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쿠바 선수단은 3개의 금메달, 10개의 은메달, 17개의 동메달을 획득하여 총 30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육상, 레슬링, 복싱, 유도, 사이클, 야구, 사격, 태권도, 역도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육상에서는 데이론 로블레스가 남자 110m 허들에서 금메달을, 이프시 모레노가 여자 해머던지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레슬링에서는 미하인 로페스가 남자 그레코로만형 120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8년 쿠바 - 허리케인 구스타브 허리케인 구스타브는 2008년 8월 말 카리브해에서 발생하여 여러 섬과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상륙, 큰 피해를 입혀 이름이 은퇴된 4등급의 강력한 허리케인이다.
하계 올림픽 쿠바 선수단 - 1904년 하계 올림픽 쿠바 선수단 190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쿠바 선수단은 펜싱과 육상에 5명의 남자를 파견하여 펜싱에서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3개를 획득,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라몬 폰스트는 펜싱 개인전 금메달 2개, 마누엘 디아스는 사브르 개인전 금메달, 안다린 카르바할은 마라톤 4위를 기록했다.
하계 올림픽 쿠바 선수단 - 1980년 하계 올림픽 쿠바 선수단 198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쿠바 선수단은 육상, 복싱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30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순위 9위를 기록했으며, 마리아 카리다드 콜론, 테오필로 스티븐슨 등의 금메달이 주요 성과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08년 하계 올림픽 튀니지 선수단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튀니지 선수단은 베이징 올림픽에서 오사마 멜룰리가 수영 남자 1500m 자유형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육상, 수영, 유도, 태권도 등 다양한 종목에 참가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08년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 2008년 하계 올림픽 멕시코 선수단은 태권도에서 금메달 2개, 다이빙과 역도에서 각각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다양한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했다.
미셸 바티스타는 원래 5위를 기록했지만 2016년 11월 타이무라즈 티기예프의 실격으로 인해 동메달로 승격되었다.
;남자 그레코로만형
쿠바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종목에 5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55kg급의 야그니에르 에르난데스는 8강에서 바이라모프(아제르바이잔)에게 패했으나, 패자부활전에서 모하메드(이집트)를 꺾고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아모얀(아르메니아)에게 패하며 최종 5위를 기록했다. 60kg급의 로베르토 몬손 역시 8강에서 알비예프(러시아)에게 패했으나, 패자부활전에서 수쿠(터키)를 꺾고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지만, 투멘바예프(키르기스스탄)에게 패하며 5위에 머물렀다.
66kg급의 알랭 밀리안은 16강에서 게노(프랑스)에게 패했지만, 패자부활전에서 뢰린츠(헝가리)를 꺾었다. 그러나 시아미오나우(벨라루스)에게 패하며 최종 8위를 기록했다. 84kg급의 유니오르 에스트라다는 16강에서 바트키(슬로바키아)를 꺾었으나, 8강에서 아브라하미안(스웨덴)에게 패하며 최종 10위를 기록했다.
120kg급의 미자힌 로페스는 결승에서 바로예프(러시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16강에서 아르치우킨(벨라루스), 8강에서 파트리케예프(아르메니아), 준결승에서 쇼베르크(스웨덴)를 차례로 꺾었다.
미셸 바티스타는 원래 5위를 기록했지만 2016년 11월 타이무라즈 티기예프의 실격으로 인해 동메달로 승격되었다.
4. 2. 남자 그레코로만형
쿠바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종목에 5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55kg급의 야그니에르 에르난데스는 8강에서 바이라모프(아제르바이잔)에게 패했으나, 패자부활전에서 모하메드(이집트)를 꺾고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아모얀(아르메니아)에게 패하며 최종 5위를 기록했다. 60kg급의 로베르토 몬손 역시 8강에서 알비예프(러시아)에게 패했으나, 패자부활전에서 수쿠(터키)를 꺾고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지만, 투멘바예프(키르기스스탄)에게 패하며 5위에 머물렀다.
