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K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 K리그는 13개 팀이 참가하여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울산 현대 호랑이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전기 리그에서는 부산 아이파크가, 후기 리그에서는 성남 일화 천마가 각각 1위를 차지했고, 통합 승점 1위 인천 유나이티드와 2위 울산 현대 호랑이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 인천 유나이티드는 울산 현대 호랑이에게 패배하여 울산 현대 호랑이가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개인 수상으로는 이천수(울산 현대 호랑이)가 MVP, 레안드로 마차도(울산 현대 호랑이)가 득점왕, 히칼도(대구 FC)가 도움왕, 박주영(FC 서울)이 신인 선수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 축구 리그 - J리그 디비전 2 2005
교토 퍼플 상가가 우승하고 아비스파 후쿠오카와 반포레 고후가 승격한 J리그 디비전 2 2005 시즌은 12개 클럽이 참가한 가운데 더스파 구사츠 군마와 도쿠시마 보르티스의 합류로 J리그가 일본 4개 주요 섬에서 모두 개최되는 첫 시즌이었다. - 2005 축구 리그 - 2005년 내셔널리그
2005년 내셔널리그는 대한민국 실업축구 리그의 한 시즌으로, 전기 리그 우승팀 수원시청과 후기 리그 1위 인천 한국철도가 챔피언 결정전에서 만나 인천 한국철도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 2005년 대한민국 - 다케시마의 날
다케시마의 날은 일본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며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한국의 강력한 반발과 한일 관계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 2005년 대한민국 - 독도의 달
독도의 달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에 대한 반발로 제정되어 독도가 대한민국 고유 영토임을 알리고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10월에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개최되는 행사 기간이다. - K리그 시즌 - 1985년 K리그
1985년 K리그는 8개 팀이 참가하여 럭키금성 황소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한문배가 MVP, 삐야퐁 푸온이 득점왕과 도움왕을, 이흥실이 신인상을, 박세학이 감독상을, 김현태가 최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 K리그 시즌 - 1988년 K리그
1988년 K리그는 외국인 선수 규정 하에 포항제철 아톰즈가 우승하고, 이기근 득점왕, 김종부 도움왕, 박경훈 MVP, 6번의 해트트릭, 이회택 감독상 수상 등 다양한 기록이 나온 풍성한 시즌이었다.
2005년 K리그 | |
---|---|
시즌 정보 | |
시즌 | 2005 |
대회 명칭 | 삼성 하우젠 K리그 |
기간 | 정규 시즌: 2005년 5월 15일 – 2005년 11월 9일 챔피언십: 2005년 11월 20일 – 2005년 12월 4일 |
참가 구단 수 | 13 |
경기 수 | 156 |
총 득점 | 373 |
평균 득점 | 경기당 2.39골 |
이전 시즌 | 2004 |
다음 시즌 | 2006 |
결과 | |
우승 | 울산 현대 호랑이 (2회 우승) |
정규 리그 1위 | 전기 리그: 부산 아이파크 후기 리그: 성남 일화 천마 |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 울산 현대 호랑이 (리그 우승) 전북 현대 모터스 (FA컵 우승) |
개인 수상 | |
최우수 선수 | 이천수 |
득점왕 | 레안드루 마차두 (13골) |
2. 시즌 개요
2005년 K리그는 13개 구단이 참가하여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각 리그 우승팀과 통합 승점 상위 2팀(리그 우승팀 제외)이 플레이오프에 진출, 최종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1]
2. 1. 운영 방식
2005 시즌 K리그는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각 리그 우승팀과 통합 승점 상위 2팀(리그 우승팀 제외)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1]구단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부산 아이파크 | 7 | 4 | 1 | 17 | 10 |
인천 유나이티드 | 7 | 3 | 2 | 20 | 13 |
울산 현대 호랑이 | 7 | 1 | 4 | 16 | 13 |
포항 스틸러스 | 6 | 3 | 3 | 14 | 11 |
FC 서울 | 5 | 4 | 3 | 22 | 19 |
성남 일화 천마 | 4 | 4 | 4 | 18 | 15 |
부천 SK | 4 | 4 | 4 | 10 | 10 |
대전 시티즌 | 2 | 8 | 2 | 11 | 1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 | 5 | 4 | 18 | 19 |
