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 멜버른, 시드니에서 개최되었으며,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8개국이 참가했다. 노르웨이는 결승전에서 미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독일이 3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쑨원이 4골로 득점왕을 차지했고, 독일은 FIFA 페어 플레이 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01 예선
UEFA 여자 유로 2001 예선은 2001년 UEFA 여자 유로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A, B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하고, 2, 3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플레이오프를 거쳐 스웨덴, 덴마크, 이탈리아, 잉글랜드가 본선에 진출했다. - 2000년 여자 축구 - 2000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2000년 CONCACAF 여자 골드컵은 2000년 미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결승전에서 브라질을 꺾고 우승했다.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000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23세 이하 선수들과 와일드카드 3명을 포함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카메룬이 금메달, 칠레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강 진출에 실패했다.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선수 명단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선수 명단은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부문에 참가한 각 국가별 선수 명단을 담고 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 미국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여자 축구 -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08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중국 5개 도시에서 진행되었으며, 각 대륙별 예선과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결과를 통해 본선 진출팀이 결정되었고, 미국이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 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여자 축구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런던을 포함한 6개 도시에서 경기가 진행되었고, 미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캐나다가 프랑스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여자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 |
연도 | 2000년 |
개최국 | 오스트레일리아 |
개최 기간 | 2000년 9월 13일 ~ 9월 28일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6 |
경기장 수 | 3 |
도시 수 | 3 |
우승 횟수 | 1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수 | 42 |
총 관중 수 | 326215 |
최다 득점 선수 | 쑨원 (4골) |
이전 대회 | 1996 |
다음 대회 | 2004 |
관련 템플릿 | |
템플릿 | Football at the 2000 Summer Olympics |
이벤트 | 축구 |
게임 | 2000년 하계 올림픽 |
이벤트 1 | 예선 |
결과 1.1a | 남자 |
결과 1.1b | 여자 |
이벤트 2 | 토너먼트 |
결과 2.1a | 남자 |
결과 2.1b | 여자 |
이벤트 3 | 선수 명단 |
결과 3.1a | 남자 |
결과 3.1b | 여자 |
2. 경기장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는 3개 도시의 3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3. 참가국
오스트레일리아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했다.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서 8강전에 진출했던 8개 팀들 가운데 7개 팀은 자동으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FIFA 여자 월드컵 준결승전에 진출했던 미국, 중국, 브라질, 노르웨이는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 탈락했던 팀들 가운데 성적이 좋은 3개 팀인 나이지리아, 독일, 스웨덴이 추가로 본선에 진출했다.
다음은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부에 참가한 팀들이다.
대륙 연맹 | 예선 대회 | 예선 순위 | 출전 국가 및 지역 | 출전 횟수 |
---|---|---|---|---|
OFC | 개최국 | 첫 출전 | ||
AFC |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 2위 | 2회 연속 2회 | |
