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6년 UEFA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06년 UEFA컵은 52개 UEFA 회원국에서 113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대회는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전으로 구성되었으며, 챔피언스리그에서 탈락한 팀들도 합류했다. 조별 리그는 각 조 상위 팀들이 토너먼트전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에서 세비야 FC가 미들즈브러 FC를 4-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축구 -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
2005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여 시드니 FC가 우승을 차지한 클럽 대항전이다. - 2005년 축구 - 2004-05년 UEFA컵
2004-05년 UEFA컵은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를 거쳐 CSKA 모스크바가 스포르팅 CP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06년 축구 - 2006년 FIFA 월드컵
2006년 FIFA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되어 이탈리아의 우승, 카드 남발 논란, 그리고 팬 페스트의 성공으로 기억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6년 축구 - 2006년 AFC 챌린지컵
2006년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 축구 저변 확대를 위해 AFC가 주최하고 방글라데시에서 단독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로, 타지키스탄이 스리랑카를 꺾고 우승했으며 팔레스타인의 파헤드 아탈이 득점왕, 타지키스탄의 이브라힘 라비모프가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UEFA컵 시즌 - 1997-98년 UEFA컵
1997-98년 UEFA컵은 1996년 UEFA 랭킹 기준 102개 클럽이 참가한 대회로, 알바니아 내전 및 챔피언스리그 진출팀 조정으로 변동이 있었으며, 인터 밀란이 라치오를 꺾고 우승, 스테판 기바르슈가 최다 득점을 기록했다. - UEFA컵 시즌 - 2004-05년 UEFA컵
2004-05년 UEFA컵은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를 거쳐 CSKA 모스크바가 스포르팅 CP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5-06년 UEFA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UEFA컵 |
연도 | 2005–06 |
![]() | |
기간 | 2005년 7월 12일 – 2006년 5월 10일 |
참가 팀 수 | 본선: 80팀 예선: 144팀 |
경기 수 | 221 |
총 득점 | 526 |
총 관중 수 | 3,489,789 |
이전 시즌 | 2004–05 |
다음 시즌 | 2006–07 |
우승 및 준우승 | |
우승팀 | 세비야 |
우승 횟수 | 1 |
준우승팀 | 미들즈브러 |
득점 | |
득점왕 | 마티아스 델가도 (바젤) |
득점왕 득점 수 | 7골 |
2. 대회 방식
2005-06년 UEFA컵에는 52개 UEFA 회원국에서 113개 팀이 সরাসরি 진출했고, UEFA 페어플레이 리그를 통해 3개 팀, UEFA 인터토토컵과 UEFA 챔피언스리그를 거쳐 27개 팀이 추가로 진출했다.[8]
각 회원국은 UEFA 계수에 따라 출전 팀 수가 결정되며, 국내 대회(리그, 컵, 리그컵)를 통해 최대 4개 팀까지 출전할 수 있었다.
2005-06 UEFA컵 진출 방식:
- 1~6위 회원국: 각 3팀 (잉글랜드는 2팀)
- 7~8위 회원국: 각 4팀
- 9~15위 회원국: 각 2팀
- 16~20위 회원국: 각 3팀
- 21~49위 회원국: 각 2팀 (리히텐슈타인은 1팀)
- 50~52위 회원국: 각 1팀
추가 진출:
- 전년도 우승팀
- UEFA 페어플레이 3팀
- 2005 UEFA 인터토토컵 우승팀 3팀
- UEFA 챔피언스리그 3차 예선 탈락팀 16팀
-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3위 팀 8팀
2005-06 시즌 예선 방식 수정 사항:
- UEFA컵 우승팀 CSKA 모스크바가 이미 2차 예선에 진출하여, 25위와 26위 협회(헝가리와 루마니아)의 첫 번째 UEFA컵 진출팀은 2차 예선에 직행했다.
- 리버풀이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1차 예선에 진출하여, 11위와 12위 협회(스코틀랜드와 벨기에)의 첫 번째 UEFA컵 진출팀은 1차전에 직행했다.
- 카자흐스탄에서는 카이라트 알마티만 UEFA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27위와 28위 국가(슬로바키아와 슬로베니아)의 첫 번째 UEFA컵 진출팀은 2차 예선에 직행했다.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는 컵 우승팀 젤레즈니크가 UEFA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해 OFK 베오그라드로 대체되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컵 우승팀 FK 사라예보와 리그 2위 젤레즈니차르가 UEFA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해 각각 시로키 브리예그와 제프체로 대체되었다.[9]
각 라운드별 진출 팀:
이 라운드 진출 팀 | 이전 라운드 진출 팀 | 챔피언스리그에서 넘어온 팀 | 인터토토컵에서 넘어온 팀 | |
---|---|---|---|---|
1차 예선 (50팀) | ||||
2차 예선 (62팀) | ||||
1라운드 (80팀) | ||||
조별 리그 (40팀) | ||||
녹아웃 스테이지 (32팀) |
2005-06년 UEFA컵에는 52개 UEFA 회원국에서 113개 팀이 সরাসরি 진출했다. UEFA 페어플레이 리그를 통해 3개 팀, UEFA 인터토토컵과 UEFA 챔피언스리그의 여러 단계를 거쳐 27개 팀이 추가로 진출했다.[8]
3. 예선전
각 협회는 UEFA 계수(리그 계수)에 따라 UEFA컵에 특정 수의 팀을 출전시켰다. 2005-06 시즌 예선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수정 사항이 있었다.
