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9년 아일랜드 국민투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9년 아일랜드 국민투표는 리스본 조약 비준을 위해 아일랜드 헌법을 수정하는 안건에 대한 투표였다. 1987년 대법원 판결에 따라 유럽 연합 조약의 중대한 개정을 비준하려면 헌법 개정이 필요했고, 2008년 첫 번째 국민투표에서 리스본 조약이 부결된 후 두 번째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2009년 10월 2일에 실시된 투표 결과, 찬성 67.13%, 반대 32.87%로 리스본 조약이 비준되었으며, 이는 아일랜드의 유럽 연합에 대한 헌신을 재확인하고 리스본 조약 비준을 가능하게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국민투표 - 2008년 아일랜드 국민투표
    2008년 아일랜드 국민투표는 리스본 조약 비준을 위한 헌법 개정안에 대한 투표였으며, 국민투표 결과 53.4%의 반대로 부결되었고, 이후 재협상을 통해 2009년 재투표에서 조약이 가결되었다.
  • 2009년 국민투표 - 2009년 마요트 국민투표
    2009년 마요트 국민투표는 프랑스의 해외 레지옹으로 편입을 결정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높은 찬성률로 통과되어 프랑스 법률의 적용을 받게 되었지만 아프리카 연합과 코모로의 반발을 샀다.
  • 2009년 아일랜드 - 페터 베르크만 사건
    페터 베르크만 사건은 2009년 아일랜드 슬라이고 해변에서 독일 억양의 영어를 사용하고 가짜 신분증을 소지한 채 익사한 신원 미상의 남자에 대한 미스터리한 사건으로, 그의 신원과 사라진 여행 가방 등 여러 의문점이 남아있다.
2009년 아일랜드 국민투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아일랜드 헌법 수정 제28조
내용국가가 리스본 조약을 비준하도록 허용
국가아일랜드
날짜2009년 10월 2일
투표 결과
찬성1,214,268표
반대594,606표
총 투표수1,816,098표
유권자 수3,078,132명
관련 정보
결과통과
서명 날짜2009년 10월 16일

2. 역사적 배경

1987년 대법원 판결에 따르면, 아일랜드가 유럽 연합 조약의 중대한 개정을 비준하려면 아일랜드 헌법 개정안이 필요하며, 모든 헌법 개정안은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받아야 한다.[8]

2. 1. 유럽 헌법 조약 부결

1987년 대법원 판결은 아일랜드가 유럽 연합 조약의 중대한 개정을 비준하려면 아일랜드 헌법 개정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립했다.[8] 모든 헌법 개정안은 국민투표의 승인이 필요하다.

유럽 헌법 제정 조약에 대한 국민투표는 2005년 또는 2006년에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05년 프랑스 유럽 헌법 국민투표에서 2005년 5월에 프랑스 유권자들이, 2005년 네덜란드 유럽 헌법 국민투표에서 2005년 6월에 네덜란드 유권자들이 헌법을 부결시킨 후 취소되었다. 리스본 조약은 헌법 부결 이후 합의된 범유럽 정치적 타협을 나타낸다. 이는 헌법의 내용, 특히 유럽 기구의 기능에 대한 새로운 규칙의 대부분을 보존하지만 헌법에 대한 상징적인 언급은 포기한다. (유럽 헌법과 비교한 리스본 조약 참조.)

2. 2. 리스본 조약의 등장

1987년 대법원 판결은 아일랜드가 유럽 연합 조약의 중대한 개정을 비준하려면 아일랜드 헌법 개정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립했다.[8] 모든 헌법 개정안은 국민투표의 승인이 필요하다.

유럽 헌법 제정 조약에 대한 국민투표는 2005년 또는 2006년에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05년 프랑스 유럽 헌법 국민투표에서 2005년 5월에 프랑스 유권자들이, 2005년 네덜란드 유럽 헌법 국민투표에서 2005년 6월에 네덜란드 유권자들이 헌법을 부결시킨 후 취소되었다. 리스본 조약은 헌법 부결 이후 합의된 범유럽 정치적 타협을 나타낸다. 이는 헌법의 내용, 특히 유럽 기구의 기능에 대한 새로운 규칙의 대부분을 보존하지만 헌법에 대한 상징적인 언급은 포기한다. (유럽 헌법과 비교한 리스본 조약 참조.)