CAF | 5위 | 첫 출전 | ||
CONCACAF | 4위 | 2회 연속 2회 | ||
CONMEBOL | 3위 | 2회 연속 2회 | ||
UEFA | 1위 | 2회 연속 2회 | ||
6위 | 2회 연속 2회 | |||
7위 | 2회 연속 2회 |
4. 선수 명단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부에 참가한 선수 명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선수 명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심판
wikitext
대륙 연맹 | 주심 |
---|---|
AFC | 임은주 (대한민국) |
CAF | 볼라 아비도예 (나이지리아) |
CONCACAF | 소니아 데농쿠르 (캐나다) |
샌드라 헌트 (미국) | |
CONMEBOL | 마르타 토로 (콜롬비아) |
OFC | 태미 옥스턴 (오스트레일리아) |
UEFA | 비베케 칼르센 (노르웨이) |
니콜 페티냐 (스위스) | |
웬디 톰스 (영국) |
대륙 연맹 | 부심 |
---|---|
AFC | 요시자와 히사에 (일본) |
CAF | 컴포트 코피 (가나) |
CONCACAF | 재클린 사에스 블란키세 (파나마) |
CONMEBOL | 아나 이사벨 페레스 아산테 (페루) |
클레이디 메리 누네스 리베이루 (브라질) | |
OFC | 린 폭스 (뉴질랜드) |
UEFA | 산나 루타넨 (핀란드) |
마리-루이즈 스반스트룀 (스웨덴) |
5. 1. 주심
대륙 연맹 | 주심 |
---|---|
AFC | 임은주 (대한민국) |
CAF | 볼라 아비도예 (나이지리아) |
CONCACAF | 소니아 데농쿠르 (캐나다) |
샌드라 헌트 (미국) | |
CONMEBOL | 마르타 토로 (콜롬비아) |
OFC | 태미 옥스턴 (오스트레일리아) |
UEFA | 비베케 칼르센 (노르웨이) |
니콜 페티냐 (스위스) | |
웬디 톰스 (영국) |
대륙 연맹 | 부심 |
---|---|
AFC | 요시자와 히사에 (일본) |
CAF | 컴포트 코피 (가나) |
CONCACAF | 재클린 사에스 블란키세 (파나마) |
CONMEBOL | 아나 이사벨 페레스 아산테 (페루) |
클레이디 메리 누네스 리베이루 (브라질) | |
OFC | 린 폭스 (뉴질랜드) |
UEFA | 산나 루타넨 (핀란드) |
마리-루이즈 스반스트룀 (스웨덴) |
5. 2. 부심
대륙 연맹 | 부심 |
---|---|
AFC | 요시자와 히사에 (일본) |
CAF | 컴포트 코피 (가나) |
CONCACAF | 재클린 사에스 블란키세 (파나마) |
CONMEBOL | 아나 이사벨 페레스 아산테 (페루) |
클레이디 메리 누네스 리베이루 (브라질) | |
OFC | 린 폭스 (뉴질랜드) |
UEFA | 산나 루타넨 (핀란드) |
마리-루이즈 스반스트룀 (스웨덴) |
6. 조별 리그
6. 1. E조
2000년 9월 13일, 독일은 캔버라의 캔버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와의 경기에서 그링스, 비크만, 링고어의 득점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멜버른의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에서 열린 스웨덴과 브라질의 경기는 프레치냐와 카치아가 득점한 브라질이 2-0으로 승리했다.
9월 16일, 시드니의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스웨덴이 만나 솔즈베리와 안데르손이 각각 득점하며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캔버라의 캔버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독일과 브라질의 경기는 프린츠가 두 골을 넣고 하케우가 한 골을 넣어 독일이 2-1로 승리했다.
9월 19일, 시드니의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에서 오스트레일리아와 브라질이 맞붙었고, 휴스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하케우와 카치아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브라질이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멜버른의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에서는 독일이 스웨덴을 상대로 힝스트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6. 2. F조
2000년 9월 14일, 미국은 멜버른에서 밀브렛과 햄의 득점에 힘입어 노르웨이를 2-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중국은 캔버라에서 자오리훙과 쑨원의 득점으로 나이지리아에 3-1 승리를 거두었다.
9월 17일, 미국과 중국은 멜버른에서 파우디와 쑨원이 각각 득점하며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노르웨이는 캔버라에서 멜그렌, 리세, 페테르센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아키데가 한 골을 만회한 나이지리아를 3-1로 제압했다.
9월 20일, 미국은 멜버른에서 채스테인, 릴리, 맥밀런의 득점으로 아키데가 한 골을 기록한 나이지리아에 3-1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노르웨이는 캔버라에서 페테르센과 하우게네스의 득점으로 쑨원이 페널티킥 골을 기록한 중국을 2-1로 꺾었다.
7. 결선 토너먼트
9월 24일, 시드니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노르웨이가 독일을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캔버라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미국이 브라질을 1-0으로 이겼다.