66kg급의 알랭 밀리안은 16강에서 게노(프랑스)에게 패했지만, 패자부활전에서 뢰린츠(헝가리)를 꺾었다. 그러나 시아미오나우(벨라루스)에게 패하며 최종 8위를 기록했다. 84kg급의 유니오르 에스트라다는 16강에서 바트키(슬로바키아)를 꺾었으나, 8강에서 아브라하미안(스웨덴)에게 패하며 최종 10위를 기록했다.
120kg급의 미자힌 로페스는 결승에서 바로예프(러시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16강에서 아르치우킨(벨라루스), 8강에서 파트리케예프(아르메니아), 준결승에서 쇼베르크(스웨덴)를 차례로 꺾었다.
5. 복싱
쿠바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복싱 토너먼트에 10명의 선수를 출전시켰으며, 라이트 헤비급을 제외한 모든 체급에 선수가 참가했다.[9][10] 쿠바 선수 10명 중 9명은 제1회 아메리카 예선 토너먼트에서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9][10]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처음으로 쿠바는 복싱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9][10]
쿠바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복싱 토너먼트에 10명의 선수를 출전시켰으며, 라이트 헤비급을 제외한 모든 체급에 선수가 참가했다.[9][10] 쿠바 선수 10명 중 9명은 제1회 아메리카 예선 토너먼트에서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9][10]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처음으로 쿠바는 복싱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9][10]
쿠바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48kg급에서 야네트 베르모이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베르모이는 결승전에서 루마니아의 알리나 두미트루에게 패했다. 70kg급에서는 아나이시 에르난데스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에르난데스는 결승에서 일본의 우에노 마사에에게 패했다. 78kg급에서는 야렌니스 카스티요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카스티요는 결승에서 중국의 양수리에게 판정패했다. +78kg급에서는 이달리스 오르티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오르티스는 준결승에서 중국의 퉁원에게 패했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몽골의 도르지곳빈 체렌한드를 이겼다.
63kg급에 출전한 드리울리스 곤잘레스는 준결승에서 일본의 다니모토 아유미에게 패했고, 동메달 결정전에서도 네덜란드의 엘리자베스 윌레보르데에게 패하며 5위를 기록했다. 52kg급의 야그넬리스 메스트레와 57kg급의 유리스레이디스 루페테이는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7. 사이클
여자 도로 경주에서 유마리 곤잘레스 발디비에소는 3:51.39의 기록으로 60위를 차지했다.
리스란드라 게라는 여자 스프린트 예선에서 11.462초, 62.816 km/h의 기록으로 9위를 차지했다. 1라운드에서 네덜란드의 카니스에게 패하고 강등되었다. 패자부활전 1에서는 벨라루스의 실린스카야와 일본의 쓰쿠다에게 패하며 8강 진출에 실패했다. 9-12위 결정전에서 러시아의 그란콥스카야, 네덜란드의 히히나르, 일본의 쓰쿠다에게 패하며 최종 10위를 기록했다.
요안카 곤잘레스는 여자 포인트 레이스에서 18점, 0랩으로 은메달을 획득하며 쿠바 사이클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이는 대한민국 사이클 선수들의 선전과 함께 아시아권 사이클의 저력을 보여주는 쾌거였다.
7. 1. 도로 경기
여자 도로 경주에서 유마리 곤잘레스 발디비에소는 3:51.39의 기록으로 60위를 차지했다.
7. 2. 트랙 경기
리스란드라 게라는 여자 스프린트 예선에서 11.462초, 62.816 km/h의 기록으로 9위를 차지했다. 1라운드에서 네덜란드의 카니스에게 패하고 강등되었다. 패자부활전 1에서는 벨라루스의 실린스카야와 일본의 쓰쿠다에게 패하며 8강 진출에 실패했다. 9-12위 결정전에서 러시아의 그란콥스카야, 네덜란드의 히히나르, 일본의 쓰쿠다에게 패하며 최종 10위를 기록했다.