2. 3. 첫 번째 리스본 조약 국민투표 (2008년)

아일랜드유럽 연합리스본 조약(개정 조약이라고도 함) 비준을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한 유일한 EU 회원국이었다.[9] 2008년 6월 12일에 실시된 국민투표 결과, 53.4%가 반대하여 부결되었으며, 투표율은 53.1%였다.[10]

다른 모든 EU 회원국들은 해당 국가의 국회에서 조약 비준을 결정했다. 이 국민투표는 모든 EU 회원국과 유럽 의회가 비준해야 하는 조약의 더 큰 EU 비준 과정의 일부였다. 국민투표에서 "반대" 투표는 EU에서 조약 전체를 무산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니스 조약의 경우처럼, 2001년 첫 번째 투표에서 부결된 후 2002년 두 번째 국민투표에서 아일랜드에서 비준된 전례가 있었다.

이후 EU 회원국들은 아일랜드 정부에 리스본 조약이 아일랜드의 과세, 군사 활동 또는 낙태에 관한 변화를 초래하지 않을 것임을 보장하는 일련의 문서를 발행했고,[11] 이에 따라 두 번째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2. 4. 두 번째 국민투표의 배경

EU 회원국들은 아일랜드 정부에 리스본 조약이 아일랜드의 과세, 군사 활동 또는 낙태에 관한 변화를 초래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일련의 보증을 발행했으며,[11] 이로 인해 두 번째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3. 헌법 수정 내용

두 번째 국민투표는 '헌법 수정안 2009'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아일랜드 헌법 제29조 4항의 내용이 수정 및 추가되었다.[1] 수정된 조항은 아일랜드의 유럽 연합(EU) 헌신, 리스본 조약 비준, 그리고 유럽 연합 및 관련 기구의 법적 효력을 명확히 했다.[1]

개정 전 헌법 제29조 4항의 3항은 다음과 같았다.

> 3° 국가는 유럽석탄철강공동체(1951년 4월 18일 파리에서 서명된 조약에 의해 설립), 유럽경제공동체(1957년 3월 25일 로마에서 서명된 조약에 의해 설립), 유럽원자력공동체(1957년 3월 25일 로마에서 서명된 조약에 의해 설립)의 회원이 될 수 있다. 국가는 1986년 2월 17일 룩셈부르크와 1986년 2월 28일 헤이그에서 공동체의 회원국을 대표하여 서명된 단일 유럽 의정서의 비준을 할 수 있다.[1]

제28차 수정안은 3항의 텍스트를 다음과 같이 수정했다.

> 3° 국가는 유럽원자력공동체(1957년 3월 25일 로마에서 서명된 조약에 의해 설립)의 회원이 될 수 있다.[1]

또한, 4항부터 11항까지는 삭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이 4항부터 9항까지의 조항으로 삽입되었다.

> 4° 아일랜드는 회원국들이 평화, 공유된 가치 및 자국 국민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유럽 연합에 대한 헌신을 확인한다.[1]

>

> 5° 국가는 2007년 12월 13일 리스본에서 서명된 유럽 연합 조약 및 유럽 공동체 설립 조약을 수정하는 리스본 조약(이하 "리스본 조약")을 비준할 수 있으며, 해당 조약에 의해 설립된 유럽 연합의 회원이 될 수 있다.[1]

>

> 6° 이 헌법의 어떠한 규정도 리스본 조약의 발효 전, 발효 시 또는 발효 후에 국가가 제정하고, 행하고, 채택한 법률, 행위 또는 조치가 본 조항의 5항 또는 유럽원자력공동체에 언급된 유럽 연합의 회원 자격에 따른 의무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한 경우, 이를 무효화하지 않으며, 또한 다음의 법률, 행위 또는 조치가 국가에서 법적 효력을 갖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1]

>

> : i. 상기 유럽 연합 또는 유럽원자력공동체 또는 그 기구,[1]

>

> : ii. 리스본 조약 발효 직전의 유럽 공동체 또는 유럽 연합 또는 그 기구, 또는[1]

>

> : iii. 본 조항에 언급된 조약에 따라 권한이 있는 기구.[1]

>

> 7° 국가는 다음과 같은 선택 사항 또는 재량을 행사할 수 있다.[1]

