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싱가포르가 우승을 차지했다. 브루나이가 불참하고 동티모르가 처음 참가한 이 대회에는 10개 팀이 참가했으며, 싱가포르는 결승에서 인도네시아를 꺾고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베트남 - 태풍 무이파 (2004년)
태풍 무이파 (2004년)는 2004년 11월에 필리핀과 베트남에 큰 피해를 입힌 태풍으로, 필리핀에서 68명이 사망하고 10억 페소 이상의 피해를, 베트남에서 홍수와 산사태로 40명 이상이 사망하는 피해를 발생시켰다. - 2004년 말레이시아 - 2004년 말레이시아 총선거
2004년 말레이시아 총선거는 국민전선의 압승으로 끝났지만, 선거 과정의 불일치와 논란으로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국민전선은 전국적 우세를, 바리산 알테르나티프는 의석 감소를, 민주행동당은 의석 증가를 나타냈다. - 베트남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6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964년 남베트남에서 열린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미얀마와 이스라엘의 공동 우승, 말레이시아의 3위, 그리고 A조와 B조로 나뉜 조별 리그 후 각 조 1위 팀의 결승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베트남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은 베트남에서 개최되었으며, 일본이 호주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상위 5개 팀이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004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F 챔피언십 |
연도 | 2004년 |
다른 명칭 | giải vô địch bóng đá Đông Nam Á 2004 (베트남어) 2004 kejohanan bola sepak ASEAN (말레이시아어) |
![]() | |
개최국 | 베트남 (조별 리그) 말레이시아 (조별 리그) |
개최 기간 | 2004년 12월 7일 – 2005년 1월 16일 |
참가 팀 수 | 10개국 |
경기장 수 | 5개 |
도시 수 | 4개 |
결과 | |
우승 | 싱가포르 |
우승 횟수 | 2회 |
준우승 | 인도네시아 |
3위 | 말레이시아 |
4위 | 1974 |
통계 | |
총 경기 수 | 27경기 |
총 득점 수 | 113골 |
최다 득점자 | Ilham Jaya Kesuma(인도네시아) (7골) |
최우수 선수 | Lionel Lewis(싱가포르) |
대회 역사 | |
이전 대회 | 2002년 |
다음 대회 | 2007년 |
2. 참가 팀
아세안 축구 연맹(AFF) 회원국이 모두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브루나이는 불참했다. 2004년 5월, 대회 스폰서인 타이거 맥주는 당시 신생 독립국이었던 동티모르가 브루나이를 대신하여 대회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이로써 동티모르는 이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하게 되었으며, 대회 참가국은 총 10개 팀으로 유지되었다.
3. 대회 개요
이번 대회는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는 모토처럼 예상 밖의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특히 이반 벤코프 콜레프 감독이 이끄는 미얀마는 이전 대회 우승팀 태국과 비기고 말레이시아를 꺾으며 조 1위로 준결승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한편, 피터 위스 감독이 이끄는 인도네시아는 조별 리그에서 17골 득점, 무실점이라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강력한 우승 후보로 부상했고, 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 감독의 싱가포르 역시 무패로 조별 리그를 통과했다. 반면 개최국 중 하나인 베트남은 인도네시아에 패배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에드송 타바레스 감독이 사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3. 1. 경기장
wikitext하노이 | 호치민 시 | 하이퐁 | 자카르타 |
---|---|---|---|
미딘 국립경기장 | 통낫 경기장 | 락 짜이 경기장 | 겔로라 붕 카르노 경기장 |
수용 인원: 40,192 | 수용 인원: 15,000 | 수용 인원: 32,000 | 수용 인원: 110,000 |
![]() | ![]() | ![]() | |
싱가포르 | 쿠알라룸푸르 | ||
국립 경기장 | 잘란 베사르 경기장 | 부킷 잘릴 국립 경기장 | KLFA 경기장 |
수용 인원: 55,000 | 수용 인원: 6,000 | 수용 인원: 100,000 | 수용 인원: 18,000 |
![]() | ![]() |
3. 2. 조별 리그