요안카 곤잘레스는 여자 포인트 레이스에서 18점, 0랩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8. 야구
쿠바는 2006년 아메리카 올림픽 예선에서 상위 2위에 들어 야구 출전 자격을 얻었다.[8] 야구는 쿠바의 국기(國技)이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야구 강국의 면모를 과시했다. 특히, 대한민국과의 결승전은 명승부로 회자되고 있다.
팀
경기
승
패
득점
실점
승률
게임차
타이브레이커
대한민국
7
7
0
41
22
1.000
-
-
쿠바
7
6
1
52
23
.857
1
-
미국
7
5
2
40
22
.714
2
-
일본
7
4
3
30
14
.571
3
-
중화 타이베이
7
2
5
29
33
.286
5
1-0
캐나다
7
2
5
29
20
.286
5
0-1
네덜란드
7
1
6
9
50
.143
6
1-0
중국
7
1
6
14
60
.143
6
0-1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 쿠바 대표팀은 조별 예선에서 6승 1패를 기록, 준수한 성적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대한민국에 아쉽게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8. 1. 선수 명단
쿠바는 2006년 아메리카 올림픽 예선에서 상위 2위에 들어 야구 출전 자격을 얻었다.[8]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쿠바 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루이스 미겔 나바스, 알렉산더 마예타, 엑토르 올리베라, 미셸 엔리케스, 율리에스키 구리엘, 에두아르도 파레트
내야수
야디에르 페드로소, 혼더 마르티네스, 아디엘 팔마, 비시오한드리 오델린, 페드로 루이스 라소, 노르베르토 곤잘레스, 노르헤 루이스 베라
투수
루이스 로드리게스, 엘리에르 산체스, 미겔 라 에라
-
[8]
8. 2. 경기 결과
쿠바는 2006년 아메리카 올림픽 예선에서 상위 2위에 들어 야구 출전 자격을 얻었다.[8]
선수
포지션
아리엘 페스타노, 요안드리 우르헬레스,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루이스 로드리게스, 알렉세이 벨, 야디에르 페드로소, 혼더 마르티네스, 아디엘 팔마, 루이스 미겔 나바스, 호르비스 두베르헬, 알렉산더 마예타, 에리엘 산체스, 롤란도 메리뇨, 엑토르 올리베라, 미셸 엔리케스, 율리에스키 구리엘, 비시오한드리 오델린, 페드로 루이스 라소, 에두아르도 파레트, 노르베르토 곤잘레스, 노르헤 루이스 베라, 프레데리치 세페다, 엘리에르 산체스, 미겔 라 에라
포수, 외야수, 투수, 내야수, 포수, 내야수
팀
경기
승
패
득점
실점
승률
게임차
타이브레이커
대한민국
7
7
0
41
22
1.000
-
-
쿠바
7
6
1
52
23
.857
1
-
미국
7
5
2
40
22
.714
2
-
일본
7
4
3
30
14
.571
3
-
중화 타이베이
7
2
5
29
33
.286
5
1-0
캐나다
7
2
5
29
20
.286
5
0-1
네덜란드
7
1
6
9
50
.143
6
1-0
중국
7
1
6
14
60
.143
6
0-1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 쿠바 대표팀은 조별 예선에서 6승 1패를 기록했다.
9. 태권도
태권도 종목에는 남자 2명, 여자 1명, 총 3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여자 49kg급의 다이넬리스 몬테호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하지만, 남자 +80kg급의 앙헬 마토스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심판 판정에 불만을 품고 심판을 폭행하는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실격 처리되었으며, 세계 태권도 연맹(WTF)으로부터 영구 제명 징계를 받아 국제적인 논란이 되었다.