9월 28일, 시드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노르웨이가 미국을 골든 골 연장전 끝에 3-2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시드니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독일이 브라질을 2-0으로 이겼다.
7. 1. 대진표
7. 2. 준결승전
2000년 9월 24일 17시 30분,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시드니)에서 열린 독일과 노르웨이의 경기에서는 노르웨이가 분더리히의 자책골(80분)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의 주심은 대한민국의 임은주 심판이였다. 관중은 16,710명이였다.같은 날 17시 30분, 캔버라 스타디움(캔버라)에서 열린 미국과 브라질의 경기에서는 미국이 햄의 골(60분)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스위스의 프티냐 심판이 주심을 맡았으며, 11,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7. 3. 3·4위전
2000년 9월 28일 17시, 시드니의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에서 독일과 브라질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독일은 링고어와 프린츠의 골로 브라질을 2-0으로 이겼다. 관중 수는 11,200명이었으며, 심판은 대한민국의 임은주가 맡았다.7. 4. 결승전
2000년 9월 28일 20시, 시드니의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에서 노르웨이와 미국의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22,848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으며, 캐나다의 소니아 드농쿠르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전반 44분 에스페세트의 득점으로 노르웨이가 앞서나갔고, 후반 78분 굴브란센이 추가 득점을 기록했다. 후반 추가 시간에 밀브렛이 만회골을 넣었으나, 연장전에서 멜그렌이 골든 골을 기록하며 노르웨이가 3-2로 승리했다.
8. 최종 순위
순위 | 팀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노르웨이/Norgeno | 4 | 0 | 1 | 9 | 6 | +3 |
2 | 미국/United States영어 | 3 | 1 | 1 | 9 | 5 | +4 |
3 | 독일/Deutschlandde | 4 | 0 | 1 | 8 | 2 | +6 |
4 | 브라질/Brasilpt | 2 | 0 | 3 | 5 | 6 | -1 |
5 | 중국/China중국어 | 1 | 1 | 1 | 5 | 4 | +1 |
6 | 스웨덴/Sverigesv | 0 | 1 | 2 | 1 | 4 | -3 |
7 |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 | 0 | 1 | 2 | 2 | 6 | -4 |
8 |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 0 | 0 | 3 | 3 | 9 | -6 |
축구 통계 관례에 따라 연장전에서 승부가 결정된 경기는 승패로, 승부차기에서 결정된 경기는 무승부로 계산한다.[3]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우승 팀 |
---|
노르웨이 첫 번째 우승 |
9. 메달 수상
그로 에스페세스, 벤테 노르비, 마리안 페테르센, 헤게 리세, 크리스틴 베케볼, 라그닐드 굴브란센, 솔베이 굴브란센, 마르군 하우게네스, 잉에보르 호블란, 크리스틴 뵈 예센, 실리에 예르겐센, 모니카 크누센, 괴릴 크링겐, 안네 톤네센, 운니 렌, 다그니 멜그렌, 아니타 랩, 브리트 산다우네, 벤테 크비틀란
브랜디 체스테인, 조이 파셋, 줄리 푸디, 미아 햄, 미셸 프렌치, 크리스틴 릴리, 티페니 밀브레트, 카를라 오버벡, 신디 팔로, 브리아나 스커리, 로리 페어, 섀넌 맥밀런, 시리 멀리닉스, 크리스티 피어스, 니키 설렌가, 다니엘 슬레이튼, 케이트 소브레로, 사라 왈렌
아리아네 힝스트, 멜라니 호프만, 스테피 존스, 레나테 링고르, 마렌 마이너트, 산드라 미네르트, 클라우디아 뮐러, 비르기트 프린츠, 실케 로텐베르크, 케르스틴 슈테게만, 베티나 비에그만, 티나 분덜리히, 니콜 브란데부제마이어, 나딘 앙거러, 도리스 피첸, 자네트 굣테, 스테파니 고트슐리히, 잉카 그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