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여자 농구 경기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며, 8월 9일부터 23일까지 우커송 실내 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 미국이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금메달을,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총 12개국이 참가했으며,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 중국이 4강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여자 농구 - 한국여자프로농구 2007-08
    한국여자프로농구 2007-08 시즌은 2007년 10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단일리그로 진행되었으며, 안산 신한은행 에스버드가 정규리그에서 우승하고 신한은행이 챔피언 결정전에서 용인 삼성생명 비추미를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 2008년 여자 농구 - 한국여자프로농구 2008-09
    한국여자프로농구 2008-09 시즌은 정규리그 경기 수 증가, 규칙 강화, 샐러리캡 증가 등의 변화 속에서 안산 신한은행 에스버드가 정규리그와 챔피언 결정전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했으며, 최윤아가 MVP, 박혜진이 신인선수상을 수상했다.
  • 올림픽 여자 농구 - 2024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2024년 하계 올림픽 여자 농구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FIBA 여자 농구 월드컵과 올림픽 예선 결과를 바탕으로 시드를 배정받아 조별 리그를 거쳐 상위 팀들과 성적 우수 3위 팀들이 8강에 진출, 성적에 따른 포트 추첨으로 8강 대진이 결정된다.
  • 올림픽 여자 농구 - 2016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경기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미국이 금메달, 스페인이 은메달, 프랑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남자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남자 종목은 베이징 우커송 실내 체육관에서 12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금메달, 아르헨티나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야오밍, 파우 가솔, 르브론 제임스 등 세계적인 선수들이 참가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예선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예선은 베이징 올림픽 여자 농구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대륙별 선수권 대회, 와일드카드 토너먼트를 통해 중국, 호주를 포함한 12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한국은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으로 본선에 진출하고 예선 토너먼트에서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올림픽 오륜기
올림픽 오륜기
종목여자 농구
대회 횟수6회
기간2008년 8월 9일 - 2008년 8월 23일
개최국중화인민공화국
개최지베이징
경기장우커송 실내 체육관
이전 대회아테네 2004
다음 대회런던 2012
결과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경기는 개최 도시인 베이징에 있는 우커송 실내 체육관에서 열렸다.

경기장
우커송 실내 체육관


3. 경기 일정

토10일
일11일
월12일
화13일
수14일
목15일
금16일
토17일
일18일
월19일
화20일
수21일
목22일
금23일
토24일
일여자bgcolor="#3399ff" |bgcolor="#3399ff" |bgcolor="#3399ff" |bgcolor="#3399ff" |bgcolor="#3399ff" |bgcolor="#00ff00" |bgcolor="#00FFFF" |bgcolor=#ffcc00 |


4. 참가국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여자 농구에는 12개국이 참가했다. 참가국은 올림픽 개최국,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국, 대륙별 선수권 대회 우승국, 그리고 최종 예선을 통해 선발되었다.[1]

예선을 통과한 12개국은 다음과 같다.

4. 1. 참가국 목록

국가예선 통과 자격예선 통과 날짜이전 출전 횟수FIBA 세계 랭킹[1]
중화인민공화국올림픽 개최국2001년 7월 13일4 (1988, 1992, 1996, 2004)10위
오스트레일리아세계 선수권 우승2006년 9월 23일6 (1984, 1988, 1996, 2000, 2004)2위
대한민국아시아 선수권 우승2007년 6월 30일5 (1984, 1988, 1996, 2000, 2004)7위
뉴질랜드오세아니아 선수권 우승2007년 9월 28일2 (2000, 2004)16위
말리아프리카 선수권 우승2007년 9월 30일0회31위
미국아메리카 선수권 우승2007년 6월 30일7 (1976,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1위
러시아유럽 선수권 우승2007년 10월 7일3 (1996, 2000, 2004)3위
스페인최종 예선2008년 6월 13일2 (1992, 2004)5위
체코최종 예선2008년 6월 13일1 (2004)9위
라트비아최종 예선2008년 6월 13일0회26위
벨라루스최종 예선2008년 6월 13일0회30위
브라질최종 예선2008년 6월 15일4 (1992, 1996, 2000, 2004)4위



2008년 하계 올림픽 여자 농구 참가국

5. 대회 규정

12개 팀은 6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렀다. 각 조 상위 4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조 5위와 6위 팀은 예선 성적에 따라 각각 9, 10위와 11, 12위로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다.[1] 8강, 준결승, 결승전을 거쳐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승패가 같을 경우, 다음 기준에 따라 순위를 결정했다.

