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K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 K리그는 10개 팀이 참가하여 정규 리그를 치르고, 상위 팀들이 챔피언십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정규 리그는 각 팀이 세 번씩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총 135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승리 시 승점 3점, 승부차기 승리 시 승점 1점을 부여했다. 정규 리그 1위는 챔피언 결정전에, 2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3위와 4위는 준플레이오프를 거쳐 플레이오프 진출팀을 가렸다. 챔피언십에서는 안양 LG 치타스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최우수 선수상에는 최용수, 득점왕에는 김도훈이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 축구 리그 - J리그 디비전 1 2000
2000년 J리그 디비전 1은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 가시마 앤틀러스가 전기, 후기 리그에서 각각 우승하고, 챔피언십에서 가시마 앤틀러스가 최종 우승했으며, 교토 퍼플 상가와 가와사키 프론탈레는 J2리그로 강등되었다. - 2000 축구 리그 - J리그 디비전 2 2000
2000년 J리그 디비전 2는 11개 클럽이 참가하여 콘사돌레 삿포로의 우승과 우라와 레즈의 2위로 J1리그 승격, 총 220경기로 진행된 일본 프로 축구 리그이다. - 2000년 대한민국 - 2000년 선수협 파동 사건
2000년 선수협 파동은 한국 프로야구 선수협회 창립과 재결성 시도에 대한 KBO의 강경 대응으로 두 차례 격화되었으나, 문화관광부의 중재로 합의에 이르렀지만 선수들에게 후폭풍을 남긴 갈등 사건이다. - 2000년 대한민국 - 2000년 서울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2000년 서울 아시아·유럽 정상회의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된 아시아와 유럽 정상들의 다자회의로, 일부 국가에서는 정부 인사가 대표로 참석하여 양 대륙의 협력 관계를 논의했다. - K리그 시즌 - 1985년 K리그
1985년 K리그는 8개 팀이 참가하여 럭키금성 황소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한문배가 MVP, 삐야퐁 푸온이 득점왕과 도움왕을, 이흥실이 신인상을, 박세학이 감독상을, 김현태가 최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 K리그 시즌 - 1988년 K리그
1988년 K리그는 외국인 선수 규정 하에 포항제철 아톰즈가 우승하고, 이기근 득점왕, 김종부 도움왕, 박경훈 MVP, 6번의 해트트릭, 이회택 감독상 수상 등 다양한 기록이 나온 풍성한 시즌이었다.
2000년 K리그 | |
---|---|
시즌 정보 | |
시즌 | 2000 |
대회 | 삼성 디지털 K리그 |
기간 | 정규 시즌: 2000년 5월 14일 – 2000년 10월 11일 챔피언십: 2000년 11월 1일 – 2000년 11월 15일 |
경기 수 | 135 |
총 득점 | 369 |
결과 | |
우승 | 안양 LG 치타스 (3번째 우승) |
준우승 | 부천 SK |
정규 리그 1위 | 안양 LG 치타스 |
참가 및 자격 |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참가 자격 | 안양 LG 치타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컵 위너스컵 참가 자격 | 전북 현대 모터스 |
개인 수상 | |
최우수 선수 | 최용수 |
득점왕 | 김도훈 (12골) |
기록 | |
최다 득점 경기 | 전남 3 - 7 수원 (10월 11일) |
최다 연승 | 10경기, 안양 LG 치타스 (6월 14일 ~ 7월 29일) |
최다 연패 | 9경기, 울산 (4월 22일 ~ 6월 14일) |
관중 | |
최다 관중 | – |
최소 관중 | – |
평균 관중 | – |
시즌 흐름 | |
이전 시즌 | 1999 |
다음 시즌 | 2001 |
2. 운영 방식
2000년 K리그는 총 10개 팀이 참가하였다. 각 팀은 다른 팀과 세 번씩 경기를 치르는 '정규 리그'를 진행하였고, 총 135경기가 열렸으며 각 팀당 27경기를 치렀다.[1] 정규 리그 1위부터 4위 팀은 '챔피언십'(포스트 시즌)에 진출하고, 5위부터 10위 팀은 해당 순위가 최종 순위가 되었다.[1]
정규 리그 1위 팀은 '챔피언 결정전'에 직행,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 3위와 4위 팀은 '준플레이오프'에서 맞붙었다.[1] 준플레이오프 승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패자는 최종 4위가 되었다.[1] 플레이오프 승자는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고, 패자는 최종 3위가 되었다.[1]
정규 시간 내에 승패가 결정되지 않으면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로 돌입했다.[1] 승부차기 승리 팀에게는 승점 1점이 주어졌다.[1] 정규시간 승리는 승점 3점, 승부차기 승리는 승점 1점, 승부차기 패배와 정규시간 패배는 승점 0점이 부여되었다.[1]
