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배경
- 3. 선거 결과
- 4. 주요 이슈 및 쟁점
- 5. 주요 지역별 선거 결과
- 5.1. 앨라배마
- 5.2. 아칸소
- 5.3. 애리조나
- 5.4. 캘리포니아
- 5.5. 콜로라도
- 5.6. 플로리다
- 5.7. 조지아
- 5.8. 하와이
- 5.9. 아이다호
- 5.10. 일리노이
- 5.11. 인디애나
- 5.12. 아이오와
- 5.13. 캔자스
- 5.14. 켄터키
- 5.15. 루이지애나
- 5.16. 메릴랜드
- 5.17. 매사추세츠
- 5.18. 미시간
- 5.19. 미네소타
- 5.20. 미시시피
- 5.21. 미주리
- 5.22. 네바다
- 5.23. 뉴햄프셔
- 5.24. 뉴저지
- 5.25. 뉴멕시코
- 5.26. 뉴욕
- 5.27. 노스캐롤라이나
- 5.28. 노스다코타
- 5.29. 오하이오
- 5.30. 오클라호마
- 5.31. 오리건
- 5.32. 펜실베이니아
- 5.33. 사우스캐롤라이나
- 5.34. 사우스다코타
- 5.35. 테네시
- 5.36. 텍사스
- 5.37. 유타
- 5.38. 버지니아
- 5.39. 워싱턴
- 5.40. 웨스트버지니아
- 5.41. 위스콘신
- 6. 특별 선거
- 7. 영향 및 평가
- 참조
1. 개요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2010년 11월 2일에 치러졌으며, 민주당이 하원에서 다수당 지위를 잃고 공화당이 다수당을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선거는 2006년과 2008년 선거 이후 민주당의 우세 속에서 치러졌으며, 경제 침체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논란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선거 결과, 공화당은 63석을 추가하여 하원 다수당을 탈환했고, 여러 지역에서 민주당 현직 의원들이 낙선했으며, 경제, 오바마케어, 티 파티 운동의 영향력 확대 등 다양한 이슈가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미국의 선거 - 2010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
2010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는 11월 2일에 실시되어 민주당 제리 브라운 후보가 공화당 멕 휘트먼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으며, 선거 쟁점은 일자리와 교육이었고, 앨파인, 콘트라코스타, 델노르테, 훔볼트 등 여러 카운티에서 지지세가 전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 2010년 미국의 선거 - 2010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2010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37석을 놓고 경쟁한 선거로, 공화당이 의석을 늘렸으나 민주당이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
---|---|
선거 정보 | |
국가 | 미국 |
유형 | 의회 |
이전 선거 | 200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2008 |
선거일 | 2010년 11월 2일 |
차기 선거 | 201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차기 선거 연도 | 2012 |
선출 의석 | 435석 |
과반 의석 | 218석 |
투표율 | 40.9% |
주요 정당 | |
정당 1 | 공화당 |
정당 1 대표 | 존 베이너 |
정당 1 대표 임기 시작 | 2007년 1월 3일 |
정당 1 이전 선거 결과 | 178석, 42.6% |
정당 1 선거 전 의석 | 179석 |
정당 1 의석 | 242석 |
정당 1 의석 증감 | 63석 |
정당 1 득표수 | 44,829,751 |
정당 1 득표율 | 51.7% |
정당 1 득표율 변동 | 9.1% |
정당 2 | 민주당 |
정당 2 대표 | 낸시 펠로시 |
정당 2 대표 임기 시작 | 2003년 1월 3일 |
정당 2 이전 선거 결과 | 257석, 53.2% |
정당 2 선거 전 의석 | 256석 |
정당 2 의석 | 193석 |
정당 2 의석 증감 | 63석 |
정당 2 득표수 | 38,980,192 |
정당 2 득표율 | 44.9% |
정당 2 득표율 변동 | 8.3% |
지도 | |
![]() | |
의장 | |
선거 전 의장 | 낸시 펠로시 |
선거 전 의장 정당 | 민주당 |
선거 후 의장 | 존 베이너 |
선거 후 의장 정당 | 공화당 |
2. 배경