앙헬 마토스는 카자흐스탄의 아르만 칠마노프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3-2로 앞서고 있었으나, 엄지 발가락 골절로 추정되는 부상을 입었고, 주어진 1분의 부상 시간 이후 기권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마토스는 심판 차키르 첼바트의 얼굴을 발로 차고, 판사를 밀치고, 경기장 바닥에 침을 뱉었다. 마토스와 그의 코치인 레우딘 곤잘레스는 심판의 판정을 지나치게 엄격하다고 비판하고 카자흐스탄이 심판에게 뇌물을 줬다고 비난했으며, 경호원들에 의해 퇴장당했다. 세계 태권도 연맹(WTF)은 마토스와 곤잘레스에게 영구 자격 정지 처분을 내렸으며, 베이징 올림픽에서의 마토스의 결과는 기록에서 삭제되었다.
역도는 쿠바의 전통적인 강세 종목 중 하나로, 이번 올림픽에서도 여러 체급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요르다니스 보레로, 자디에르 바야다레스, 요안드리 에르난데스는 남자 69kg급, 85kg급, 94kg급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하며 쿠바 역도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10. 1. 남자
선수
세부 종목
인상
용상
합계
순위
결과
순위
결과
순위
세르히오 알바레스
−56 kg
120
8
152
7
272
6
라사로 마이켈 루이스
−62 kg
132
8
162
6
294
6
요르다니스 보레로
−69 kg
148
6
180
6
328
이반 캄바르
−77 kg
157
8
196
3
353
6
자디에르 바야다레스
−85 kg
169
7
203
5
372
요안드리 에르난데스
−94 kg
178
6
215
5
393
11. 사격
'''에글리스 야이마 크루스'''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여자 10m 공기 소총에서 396점으로 11위를 기록하여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에서는 588점으로 2위를 기록, 결선에서 687.6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에글리스 야이마 크루스'''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여자 10m 공기 소총에서 396점으로 11위를 기록하여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에서는 588점으로 2위를 기록, 결선에서 687.6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쿠바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토너먼트에 팀을 출전시켰다. 이 팀은 조별 예선 5경기에서 모두 승리하여 조 1위로 마쳤다. 8강전에서도 승리했지만, 준결승과 동메달 결정전에서 모두 패하여 최종 순위 4위를 기록했다.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
이름
생년월일
신장
스파이크 높이
블로킹 높이
2008년 소속팀
1
윰카 오르티스
1986년 2월 16일
1.80m
320cm
312cm
Ciudad de La Habanaes
2
야넬리스 산토스
1985년 3월 30일
1.77m
315cm
312cm
Ciego de Ávilaes
3
낸시 카리요
1986년 1월 11일
1.90m
318cm
315cm
Ciudad de La Habanaes
6
다이미 라미레스
1983년 10월 8일
1.76m
305cm
290cm
Ciudad de La Habanaes
7
리스벳 아레발로
1987년 9월 3일
1.92m
325cm
316cm
Pinar del Ríoes
8
야이마 오르티스
1981년 11월 9일
1.79m
318cm
302cm
Modenait
9
라켈 산체스 페레스
1989년 1월 9일
1.88m
324cm
307cm
Pinar del Ríoes
10
유스레이니스 에레라
1984년 3월 12일
1.78m
312cm
295cm
Ciudad de La Habanaes
12
로시르 칼데론
1984년 12월 28일
1.91m
330cm
325cm
Dinamo Krasnodarru
14
케니아 카르카세스
1986년 1월 22일
1.89m
308cm
290cm
Holguínes
15
유시데 실리에
1984년 11월 23일
1.84m
316cm
300cm
Ciudad de La Habanaes
18
조일라 바로스
1976년 8월 16일
1.88m
332cm
312cm
Uralochka Ekaterinburgru
==== 비치 발리볼 ====
쿠바는 여자 경기에 두 팀이 참가했다. 밀라그로스 크레스포와 이마라 에스테베스 조, 달릭시아 페르난데스와 라레아 페라자 조는 각각 예선 E조와 B조에 편성되었다.