>

> : i. 강화된 협력과 관련된 유럽 연합 조약 제20조가 적용되는 경우,[1]

>

> : ii. 해당 조약 및 유럽 연합의 기능에 관한 조약(구 유럽 공동체 설립 조약)에 부속된 유럽 연합의 틀에 통합된 솅겐 아퀴 제19호 의정서에 따른 경우, 그리고[1]

>

> : iii 자유, 안보 및 정의의 영역과 관련하여 상기 부속된 제21호 의정서에 따른 경우(상기 제21호 의정서가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해 국가에 적용되지 않도록 하는 선택 사항 포함)[1]

>

> 하지만, 이러한 모든 행사는 양원 오이어크타스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1]

>

> 8° 국가는 다음의 결정, 규정 또는 기타 행위에 동의할 수 있다.[1]

>

> : i. 유럽 연합 이사회가 만장일치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유럽 연합 조약 및 유럽 연합 기능에 관한 조항에 따른 경우,[1]

>

> : ii. 통상적인 입법 절차를 채택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해당 조약에 따른 경우, 그리고[1]

>

> : iii. 자유, 안보 및 정의의 영역과 관련하여 유럽 연합 기능에 관한 조약 제82조 2항 (d)항, 제83조 1항의 세 번째 단락 및 제86조 1항 및 4항에 따른 경우,[1]

>

> 그러나, 그러한 결정, 규정 또는 행위에 대한 동의는 양원 오이어크타스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1]

>

> 9° 국가는 그 공동 방위가 국가를 포함하는 경우, 유럽 연합 조약 제42조에 따라 유럽 이사회가 공동 방위를 수립하기 위해 내린 결정을 채택해서는 안 된다.[1]

4. 국민투표 캠페인

존 고멀리 주택·지방 정부 및 문화유산부 장관에 의해 국민투표 위원회가 설립되었다.[12] 위원회는 프랭크 클라크 고등법원 판사가 위원장을 맡았다. 위원회의 역할은 제안의 주제와 개정안의 내용을 일반적으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진술서를 준비하는 것이었다.[13]

4. 1. 찬성 측

찬성 캠페인 포스터 – 더블린, 2009년 10월


2009년 아일랜드 국민투표에서 찬성 측은 피아나 페일, 피네 게일, 노동당, 녹색당 등 주요 정당들과 인텔, 라이언에어 등 기업들이 주도했다. 특히, 경제 위기 상황에서 EU의 지원을 받기 위한 경제적 이유가 강조되었다. 유럽을 위한 아일랜드, 제너레이션 예스(Generation Yes) 등 시민 단체들도 찬성 운동에 참여했다.

단체주요 인물입장
피아나 페일버티 아헌, 미헐 마틴찬성
피네 게일엔다 케니찬성
제너레이션 예스(Generation Yes)앤드루 번찬성
녹색당존 고멀리찬성
인텔 아일랜드짐 오하라찬성
유럽을 위한 아일랜드팻 콕스찬성
노동당에이먼 길모어찬성
자유주의자닐 넬리건찬성
라이언에어마이클 오리어리찬성
우리는 속해있다올리비아 버클리찬성
유럽을 위한 여성미셸 오도넬, 니암 갤러거찬성


4. 2. 반대 측

신 페인, 사회주의당, 리베르타스 등은 조약이 아일랜드의 주권, 중립성, 노동자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반대 캠페인을 벌였다. 평화와 중립 동맹, 국가 플랫폼 등 시민 단체들도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

단체주요 인물입장
코르(Cóir)리처드 그린반대
리베르타스데클런 간리반대
국가 플랫폼앤서니 코글런반대
평화와 중립 동맹로저 콜반대
사회주의 노동자당리처드 보이드 배럿반대
국민운동패트리샤 매케나반대
신 페인게리 애덤스, 메리 루 맥도널드반대
사회주의당조 히긴스반대
EFD나이젤 파라지반대
노동자당믹 피너건반대


5. 여론 조사

국민투표 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는 찬성 의견이 우세했다.[14][15][16][17][18][19][20][21][22][23][24][25][26]

