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는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 국가별 획득 메달 수를 정리한 것이다. 중국이 금메달 165개, 은메달 88개, 동메달 63개로 1위를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58개, 은메달 53개, 동메달 82개로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3위, 카자흐스탄, 태국, 우즈베키스탄, 인도, 카타르, 중화 타이베이가 그 뒤를 이었다. 도핑 테스트 결과에 따라 메달 순위가 변경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 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의 메달 집계는 금, 은, 동메달 순으로 39개 참가국 순위를 나타내며, 중국이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과 일본이 뒤를 이었으나, 대회 중 메달 박탈 및 도핑 논란으로 순위 변동이 있었다.
  •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 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에서 중국이 금메달 151개로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과 일본이 뒤를 이었으며, 도핑 문제로 일부 메달 순위가 변동되기도 했다.
  • 아시안 게임에 관한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시안 게임에 관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메달 집계 (Top 10)
1중국
2대한민국
3일본
4카타르
5태국
6카자흐스탄
7인도
8이란
9우즈베키스탄
10중화 타이베이

2.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중국1658863316
2대한민국585382193
3일본507177198
4카자흐스탄23194385
5태국13152654
7우즈베키스탄11141439
8인도10182654
9카타르9121132
10중화 타이베이9102746
14바레인710421
15홍콩6121028
1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691631
23시리아2136
24타지키스탄2024
25요르단1348
27미얀마/မြန်မာmy04711
28키르기스스탄0268
29이라크/العراقar0213
30마카오0167
31파키스탄0134
33투르크메니스탄0101
33라오스0101
36예멘/اليمنar0011
합계4284235421393


2. 1. 국가별 메달 순위

2006년 아시안 게임의 국가별 메달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합계
1중국1658863316
2대한민국585382193
3일본507177198
4카자흐스탄23194385
5태국13152654
6이란11152248
7우즈베키스탄11141439
8인도10182654
9카타르9121132
10중화 타이베이9102746
1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691631
합계4284235421393



이 밖에 대한민국보다 순위가 낮은 국가 중 일부 국가들의 메달은 다음과 같다.


  • 바레인은 금메달 7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4개로 14위를 기록했다.
  • 홍콩은 금메달 6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10개로 15위를 기록했다.
  • 시리아는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로 23위를 기록했다.
  • 타지키스탄은 금메달 2개, 은메달 0개, 동메달 2개로 24위를 기록했다.

2. 2. 메달 순위 변동 사항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도핑 및 기타 사유로 인해 메달 순위에 변동이 있었다.

  • 2006년 12월 11일, 역도 여자 75kg급에 출전한 미얀마의 우 산다르가 도핑 테스트에 적발되어 동메달을 박탈당했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의 김순희가 동메달을 승계받았다.

  • 2006년 12월 18일, 육상 여자 800m에 출전한 인도의 산티 순다라얀이 성별 검사를 통과하지 못해 은메달을 박탈당했다. 이에 따라 카자흐스탄의 빅토리야 얄로브체바가 은메달을, 우즈베키스탄의 잠자 굴라모바가 동메달을 승계받았다.

  • 2007년 5월 15일, 보디빌딩 남자 70kg급에 출전한 바레인의 사미 알 하다드가 도핑 테스트에 적발되어 금메달을 박탈당했다.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의 수사토요가 금메달을, 일본의 스에나가 가쓰미가 동메달을 승계받았다. 같은 날, 보디빌딩 남자 90kg급에 출전한 대한민국의 김명훈이 도핑 테스트에 적발되어 은메달을 박탈당했다. 이에 따라 시리아의 카말 압둘살람이 은메달을, 홍콩의 찬완위가 동메달을 승계받았다.

  • 2014년 9월 17일, 체조 여자 평행봉에 출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차영화가 실격 처리되어 동메달을 박탈당했다. 이에 따라 일본의 우에무라 미키가 동메달을 승계받았다. 같은 날, 체조 여자 단체전에 출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실격 처리되어 동메달을 박탈당했다. 이로 인해 일본 대표팀이 동메달을 승계받았고, 대한민국 대표팀은 4위에서 3위로 올라 동메달을 획득했다.

3. 대한민국 선수단

3. 1. 주요 성적

3. 2. 선수단 관련 논란

4. 대회 관련 논란

5.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