2. 1. 리그 방식
총 10개 팀이 참가하여 각 팀이 다른 팀과 모두 세 번씩 경기를 치르는 '정규 리그'(정규 시즌)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2000년 대회의 정규 리그에서는 총 135경기가 진행되었으며, 각 팀은 27경기를 치렀다.[1] 정규 리그 1위에서 4위를 기록한 팀들은 '챔피언십'(포스트 시즌)에 진출하고, 정규 리그 5위에서 10위를 기록한 팀들은 해당 순위가 시즌 최종 순위가 되었다.[1]정규 리그 순위를 기준으로 1위는 '챔피언 결정전'에, 2위는 '플레이오프'에, 3위와 4위는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1] 준플레이오프의 승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4위가 되었다.[1]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며,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3위가 되었다.[1] 챔피언 결정전의 승자는 리그 우승 팀에 등극하며, 패자는 리그 준우승 팀이 되었다.[1]
정규 시간(전반전 45분, 후반전 45분 및 인저리 타임) 내에 승패를 가리지 못하는 경우 경기는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로 돌입하였다.[1] 승부차기에서 승리한 팀에게는 승점 1점을 부여하였다.[1] 정규시간 승리 시에는 승점 3점을, 승부차기 승리 시에는 승점 1점을, 승부차기 패배 시와 정규시간 패배 시에는 승점 0점을 부여하였다.[1]
2. 2. 포스트시즌 (챔피언십)
정규 리그 1위에서 4위를 기록한 팀들은 '챔피언십'(포스트 시즌)에 진출하였다. 정규 리그 순위를 기준으로 1위는 '챔피언 결정전'에, 2위는 '플레이오프'에, 3위와 4위는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준플레이오프의 승자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4위가 된다.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며,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3위가 된다.[1]2000년 K-리그 챔피언십 준플레이오프는 정규 리그 3위와 정규 리그 4위가 맞붙는 경기로, 단판 승부로 정규 리그 3위의 홈에서 진행되었다. 준플레이오프의 패자는 시즌 최종 순위 4위가 된다.[1]
11월 1일 전주시 전주종합경기장에서 열린 준플레이오프 경기에서는 전북 현대 모터스가 부천 SK에 1-2로 패배하였다. 전북 현대 모터스의 박성배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부천 SK의 전경준과 이원식이 득점에 성공하여 부천 SK가 승리하였다.[1]
3. 참가 구단
2000년 K리그에는 10개의 구단이 참가했다. 시즌에 앞서 충청남도 천안시를 연고지로 하던 '천안 일화 천마'가 경기도 성남시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성남 일화 천마'로 구단 명칭이 변경되었다.[4]
팀 | 연고지 | 데뷔 시즌 | 참가 횟수 | 전년 순위 |
---|---|---|---|---|
대전 시티즌 | 대전광역시 | 1997년 | 4 | 8위 |
부산 아이콘스 | 부산광역시 | 1983년 | 18 | 2위 |
부천 SK | 부천시[4] | 1983년 | 18 | 3위 |
성남 일화 천마 | 성남시 | 1989년 | 12 | 10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시 | 1996년 | 5 | 1위 |
안양 LG 치타스 | 안양시 | 1984년 | 17 | 9위 |
울산 현대 호랑이 | 울산광역시 | 1984년 | 17 | 6위 |
전남 드래곤즈 | 전라남도 | 1995년 | 6 | 4위 |
전북 현대 모터스 | 전라북도 | 1995년 | 6 | 7위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시 | 1983년 | 18 | 5위 |
3. 1. 참가 구단 목록
팀 | 연고지 | 데뷔 시즌 | 참가 횟수 | 전년 순위 |
---|---|---|---|---|
대전 시티즌 | 대전광역시 | 1997년 | 4 | 8위 |
부산 아이콘스 | 부산광역시 | 1983년 | 18 | 2위 |
부천 SK | 부천시[4] | 1983년 | 18 | 3위 |
성남 일화 천마 | 성남시 | 1989년 | 12 | 10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시 | 1996년 | 5 | 1위 |
안양 LG 치타스 | 안양시 | 1984년 | 17 | 9위 |
울산 현대 호랑이 | 울산광역시 | 1984년 | 17 | 6위 |
전남 드래곤즈 | 전라남도 | 1995년 | 6 | 4위 |
전북 현대 모터스 | 전라북도 | 1995년 | 6 | 7위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시 | 1983년 | 18 | 5위 |
시즌에 앞서 충청남도 천안시를 연고지로 삼던 '천안 일화 천마'가 경기도 성남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성남 일화 천마'가 되었다.