이 라운드 진출 팀 | 이전 라운드 진출 팀 | 챔피언스리그에서 넘어온 팀 | 인터토토컵에서 넘어온 팀 | |
---|---|---|---|---|
1차 예선 (50팀) | ||||
2차 예선 (62팀) |
1차 예선과 2차 예선 경기 결과는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1차 예선전
남부-지중해 지역 | ||||
---|---|---|---|---|
바스키미 (마케도니아) | 4 – 1 | 제프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3 – 0 | 1 – 1 |
비르키르카라 (몰타) | 0 – 6 | APOEL (키프로스) | 0 – 2 | 0 – 4 |
산줄리아 (안도라) | 0 – 10 | 라피드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0 – 5 | 0 – 5 |
테우타 (알바니아) | 3 – 4 | 시로키브리예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3 – 1 | 0 – 3 |
엘바사니 (알바니아) | 1 – 1 (a) |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 1 – 1 | 0 – 0 |
오모니아 (키프로스) | 6 – 0 | 하이버니언스 (몰타) | 3 – 0 | 3 – 0 |
도마냐노 (산마리노) | 0 – 8 | 돔잘레 (슬로베니아) | 0 – 5 | 0 – 3 |
중앙-동부 지역 | ||||
페렌츠바로시 (헝가리) | 2 – 3 | MTZ 리포 (벨라루스) | 0 – 2 | 2 – 1 |
바난츠 (아르메니아) | 4 – 3 | 로코모티비 트빌리시 (조지아) | 2 – 3 | 2 – 0 |
토르페도 쿠타이시 (조지아) | 0 – 6 | BATE (벨라루스) | 0 – 1 | 0 – 5 |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 2 – 1 | 다키아 키시너우 (몰도바) | 2 – 0 | 0 – 1 |
바쿠 (아제르바이잔) | 2 – 3 | 질리나 (슬로바키아) | 1 – 0 | 1 – 3 |
마인츠 (독일) | 4 – 0 | 미카 (아르메니아) | 4 – 0 | 0 – 0 |
니스트루 오타키 (몰도바) | 5 – 2 | 하자르 렌케란 (아제르바이잔) | 3 – 1 | 2 – 1 |
북부 지역 | ||||
롱퍼드 타운 (아일랜드) | 3 – 5 | 카마던 타운 (웨일스) | 2 – 0 | 1 – 5 |
에크라나스 (리투아니아) | 1 – 2 | 코크 시티 (아일랜드) | 0 – 2 | 1 – 0 |
베스트만나에이야르 (아이슬란드) | 2 – 3 | B36 토르스하운 (페로 제도) | 1 – 1 | 1 – 2 |
알리안시 (핀란드) | 4 – 1 | 페탕주 (룩셈부르크) | 3 – 0 | 1 – 1 |
린필드 (북아일랜드) | 2 – 2 (a) | 벤츠필스 (라트비아) | 1 – 0 | 1 – 2 |
루나비크 (페로 제도) | 0 – 6 | 리에파야 메탈루그스 (라트비아) | 0 – 3 | 0 – 3 |
에첼라 에텔부르크 (룩셈부르크) | 0 – 6 | 케플라비크 (아이슬란드) | 0 – 4 | 0 – 2 |
포터다운 (북아일랜드) | 1 – 3 | 바이킹 (노르웨이) | 1 – 2 | 0 – 1 |
TVMK 탈린 (에스토니아) | 1 – 2 | 뮈파 (핀란드) | 1 – 1 | 0 – 1 |
릴 (웨일스) | 4 – 4 (a) | 아틀란타스 (리투아니아) | 2 – 1 | 2 – 3 |
에스비에르 (덴마크) | 7 – 2 | 플로라 (에스토니아) | 1 – 2 | 6 – 0 |
3. 2. 2차 예선전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남부-지중해 지역 | ||||
인테르 자프레시치 (크로아티아) | 1 – 7 | 츠르베나 즈베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1 – 3 | 0 – 4 |
바스키미 (마케도니아 공화국) | 0 – 11 | 마카비 페타티크바 (이스라엘) | 0 – 5 | 0 – 6 |
디나모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4 – 3 | 오모니아 (키프로스) | 3 – 1 | 1 – 2 |
OFK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2 – 2 (a) | 로코모티브 플로브디프 (불가리아) | 2 – 1 | 0 – 1 |
APOEL (키프로스) | 3 – 2 | 마카비 텔아비브 (이스라엘) | 1 – 0 | 2 – 2 () |
리텍스 로베치 (불가리아) | 2 – 2 (a) | 리예카 (크로아티아) | 1 – 0 | 1 – 2 |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 1 – 6 | 베식타시 (터키) | 0 – 1 | 1 – 5 |
