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 H.O.T. LIVE CONCERT - H.O.T. FOREVER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1 H.O.T. LIVE CONCERT - H.O.T. FOREVER는 2001년 2월 27일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그룹 H.O.T.의 콘서트이다. SM 엔터테인먼트와의 재계약 문제로 멤버들의 불화설이 있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콘서트에는 8만 명의 관객이 모였으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켜 교육부의 조퇴 금지령과 서울 지하철 연장 운행이 이루어졌다. 이 공연은 2018년 재결합 전까지 H.O.T.의 마지막 무대였으며, 이후 멤버들의 소속사 이적으로 팀은 공식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콘서트 투어 - Dream Within a Dream Tour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2001년 세 번째 정규 앨범 《브리트니》를 지원하기 위해 개최한 Dream Within a Dream Tour는 웨이드 롭슨이 연출과 안무를 맡았고, 연극적인 구성, 화려한 무대 연출, 그리고 2톤의 물을 쏟아내는 물 스크린으로 화제를 모으며 2001년 1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북미와 아시아를 순회하여 총 463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린 콘서트 투어이다. - 2001년 콘서트 투어 - Oops!... I Did It Again World Tour
Oops!... I Did It Again World Tour는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동명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을 홍보하기 위해 개최한 두 번째 월드 투어로, 유럽 지역을 처음 순회하며 북미, 유럽, 남아메리카에서 총 78회 공연을 통해 브로드웨이 쇼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무대 연출과 다채로운 레퍼토리를 선보여 비평적,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 H.O.T.의 콘서트 투어 - 99 LIVE IN SEOUL
1999년 9월 18일 서울 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99 LIVE IN SEOUL은 H.O.T., 핑클, god, 터보 등 당대 최고의 가수들이 참여하여 1990년대 후반 한국 대중음악의 정점을 보여준 콘서트로, IMF 외환 위기 이후 국민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선사했으나 문희준의 추락 사고와 H.O.T. 팬의 자살 사건으로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 H.O.T.의 콘서트 투어 - H.O.T. THE 2ND CONCERT
H.O.T. THE 2ND CONCERT는 1998년 2월 28일 서울 올림픽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H.O.T.의 두 번째 단독 콘서트로, SM 엔터테인먼트가 주최하고 서울기획이 기획하여 '전사의 후예', 'We Are The Future', '행복' 등 인기 곡들과 오프닝 VCR, 멤버 솔로 무대, 앵콜 무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 H.O.T. - 강타
강타는 1996년 H.O.T.로 데뷔하여 큰 성공을 거둔 후 솔로 가수와 배우, 음악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최근에는 크리에이션 뮤직 라이츠의 프로듀서로서 후배 아티스트 육성에도 참여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H.O.T. - 장우혁
장우혁은 1990년대 H.O.T. 멤버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로 활동하며 앨범 발표, 패션쇼 모델, 중국 활동 등을 하였고, H.O.T. 재결합 이후에도 활동을 이어갔다.
2001 H.O.T. LIVE CONCERT - H.O.T. FOREVER | |
---|---|
공연 정보 | |
투어 이름 | 2001 H.O.T. LIVE CONCERT - H.O.T. FOREVER |
음악가 | H.O.T. |
지역 | 대한민국 |
음반 | Outside Castle |
시작일 | 2001년 2월 27일 |
이전 투어 | 2000 H.O.T. LIVE CONCERT IN BEIJING (2000) |
이번 투어 | 2001 H.O.T. LIVE CONCERT - H.O.T. FOREVER |
다음 투어 | H.O.T. CONCERT "FOREVER H.O.T." (2018) |
2. 역사적 배경 및 사건 사고
H.O.T.는 2001년 1월 18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콘서트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멤버 이재원의 발뒤꿈치 부상으로 인해 2월 23일에서 27일로 연기되었다.[1] 공연을 일주일 앞두고 공연 장소였던 올림픽체조경기장의 지붕이 폭설로 인해 일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콘서트 개최에 차질이 생겼다. 이에 SM 엔터테인먼트는 5일간의 콘서트 티켓량을 수습하기 위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으로 공연 장소를 긴급 변경하였다. 5일 예정이었던 공연이 1일로 단축되면서, 공연 6일 전부터 콘서트를 보기 위해 모여든 팬들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SM 엔터테인먼트와 서울기획은 이미 예매된 티켓 번호를 주경기장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좌석제로 전환하여 혼란을 수습하였다. 1000여 명의 팬들이 공연 일주일 전부터 공연장 앞에서 노숙을 하는 진풍경이 벌어졌고, KBS 《뉴스투데이》에서 본 공연 현장을 취재하기도 하였다.