여론 조사 날짜조사 기관의뢰 기관표본 크기찬성반대미정
2009년 9월 27일[14]퀀텀 리서치선데이 인디펜던트1,00068%17%15%
2009년 9월 26일[15]레드 C선데이 비즈니스 포스트1,00055%27%18%
2009년 9월 25일[16]TNS/mrbi아이리시 타임스1,00048%33%19%
2009년 9월 18일[17]밀워드 브라운/랜스다운?1,00053%26%21%
2009년 9월 12일[18]퀀텀 리서치선데이 인디펜던트1,00063%15%22%
2009년 9월 12일[19]레드 C선데이 비즈니스 포스트1,00052%25%23%
2009년 9월 4일[20]TNS/mrbi?1,00046%29%25%
2009년 5월 28일[21]TNS/mrbi?2,00054%28%18%
2009년 5월 13일[22]TNS/mrbi?2,00052%29%19%
2009년 4월 25일[23]퀀텀 리서치?50054%24%22%
2009년 1월 28일[24]레드 C선데이 비즈니스 포스트1,00158%28%14%
2009년 1월 23일[25]밀워드 브라운/랜스다운?1,00058%29%12%
2009년 1월 20일[26]퀀텀 리서치?50055%37%8%


6. 투표

2009년 10월 2일 아일랜드 전역에서 투표가 실시되었다. 총 유권자 수는 3,078,132명이었으며, 투표율은 59.00%였다. 투표는 당일 아침 7시에서 밤 10시까지 진행되었고, 개표는 다음 날 아침 9시에 시작되었다.[1] 일부 외딴 섬 지역에서는 본 투표보다 이틀 앞서 투표가 진행되었다.[2]

7. 결과

2009년 10월 2일에 실시된 아일랜드리스본 조약 국민투표 결과, 찬성 67.13%, 반대 32.87%로 조약이 비준되었다.[2] 투표율은 59.00%였다.

선거구별 결과[27][28]
선거구선거인 수투표율 (%)득표수득표율 (%)2008년 대비 찬성 증감률
찬성반대찬성반대
칼로-킬케니104,38758.0%42,49917,75570.5%29.5%+20.5%
캐번-모너한95,27059.1%34,74021,30162.0%38.0%+16.8%
클레어82,29256.9%33,70712,89872.3%27.7%+20.5%
코크 동부84,41157.5%31,95616,38766.1%33.9%+23.1%
코크 북중부65,34859.6%21,64217,13655.8%44.2%+20.2%
코크 북서부64,75960.8%27,24911,94269.5%30.5%+23.4%
코크 남중부89,65560.3%36,04017,87466.8%33.2%+20.2%
코크 남서부58,65760.6%23,76411,61567.2%32.8%+22.8%
도네갈 북동부56,93551.4%14,15615,00548.5%51.5%+13.2%
도네갈 남서부60,34052.3%15,62315,79449.7%50.3%+13.1%
더블린 중앙56,45153.3%18,54511,39661.9%38.1%+18.1%
더블린 미드웨스트62,65155.8%21,43513,42461.5%38.5%+21.9%
더블린 북부83,25161.3%36,97113,89572.7%27.3%+22.1%
더블린 북중부50,94665.6%23,6929,62471.1%28.9%+20.5%
더블린 북동부52,49963.4%21,04512,11763.5%36.5%+20.3%
더블린 북서부49,81357.6%15,73412,85055.0%45.0%+18.6%
더블린 남부98,22559.5%47,54910,67281.7%18.3%+18.8%
더블린 남중부80,75655.5%25,85418,74258.0%42.0%+19.0%
더블린 남동부54,79454.7%23,4786,36578.7%21.3%+17.0%
더블린 남서부68,49757.7%23,19216,17858.9%41.1%+24.0%
더블린 서부52,64959.5%21,4299,85268.5%31.5%+20.6%
던 레어76,50374.2%45,91710,65181.2%18.8%+17.7%
골웨이 동부80,32056.1%30,54914,30668.1%31.9%+21.2%
골웨이 서부86,53854.2%31,00015,73266.3%33.7%+20.2%
케리 북부55,51155.6%19,54311,19363.6%36.4%+23.2%
케리 남부52,02358.4%20,09210,17066.4%33.6%+23.8%
킬데어 북부73,60657.3%32,01210,00276.2%23.8%+21.6%
킬데어 남부56,17755.3%21,5689,37369.7%30.3%+21.6%
리오스-오팔리107,30359.6%46,62417,09773.2%26.8%+17.2%
리머릭 동부73,73461.0%30,21014,60767.4%32.6%+21.4%
리머릭 서부58,20658.1%23,36610,34369.3%30.7%+24.7%
롱퍼드-웨스트미스88,39053.4%30,87016,15665.6%34.4%+19.3%
루스84,36058.8%30,11619,24161.0%39.0%+19.1%
메이오95,46658.0%34,05621,13261.7%38.3%+23.4%
미스 동부68,86956.1%27,82210,65372.3%27.7%+21.4%
미스 서부58,58561.0%23,10312,50464.9%35.1%+20.4%
로스커먼-사우스 레이트림59,87165.0%25,58013,19466.0%34.0%+20.4%
슬라이고-노스 레이트림56,28658.9%21,29511,74464.5%35.5%+21.2%
티퍼레리 북부48,44675.9%25,76810,84670.4%29.6%+20.6%
티퍼레리 남부61,43954.3%22,71210,48368.4%31.6%+21.6%
워터퍼드73,58961.3%30,74414,11668.5%31.5%+22.8%
웨스트퍼드103,41258.8%39,46321,06765.2%34.8%+21.2%
위클로86,81267.9%41,54017,17470.7%29.3%+20.9%
합계3,078,13259.0%1,214,268594,60667.1%32.8%+20.5%