라피드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4 – 1 |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공화국) | 3 – 0 | 1 – 1 |
NK 푸블리쿰 (슬로베니아) | 1 – 3 | 레프스키 소피아 (불가리아) | 1 – 0 | 0 – 3 |
제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2 – 5 | 시로키브리예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0 – 1 | 2 – 4 |
아슈도드 (이스라엘) | 3 – 3 (a) | 돔잘레 (슬로베니아) | 2 – 2 | 1 – 1 |
중앙-동부 지역 | ||||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러시아) | 4 – 0 | BATE (벨라루스) | 2 – 0 | 2 – 0 |
쇼프론 (헝가리) | 1 – 5 | 메탈루르흐 도네츠크 (우크라이나) | 0 – 3 | 1 – 2 |
그라스호퍼 (스위스) | 3 – 3 (a) | 비스와 푸츠크 (폴란드) | 1 – 0 | 2 – 3 |
니스트루 오타키 (몰도바) | 0 – 3 | GAK (오스트리아) | 0 – 2 | 0 – 1 |
질리나 (슬로바키아) | 3 – 4 | 아우스트리아 빈 (오스트리아) | 1 – 2 | 2 – 2 |
파칭 (오스트리아) | 3 – 3 (a)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2 – 2 | 1 – 1 |
MTZ 리포 (벨라루스) | 2 – 3 | 테플리체 (체코) | 1 – 1 | 1 – 2 |
디스코볼라 그로지스크비엘코폴스키 (폴란드) | 4 – 1 | 두클라 반스카비스트리차 (슬로바키아) | 4 – 1 | 0 – 0 |
바난츠 (아르메니아) | 2 – 8 |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우크라이나) | 2 – 4 | 0 – 4 |
레기아 바르샤바 (폴란드) | 1 – 5 | 취리히 (스위스) | 0 – 1 | 1 – 4 |
북부 지역 | ||||
할름스타드 (스웨덴) | 5 – 3 | 린필드 (북아일랜드) | 1 – 1 | 4 – 2 |
미틸란 (덴마크) | 4 – 3 | B36 (페로 제도) | 2 – 1 | 2 – 2 |
브란 (노르웨이) | 2 – 0 | 알리안시 (핀란드) | 0 – 0 | 2 – 0 |
리에파야 메탈루그스 (라트비아) | 2 – 6 | 겡크 (벨기에) | 2 – 3 | 0 – 3 |
릴 (웨일스) | 1 – 3 | 바이킹 (노르웨이) | 0 – 1 | 1 – 2 |
뮈파 (핀란드) | 2 – 2 (a) | 던디 유나이티드 (스코틀랜드) | 0 – 0 | 2 – 2 |
쾨벤하운 (덴마크) | 4 – 0 | 카마던 타운 (웨일스) | 2 – 0 | 2 – 0 |
마인츠 (독일) | 4 – 0 | 케플라비크 (아이슬란드) | 2 – 0 | 2 – 0 |
유르고르덴 (스웨덴) | 1 – 1 (a) | 코크 시티 (아일랜드) | 1 – 1 | 0 – 0 |
에스비에르 (덴마크) | 1 – 1 (2 – 3) | 트롬쇠 (노르웨이) | 0 – 1 | 1 – 0 () |
4. 1회전
1회전에서 승리한 팀들은 조별 리그에 진출하였다.
5. 조별 리그
2005-06년 UEFA컵 조별 리그에는 총 40개 팀이 참가하여 5개 팀씩 8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각 팀은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홈에서 두 경기, 원정에서 두 경기씩 총 4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상위 3개 팀은 32강 토너먼트에 진출했으며,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에서 각 조 3위를 기록한 8개 팀이 합류했다. 조별 리그는 2005년 10월 19일부터 12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 순위는 다음 규칙에 따라 결정되었다.[5]
# 승점 (승리 3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
# 승점이 같을 경우, 골득실
# 골득실이 같을 경우, 다득점
# 다득점이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 위의 모든 기준이 같을 경우, UEFA 계수가 높은 팀
- -* 빨강: A조
- 노랑: B조
- 초록: C조
- 검정: D조
- 보라: E조
- 분홍: F조
- 파랑: G조
- 주황: H조]]
조별 리그에 진출한 국가별 팀 수는 다음과 같다.