4. 시즌 순위
2000년 K리그 시즌 순위는 정규 리그와 챔피언십(포스트시즌)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다. 정규 리그는 2000년 5월 14일부터 10월 1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정규시간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후 승부차기 승리 시 1점을 얻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정규 리그에서는 안양 LG 치타스가 1위를 차지했고, 성남 일화 천마(2위), 전북 현대 모터스(3위), 부천 SK(4위)가 그 뒤를 이어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챔피언십은 정규 리그 3위와 4위 간의 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승자와 정규 리그 2위 간의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승자와 정규 리그 1위 간의 챔피언 결정전 순서로 진행되었다.
최종 순위는 아래 표와 같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승부차기 승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차 | 승점 | 참가 자격 및 강등 |
---|---|---|---|---|---|---|---|---|---|---|
1 | 안양 LG 치타스 (C) | 27 | 17 | 2 | 8 | 46 | 25 | +21 | 53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2001-02 진출 |
2 | 부천 SK | 27 | 10 | 6 | 11 | 45 | 35 | +10 | 36 | |
3 | 성남 일화 천마 | 27 | 12 | 6 | 9 | 43 | 33 | +10 | 42 | |
4 | 전북 현대 모터스 | 27 | 11 | 4 | 12 | 34 | 40 | -6 | 37 | |
5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7 | 11 | 3 | 13 | 48 | 43 | +5 | 36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2001-02 진출 |
6 | 부산 아이콘스 | 27 | 9 | 2 | 16 | 42 | 42 | 0 | 29 | |
7 | 전남 드래곤즈 | 27 | 8 | 4 | 15 | 28 | 35 | -7 | 28 | |
8 | 대전 시티즌 | 27 | 7 | 3 | 17 | 26 | 40 | -14 | 24 | |
9 | 포항 스틸러스 | 27 | 5 | 7 | 15 | 31 | 39 | -8 | 22 | |
10 | 울산 현대 호랑이 | 27 | 6 | 2 | 19 | 26 | 37 | -11 | 20 |
4. 1. 정규 리그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승부차기 승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차 | 승점 | 참가 자격 및 강등 |
---|---|---|---|---|---|---|---|---|---|---|
1 | 안양 LG 치타스 | 27 | 17 | 2 | 8 | 46 | 25 | +21 | 53 | 챔피언 결정전 진출 |
2 | 성남 일화 천마 | 27 | 12 | 6 | 9 | 43 | 33 | +10 | 42 | 플레이오프 진출 |
3 | 전북 현대 모터스 | 27 | 11 | 4 | 12 | 34 | 40 | -6 | 37 | 준플레이오프 진출 |
4 | 부천 SK | 27 | 10 | 6 | 11 | 45 | 36 | +10 | 36 | |
5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7 | 11 | 3 | 13 | 48 | 43 | +5 | 36 | |
6 | 부산 아이콘스 | 27 | 9 | 2 | 16 | 42 | 42 | 0 | 29 | |
7 | 전남 드래곤즈 | 27 | 8 | 4 | 15 | 28 | 35 | -7 | 28 | |
8 | 대전 시티즌 | 27 | 7 | 3 | 17 | 26 | 40 | -14 | 24 | |
9 | 포항 스틸러스 | 27 | 5 | 7 | 15 | 31 | 39 | -8 | 22 | |
10 | 울산 현대 호랑이 | 27 | 6 | 2 | 19 | 26 | 37 | -11 | 20 |
- 승점 제도: 정규시간 승리 3점, 무승부 시(연장전 미진행) 승부차기 승리 1점.
- 2000년 5월 14일부터 동년 10월 11일까지 치른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