조별 리그는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A조 경기는 베트남에서 인도차이나 시간 (UTC+7) 기준으로 열렸고, B조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 각 조의 상위 2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3. 2. 1. A조
- ---
'''경기 결과'''
- 2004년 12월 7일 - 호찌민 시 통녓 경기장
- : 라오스 0 – 6 인도네시아
- 2004년 12월 7일 - 호찌민 시 통녓 경기장
- : 베트남 1 – 1 싱가포르
- 2004년 12월 9일 - 호찌민 시 통녓 경기장
- : 베트남 9 – 1 캄보디아
- 2004년 12월 9일 - 호찌민 시 통녓 경기장
- : 인도네시아 0 – 0 싱가포르
- 2004년 12월 11일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 : 라오스 2 – 1 캄보디아
- 2004년 12월 11일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 : 베트남 0 – 3 인도네시아
- 2004년 12월 13일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 : 싱가포르 6 – 2 라오스
- 2004년 12월 13일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 : 인도네시아 8 – 0 캄보디아
- 2004년 12월 15일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 : 베트남 3 – 0 라오스
- 2004년 12월 15일 - 하이퐁 락짜이 경기장
- : 캄보디아 0 – 3 싱가포르
- ---
조별 리그에서 피터 위스 전 태국 감독의 지휘를 받은 인도네시아는 승점 10점, 17골 득점, 무실점으로 A조 1위를 차지했다. 인도네시아는 예상 밖의 3-0 승리로 개최국 베트남을 탈락시키며 2004년 AFF 선수권 대회의 유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경기가 끝난 지 하루도 채 되지 않아 베트남 축구 연맹은 마지막 경기까지 감독직을 유지해 달라는 요청에도 불구하고 국가대표팀 감독 에드송 타바레스에게 사임을 요청했다. 라도이코 아브라모비치가 이끄는 싱가포르는 단 1점 차로 개최국 베트남을 제치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대회에서 단 한 경기도 패하지 않은 유일한 팀으로 남았다.
3. 2. 2. B조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렸다.
'''경기 결과'''
- '''2004년 12월 8일'''
- * 필리핀 0 – 1 미얀마 (경기장: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 말레이시아 5 – 0 동티모르 (경기장: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2004년 12월 10일'''
- * 태국 1 – 1 미얀마 (경기장: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 말레이시아 4 – 1 필리핀 (경기장: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2004년 12월 12일'''
- * 동티모르 0 – 8 태국 (경기장: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 말레이시아 0 – 1 미얀마 (경기장: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2004년 12월 14일'''
- * 필리핀 2 – 1 동티모르 (경기장: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 말레이시아 2 – 1 태국 (경기장: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2004년 12월 16일'''
- * 미얀마 3 – 1 동티모르 (경기장: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 태국 3 – 1 필리핀 (경기장: KLFA 경기장)
대회 모토인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에 따라 이반 벤코프 콜레프 감독의 미얀마는 이전 대회 우승팀 태국을 상대로 무승부를 기록하고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승리하는 등 예상 밖의 선전을 펼치며 조 1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말레이시아는 조 2위로 준결승에 올랐다.
3. 3.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다. 준결승전과 결승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3·4위전은 단판 승부로 치러졌다.준결승전에서는 A조 1위 인도네시아가 B조 2위 말레이시아를, B조 1위 미얀마가 A조 2위 싱가포르와 맞붙었다. 그 결과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가 결승전에 진출했으며, 3·4위전에서는 말레이시아가 미얀마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싱가포르'''가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5–2로 승리하며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3. 3. 1. 준결승전