순위 | 협회 | 출전 쿼터 |
---|---|---|
1 | 스페인 | 3 |
2 | 잉글랜드 | 2 |
3 | 이탈리아 | 3 |
4 | 독일 | 3 |
5 | 프랑스 | 3 |
6 | 포르투갈 | 3 |
7 | 그리스 | 4 |
8 | 네덜란드 | 4 |
9 | 체코 | 2 |
10 | 터키 | 2 |
11 | 스코틀랜드 | 2 |
12 | 벨기에 | 2 |
13 | 스위스 | 2 |
14 | 우크라이나 | 2 |
15 | 노르웨이 | 2 |
16 | 폴란드 | 3 |
17 | 이스라엘 | 3 |
18 | 오스트리아 | 3 |
19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3 |
20 | 불가리아 | 3 |
21 | 러시아 | 2 |
22 | 덴마크 | 2 |
23 | 크로아티아 | 2 |
24 | 스웨덴 | 2 |
25 | 헝가리 | 2 |
26 | 루마니아 | 2 |
27 | 슬로바키아 | 2 |
28 | 슬로베니아 | 2 |
29 | 키프로스 | 2 |
30 | 몰도바 | 2 |
31 | 라트비아 | 2 |
32 | 핀란드 | 2 |
33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 |
34 | 조지아 | 2 |
35 | 마케도니아 | 2 |
36 | 리투아니아 | 2 |
37 | 벨라루스 | 2 |
38 | 아이슬란드 | 2 |
39 | 몰타 | 2 |
40 | 아일랜드 | 2 |
41 | 아르메니아 | 2 |
42 | 웨일스 | 2 |
43 | 리히텐슈타인 | 1 |
44 | 알바니아 | 2 |
45 | 북아일랜드 | 2 |
46 | 에스토니아 | 2 |
47 | 룩셈부르크 | 2 |
48 | 아제르바이잔 | 2 |
49 | 페로 제도 | 2 |
50 | 카자흐스탄 | 0 |
51 | 산마리노 | 1 |
52 | 안도라 | 1 |
5. 1. A조
경기일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
2005년 10월 20일 | 할름스타드 BK | 0 – 1 | 헤르타 BSC |
2005년 10월 20일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4 – 0 | RC 랑스 |
2005년 11월 3일 | RC 랑스 | 5 – 0 | 할름스타드 BK |
2005년 11월 3일 | UC 삼프도리아 | 0 – 0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2005년 11월 24일 | 헤르타 BSC | 0 – 0 | RC 랑스 |
2005년 11월 24일 | 할름스타드 BK | 1 – 3 | UC 삼프도리아 |
2005년 11월 30일 | UC 삼프도리아 | 0 – 0 | 헤르타 BSC |
2005년 11월 30일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3 – 0 | 할름스타드 BK |
2005년 12월 15일 | 헤르타 BSC | 0 – 0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2005년 12월 15일 | RC 랑스 | 2 – 1 | UC 삼프도리아 |
5. 2. B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미들즈브러 FC | 10 | 4 | 3 | 1 | 0 | 6 | 0 | +6 |
AZ 알크마르 | 10 | 4 | 3 | 1 | 0 | 5 | 1 | +4 |
PFC 리텍스 로베치 | 6 | 4 | 2 | 0 | 2 | 4 | 5 | -1 |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 3 | 4 | 1 | 0 | 3 | 4 | 9 | -5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0 | 4 | 0 | 0 | 4 | 3 | 7 | -4 |
width=20%| | width=12%| | width=20%| | |
---|---|---|---|
2005년 10월 20일 |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1 – 2 AZ 알크마르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0 – 1 미들즈브러 FC | |
2005년 11월 3일 | PFC 리텍스 로베치 2 – 1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미들즈브러 FC 3 – 0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 |
2005년 11월 24일 | AZ 알크마르 0 – 0 미들즈브러 FC |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0 – 2 PFC 리텍스 로베치 | |
2005년 11월 30일 | PFC 리텍스 로베치 0 – 2 AZ 알크마르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2 – 3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 |
2005년 12월 15일 | AZ 알크마르 1 – 0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미들즈브러 FC 2 – 0 PFC 리텍스 로베치 |
5. 3. C조
2005년 10월 20일, FC 바젤은 RC 스트라스부르에 0-2로 패배하였고, 트롬쇠 IL는 AS 로마에 1-2로 패배하였다.[10] 11월 3일,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FC 바젤에 1-2로 패배하였고, RC 스트라스부르는 트롬쇠 IL에 2-0으로 승리하였다.[10] 11월 24일, 트롬쇠 IL는 츠르베나 즈베즈다에 3-1로 승리하였고, AS 로마는 RC 스트라스부르와 1-1로 비겼다.[10] 12월 1일,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AS 로마에 3-1로 승리하였고, FC 바젤은 트롬쇠 IL에 4-3으로 승리하였다.[10] 12월 14일, AS 로마는 FC 바젤에 3-1로 승리하였고, RC 스트라스부르는 츠르베나 즈베즈다와 2-2로 비겼다.[10]
UEFA 규정 4.06항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다음 순서로 승자를 결정한다.[5]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누적 골득실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총 득점 수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원정 득점 수
# 지난 5시즌 동안 해당 클럽과 소속 국가의 UEFA 계수 점수 (UEFA 규정 6.03항 참조)
5. 4. D조
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
2005년 10월 20일 | CSKA 모스크바 | 1 - 2 | 올랭피크 마르세유 |
2005년 10월 20일 | 디나모 부쿠레슈티 | 0 - 0 | 헤이렌베인 |
2005년 11월 3일 | 레프스키 소피아 | 1 - 0 | 디나모 부쿠레슈티 |
2005년 11월 3일 | 헤이렌베인 | 0 - 0 | CSKA 모스크바 |
2005년 11월 24일 | CSKA 모스크바 | 2 - 1 | 레프스키 소피아 |
2005년 11월 24일 | 올랭피크 마르세유 | 1 - 0 | 헤이렌베인 |
2005년 12월 1일 | 레프스키 소피아 | 1 - 0 | 올랭피크 마르세유 |
2005년 12월 1일 | 디나모 부쿠레슈티 | 1 - 0 | CSKA 모스크바 |
2005년 12월 14일 | 올랭피크 마르세유 | 2 - 1 | 디나모 부쿠레슈티 |
2005년 12월 14일 | 헤이렌베인 | 2 - 1 | 레프스키 소피아 |
[10]
