GK20프랑케1974년 6월 12일2


2. 2. 4.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스즈키 감독이 이끄는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4][3] 사와, 노다 등 젊은 선수들이 주축을 이뤘지만, 세계 무대의 높은 벽을 실감해야 했다.

일본은 16명의 선수와 4명의 예비 선수를 발표했다.[14][3]

등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
1GK오자와 준코Junko Ozawa|오자와 준코영어 (1973년 12월 7일)
2DF도메이 유미Yumi Tomei|도메이 유미영어 (1972년 6월 1일)
3DF야마키 리에Rie Yamaki|야마키 리에영어 (1975년 10월 2일)
4DF하네타 마키Maki Haneta|하네타 마키영어 (1972년 9월 30일)
5DF오베 유미Yumi Obe|오베 유미영어 (1975년 2월 15일)
6DF니시나 가에Kae Nishina|니시나 가에영어 (1972년 12월 7일)
7MF사와 호마레Homare Sawa|사와 호마레영어 (1978년 9월 6일)
8MF다카쿠라 아사코Asako Takakura|다카쿠라 아사코영어 (1968년 4월 19일)
9MF기오카 후타바Futaba Kioka|기오카 후타바영어 (1965년 11월 22일)
10FW노다 아케미Akemi Noda|노다 아케미영어 (1969년 10월 13일)
11MF한다 에쓰코Etsuko Handa|한다 에쓰코영어 (1965년 5월 10일)
12FW우치야마 다마키Tamaki Uchiyama|우치야마 다마키영어 (1972년 12월 13일)
13MF오타케 나미Nami Otake|오타케 나미영어 (1974년 7월 30일)
14MF가도하라 가오루Kaoru Kadohara|가도하라 가오루영어 (1970년 5월 25일)
15FW이즈미 미유키Miyuki Izumi|이즈미 미유키영어 (1973년 3월 31일)
16GK오노데라 시호Shiho Onodera|오노데라 시호영어 (1973년 11월 18일)


미등록 예비 선수

등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
17DF키무라 리에Rie Kimura|기무라 리에영어 (1971년 7월 30일)
18FW나가미네 카오리Kaori Nagamine|나가미네 가오리영어 (1968년 6월 3일)
19GK사카타 메구미Megumi Sakata|사카타 메구미영어 (1971년 10월 18일)
20DF우노 료코Ryoko Uno|우노 료코영어 (1975년 11월 9일)


3. 토너먼트 (준결승, 결승)

각 조 상위 2팀이 준결승에 진출하여 4강 토너먼트를 진행하였다.

3. 1. 준결승

준결승전에서는 미국과 노르웨이가 맞붙었고, 중국과 브라질이 맞붙었다.

참조

[1] 뉴스 Women's Olympic Rosters https://www.socceram[...] 1996-07-18
[2] 웹사이트 China PR – Squad List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3] 서적 Statistics – Olympic Football Tournaments Atlanta 1996
[4] 웹사이트 Denmark – Squad List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5] 웹사이트 Sweden – Squad List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6] 웹사이트 A-landskamper 1973–2000 https://www.svenskfo[...] Swedish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7] 웹사이트 USA – Squad List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8] 뉴스 U.S. Women: Wilson survives final cut https://www.socceram[...] 2020-01-25
[9] 뉴스 "Women's Soccer: 76,481 Fans, 1 U.S. Gold" https://www.nytimes.[...] 2020-01-18
[10] 뉴스 U.S. Women: Wilson survives final cut https://www.socceram[...] 2022-02-12
[11] 웹사이트 Brazil – Squad List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12] 웹사이트 Technical Report – Olympic Football Tournaments Atlanta 1996: Brazil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13] 웹사이트 Germany – Squad List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14] 웹사이트 Japan – Squad List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15] 웹사이트 Norway – Squad List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16] 웹사이트 Technical Report – Olympic Football Tournaments Atlanta 1996: Norway https://www.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0-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