크레스포와 에스테베스 조는 예선 E조에서 독일과 미국에 패하고 네덜란드에 승리하여 1승 2패, 조 3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중국의 천 쉐-장 시 조에 0-2 (19–21, 13–21)로 패하며 탈락했다.
페르난데스와 페라자 조는 예선 B조에서 노르웨이와 일본에 승리하고 미국에 패배,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미국의 브라나-영스 조에게 0-2 (15–21, 13–21)로 패해 탈락했다.
12. 1. 비치 발리볼
쿠바는 여자 경기에 두 팀이 참가했다. 밀라그로스 크레스포와 이마라 에스테베스 조, 달릭시아 페르난데스와 라레아 페라자 조는 각각 예선 E조와 B조에 편성되었다.
크레스포와 에스테베스 조는 예선 E조에서 독일과 미국에 패하고 네덜란드에 승리하여 1승 2패, 조 3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중국의 천 쉐-장 시 조에 0-2 (19–21, 13–21)로 패하며 탈락했다.
페르난데스와 페라자 조는 예선 B조에서 노르웨이와 일본에 승리하고 미국에 패배,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미국의 브라나-영스 조에게 0-2 (15–21, 13–21)로 패해 탈락했다.
12. 2. 실내 배구
쿠바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배구 여자 토너먼트에 팀을 출전시켰다. 이 팀은 조별 예선 5경기에서 모두 승리하여 조 1위로 마쳤다. 8강전에서도 승리했지만, 준결승과 동메달 결정전에서 모두 패하여 최종 순위 4위를 기록했다.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
이름
생년월일
신장
스파이크 높이
블로킹 높이
2008년 소속팀
1
윰카 오르티스
1986년 2월 16일
1.80m
320cm
312cm
Ciudad de La Habanaes
2
야넬리스 산토스
1985년 3월 30일
1.77m
315cm
312cm
Ciego de Ávilaes
3
낸시 카리요
1986년 1월 11일
1.90m
318cm
315cm
Ciudad de La Habanaes
6
다이미 라미레스
1983년 10월 8일
1.76m
305cm
290cm
Ciudad de La Habanaes
7
리스벳 아레발로
1987년 9월 3일
1.92m
325cm
316cm
Pinar del Ríoes
8
야이마 오르티스
1981년 11월 9일
1.79m
318cm
302cm
Modenait
9
라켈 산체스 페레스
1989년 1월 9일
1.88m
324cm
307cm
Pinar del Ríoes
10
유스레이니스 에레라
1984년 3월 12일
1.78m
312cm
295cm
Ciudad de La Habanaes
12
로시르 칼데론
1984년 12월 28일
1.91m
330cm
325cm
Dinamo Krasnodarru
14
케니아 카르카세스
1986년 1월 22일
1.89m
308cm
290cm
Holguínes
15
유시데 실리에
1984년 11월 23일
1.84m
316cm
300cm
Ciudad de La Habanaes
18
조일라 바로스
1976년 8월 16일
1.88m
332cm
312cm
Uralochka Ekaterinburgru
13. 근대 5종
야니엘 벨라스케스는 남자 근대 5종 경기에 출전하였다. 사격(10m 공기 권총)에서 184점으로 10위를 기록하여 1144점을 획득하였다. 펜싱(에페 원터치)에서는 18승 17패로 20위를 기록, 832점을 얻었다. 수영(200m 자유형)에서는 2분 16초 38로 36위를 하여 1164점을 받았다. 승마(장애물 비월)에서는 172점의 페널티를 받아 13위로 1028점을 획득했다. 마지막 육상(3000m)에서는 9분 29초 55로 10위를 기록, 1124점을 획득하며 총점 5292점으로 최종 15위를 기록했다.