UEFA 규정 4.06항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다음 순서로 승자를 결정한다.[5]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누적 골득실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총 득점 수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원정 득점 수
# 지난 5시즌 동안 해당 클럽과 소속 국가의 UEFA 계수 점수 (UEFA 규정 6.03항 참조)
5. 5. E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라피드 부쿠레슈티 | 9 | 4 | 3 | 0 | 1 | 5 | 2 | +3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9 | 4 | 3 | 0 | 1 | 4 | 1 | +3 |
VfB 슈투트가르트 | 9 | 4 | 3 | 0 | 1 | 6 | 4 | +2 |
PAOK FC | 3 | 4 | 1 | 0 | 3 | 6 | 5 | +1 |
스타드 렌 FC | 0 | 4 | 0 | 0 | 4 | 1 | 10 | -9 |
width=20%| | width=12%| | width=20%| |
---|---|---|
2005년 10월 20일 | ||
2005년 11월 3일 | ||
2005년 11월 24일 | ||
2005년 12월 1일 | ||
2005년 12월 14일 |
UEFA 규정 4.06항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다음 순서로 승자를 결정한다.[5]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누적 골득실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총 득점 수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원정 득점 수
# 지난 5시즌 동안 해당 클럽과 소속 국가의 UEFA 계수 점수 (UEFA 규정 6.03항 참조)[10]
5. 6. F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세비야 FC | 7 | 4 | 2 | 1 | 1 | 8 | 4 | +4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7 | 4 | 2 | 1 | 1 | 5 | 4 | +1 |
볼턴 원더러스 FC | 6 | 4 | 1 | 3 | 0 | 4 | 3 | +1 |
베식타시 JK | 5 | 4 | 1 | 2 | 1 | 5 | 6 | -1 |
비토리아 SC | 1 | 4 | 0 | 1 | 3 | 4 | 9 | -5 |
경기일 | width=12% | | 결과 | |
---|---|---|---|
2005년 10월 20일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2 – 1 | 비토리아 기마랑이스 |
2005년 10월 20일 | 베식타시 | 1 – 1 | 볼턴 원더러스 |
2005년 11월 3일 | 볼턴 원더러스 | 1 – 0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2005년 11월 3일 | 세비야 | 3 – 0 | 베식타시 |
2005년 11월 24일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2 – 1 | 세비야 |
2005년 11월 24일 | 비토리아 기마랑이스 | 1 – 1 | 볼턴 원더러스 |
2005년 12월 1일 | 세비야 | 3 – 1 | 비토리아 기마랑이스 |
2005년 12월 1일 | 베식타시 | 1 – 1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2005년 12월 14일 | 비토리아 기마랑이스 | 1 – 3 | 베식타시 |
2005년 12월 14일 | 볼턴 원더러스 | 1 – 1 | 세비야 |
UEFA 규정 4.06항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다음 순서로 승자를 결정한다.[5]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누적 골득실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총 득점 수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원정 득점 수
# 지난 5시즌 동안 해당 클럽과 소속 국가의 UEFA 계수 점수(UEFA 규정 6.03항 참조)
5. 7. G조
RAP | SHA | STU | PAO | REN |
---|---|---|---|---|
- | 0 - 1 | 2 - 1 | 1 - 0 | 2 - 0 |
0 - 1 | - | 0 - 2 | 1 - 0 | 0 - 1 |
2 - 1 | 2 - 0 | - | 1 - 2 | 2 - 0 |
0 - 1 | 0 - 1 | 2 - 1 | - | 5 - 1 |
0 - 2 | 1 - 0 | 0 - 2 | 1 - 5 | - |
UEFA 규정 4.06항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다음 순서로 승자를 결정한다.[5]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누적 골득실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총 득점 수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원정 득점 수
# 지난 5시즌 동안 해당 클럽과 소속 국가의 UEFA 계수 점수 (UEFA 규정 6.03항 참조)[10]
5. 8. H조
UEFA 규정 4.06항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다음 순서로 승자를 결정한다.[5]#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누적 골득실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총 득점 수
# 조별 리그 순위 결정전 원정 득점 수
# 지난 5시즌 동안 해당 클럽과 소속 국가의 UEFA 계수 점수 (UEFA 규정 6.03항 참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세비야 | 4 | 2 | 1 | 1 | 8 | 4 | +4 | 7 |
2 | 제니트 | 4 | 2 | 1 | 1 | 5 | 4 | +1 | 7 |
3 | 볼턴 | 4 | 1 | 3 | 0 | 4 | 3 | +1 | 6 |
4 | 베식타시 | 4 | 1 | 2 | 1 | 5 | 6 | -1 | 5 |
5 | 비토리아 기마랑이스 | 4 | 0 | 1 | 3 | 4 | 9 | -5 | 1 |
width=50| | 세비야 | 제니트 | 볼턴 | 베식타시 | 기마랑이스 |
---|---|---|---|---|---|
세비야 | - | 2 - 1 | 1 - 1 | 3 - 0 | 3 - 1 |
제니트 | - | 1 - 0 | 1 - 1 | 2 - 1 | |
볼턴 | - | 1 - 1 | 1 - 1 | ||
베식타시 | - | 1 - 3 | |||
기마랑이스 | - |
6. 토너먼트전
2005-06년 UEFA컵 토너먼트는 32강부터 결승전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경기는 1차전과 2차전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경기의 합계 점수가 높은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합계 점수가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고, 원정 다득점도 같을 경우 연장전 및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
52개 UEFA 회원국에서 113개 팀이 2005-06 UEFA컵에 직접 진출했다. UEFA 페어플레이 리그를 통해 3개 팀이 추가되었고, UEFA 인터토토컵과 UEFA 챔피언스리그의 여러 단계를 거쳐 27개 팀이 추가로 진출했다.
