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CAF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 CAF 챔피언스리그는 아프리카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예선 라운드를 거쳐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는 2개 조로 나뉘어 각 조 상위 2팀이 준결승에 진출했고, 결승에서는 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과 알 아흘리가 맞붙었다. 알 아흘리가 결승에서 합계 3-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AF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01년 CAF 챔피언스리그
2001년 CAF 챔피언스리그는 43개 팀이 참가하여 알아흘리가 마멜로디 선다운스를 꺾고 우승했으며, 페트루 아틀레티쿠의 카펠라 음비야방가가 득점왕을 차지한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 클럽 대항전이다. - CAF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14년 CAF 챔피언스리그
2014년 CAF 챔피언스리그는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주관한 50번째 대회로, ES 세티프가 결승전에서 AS 비타 클뢰브를 꺾고 우승했다. - 2005년 축구 -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여 시드니 FC가 우승을 차지한 클럽 대항전이다. - 2005년 축구 - 2004-05년 UEFA컵
2004-05년 UEFA컵은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를 거쳐 CSKA 모스크바가 스포르팅 CP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05년 CAF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CAF 챔피언스리그 |
연도 | 2005 |
다른 이름 | 아프리카 축구 연맹 챔피언스리그 |
기간 | 2005년 1월 29일 – 2005년 11월 12일 |
참가 팀 수 | 52 |
참가 연맹 수 | 47 |
결과 | |
우승팀 | 알아흘리 (4회 우승) |
준우승팀 | 에투알 뒤 사엘 |
경기 수 | 104 |
총 득점 | 266 |
최다 득점자 | 모하메드 바라카트(이집트), 조텍스 프림퐁(가나) (각 7골) |
시즌 정보 | |
이전 시즌 | 2004 |
다음 시즌 | 2006 |
2. 예선 라운드
2005년 CAF 챔피언스리그 예선 라운드는 예비 라운드, 1라운드, 2라운드로 진행되어 조별 리그 진출 팀을 결정했다.
예비 라운드에서는 왈리단 FC가 감비아 축구 협회의 결정에 따라 기권하여 아산테 코토코 SC가 부전승으로 1라운드에 진출했다. 나머지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라운드에서는 예비 라운드 승리 팀과 상위 랭킹 리그 팀들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2라운드 진출 팀을 가렸다.
2라운드에서는 1라운드를 통과한 팀들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조별 리그에 진출할 8개 팀을 결정했다.
2. 1. 예비 라운드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아산테 코토코 (가나) | 기권1 | 왈리단 FC (감비아) | 없음 | 없음 |
FAR 라바트 (모로코) | 4-1 | ASC 크사르 (모리타니) | 4-0 | 0-1 |
졸리바 AC (말리) | 1-2 | AS 두안 다카르 (세네갈) | 1-1 | 0-1 |
RC 바푸삼 (카메룬) | 3-0 | 동조 (베냉) | 1-0 | 2-0 |
DC 모테마 펨베 (콩고 민주 공화국) | 3-2 | 라용 스포르 (르완다) | 3-0 | 0-2 |
돌핀스 (나이지리아) | 3-1 | 레나시미엔토 (적도 기니) | 3-0 | 0-1 |
사그라다 에스페란사 (앙골라) | 2-1 | AS 망가스포르 (가봉) | 0-0 | 2-1 |
아틀레티쿠 스포르 아비아상 (앙골라) | 4-2 | 블루 워터스 (나미비아) | 3-0 | 1-2 |
터스커 (케냐) | 7-1 | KMKM (잔지바르) | 4-1 | 3-0 |
TP 마젬베 (콩고 민주 공화국) | 2-2 (승부차기 4-5) | ASFA 옌넹가 (부르키나파소) | 2-0 | 0-2 |
아약스 케이프타운 (남아프리카 공화국) | 2-1 | 음흘람바냐치 로버스 (에스와티니) | 1-0 | 1-1 |
ASC 자라프 (세네갈) | 2-2 | 펠로 스타 (기니) | 2-1 | 0-1 |
알힐랄 (수단) | 3-2 | 아와사 시티 FC (에티오피아) | 2-1 | 1-1 |
라 파스 FC (세이셸) | 3-6 | USJF 라비날라 (마다가스카르) | 2-2 | 1-4 |
카이저 치프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 3-2 | AS 포트루이스 2000 (모리셔스) | 2-0 | 1-2 |
심바 SC (탄자니아) | 3-2 | 페호비아리우 드 남풀라 (모잠비크) | 2-1 | 1-1 |
CAPS 유나이티드 (짐바브웨) | 8-4 | 레소토 디펜스 포스 (레소토) | 4-1 | 4-3 |
레드 애로스 (잠비아) | 0-0 (승부차기 3-2) | CSMD 디아블 누아르 (콩고 공화국) | 0-0 | 0-0 |
알올림피크 (리비아) | 4-3 | 르네상스 (차드) | 2-0 | 2-3 |
빌라 SC (우간다) | 3-0 | 아둘리스 클럽 (에리트레아) | 1-0 | 2-0 |
1 왈리단 FC는 감비아 축구 협회의 결정에 따라 기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