200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와 200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를 거치면서 민주당은 하원과 상원을 모두 장악했다. 특히 2008년 선거에서는 민주당 버락 오바마 후보가 공화당 존 매케인 후보를 누르고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민주당은 양원에서 더욱 과반수를 늘렸다.[14]
2. 1.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민주당의 승리
200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이후, 민주당은 하원과 상원을 장악했다. 200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버락 오바마가 공화당 존 매케인을 꺾고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민주당이 양원에서 과반수를 늘렸다. 435개 하원 선거구 중 오바마가 242곳, 매케인이 193곳에서 승리했다. 오바마가 승리한 선거구 중 34곳에서 공화당원이 하원에 당선되었고, 매케인이 승리한 선거구 중 49곳에서 민주당원이 당선되었다.[14]2. 2. 경제 침체와 오바마케어 논쟁
공화당은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63석을 추가 확보하여 하원을 장악했고, 상원에서도 6석을 추가했다. 이는 1946년 이후 공화당이 하원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한 것이다.[15]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경제 침체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경기 부양책 및 건강 관리 개혁 법안에 대한 논쟁 때문으로 분석된다.정당 (및 무소속) | 의석 | 유효 투표 | ||||||
---|---|---|---|---|---|---|---|---|
2008년 | 2010년 | 점유율 | 투표수 | % | ||||
공화당 | 178 | 242 | 64 | 55.6% | 44,829,751 | 51.7% | 9.1% | |
민주당 | 257 | 193 | 64 | 44.4% | 38,980,192 | 44.9% | 8.3% | |
자유당 | — | — | — | — | 1,010,891 | 1.2% | 0.3% | |
무소속 | — | — | — | — | 516,733 | 0.6% | ||
녹색당 | — | — | — | — | 252,688 | 0.3% | 0.2% | |
헌법당 | — | — | — | — | 195,008 | 0.2% | 0.1% | |
독립당 | — | — | — | — | 139,473 | 0.2% | 0.1% | |
미국 독립당 | — | — | — | — | 56,907 | 0.1% | 0.1% | |
기타 | — | — | — | — | 799,461 | 0.9% | 0.8% | |
합계 | 435 | 435 | 0 | 100.0% | 86,781,104 | 100.0% |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 공화당은 242석, 민주당은 193석을 차지했다. 공화당은 민주당보다 64석을 더 얻어 다수당이 되었으며, 민주당은 64석을 잃었다.[15]
3. 선거 결과
정당 (및 무소속) 의석 유효 투표 2008년 2010년 점유율 투표수 % 공화당 178 242 64 55.6% 44,829,751 51.7% 9.1% 민주당 257 193 64 44.4% 38,980,192 44.9% 8.3% 자유당 — — — — 1,010,891 1.2% 0.3% 무소속 — — — — 516,733 0.6% 녹색당 — — — — 252,688 0.3% 0.2% 헌법당 — — — — 195,008 0.2% 0.1% 독립당 — — — — 139,473 0.2% 0.1% 미국 독립당 — — — — 56,907 0.1% 0.1% 기타 — — — — 799,461 0.9% 0.8% 합계 435 435 0 100.0% 86,781,104 100.0%
공화당은 총 44,829,751표(51.7%)를 얻었고, 민주당은 38,980,192표(44.9%)를 얻었다. 그 외 자유당 1.2%, 무소속 0.6%, 녹색당 0.3% 등 기타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이 3.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010년 미국 하원 선거의 유권자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다.2010년 미국 하원 선거 유권자 인구 통계 유권자 인구 통계 민주당 공화당 기타 % of