전남 드래곤즈 | 3 | 5 | 4 | 13 | 14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3 | 7 | 13 | 19 |
대구 FC | 2 | 3 | 7 | 14 | 25 |
광주 상무 불사조 | 1 | 3 | 8 | 16 | 23 |
구단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성남 일화 천마 | 8 | 3 | 1 | 22 | 9 |
부천 SK | 8 | 2 | 2 | 16 | 8 |
대구 FC | 6 | 3 | 3 | 15 | 11 |
울산 현대 | 6 | 3 | 3 | 15 | 11 |
인천 유나이티드 FC | 6 | 3 | 3 | 16 | 13 |
포항 스틸러스 | 5 | 4 | 3 | 14 | 11 |
대전 시티즌 | 4 | 4 | 4 | 8 | 9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 | 5 | 4 | 11 | 13 |
FC 서울 | 3 | 4 | 5 | 15 | 13 |
전남 드래곤즈 | 4 | 1 | 7 | 10 | 15 |
광주 상무 | 3 | 2 | 7 | 7 | 15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3 | 7 | 11 | 22 |
부산 아이파크 | 0 | 3 | 9 | 11 | 21 |
구단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인천 유나이티드 | 13 | 6 | 5 | 36 | 26 |
성남 일화 천마 | 12 | 7 | 5 | 40 | 24 |
울산 현대 호랑이 | 13 | 4 | 7 | 31 | 24 |
부천 SK | 12 | 6 | 6 | 26 | 18 |
포항 스틸러스 | 11 | 7 | 6 | 28 | 22 |
FC 서울 | 8 | 8 | 8 | 37 | 32 |
대전 시티즌 | 6 | 12 | 6 | 19 | 20 |
대구 FC | 8 | 6 | 10 | 29 | 36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6 | 10 | 8 | 29 | 32 |
부산 아이파크 | 7 | 7 | 10 | 28 | 31 |
전남 드래곤즈 | 7 | 6 | 11 | 23 | 29 |
전북 현대 모터스 | 4 | 6 | 14 | 24 | 41 |
광주 상무 불사조 | 4 | 5 | 15 | 23 | 38 |
2. 2. 참가 구단
팀명 | 연고지 | 리그 참여년도 | 전년도 순위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시 | 1996년 | 우승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시 | 1983년 | 준우승 |
성남 일화 천마 | 성남시 | 1989년 | |
울산 현대 호랑이 | 울산광역시 | 1984년 | |
전남 드래곤즈 | 전라남도 | 1995년 | |
전북 현대 모터스 | 전라북도 | 1995년 | |
대전 시티즌 | 대전광역시 | 1997년 | |
FC 서울 | 서울특별시 | 1984년 | |
부산 아이파크 | 부산광역시 | 1983년 | |
광주 상무 불사조 | 광주광역시 | 2003년 | |
대구 FC | 대구광역시 | 2003년 | |
부천 SK | 부천시 | 1983년 | |
인천 유나이티드 | 인천광역시 | 2004년 |
2005년 K리그는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전기 리그에서는 부산 아이파크가 예상 밖의 1위를 차지했고, 인천 유나이티드가 2위로 뒤를 이으며 돌풍을 일으켰다. 반면 성남 일화 천마, 수원 삼성 블루윙즈 등 기존 강팀들은 부진했다.[1] 후기 리그에서는 성남 일화 천마가 1위를 차지하며 반등에 성공했지만, 전기 리그 우승팀 부산 아이파크는 최하위로 추락하는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3. 시즌 순위
3. 1. 전기 리그 순위
전기리그에서 예상을 뒤엎고 부산 아이파크가 1위, 인천 유나이티드가 2위를 차지하였다. 리그에서 강팀으로 분류되는 성남 일화 천마과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부진이 눈에 띄었고, 부산 아이파크는 플레이오프에 직행하였다.[1]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부산 아이파크 | 25 | 12 | 7 | 4 | 1 | 17 | 10 | +7 |
인천 유나이티드 | 24 | 12 | 7 | 3 | 2 | 20 | 13 | +7 |
울산 현대 호랑이 | 22 | 12 | 7 | 1 | 4 | 16 | 13 | +3 |
포항 스틸러스 | 21 | 12 | 6 | 3 | 3 | 14 | 11 | +3 |
FC 서울 | 19 | 12 | 5 | 4 | 3 | 22 | 19 | +3 |
성남 일화 천마 | 16 | 12 | 4 | 4 | 4 | 18 | 15 | +3 |
부천 SK | 16 | 12 | 4 | 4 | 4 | 10 | 10 | 0 |
대전 시티즌 | 14 | 12 | 2 | 8 | 2 | 11 | 11 | 0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4 | 12 | 3 | 5 | 4 | 18 | 19 | -1 |
전남 드래곤즈 | 14 | 12 | 3 | 5 | 4 | 13 | 14 | -1 |
전북 현대 모터스 | 9 | 12 | 2 | 3 | 7 | 13 | 19 | -6 |
대구 FC | 9 | 12 | 2 | 3 | 7 | 14 | 25 | -11 |
광주 상무 불사조 | 6 | 12 | 1 | 3 | 8 | 16 | 23 | -7 |