2001년 초, SM 엔터테인먼트와 재계약 여부에 관심이 쏠렸던 가운데, 당시 재계약 대상이었던 토니 안, 장우혁, 이재원 등 세 멤버가 계약 조건에 불만을 품고 콘서트 연습에 불참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으나, 이는 멤버들의 해명으로 허위 사실로 밝혀졌다.
이 공연은 2018년 재결합 이전까지 H.O.T.가 가진 마지막 무대가 되었으며, 3개월 뒤인 2001년 5월 13일 장우혁, 토니 안, 이재원이 소속사를 이전하면서 H.O.T.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2. 1. 사회적 파장
공연 6일 전부터 팬들이 노숙을 하는 등 몰려드는 인파로 인해 교육부가 조퇴 금지령을 발표했고, 공연 당일 팬들의 귀가를 돕기 위해 서울 지하철이 연장 운행되었다.[1]3. 공연 구성
공연은 H.O.T.의 히트곡과 멤버들의 솔로 무대로 구성되었다. 토니 안은 "Livin' La Vida Loca", 이재원은 "Boom! Shake The Room"을 선보였다.[2][3] 강타는 "Only You", "Right Here Waiting", "Let It Be"를,[4][5][6] 장우혁은 "Scartch Show"와 "Good Bye 이젠"을, 문희준은 "Persia Black Hole"을 공연했다. 팬들과 "행복 (Full Of Happiness)"을 함께 부르기도 했다.
3. 1. 세트 리스트
- 아이야 (I Yah!)
- Medley #1
- * 투지 (Git It Up!)
- *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
- * You Got Gun
- N.B.K. (Natural Born Killer)
- Time Will Tell
- Livin' La Vida Loca (토니 안 Solo)[2]
- Boom! Shake The Room (이재원 Solo)[3]
- Medley #2
- * 환희 (It's Been Raining Since You Left Me)
- * 신비 (Delight)
- Medley #3
- * We Are The Future
- * OP.T (Operation Takeover)
- Only You (강타 Solo)[4]
- Right Here Waiting (강타 Solo)[5]
- 행복 (Full Of Happiness) - With Fan (강타 Solo)
- Let It Be (강타 Solo)[6]
- Scartch Show (장우혁 Solo)
- Good Bye 이젠 (Good Bye For The Last) (장우혁 Solo With 토니 안)
- Persia Black Hole (문희준 Solo)
- For 연가 (A Song For Lady)
- Medley #4
- * 행복 (Full Of Happiness)
- * 빛 (Hope)_Rearranged
- My Mother
- 너와 나 (You& I)
- 그래 그렇게 (We Can Do It)
- Outside Castle
3. 2. 투어 일정
4. 해체와 재결합
이 공연은 2018년 재결합 이전까지 H.O.T.가 가진 마지막 무대가 되었으며, 3개월 뒤인 2001년 5월 13일 장우혁, 토니 안, 이재원이 소속사를 이전하면서 H.O.T.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1]
5. 제작
- 주최: SM 엔터테인먼트
- 기획: 서울기획
참조
[1]
뉴스
체조경기장 지붕 폭설로 파손...H.O.T.·god 콘서트 무산위기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1-02-16
[2]
기타
리키 마틴
[3]
기타
DJ 재지 제프 & 더 프레시 프린스
[4]
기타
The Platters
[5]
기타
리처드 막스
[6]
기타
비틀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