6. 경기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A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득점총실점득실차승점
오스트레일리아50349264+8510
러시아41278258+209
벨라루스23320332-127
대한민국23352360-87
라트비아14266315-496
브라질14337354-176



자세한 경기 결과는 하위 섹션 "조별 리그"의 "A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조별 리그

모든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총득점총실점득실차승점
미국50491276+21510
중국41358346+129
스페인32350354-48
체코23353326+277
뉴질랜드14320423-1036
말리05255402-1475



B조에서는 미국이 5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고, 중국, 스페인, 체코가 각각 4승 1패, 3승 2패, 2승 3패로 그 뒤를 이어 8강에 진출했다. 뉴질랜드와 말리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2]

6. 1. 1. A조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A조 조별 리그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 벨라루스, 대한민국이 8강에 진출했다. 라트비아와 브라질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일시간팀A결과팀B1쿼터2쿼터3쿼터4쿼터연장장소관중
8월 9일09:00벨라루스64-83오스트레일리아12-1916-2522-2114-18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9일16:45대한민국68-62브라질13-1413-1415-1514-1213–7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9일22:15라트비아57-62러시아7-1424-1517-129-21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1일14:30대한민국72-77러시아15-2420-1324-2113-19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1일16:45라트비아57-79벨라루스20-2115-1914-208-19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1일22:15오스트레일리아80-65브라질29-1421-1511-2019-16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3일09:00벨라루스65-71러시아19-208-1513-1725-19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3일14:30브라질78-79라트비아23-1413-1723-2619-22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3일20:00대한민국62-90오스트레일리아14-2319-2417-2612-17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5일11:15라트비아73-96오스트레일리아18-1920-2218-3517-20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5일14:30러시아74-64브라질21-2614-1519-1520-8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5일22:15대한민국53-63벨라루스15-1213-219-1716-13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7일11:15오스트레일리아75-55러시아15-1910-1830-1020-8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7일14:30대한민국72-68라트비아20-2222-1318-912-24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8월 17일16:45브라질68-53벨라루스20-1219-1410-1219-15우커송 실내 경기장11,083


6. 1. 2. B조

순위득점실점득실차승점결과
1USA|미국영어50491276+215108강 진출
2CHN|중국중국어41358346+129
3ESP|스페인es32357324+338
4CZE|체코cs23346356-107
5NZL|뉴질랜드영어14320423-1036탈락
6MLI|말리프랑스어05255376-1215

6. 2. 토너먼트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농구 여자부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8강 진출팀은 A조와 B조에서 각각 상위 4팀이 선정되었으며, 조별 순위에 따라 교차하는 방식으로 대진이 결정되었다.

8강전에서는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러시아가 각각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특히 미국은 대한민국을 상대로 104-60이라는 큰 점수 차로 승리하며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였다. 대한민국은 김계령이 14득점으로 분전했으나, 미국의 실비아 파울스는 26득점 14리바운드를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준결승전 및 결승전에 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러시아가 중국을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으며, 결승전에서는 미국이 오스트레일리아를 92-65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미국의 로렌 잭슨은 결승전에서 20득점 13리바운드로 활약했지만, 미국의 조직력과 개인기를 넘어서기에는 역부족이었다.[1]

6. 2. 1. 8강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부 8강전은 2008년 8월 19일에 우커송 실내 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 8강에는 A조와 B조에서 각각 상위 4팀이 진출했으며, A조 1위-B조 4위, A조 2위-B조 3위, A조 3위-B조 2위, A조 4위-B조 1위와 같이 교차하는 방식으로 대진이 결정되었다.

8강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일결과경기장
2008년 8월 19일중국77 - 62벨라루스우커송 실내 체육관
2008년 8월 19일오스트레일리아79 - 46체코우커송 실내 체육관
2008년 8월 19일미국104 - 60대한민국우커송 실내 체육관
2008년 8월 19일러시아84 - 65스페인우커송 실내 체육관



결과적으로 러시아, 미국, 중국, 오스트레일리아가 4강에 진출했다.

6. 2. 2. 준결승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부 준결승전은 8월 19일에 베이징 우커송 실내 체육관에서 열렸다.