선수
종목
사격
펜싱
수영
승마
육상
총점
최종 순위
야니엘 벨라스케스
남자
184점 (10위, 1144점)
18승 17패 (20위, 832점)
2분 16초 38 (36위, 1164점)
172점 페널티 (13위, 1028점)
9분 29초 55 (10위, 1124점)
5292점
15위
14. 조정
;남자
쿠바 남자 조정 대표팀은 경량급 더블 스컬과 쿼드러플 스컬 종목에 출전했다. 경량급 더블 스컬 종목에서는 에이데르 바티스타와 유니오르 페레즈가 짝을 이루어 예선에서 6분 19초 36으로 4위를 기록, 패자부활전을 거쳐 준결승 A/B조에 진출하였다. 준결승에서 6분 33초 60으로 3위를 차지하여 결승 A에 진출, 6분 19초 96으로 6위를 기록했다.
쿼드러플 스컬 종목에는 율레이디스 카스카레트, 자니에르 콘셉시온, 안헬 푸르니에르, 요에니스 에르난데스가 출전, 예선에서 5분 44초 68로 4위를 기록하여 패자부활전을 치렀다. 패자부활전에서 6분 3초 56으로 2위를 기록하여 준결승 A/B조에 진출, 6분 4초 99로 6위를 차지하여 결승 B로 진출했다. 최종적으로 5분 52초 66을 기록하며 12위를 기록했다.
선수
종목
예선
패자부활전
준결승
결승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에이데르 바티스타 유니오르 페레즈
경량급 더블 스컬
6:19.36
4 R
6:40.15
2 SA/B
6:33.60
3 FA
6:19.96
6
율레이디스 카스카레트 자니에르 콘셉시온 안헬 푸르니에르 요에니스 에르난데스
쿼드러플 스컬
5:44.68
4 R
6:03.56
2 SA/B
6:04.99
6 FB
5:52.66
12
참가 자격 범례: '''FA'''=결승 A (메달); '''FB'''=결승 B (비메달); '''FC'''=결승 C (비메달); '''FD'''=결승 D (비메달); '''FE'''=결승 E (비메달); '''FF'''=결승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QF'''=8강; '''R'''=패자부활전
;여자
선수
종목
예선
패자부활전
8강
준결승
결승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마이라 곤잘레스
싱글 스컬
8:07.22
2 QF
colspan=2 |
7:45.75
4 SC/D
8:02.10
1 FC
7:42.68
15
이스마레이 마레로 야이마 벨라스케스
경량급 더블 스컬
7:13.35
4 R
7:32.14
3 SA/B
colspan=2 |
7:30.15
6 FB
7:20.07
12
참가 자격 범례: '''FA'''=결승 A (메달); '''FB'''=결승 B (비메달); '''FC'''=결승 C (비메달); '''FD'''=결승 D (비메달); '''FE'''=결승 E (비메달); '''FF'''=결승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QF'''=8강; '''R'''=패자부활전
14. 1. 남자
쿠바 남자 조정 대표팀은 경량급 더블 스컬과 쿼드러플 스컬 종목에 출전했다. 경량급 더블 스컬 종목에서는 에이데르 바티스타와 유니오르 페레즈가 짝을 이루어 예선에서 6분 19초 36으로 4위를 기록, 패자부활전을 거쳐 준결승 A/B조에 진출하였다. 준결승에서 6분 33초 60으로 3위를 차지하여 결승 A에 진출, 6분 19초 96으로 6위를 기록했다.
쿼드러플 스컬 종목에는 율레이디스 카스카레트, 자니에르 콘셉시온, 안헬 푸르니에르, 요에니스 에르난데스가 출전, 예선에서 5분 44초 68로 4위를 기록하여 패자부활전을 치렀다. 패자부활전에서 6분 3초 56으로 2위를 기록하여 준결승 A/B조에 진출, 6분 4초 99로 6위를 차지하여 결승 B로 진출했다. 최종적으로 5분 52초 66을 기록하며 12위를 기록했다.
