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아시안 게임 비치발리볼 남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아시안 게임 비치발리볼 남자 경기는 2002년 9월 29일부터 10월 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예선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일본의 시라토리 가쓰히로-와타나베 사토시 조가 결승에서 인도네시아의 아구스 살림-코코 프라스티요 다쿤코로 조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중국의 리화-자오 치청 조가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2년 아시안 게임 비치발리볼 남자 | |
---|---|
대회 정보 | |
종목 | 남자 비치발리볼 |
대회 | 2002년 아시안 게임 |
경기장 | 해운대해수욕장 |
기간 | 2002년 9월 29일 – 2002년 10월 4일 |
참가 선수 | 40 |
참가 국가 | 10 |
메달 정보 | |
금메달 | 시라토리 카츠히로 와타나베 사토시 |
금메달 국가 | JPN |
은메달 | 아구스 살림 코코 다르쿤코로 |
은메달 국가 | INA |
동메달 | 리후아 자오치청 |
동메달 국가 | CHN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98 |
다음 대회 | 2006 |
2. 경기 일정
모든 경기 시간은 대한민국 표준시(UTC+09:00) 기준이다.
날짜 | 경기 시간 | 경기 |
---|---|---|
2002년 9월 29일 일요일 | 09:00 | 예선 1라운드 |
11:00 | 예선 2라운드 | |
2002년 9월 30일 월요일 | 09:00 | 예선 3라운드 |
14:00 | 예선 4라운드 | |
2002년 10월 1일 화요일 | 09:00 | 예선 4라운드 |
11:00 | 예선 5라운드 | |
2002년 10월 2일 수요일 | 09:00 | 16강 |
2002년 10월 3일 목요일 | 10:00 | 8강 |
14:00 | 준결승 | |
2002년 10월 4일 금요일 | 10:00 | 3,4위전 |
14:00 | 결승 |
2002년 아시안 게임 비치발리볼 남자 종목 경기는 예선과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예선은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A, B, C, D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했다. 토너먼트는 16강, 8강, 준결승, 결승 경기로 진행되었다.
3. 경기 결과
3. 1. 예선
2002년 아시안 게임 비치발리볼 남자 예선은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예선은 A, B, C, D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인도네시아의 아구스 살림-코코 다르쿤코로 조가 4전 전승으로 1위를, 대한민국의 심연섭-이병희 조가 2승 2패로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B, C, D조의 상세한 경기 결과는 하위 섹션에 별도로 작성되어있다.
3. 1. 1. A조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패 | 세트 득실률 | 점수 득실률 |
---|---|---|---|---|---|---|
1 | 아구스 살림 – 코코 다르쿤코로 (인도네시아) | 4 | 4 | 0 | 8-1 | 183-145 |
2 | 심연섭 – 이병희 (대한민국) | 4 | 2 | 2 | 6-6 | 222-219 |
3 | 예브게니 마셰빈 – 세르게이 신케비치 (카자흐스탄) | 4 | 2 | 2 | 5-5 | 171-177 |
4 | 손티 분루에앙 – 페트치 파초른 (태국) | 4 | 2 | 2 | 5-6 | 193-204 |
5 | 아흐마드 술라이만 – 모함마드 사바 (쿠웨이트) | 4 | 0 | 4 | 2-8 | 176-200 |
날짜 | 팀 1 | 점수 | 팀 2 | 1세트 | 2세트 | 3세트 |
---|---|---|---|---|---|---|
9월 29일 | 심연섭 – 이병희 (대한민국) | 1-2 | 예브게니 마셰빈 – 세르게이 신케비치 (카자흐스탄) | 17-21 | 21-11 | 12-15 |
9월 29일 | 손티 분루에앙 – 페트치 파초른 (태국) | 2-1 | 아흐마드 술라이만 – 모함마드 사바 (쿠웨이트) | 21-18 | 18-21 | 15-12 |
9월 29일 | 아구스 살림 – 코코 다르쿤코로 (인도네시아) | 2-0 | 예브게니 마셰빈 – 세르게이 신케비치 (카자흐스탄) | 21-14 | 21-15 | |
9월 29일 | 아흐마드 술라이만 – 모함마드 사바 (쿠웨이트) | 1-2 | 심연섭 – 이병희 (대한민국) | 21-17 | 17-21 | 22-24 |
9월 30일 | 아구스 살림 – 코코 다르쿤코로 (인도네시아) | 2-0 | 아흐마드 술라이만 – 모함마드 사바 (쿠웨이트) | 21-18 | 21-15 | |
9월 30일 | 손티 분루에앙 – 페트치 파초른 (태국) | 1-2 | 심연섭 – 이병희 (대한민국) | 24-22 | 18-21 | 13-15 |
9월 30일 | 아구스 살림 – 코코 다르쿤코로 (인도네시아) | 2-1 | 심연섭 – 이병희 (대한민국) | 21-11 | 14-21 | 22-20 |
9월 30일 | 예브게니 마셰빈 – 세르게이 신케비치 (카자흐스탄) | 1-2 | 손티 분루에앙 – 페트치 파초른 (태국) | 19-21 | 21-17 | 13-15 |
10월 1일 | 예브게니 마셰빈 – 세르게이 신케비치 (카자흐스탄) | 2-0 | 아흐마드 술라이만 – 모함마드 사바 (쿠웨이트) | 21-16 | 21-16 | |
10월 1일 | 아구스 살림 – 코코 다르쿤코로 (인도네시아) | 2-0 | 손티 분루에앙 – 페트치 파초른 (태국) | 21-13 | 21-18 |
3. 1. 2. B조
B조는 인도네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바레인 팀으로 구성되었다. 경기 결과, 인도네시아의 앤디 아르디안샤–수프리아디 조와 중국의 리화–자오츠청 조가 각각 3승 1패로 8강에 진출했다. 카자흐스탄의 파벨 자부슬라예프–드미트리 보로비예프 조는 2승 2패, 쿠웨이트의 다우드 압둘카데르–아델 알 무자일 조는 1승 3패, 바레인의 사데크 에브라힘–알리 압둘아미르 조는 4패를 기록했다.