각 축구 협회의 출전 쿼터는 2004년 UEFA 랭킹[8]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국가별 출전 쿼터는 다음과 같다.
순위 | 협회 | 계수 | 출전 쿼터 | 비고 |
---|---|---|---|---|
1 | 스페인 | 79.851 | 3 | +1 (UCL) |
2 | 잉글랜드 | 62.153 | 2 | +1 (UCL) |
3 | 이탈리아 | 59.186 | 3 | +1 (UCL) |
4 | 독일 | 49.489 | 3 | +1 (UCL), +1 (UIT), +1 (FP) |
5 | 프랑스 | 48.326 | 3 | +2 (UCL), +2 (UIT) |
6 | 포르투갈 | 42.333 | 3 | +1 (UCL) |
7 | 그리스 | 34.748 | 4 | |
8 | 네덜란드 | 34.081 | 4 | |
9 | 체코 | 33.075 | 2 | +1 (UCL) |
10 | 터키 | 32.291 | 2 | |
11 | 스코틀랜드 | 32.125 | 2 | |
12 | 벨기에 | 28.875 | 2 | +1 (UCL) |
13 | 스위스 | 22.375 | 2 | +2 (UCL) |
14 | 우크라이나 | 22.125 | 2 | +1 (UCL) |
15 | 노르웨이 | 21.900 | 2 | +2 (UCL), +1 (FP) |
16 | 폴란드 | 21.750 | 3 | +1 (UCL) |
17 | 이스라엘 | 21.249 | 3 | |
18 | 오스트리아 | 21.125 | 3 | |
19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20.165 | 3 | +1 (UCL) |
20 | 불가리아 | 19.998 | 3 | +1 (UCL) |
21 | 러시아 | 19.916 | 2 | +1 (TH), +1 (UCL) |
22 | 덴마크 | 17.450 | 2 | +1 (UCL), +1 (FP) |
23 | 크로아티아 | 17.375 | 2 | |
24 | 스웨덴 | 16.716 | 2 | +1 (UCL) |
25 | 헝가리 | 15.290 | 2 | +1 (UCL) |
26 | 루마니아 | 14.790 | 2 | +1 (UCL) |
27 | 슬로바키아 | 12.832 | 2 | +1 (UCL) |
28 | 슬로베니아 | 9.165 | 2 | |
29 | 키프로스 | 8.998 | 2 | +1 (UCL) |
30 | 몰도바 | 6.832 | 2 | |
31 | 라트비아 | 5.998 | 2 | |
32 | 핀란드 | 5.874 | 2 | |
33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5.499 | 2 | |
34 | 조지아 | 4.999 | 2 | |
35 | 마케도니아 | 4.830 | 2 | |
36 | 리투아니아 | 4.165 | 2 | |
37 | 벨라루스 | 3.582 | 2 | |
38 | 아이슬란드 | 3.332 | 2 | |
39 | 몰타 | 3.331 | 2 | |
40 | 아일랜드 | 3.164 | 2 | |
41 | 아르메니아 | 2.831 | 2 | |
42 | 웨일스 | 2.332 | 2 | |
43 | 리히텐슈타인 | 2.000 | 1 | |
44 | 알바니아 | 1.831 | 2 | |
45 | 북아일랜드 | 1.665 | 2 | |
46 | 에스토니아 | 1.665 | 2 | |
47 | 룩셈부르크 | 1.498 | 2 | |
48 | 아제르바이잔 | 1.165 | 2 | |
49 | 페로 제도 | 0.832 | 2 | |
50 | 카자흐스탄 | 0.666 | 0 | |
51 | 산마리노 | 0.000 | 1 | |
52 | 안도라 | 0.000 | 1 |
6. 1. 32강전
2005-06년 UEFA컵 32강전에서는 총 32개 팀이 16강 진출을 놓고 1, 2차전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 2차전 합계 점수가 높은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으며, 합계 점수가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다. 원정 다득점도 같을 경우에는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가렸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세비야 (스페인) | 5 – 2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4 – 1 | 1 – 1 |
바젤 (스위스) | 3 – 4 | 미들즈브러 (잉글랜드) | 2 – 0 | 1 – 4 |
라피드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1 – 1 (a)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1 – 1 | 0 – 0 |
레프스키 소피아 (불가리아) | 2 – 4 | 샬케 04 (독일) | 1 – 3 | 1 – 1 |
헤르타 (독일) | 0 - 3 | 라피드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0 - 1 | 0 - 2 |
툰 (스위스) | 1 - 2 | 함부르크 (독일) | 1 - 0 | 0 - 2 |
헤ー렌베인 (네덜란드) | 2 - 3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1 - 3 | 1 - 0 |
레알 베티스 (스페인) | 3 - 2 | AZ 알크마르 (네덜란드) | 2 - 0 | 1 - 2 (aet) |