대부분의 선거구에서 찬성이 더 많았으며, 특히 2008년 첫 번째 리스본 조약 국민투표와 비교했을 때 찬성표가 크게 증가했다.[28]

7. 1. 반응

아일랜드의 총리 브라이언 코웬은 국민투표 통과로 아일랜드가 "결정적인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31] 피네 게일 대표 엔다 케니는 이를 "성숙하고 사려 깊은 결정"이라고 묘사했다.[31] 노동당 대표 에이먼 길모어는 이를 "합리적"이고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31]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조제 마누엘 바호주는 이 투표가 아일랜드와 유럽 모두에게 "훌륭한 날"이 되도록 보장했다고 말했다.[33] 유럽 의회 의장 예지 부제크는 이제 남아있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작업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33]

데클란 간리 리베르타스 대표는 예상외로 높은 찬성표가 경제 상황에 대한 "국민들의 공포심"을 보여준다고 말했다.[29] 사회당의 유럽 의회 의원 조 히긴스는 반대 캠페인의 성과를 칭찬했다.[31] 신 페인 대표 게리 아담스는 첫 번째 국민투표가 왜 무시되었는지 질문했다.[31] 메리 루 맥도날드 신 페인 부대표는 "불명예스럽고 우울한" 찬성 캠페인을 비판했다.[31] Cóir의 리처드 그린은 두 번째 결과에도 불구하고 조약에 대한 전쟁이 계속될 것이라고 약속하며, Cóir는 "국민의 목소리가 첫 번째에는 들리지 않았다는 것에 매우 실망했다"고 말했다.[32] 체코 공화국 대통령 바츨라프 클라우스는 이 투표가 "반복된 국민투표이므로 훼손되었다"고 말했다.[33] 영국 독립당 대표 나이젤 파라지는 이 과정이 "짐바브웨아프가니스탄의 부패한 선거"와 다를 바 없었다고 말했다.[33][34]

8. 국민투표 이후 절차

국민투표 이후, 다음과 같은 절차가 진행되었다.[36]

