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의 쇼트트랙 종목으로,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안현수의 활약으로 캐나다를 제치고 6:43.376의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으며, 안현수는 이 대회 3관왕을 달성했다. 캐나다가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종목으로, 2월 18일에 진행된 경기에서 대한민국의 진선유가 금메달, 최은경이 은메달, 중국의 왕멍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는 안현수와 이호석이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쇼트트랙의 위상을 높인 대회였다. - 2006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종목으로, 2월 18일에 진행된 경기에서 대한민국의 진선유가 금메달, 최은경이 은메달, 중국의 왕멍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6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및 여자 여러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올림픽 쇼트트랙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2018년 2월 10일부터 22일까지 평창에서 개최된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은 남자 500m 우다징 금메달, 여자 3000m 계주 대한민국 금메달 등 다양한 기록이 나왔으며 총 8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이 펼쳐졌다. - 올림픽 쇼트트랙에 관한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 |
대회 | 2006년 동계 |
종목 | 쇼트트랙 |
개최국 | 이탈리아 |
개최지 | 토리노 |
경기장 | 토리노 팔라벨라 |
기간 | 2월 15일, 2월 25일 |
금메달 | 송석우 안현수 서호진 이호석 오세종 |
금메달 국가 | KOR |
은메달 | 에리크 베다르 조나단 길멧 샤를 아믈랭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마티유 털코트 |
은메달 국가 | CAN |
동메달 | 알렉스 이지코프스키 아폴로 안톤 오노 J. P. 켑카 안소니 로벨로 러스티 스미스 |
동메달 국가 | USA |
이전 대회 | 2002 |
다음 대회 | 2010 |
2. 기록
경기가 열리기 전의 세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2005년 3월 13일, 중국 베이징에서 캐나다 팀이 세운 6:39.550 초였다.
경기가 열리기 전의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
유형 | 선수명 | 기록 | 장소 | 날짜 |
---|---|---|---|---|
시간 | 조나단 길멧, 마르크 가뇽,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마티유 털코트 (CAN) | 6:45.455 초 | 미국 솔트레이크 시티 | 2002년 2월 20일 |
2. 1. 세계 기록
경기가 열리기 전의 세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2005년 3월 13일, 중국 베이징에서 캐나다 팀이 세운 6:39.550 초였다.2. 2. 올림픽 기록
경기가 열리기 전의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유형 | 선수명 | 기록 | 장소 | 날짜 |
---|---|---|---|---|
시간 | 조나단 길멧, 마르크 가뇽,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마티유 털코트 (CAN) | 6:45.455 초 | 미국 솔트레이크 시티 | 2002년 2월 20일 |
3. 경기 결과
3. 1. 준결선
3. 1. 1. 준결선 1조
조나단 길멧
샤를 아믈랭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6:57.004 QA 2 대한민국 안현수
이호석
오세종
서호진7:01.783 QA 3 독일 토마스 바우어
타이슨 흥
아리안 나흐바
세바스티안 프라우스7:02.367 QB 4 오스트레일리아 라찰란 헤이
스티븐 리
마크 맥니
앨리엇 샤리엔7:03.356 Q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