1위 팀은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3. 2. 후기 리그 순위
전기 리그에서 부진했던 성남 일화 천마가 후기 리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부산 아이파크는 전기 리그 우승과 달리 후기 리그에서는 최하위로 부진했다.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성남 일화 천마 | 27 | 12 | 8 | 3 | 1 | 22 | 9 | +13 |
부천 SK | 26 | 12 | 8 | 2 | 2 | 16 | 8 | +8 |
대구 FC | 21 | 12 | 6 | 3 | 3 | 15 | 11 | +4 |
울산 현대 호랑이 | 21 | 12 | 6 | 3 | 3 | 15 | 11 | +4 |
인천 유나이티드 | 21 | 12 | 6 | 3 | 3 | 16 | 13 | +3 |
포항 스틸러스 | 19 | 12 | 5 | 4 | 3 | 14 | 11 | +3 |
대전 시티즌 | 16 | 12 | 4 | 4 | 4 | 8 | 9 | -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4 | 12 | 3 | 5 | 4 | 11 | 13 | -2 |
FC 서울 | 13 | 12 | 3 | 4 | 5 | 15 | 13 | +2 |
전남 드래곤즈 | 13 | 12 | 4 | 1 | 7 | 10 | 15 | -5 |
광주 상무 불사조 | 11 | 12 | 3 | 2 | 7 | 7 | 15 | -8 |
전북 현대 모터스 | 9 | 12 | 2 | 3 | 7 | 11 | 22 | -11 |
부산 아이파크 | 3 | 12 | 0 | 3 | 9 | 11 | 21 | -10 |
1위 팀은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3. 3. 전후기 통합 순위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 우승팀인 부산 아이파크와 성남 일화 천마, 그리고 이 팀들을 제외한 통합 승점 1위 인천 유나이티드와 2위 울산 현대 호랑이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순위 |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1 | 인천 유나이티드 | 45 | 24 | 13 | 6 | 5 | 36 | 26 | +10 |
2 | 성남 일화 천마 | 43 | 24 | 12 | 7 | 5 | 40 | 24 | +16 |
3 | 울산 현대 호랑이 | 43 | 24 | 13 | 4 | 7 | 31 | 24 | +7 |
4 | 부천 SK | 42 | 24 | 12 | 6 | 6 | 26 | 18 | +8 |
5 | 포항 스틸러스 | 40 | 24 | 11 | 7 | 6 | 28 | 22 | +6 |
6 | FC 서울 | 32 | 24 | 8 | 8 | 8 | 37 | 32 | +5 |
7 | 대전 시티즌 | 30 | 24 | 6 | 12 | 6 | 19 | 20 | -1 |
8 | 대구 FC | 30 | 24 | 8 | 6 | 10 | 29 | 36 | -7 |
9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8 | 24 | 6 | 10 | 8 | 29 | 32 | -3 |
10 | 부산 아이파크 | 28 | 24 | 7 | 7 | 10 | 28 | 31 | -3 |
11 | 전남 드래곤즈 | 27 | 24 | 7 | 6 | 11 | 23 | 29 | -6 |
12 | 전북 현대 모터스 | 18 | 24 | 4 | 6 | 14 | 24 | 41 | -17 |
13 | 광주 상무 불사조 | 17 | 24 | 4 | 5 | 15 | 23 | 38 | -15 |
4. 경기 결과
2005년 K리그의 경기 결과는 정규 시즌과 포스트 시즌으로 나뉜다. 정규 시즌 경기 결과는 2005년 K리그의 경기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포스트 시즌은 플레이오프와 챔피언 결정전으로 진행되었다.[1]
4. 1. 정규 시즌
정규 시즌 경기 결과는 2005년 K리그의 경기 결과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4. 2. 포스트 시즌
2005년 K리그 포스트 시즌은 플레이오프와 챔피언 결정전으로 진행되었다.[1] 플레이오프에서는 부산 아이파크와 인천 유나이티드, 성남 일화 천마와 울산 현대 호랑이가 각각 맞붙었다.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플레이오프 승자인 인천 유나이티드와 울산 현대 호랑이가 경기를 치렀다.4. 2. 1. 플레이오프
11월 20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부산 아이파크와 인천 유나이티드의 경기에서는 인천 유나이티드가 이상헌과 방승환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성남 일화 천마와 울산 현대 호랑이의 경기에서는 울산 현대가 마차도와 이진호의 골로 남기일이 한 골을 넣은 성남 일화를 2-1로 꺾었다.[1]경기 | 날짜 | 경기장 | 결과 |
---|---|---|---|
부산 아이파크 vs 인천 유나이티드 | 11월 20일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0-2 |
성남 일화 천마 vs 울산 현대 호랑이 | 11월 20일 | 탄천종합운동장 | 1-2 |
4. 2. 2. 챔피언 결정전
13, 58 마차도, 37, 45+1, 72 이천수 (이상 울산)14, 26 라돈치치 (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