바젤 (스위스) | 2 - 1 | AS 모나코 (프랑스) | 1 - 0 | 1 - 1 |
리텍스 로베치 (불가리아) | 0 - 2 | RC 스트라스부르 (프랑스) | 0 - 2 | 0 - 0 |
슈투트가르트 (독일) | 2 - 2 (a) | 미들즈브러 (잉글랜드) | 1 - 2 | 1 - 0 |
클럽 브뤼헤 (벨기에) | 2 - 4 | AS 로마 (이탈리아) | 1 - 2 | 1 - 2 |
우디네세 (이탈리아) | 3 - 1 | 랑스 (프랑스) | 3 - 0 | 0 - 1 |
아르트메디아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 0 - 3 | 레프스키 소피아 (불가리아) | 0 - 1 | 0 - 2 |
슬라비아 프라하 (체코) | 2 - 2 (a) | 팔레르모 (이탈리아) | 2 - 1 | 0 - 1 |
샬케 04 (독일) | 5 - 1 | 에스파뇰 (스페인) | 2 - 1 | 3 - 0 |
릴 (프랑스) | 3 - 2 | 샤흐타르 도네츠크 (우크라이나) | 3 - 2 | 0 - 0 |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러시아) | 0 - 3 | 세비야 (스페인) | 0 - 1 | 0 - 2 |
볼턴 원더러스 (잉글랜드) | 1 - 2 | 마르세유 (프랑스) | 0 - 0 | 1 - 2 |
로센보르그 (노르웨이) | 1 - 4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0 - 2 | 1 - 2 |
주요 경기 결과로, 세비야는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를 합계 5-2로 꺾고 16강에 진출했다. 미들즈브러는 바젤에 1차전 0-2 패배를 딛고 2차전에서 4-1로 승리, 합계 4-3으로 16강에 극적으로 합류했다. 루마니아 팀 간 대결에서는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가 라피드 부쿠레슈티를 원정 다득점으로 누르고 16강에 올랐다. 샬케 04는 레프스키 소피아를 합계 4-2로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10]
6. 2. 16강전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샬케 04 | 0 – 1 | 세비야 | 0 – 0 | 0 – 1(연장)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3 – 4 | 미들즈브러 | 1 – 0 | 2 – 4 |
라피드 부쿠레슈티 | 3 – 3 (a) | 함부르크 | 2 – 0 | 1 – 3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3 - 0 | 베티스 | 0 - 0 | 3 - 0 |
바젤 | 4 - 2 | 스트라스부르 | 2 - 0 | 2 - 2 |
미들즈브러 | 2 - 2 (a) | 로마 | 1 - 0 | 1 - 2 |
우디네세 | 1 - 2 | 레프스키 | 0 - 0 | 1 - 2 |
팔레르모 | 1 - 3 | 샬케 | 1 - 0 | 0 - 3 |
릴 | 1 - 2 | 세비야 | 1 - 0 | 0 - 2 |
마르세유 | 1 - 2 | 제니트 | 0 - 1 | 1 - 1 |
6. 3. 8강전
2005-06년 UEFA컵 8강전 1차전은 2006년 3월 30일, 2차전은 4월 6일에 진행되었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라피드 부쿠레슈티 FC Rapid Bucureşti|라피드 부쿠레슈티ro | 1 - 1 (a)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FC Steaua Bucureşti|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ro | 1 - 1 | 0 - 0 |
바젤 | 3 - 4 | 미들즈브러 | 2 - 0 | 1 - 4 |
레프스키 소피아 ПФК Левски София|레프스키 소피아bg | 2 - 4 | 샬케 04 | 1 - 3 | 1 - 1 |
세비야 | 5 - 2 |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ФК «Зенит» Санкт-Петербург|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ru | 4 - 1 | 1 - 1 |
8강전 결과,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미들즈브러, 샬케 04, 세비야가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6. 4. 준결승전
UEFA컵영어 2005-06 준결승전은 2006년 4월 20일과 4월 27일에 1, 2차전으로 치러졌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FC Steaua Bucureștiro | 3 - 4 | 미들즈브러 Middlesbrough FC영어 | 1 - 0 | 2 - 4 |
샬케 04 FC Schalke 04de | 0 - 1 | 세비야 Sevilla FCes | 0 - 0 | 0 - 1 (aet) |
- 1차전은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가 미들즈브러를 1-0으로 이겼으나, 2차전에서 미들즈브러가 4-2로 승리하여 합계 3-4로 미들즈브러가 결승에 진출했다.