선수
종목
예선
패자부활전
준결승
결승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에이데르 바티스타 유니오르 페레즈
경량급 더블 스컬
6:19.36
4 R
6:40.15
2 SA/B
6:33.60
3 FA
6:19.96
6
율레이디스 카스카레트 자니에르 콘셉시온 안헬 푸르니에르 요에니스 에르난데스
쿼드러플 스컬
5:44.68
4 R
6:03.56
2 SA/B
6:04.99
6 FB
5:52.66
12
참가 자격 범례: '''FA'''=결승 A (메달); '''FB'''=결승 B (비메달); '''FC'''=결승 C (비메달); '''FD'''=결승 D (비메달); '''FE'''=결승 E (비메달); '''FF'''=결승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QF'''=8강; '''R'''=패자부활전
14. 2. 여자
야이마 벨라스케스
경량급 더블 스컬
7:13.35
4 R
7:32.14
3 SA/B
colspan=2
7:30.15
6 FB
7:20.07
12
참가 자격 범례: '''FA'''=결승 A (메달); '''FB'''=결승 B (비메달); '''FC'''=결승 C (비메달); '''FD'''=결승 D (비메달); '''FE'''=결승 E (비메달); '''FF'''=결승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QF'''=8강; '''R'''=패자부활전
15. 수영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페드로 메델
200m 배영
2:01.32
30
진출 실패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헤이시 비야레알
200m 자유형
2:03.23 NR
41
진출 실패
15. 1. 남자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페드로 메델
200m 배영
2:01.32
30
진출 실패
15. 2. 여자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헤이시 비야레알
200m 자유형
2:03.23 NR
41
진출 실패
16. 다이빙
쿠바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10m 플랫폼, 10m 싱크로나이즈 플랫폼 종목에 선수가 참가하였다.
호르헤 베탕코르와 호르헤 루이스 푸포는 3m 스프링보드에 출전했다. 호르헤 베탕코르는 428.25점으로 19위를 기록했고, 호르헤 루이스 푸포는 388.70점으로 27위를 기록하며 둘 다 준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10m 플랫폼에는 옌클레르 아기레와 호세 게라가 출전했다. 옌클레르 아기레는 예선에서 423.75점으로 16위를 기록하여 준결선에 진출했으나, 준결선에서 414.20점으로 15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호세 게라는 예선에서 443.20점으로 11위, 준결선에서 438.80점으로 11위를 기록하여 결선에 진출했고, 결선에서 507.15점으로 최종 5위를 기록했다.
에리크 포르나리스와 호세 게라는 10m 싱크로나이즈 플랫폼에 출전하여 409.38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16. 1. 남자
쿠바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10m 플랫폼, 10m 싱크로나이즈 플랫폼 종목에 선수가 참가하였다.
호르헤 베탕코르와 호르헤 루이스 푸포는 3m 스프링보드에 출전했다. 호르헤 베탕코르는 428.25점으로 19위를 기록했고, 호르헤 루이스 푸포는 388.70점으로 27위를 기록하며 둘 다 준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10m 플랫폼에는 옌클레르 아기레와 호세 게라가 출전했다. 옌클레르 아기레는 예선에서 423.75점으로 16위를 기록하여 준결선에 진출했으나, 준결선에서 414.20점으로 15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호세 게라는 예선에서 443.20점으로 11위, 준결선에서 438.80점으로 11위를 기록하여 결선에 진출했고, 결선에서 507.15점으로 최종 5위를 기록했다.
에리크 포르나리스와 호세 게라는 10m 싱크로나이즈 플랫폼에 출전하여 409.38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쿠바는 여자 플뢰레 개인전과 사브르 개인전에 각각 한 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미슬레이디스 콤파니는 여자 플뢰레 개인전 32강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홀스를 15-13으로 꺾었으나, 16강에서 이탈리아의 트리리니에게 7-15로 패하며 탈락했다. 마일린 곤잘레스는 여자 사브르 개인전 32강에서 세네갈의 투레를 15-7로 이겼지만, 16강에서 미국의 제이콥슨에게 11-15로 패해 더 이상 진출하지 못했다.