3. 1. 3. C조
wikitext순위 | 팀 | 경기 | 승 | 패 | 득점 | 실점 | 점수 비율 | 세트 득실 | 점수 |
---|---|---|---|---|---|---|---|---|---|
1 | 아구스 살림|살림id - 코코 프라스에토 다쿤코로|다쿤코로id ( 인도네시아) | 4 | 3 | 1 | 183 | 145 | 1.262 | 8-1 | 7 |
2 | 리후아|리중국어 - 자오치청|자오중국어 ( 중국) | 4 | 3 | 1 | 174 | 121 | 1.438 | 7-2 | 7 |
3 | 예브게니 마셰빈|마셰빈kk - 세르게이 싱케비치|싱케비치kk ( 카자흐스탄) | 4 | 2 | 2 | 138 | 121 | 1.140 | 4-4 | 6 |
4 | 아흐마드 술레이만|술레이만ar - 모하마드 사바|사바ar ( 쿠웨이트) | 4 | 1 | 3 | 166 | 135 | 1.230 | 3-6 | 5 |
5 | 사데크 에브라힘|에브라힘ar - 카셈 압둘라|압둘라ar ( 바레인) | 4 | 0 | 4 | 0 | 168 | 0.000 | 0-8 | 2 |
3. 1. 4. D조
D조에서는 인도네시아 팀이 4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 팀은 1승 3패를 기록하여 8강 진출에 실패했다.
3. 2. 토너먼트
{{| class="wikitable"|-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살림–다쿤코로 () | 21 - 12, 21 - 10 | |
바이라미–알-쿠와리 () | 11 - 21, 15 - 21 | |
이사–압둘라 () | 21 - 17, 21 - 17 | |
마셰빈–싱케비치 () | 21 - 14, 21 - 10 | |
리–자오 () | 21 - 13, 21 - 19 | |
라시드–안베르 () | 21 - 12, 21 - 16 | |
키리하라–오자키 () | 21 - 23, 14 - 21 | |
압둘카데르–알-무자일 () | 21 - 15, 21 - 13 |
|
살림–다쿤코로 () | 21 - 19, 24 - 22 | |
마셰빈–싱케비치 () | 21 - 18, 21 - 17 | |
리–자오 () | 21 - 12, 20 - 22, 15 - 13 | |
키리하라–오자키 () | 14 - 21, 19 - 21 |
|
살림–다쿤코로 () | 24 - 22, 24 - 22 | |
리–자오 () | 14 - 21, 15 - 21 |
|
살림–다쿤코로 () | 27 - 29, 17 - 21 |
|}
3·4위전
리–자오 () | 21 - 14, 22 - 20 |
2002년 아시안 게임 비치발리볼 남자 종목은 16강, 8강, 준결승, 결승 경기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4.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패 |
---|---|---|---|---|
白鳥 勝浩|시라토리 가쓰히로일본어 - 渡辺 聡|와타나베 사토시일본어 (일본) | 8 | 8 | 0 | |
Agus Salim|아구스 살림id - Koko Prasetyo Darkuncoro|코코 프라세티요 다르쿵코로id (인도네시아) | 8 | 7 | 1 | |
李桦|리화중국어 - 赵驰骋|자오 치청중국어 (중국) | 8 | 6 | 2 | |
4 | Andy Ardiansyah|앤디 아르디얀샤id - Supriadi|수프리아디id (인도네시아) | 8 | 5 | 3 |
5 | 滕茂民|텅 마오민중국어 - 徐强|쉬 창중국어 (중국) | 6 | 3 | 3 |
5 | 桐原 勇人|기리하라 하야토일본어 - 尾崎 侯|오자키 코일본어 (일본) | 6 | 5 | 1 |
5 | 예브게니 마셰빈 - 세르게이 싱케비치 (카자흐스탄) | 6 | 3 | 3 |
5 | 타위프 통캄네르드 - 사타폰 사왕르엉 (태국) | 6 | 4 | 2 |
9 | 오사마 이사 - 카데르 압둘라 (바레인) | 5 | 3 | 2 |
9 | 파벨 자부슬라예프 - 드미트리 보로비예프 (카자흐스탄) | 5 | 3 | 2 |
9 | 최부식 - 박상헌 (대한민국) | 5 | 1 | 4 |
9 | 심연섭 - 이병희 (대한민국) | 5 | 2 | 3 |
9 | 다우드 압둘카데르 - 아델 알-무자일 (쿠웨이트) | 5 | 1 | 4 |
9 | 알리 이샤크 바이라미 - 모하메드 살렘 알-쿠와리 (카타르) | 5 | 1 | 4 |
9 | 무바라크 라시드 - 모하메드 안베르 (카타르) | 5 | 2 | 3 |
9 | 손티 분르엉 - 페치 파손 (태국) | 5 | 2 | 3 |
17 | 사데크 에브라힘 - 알리 압둘아메르 (바레인) | 4 | 0 | 4 |
17 | Pradeep John|프라딥 존영어 - 모한 푸타탄 (인도) | 4 | 0 | 4 |
17 | 크리슈나 레디 파틀리야 - 자밀루딘 모하메드 (인도) | 4 | 0 | 4 |
17 | Ahmad Sulaiman|아흐마드 술레이만영어 - 모하메드 사바 (쿠웨이트) | 4 | 0 | 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