총 투표수총 투표 45 52 3 100 이념 자유주의자 90 8 2 20 중도주의 55 42 3 38 보수주의자 13 84 3 42 정당 민주당 91 7 2 35 공화당 5 94 1 35 무소속 37 56 7 29 성별 남성 41 55 4 48 여성 48 49 3 52 인종/민족 백인 37 60 3 77 흑인 89 9 2 11 아시아계 58 40 2 2 기타 53 44 3 2 히스패닉 (모든 인종 포함) 60 38 2 8 인종/민족별 성별 백인 남성 34 62 4 38 백인 여성 39 58 3 40 흑인 남성 86 13 1 5 흑인 여성 92 6 2 6 라틴계 남성 (모든 인종 포함) 55 44 1 4 라틴계 여성 (모든 인종 포함) 65 33 2 4 기타 모든 인종 55 42 3 4 종교 개신교 38 59 3 55 가톨릭 44 54 2 23 유대교 n/a n/a n/a 2 기타 종교 74 24 2 8 무교 68 30 2 12 종교 활동 참여 빈도 매주 40 58 2 48 매주 미만 53 44 3 52 백인 복음주의 또는 거듭난 기독교인 백인 복음주의 또는 거듭난 기독교인 19 77 4 25 그 외 55 42 3 75 연령 18–24세 57 39 4 6 25–29세 54 44 2 6 30–39세 47 48 5 14 40–49세 43 54 3 21 50–64세 46 52 2 32 65세 이상 38 59 3 21 성적 지향 LGBT 69 29 2 3 비LGBT 46 52 2 97 학력 고등학교 미만 졸업 57 36 7 3 고등학교 졸업 46 52 2 17 일부 대학 교육 이수 43 53 4 28 대학 졸업 40 58 2 30 대학원 교육 53 45 2 21 인종/민족별 학력 백인 대학 졸업 39 58 3 42 백인 비(非) 대학 졸업 33 63 4 35 비(非) 백인 대학 졸업 70 28 2 9 비(非) 백인 비(非) 대학 졸업 75 23 2 13 가구 소득 30000USD 미만 57 40 3 17 30000USD–49999USD 51 46 3 19 50000USD–74999USD 45 51 4 21 75000USD–99999USD 42 56 2 15 100000USD–199999USD 43 56 1 19 200000USD 이상 34 64 2 8 인종별 가구 소득 백인 50000USD 미만 42 54 4 25 백인 50000USD 초과 37 61 3 53 비(非) 백인 50000USD 미만 80 19 1 11 비(非) 백인 50000USD 초과 69 29 2 11 노동 조합 가구 노동 조합 61 37 2 17 비(非) 노동 조합 43 54 3 83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슈 아프가니스탄 전쟁 58 40 2 7 건강 관리 51 47 2 18 경제 43 54 3 63 불법 이민 26 68 6 8 지역 북동부 54 44 2 21 중서부 44 53 3 25 남부 37 61 2 31 서부 49 48 3 23 지역 규모 도시 56 41 3 31 교외 42 55 3 49 농촌 36 61 3 20
3. 1. 공화당의 하원 다수당 탈환
공화당은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63석을 추가하며 하원 다수당을 차지했다. 이는 1946년 이후 최대 의석 확보였다.[15]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경제 침체, 오바마 대통령의 경기 부양책과 건강 관리 개혁 법안에 대한 논란 때문으로 분석된다.
공화당은 주지사 선거에서도 50개 주 중 29개 주에서 승리했으며, 주 의회에서는 1928년 이후 가장 많은 690석을 확보했다.[16] 특히 주 의회에서 675석 이상을 추가하며 1994년의 성과를 넘어섰다.[17][18] 앨라배마 주 의회는 재건 이후 처음으로, 노스캐롤라이나 주 상원은 1870년 이후 처음으로, 미네소타 주 상원은 1974년 이후 처음으로 공화당이 장악했다.[17][18]
오대호 지역은 공화당 지지로 돌아섰지만, 캘리포니아와 태평양 북서부에서는 민주당이 우세를 유지했다.[19] 미국 남동부에서는 공화당과 민주당의 세력이 비슷했지만, 2010년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한 딥 사우스 출신 백인 민주당원은 단 한 명뿐이었다.[20]
유권자 인구 통계 | 민주당 | 공화당 | 기타 | 총 투표수 (%) |
---|---|---|---|---|
총 투표 | 45 | 52 | 3 | 100 |
이념 | ||||
자유주의자 | 90 | 8 | 2 | 20 |
중도주의 | 55 | 42 | 3 | 38 |
보수주의자 | 13 | 84 | 3 | 42 |
정당 | ||||
민주당 | 91 | 7 | 2 | 35 |
공화당 | 5 | 94 | 1 | 35 |
무소속 | 37 | 56 | 7 | 29 |
성별 | ||||
남성 | 41 | 55 | 4 | 48 |
여성 | 48 | 49 | 3 | 52 |
인종/민족 | ||||
백인 | 37 | 60 | 3 | 77 |
흑인 | 89 | 9 | 2 | 11 |
아시아계 | 58 | 40 | 2 | 2 |
기타 | 53 | 44 | 3 | 2 |
히스패닉 (모든 인종 포함) | 60 | 38 | 2 | 8 |
인종/민족별 성별 | ||||
백인 남성 | 34 | 62 | 4 | 38 |
백인 여성 | 39 | 58 | 3 | 40 |
흑인 남성 | 86 | 13 | 1 | 5 |
흑인 여성 | 92 | 6 | 2 | 6 |
라틴계 남성 (모든 인종 포함) | 55 | 44 | 1 | 4 |