17. 1. 여자
쿠바는 여자 플뢰레 개인전과 사브르 개인전에 각각 한 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미슬레이디스 콤파니는 여자 플뢰레 개인전 32강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홀스를 15-13으로 꺾었으나, 16강에서 이탈리아의 트리리니에게 7-15로 패하며 탈락했다. 마일린 곤잘레스는 여자 사브르 개인전 32강에서 세네갈의 투레를 15-7로 이겼지만, 16강에서 미국의 제이콥슨에게 11-15로 패해 더 이상 진출하지 못했다.
18. 카누
쿠바는 카누 스프린트 종목에서 3명의 선수와 카약 스프린트 종목에서 1명의 선수가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11]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호르헤 가르시아
남자 K-1 500m
1:42.80
7 QS
1:49.08
8
진출 실패
남자 K-1 1000m
3:38.86
7 QS
3:41.22
5
진출 실패
알도 프루나
남자 C-1 500m
1:51.11
5 QS
1:53.81
5
진출 실패
남자 C-1 1000m
4:02.35
3 QS
4:01.75
3 Q
3:59.09
9
카렐 아길라르 세르게이 토레스
남자 C-2 500m
1:44.15
7 QS
1:43:64
5
진출 실패
남자 C-2 1000m
3:41.17
2 QF
부전승
3:48.88
9
예선 통과 기준: '''QS''' = 준결선 진출; '''QF''' = 결선 직행
18. 1. 스프린트
쿠바는 카누 스프린트 종목에서 3명의 선수와 카약 스프린트 종목에서 1명의 선수가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11]
선수
종목
예선
준결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시간
순위
호르헤 가르시아
남자 K-1 500m
1:42.80
7 QS
1:49.08
8
진출 실패
남자 K-1 1000m
3:38.86
7 QS
3:41.22
5
진출 실패
알도 프루나
남자 C-1 500m
1:51.11
5 QS
1:53.81
5
진출 실패
남자 C-1 1000m
4:02.35
3 QS
4:01.75
3 Q
3:59.09
9
카렐 아길라르 세르게이 토레스
남자 C-2 500m
1:44.15
7 QS
1:43:64
5
진출 실패
남자 C-2 1000m
3:41.17
2 QF
부전승
3:48.88
9
예선 통과 기준: '''QS''' = 준결선 진출; '''QF''' = 결선 직행
참조
[1]
웹사이트
Delegación cubana a los Juegos Olímpicos de Beijing 2008
https://web.archive.[...]
2010-04-24
[2]
뉴스
149 Cubans qualify for Olympics
https://web.archive.[...]
Xinhua
2008-06-05
[3]
뉴스
Cuban wrestler Mijain Lopez: only gold is my goal
https://web.archive.[...]
Xinhua
2008-07-30
[4]
웹사이트
FITA Olympic Qualification - Men
https://web.archive.[...]
2008-05-14
[5]
뉴스
Cuban runner Robles trains in Havana
https://web.archive.[...]
Xinhua
2008-07-31
[6]
웹사이트
IOC sanctions two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s at Beijing 2008 - Olympic News
https://www.olympic.[...] [7]
웹사이트
Blonska thrown out of long jump
http://news.bbc.co.u[...]
BBC Sport
2008-08-21
[8]
웹사이트
Team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EIJING 2008 Olympic Games
https://web.archive.[...]
2022-01-11
[9]
간행물
1st AIBA American Olympic Boxing Qualifying Tournament
http://www.aiba.org/[...]
2008-09-14
[10]
간행물
2nd AIBA American Olympic Boxing Qualifying Tournament
http://www.aiba.org/[...]
2008-09-14
[11]
웹사이트
Athlete Quota Places Allocation - Final List 21 July 2008
http://www.canoeicf.[...]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2008-07-30
[12]
문서
2008年北京オリンピックの馬術競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