6. 2. 3. 동메달 결정전

러시아중국을 94 – 81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6. 2. 4. 결승전

2008년 8월 23일 베이징 우커송 실내 경기장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결승전에서 미국오스트레일리아를 92-65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1] 미국은 카라 로슨이 15득점, 리사 레슬리가 7리바운드, 케이티 스미스가 3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 승리를 이끌었다.[1] 오스트레일리아는 로렌 잭슨이 20득점 13리바운드로 더블더블을 기록하고, 벨린다 스넬이 4어시스트를 기록했지만 미국의 벽을 넘지 못했다.[1]

7. 최종 순위

순위국가경기득점실점득실차
미국880754453+301
오스트레일리아871658513+145
러시아862569546+23
4중국853572592-20
5스페인633422408+14
6벨라루스624386409-23
7체코624392435-43
8대한민국624387464-77
9라트비아514334387-53
10뉴질랜드514320423-103
11브라질514337354-17
12말리505255402-147


8. 통계

2008년 하계 올림픽 농구 여자 경기의 개인별 통계는 다음과 같다. 아래 표는 각 부문별 상위 10명의 선수를 나타낸다.

선수경기당 평균 리바운드
하메드 하다디|하메드 하다디fa (이란)11.2
디르크 노비츠키|디르크 노비츠키de (독일)8.4
야오밍|야오밍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8.2
이젠롄|이젠롄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7.5
파우 가솔|파우 가솔es (스페인)7.0
안토니스 포치스|안토니스 포치스el (그리스)6.7
루이스 스콜라|루이스 스콜라es (아르헨티나)6.6
빅토르 흐랴파|빅토르 흐랴파ru (러시아)6.5
안드레이 키릴렌코|안드레이 키릴렌코ru (러시아)6.4
안드레스 노시오니|안드레스 노시오니es (아르헨티나)6.3



선수경기당 평균 어시스트
샤루나스 야시케비추스|샤루나스 야시케비추스lt (리투아니아)5.3
존 로버트 홀든|존 로버트 홀든ru (러시아)4.8
파블로 프리지오니|파블로 프리지오니es (아르헨티나)4.6
크리스 폴|크리스 폴영어 (미국)4.1
마누 지노빌리|마누 지노빌리es (아르헨티나)3.9
르브론 제임스|르브론 제임스영어 (미국)3.8
안드레이 키릴렌코|안드레이 키릴렌코ru (러시아)3.4
리카르도 루비오|리카르도 루비오es (스페인)3.0
C. J. 브루턴|C. J. 브루턴영어 (오스트레일리아)3.0
바실레이오스 스파눌리스|바실레이오스 스파눌리스el (그리스)3.0



주요 선수 기록은 별도 하위 섹션에 정리되어 있다.

8. 1. 주요 선수 기록

먀오리제|먀오리제중국어 (중국)가 경기당 평균 18.1점으로 가장 높은 득점을 기록했다.[1] 옐레나 레우첸카|옐레나 레우첸카be (벨라루스)와 제네부 시소코|제네부 시소코프랑스어 (말리)는 경기당 평균 10.0개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1] 크리스티 해로우어|크리스티 해로우어영어 (오스트레일리아)는 경기당 평균 4.9개로 가장 많은 도움을 기록했다.[1]

9. 메달리스트

메달선수
-- 미국
세이몬 오거스터스, 수 버드, 타미카 캐칭스, 실비아 파울스, 카라 로슨, 리사 레슬리, 데리샤 밀턴존스, 캔디스 파커, 캐피 폰덱스터, 캐시 스미스, 다이아나 토라시, 티나 톰슨
-- 오스트레일리아
수지 바트코비치, 털리 베빌라콰, 로핸 콕스, 홀리 그리마, 크리스티 해로워, 로렌 잭슨, 에린 필립스, 엠마 랜달, 제니 스크린, 벨린다 스넬, 로라 스머턴, 페니 테일러
-- 러시아
스베틀라나 아브로시모바, 베키 하몬, 마리나 카르푸니아, 일로나 코르스틴, 마리나 쿠지나, 에카테리나 리시나, 이리나 오시포바, 옥사나 라흐마툴리나, 타티아나 셰골레바, 이리나 소콜롭스카야, 마리아 스테파노바, 나탈리아 보도피아노바


참조

[1] 문서 after EuroBasket 2007
[2] 웹사이트 USA/AUS – United States women capture fourth Olympic gold on the trot https://web.archive.[...] 2008-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