날짜절차
10월 6일국민투표의 전체 결과를 담은 잠정 국민투표 증명서가 아이리스 오피시얼에 게재되었다.[37]
10월 8일[38]다일은 헌법 제29조 5항 2절에 따라 조약의 조건을 승인하는 동의안을 통과시켰다.
10월 13일고등 법원에 잠정 국민투표 증명서에 대한 이의 제기가 접수되지 않아, 증명서가 최종 확정되었다.
10월 15일메리 매컬리스 대통령이 수정 법안에 서명하여 발효시켰다.
10월 16일메리 매컬리스 대통령이 조약 비준서를 서명했다.
10월 23일딕 로쉬 국무장관이 이탈리아 정부에 비준서를 기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67% vote Yes to Lisbon Treaty http://www.rte.ie/ne[...] 2009-10-03
[2] 웹사이트 Results received at the Central Count Centre for the Referendum on Treaty of Lisbon 2009 http://www.referendu[...] 2009-10-03
[3] 뉴스 Irish Ayes on Lisbon Treaty Have Europe Smiling http://www.time.com/[...] 2009-10-04
[4] 뉴스 Lisbon II referendum set for 2 October http://www.rte.ie/ne[...] 2009-07-08
[5] 뉴스 Irish treaty vote set for October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7-08
[6] 웹사이트 Parliamentary Debates, 8 October 2009 http://debates.oirea[...] 2009-11-12
[7] 뉴스 McAleese signs bill ratifying Lisbon Treaty http://www.independe[...] 2009-10-16
[8] Bailii 1987-04-09
[9] 뉴스 12 June pencilled in as date for Lisbon Treaty vote http://www.breakingn[...] 2008-04-02
[10] 웹사이트 Results received at the Central Count Centre for the Referendum on The Lisbon Treaty http://www.referendu[...] Referendum Returning Officer, referendum.ie 2008-06-13
[11] 간행물 Lisbon : The Guarantees Explained https://www.iiea.com[...] Institute of European Affairs 2009-06-19
[12] 웹사이트 S.I. No. 257/2009 – Referendum Commission (Establishment) Order 2009 http://www.irishstat[...] Irish Statute Book 2009-07-10
[13] 웹사이트 Referendum Act, 2001 http://www.irishstat[...] Irish Statute Book 2001-12-22
[14] 뉴스 Yes lead grows on the final lap http://www.independe[...] 2009-09-27
[15] 뉴스 Irish support for Lisbon Treaty at 55 percent – poll http://uk.reuters.co[...] 2009-09-26
[16] 뉴스 Support for Lisbon steady but No side makes ground http://www.irishtime[...] 2009-09-25
[17] 뉴스 Poll shows rise in Lisbon Treaty support http://www.rte.ie/ne[...] 2009-09-18
[18] 뉴스 Poll backs cuts, not tax increases http://www.independe[...] 2009-09-13
[19] 웹사이트 Strong Irish support for EU's Lisbon treaty: poll http://www.eubusines[...] 2009-09-12
[20] 뉴스 Boost for No camp in latest Lisbon poll http://www.rte.ie/ne[...] 2009-09-04
[21] 뉴스 Support for EU treaty rising in ailing Ireland: poll http://www.eubusines[...] 2009-05-31
[22] 뉴스 Lisbon Treaty Could Pass in New Irish Vote http://www.angus-rei[...] 2009-05-25
[23] 웹사이트 Lisbon Treaty Would Pass in Ireland http://www.angus-rei[...] 2009-04-25
[24] 웹사이트 Ireland will vote two-to-one for EU treaty: poll http://www.eubusines[...] 2009-02-01
[25] 웹사이트 Crisis sees Ireland warm to Lisbon treaty http://www.france24.[...]
[26] 웹사이트 Most Irish Now Favour Lisbon Treaty http://www.angus-rei[...] 2009-01-20
[27] 웹사이트 Referendum Results 1937–2015 http://www.housing.g[...] 2016-08-23
[28] 뉴스 Lisbon 2009 results http://www.irishtime[...] 2009-11-12
[29] 웹사이트 Ganley concedes Lisbon Treaty has passed https://www.irishexa[...] 2009-10-03
[30] 뉴스 Lisbon Treaty referendum: Irish voters look to EU after death of Celtic Tiger https://www.telegrap[...] 2009-10-03
[31] 웹사이트 Taoiseach welcomes 'decisive step' http://www.rte.ie/ne[...] 2009-10-03
[32] 뉴스 From students to CEOs, Irish relief at "Yes" vote https://www.reuters.[...] 2009-10-03
[33] 웹사이트 Irish vote good for Europe – Barroso http://www.rte.ie/ne[...] 2009-10-03
[34] 뉴스 UKIP slams 'corrupt' Lisbon vote http://www.irishtime[...] 2009-10-03
[35] 뉴스 The damage done by Lisbon re-run will not be easily fixed http://www.independe[...] 2009-10-03
[36] 웹사이트 Written Answers – International Agreements. http://debates.oirea[...] Oireachtas 2009-11-17
[37] 간행물 Constitutional Referendum http://www.irisoifig[...] 2009-10-06
[38] 웹사이트 Treaty of Lisbon: Motion. http://debates.oirea[...] Oireachtas 2009-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