준결승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졌다. A조 1위 인도네시아는 B조 2위 말레이시아와 맞붙었고, B조 1위 미얀마는 A조 2위 싱가포르와 격돌했다.- ---
'''미얀마 vs 싱가포르'''
- 1차전: 2004년 12월 29일, 쿠알라룸푸르 KLFA 경기장
- * 미얀마 3 - 4 싱가포르
- ** 미얀마: 소 먓 민 (34', 90'), 민 투 (36')
- ** 싱가포르: 대니얼 베넷 (20'), 아구 카스미르 (38'), 노 알람 샤 (63'), 샤흐릴 이삭 (81')
- ** 심판: 룽클라이 몽콜 (태국)
- 2차전: 2005년 1월 2일,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 * 싱가포르 4 - 2 미얀마 (연장)
- ** 싱가포르: 노 알람 샤 (74', 94', 96'), 아구 카스미르 (108')
- ** 미얀마: 소 먓 민 (15'), 아웅 쿄 모 (50')
- ** 심판: 가미카와 토루 (일본)
'''싱가포르'''가 합계 8 – 5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 ---
'''인도네시아 vs 말레이시아'''
- 1차전: 2004년 12월 28일,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 * 인도네시아 1 - 2 말레이시아
- ** 인도네시아: 쿠르니아완 드위 율리안토 (6')
- ** 말레이시아: 리우 킷 콩 (28', 47')
- ** 심판: 라프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 2차전: 2005년 1월 3일, 쿠알라룸푸르 부킷잘릴 국립경기장[2][3][4]
- * 말레이시아 1 - 4 인도네시아
- ** 말레이시아: 무하마드 칼리드 잠루스 (28')
- ** 인도네시아: 쿠르니아완 드위 율리안토 (59'), 차리스 율리안토 (74'), 일함 자야 케수마 (77'), 보아스 솔로사 (84')
- ** 심판: 쿤수타 차이왓 (태국)
'''인도네시아'''가 합계 5 – 3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3. 3. 2. 3·4위전
2005년 1월 15일 19시 30분(UTC+8) 싱가포르의 잘란 베사르 스타디움에서 3·4위 결정전이 치러졌다. 이 경기에서 말레이시아가 미얀마를 2 – 1로 누르고 3위를 차지했다.말레이시아는 전반 15분 무하마드 칼리드 잠루스의 골로 앞서 나갔다. 후반 7분(52') 미얀마의 소 먓 민이 동점골을 넣었으나, 4분 뒤인 후반 11분(56') 말레이시아의 모하마드 노르 이스마일이 결승골을 기록하며 승부를 결정지었다.
경기의 주심은 베트남 출신의 보 민 트리가 맡았다.
3. 3. 3. 결승전
인도네시아 1 – 3 싱가포르
'''득점:''' 마야디 90' / 베넷 3', 카이룰 39', 카스미르 69'
'''경기장:'''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자카르타
'''심판:''' 권종철 (대한민국)
'''2차전'''
2005년 1월 16일 19:45 (UTC+8)
싱가포르 2 – 1 인도네시아
'''득점:''' 인다 6', 카스미르 41'(PK) / 엘리 77'
'''경기장:''' 국립 경기장, 칼랑
'''심판:''' 칼릴 알 감디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가 합계 5 – 2로 우승을 차지했다.
4. 수상
- '''우승''': 싱가포르 (2번째 우승)
5. 팀 통계
아래 표는 대회 전체 결과에 따른 팀 순위이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결승전 | ||||||||
1 | 싱가포르 | 8 | 6 | 2 | 0 | 23 | 10 | +13 |
2 | 인도네시아 | 8 | 4 | 1 | 3 | 24 | 8 | +16 |
준결승전 | ||||||||
3 | 말레이시아 | 7 | 5 | 0 | 2 | 16 | 9 | +7 |
4 | 미얀마 | 7 | 3 | 1 | 3 | 12 | 12 | 0 |
조별 예선 탈락 | ||||||||
5 | 태국 | 4 | 2 | 1 | 1 | 13 | 4 | +9 |
6 | 베트남 | 4 | 2 | 1 | 1 | 13 | 5 | +8 |
7 | 필리핀 | 4 | 1 | 0 | 3 | 4 | 9 | −5 |
8 | 라오스 | 4 | 1 | 0 | 3 | 4 | 16 | −12 |
9 | 동티모르 | 4 | 0 | 0 | 4 | 2 | 18 | −16 |
10 | 캄보디아 | 4 | 0 | 0 | 4 | 2 | 22 | −20 |
6. 선수 명단
선수 명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04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라.
참조
[1]
뉴스
East Timor to play in Southeast Asia's 2004 Tiger Cup soccer tournament
2004-05-07
[2]
웹사이트
Hoãn trận bán kết Tiger Cup lượt về Malaysia - Indonesia
https://vnexpress.ne[...]
VnExpress
2005-01-03
[3]
뉴스
Soccer : Around the globe, the show goes on
https://www.nytimes.[...]
2004-12-30
[4]
웹사이트
Tiger Cup game hit by tsunami
https://www.rte.ie/s[...]
RTE
2004-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