- 샬케 04와 세비야의 경기는 1, 2차전 모두 0-0 무승부를 기록하여 연장전에 돌입했고, 연장전에서 세비야가 1-0으로 승리하여 합계 0-1로 세비야가 결승에 진출했다.[10]
6. 5. 결승전
2006년 5월 10일, 네덜란드 아인트호벤의 필립스 스타디온에서 열린 2005-06년 UEFA컵 결승전에서 스페인의 세비야가 잉글랜드의 미들즈브러를 4-0으로 대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10]세비야는 전반 27분 루이스 파비아누의 선제골을 시작으로, 후반 78분과 84분에 마레스카가 연속골을 터뜨렸고, 후반 89분 카누테가 쐐기골을 넣어 승리했다.
경기는 CEST (UTC+2) 20시 45분에 시작되었으며, 독일의 허베르트 판델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 경기 상세 정보
{| class="wikitable"
|-
! width="50%" | 미들즈브러
! width="50%" | 세비야
|-
|
width=25| | width=25| | |||
---|---|---|---|---|
GK | 1 | 마크 슈워처 | ||
RB | 21 | 스튜어트 다우닝 | ||
CB | 5 | 크리스 리고트 | ||
CB | 6 |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 | ||
LB | 3 | 프랑크 쿠드뢰 | 70분 교체 | |
RM | 25 | 제임스 모리슨 | 45분 교체 | |
CM | 7 | 조르지 보아텡 | ||
CM | 10 | 파비우 로켄바흐 | 83분 경고 | |
LM | 19 | 스튜어트 다우닝 | ||
CF | 36 | 마크 비두카 | 85분 교체 | |
CF | 9 | 지미 플로이드 하셀바잉크 | ||
교체 선수 | ||||
GK | 22 | 브래드 존스 | ||
DF | 4 | 우고 에히오구 | ||
DF | 26 | 매슈 베이츠 | ||
MF | 15 | 레이 파러 | ||
MF | 39 | 리 카터몰 | 85분 교체 투입 | |
FW | 18 | 마시모 마카로네 | 45분 교체 투입 | |
FW | 20 | 야쿠브 아예그베니 | 70분 교체 투입 | |
감독 | ||||
스티브 맥클라렌 |
|
width=25| | width=25| | |||
---|---|---|---|---|
GK | 1 | 안드레스 팔롭 | ||
RB | 4 | 다니엘 알베스 | 52분 경고 | |
CB | 2 | 하비 나바로 -- | ||
CB | 6 | 쥘리앙 에스크데 | 81분 경고 | |
LB | 3 | 다비드 카스테도 | ||
RM | 15 | 헤수스 나바스 | ||
CM | 18 | 호세 루이스 마르티 | ||
CM | 25 | 엔초 마레스카 | 85분 경고 | |
LM | 16 | 아드리아누 | 85분 교체 | |
CF | 10 | 루이스 파비아누 | 73분 교체 | |
CF | 7 | 하비에르 사비올라 | 45분 교체 | |
교체 선수 | ||||
GK | 13 | 안토니오 노탈리오 | ||
DF | 20 | 아이토르 오시오 | ||
MF | 11 | 레나토 | 73분 교체 투입 | |
MF | 22 | 페르난도 사레스 | ||
MF | 27 | 안토니오 푸에르타 | 85분 교체 투입 | |
FW | 12 | 프레데릭 카누테 | 45분 교체 투입 | |
FW | 31 | 케파 블랑코 | ||
감독 | ||||
후안데 라모스 |
|}
참조
[1]
웹사이트
Qualification for European Cup Football 2005/2006
http://kassiesa.home[...]
2013-05-17
[2]
웹사이트
Železnik's European dream dies
http://www.uefa.com/[...]
UEFA
2005-06-15
[3]
뉴스
European woe for duo
http://www.uefa.com/[...]
UEFA.com
2005-06-20
[4]
웹사이트
Kazakhstan clubs won't play in UEFA Cup.
http://kaz-football.[...]
[5]
웹사이트
Regulations of UEFA CUP 2005–06
http://www.uefa.com/[...]
[6]
웹사이트
2005/06 Top scorers
http://www.uefa.com/[...]
UEFA.com
[7]
웹사이트
セビージャが歓喜の初優勝
http://jp.uefa.com/u[...]
UEFA.com
2006-05-11
[8]
웹사이트
UEFA Country Ranking 2004
http://kassiesa.home[...]
Bert Kassies
[9]
웹사이트
European woe for duo (20 June 2005) uefa.com
http://www.uefa.com/[...]
2006-05-22
[10]
웹사이트
UEFAヨーロッパリーグ 2005/06 - 歴史 - 全試合
http://jp.uefa.com/u[...]
UEF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