라틴계 여성 (모든 인종 포함) | 65 | 33 | 2 | 4 |
기타 모든 인종 | 55 | 42 | 3 | 4 |
종교 | ||||
개신교 | 38 | 59 | 3 | 55 |
가톨릭 | 44 | 54 | 2 | 23 |
유대교 | 2 | |||
기타 종교 | 74 | 24 | 2 | 8 |
무교 | 68 | 30 | 2 | 12 |
종교 활동 참여 빈도 | ||||
매주 | 40 | 58 | 2 | 48 |
매주 미만 | 53 | 44 | 3 | 52 |
백인 복음주의 또는 거듭난 기독교인 | ||||
백인 복음주의 또는 거듭난 기독교인 | 19 | 77 | 4 | 25 |
그 외 | 55 | 42 | 3 | 75 |
연령 | ||||
18–24세 | 57 | 39 | 4 | 6 |
25–29세 | 54 | 44 | 2 | 6 |
30–39세 | 47 | 48 | 5 | 14 |
40–49세 | 43 | 54 | 3 | 21 |
50–64세 | 46 | 52 | 2 | 32 |
65세 이상 | 38 | 59 | 3 | 21 |
성적 지향 | ||||
LGBT | 69 | 29 | 2 | 3 |
비LGBT | 46 | 52 | 2 | 97 |
학력 | ||||
고등학교 미만 졸업 | 57 | 36 | 7 | 3 |
고등학교 졸업 | 46 | 52 | 2 | 17 |
일부 대학 교육 이수 | 43 | 53 | 4 | 28 |
대학 졸업 | 40 | 58 | 2 | 30 |
대학원 교육 | 53 | 45 | 2 | 21 |
인종/민족별 학력 | ||||
백인 대학 졸업 | 39 | 58 | 3 | 42 |
백인 비(非) 대학 졸업 | 33 | 63 | 4 | 35 |
비(非) 백인 대학 졸업 | 70 | 28 | 2 | 9 |
비(非) 백인 비(非) 대학 졸업 | 75 | 23 | 2 | 13 |
가구 소득 | ||||
30000USD 미만 | 57 | 40 | 3 | 17 |
30000USD–49999USD | 51 | 46 | 3 | 19 |
50000USD–74999USD | 45 | 51 | 4 | 21 |
75000USD–99999USD | 42 | 56 | 2 | 15 |
100000USD–199999USD | 43 | 56 | 1 | 19 |
200000USD 이상 | 34 | 64 | 2 | 8 |
인종별 가구 소득 | ||||
백인 50000USD 미만 | 42 | 54 | 4 | 25 |
백인 50000USD 초과 | 37 | 61 | 3 | 53 |
비(非) 백인 50000USD 미만 | 80 | 19 | 1 | 11 |
비(非) 백인 50000USD 초과 | 69 | 29 | 2 | 11 |
노동 조합 가구 | ||||
노동 조합 | 61 | 37 | 2 | 17 |
비(非) 노동 조합 | 43 | 54 | 3 | 83 |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슈 | ||||
아프가니스탄 전쟁 | 58 | 40 | 2 | 7 |
건강 관리 | 51 | 47 | 2 | 18 |
경제 | 43 | 54 | 3 | 63 |
불법 이민 | 26 | 68 | 6 | 8 |
지역 | ||||
북동부 | 54 | 44 | 2 | 21 |
중서부 | 44 | 53 | 3 | 25 |
남부 | 37 | 61 | 2 | 31 |
서부 | 49 | 48 | 3 | 23 |
지역 규모 | ||||
도시 | 56 | 41 | 3 | 31 |
교외 | 42 | 55 | 3 | 49 |
농촌 | 36 | 61 | 3 | 20 |
3. 2. 주 의회 선거에서의 공화당 약진
공화당은 2010년 미국 하원 선거에서 63석을 확보하며 하원을 장악했고, 상원에서도 6석을 추가하며 민주당의 최근 약진을 뒤집었다. 이는 1946년 이후 공화당이 하원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한 사례이다.[15]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경제 침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경기 부양책과 건강 관리 개혁 법안에 대한 논란 때문으로 분석된다.공화당은 주지사 선거에서도 50개 주 중 29개 주에서 승리하였고, 주 의회에서는 690석을 확보하여 1928년 선거 이후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16] 특히 주 의회에서는 675석 이상을 추가하며 1994년의 증가세를 크게 넘어섰다.[17][18] 1994년보다 7개 더 많은 주 의회를 완전히 장악했으며, 1952년 이후 가장 많은 주 의회를 장악했다.[18]
공화당은 앨라배마 주 의회를 재건 이후 처음으로, 노스캐롤라이나 주 상원을 1870년 이후 처음으로, 미네소타 주 상원을 1974년 주에서 당파적 선거가 부활한 이후 처음으로 장악하는 등 역사적인 성과를 거두었다.[17][18]
이러한 공화당의 약진은 이전까지 민주당을 지지했던 오대호 지역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캘리포니아와 태평양 북서부에서는 민주당이 우위를 유지했다.[19] 특히 미국 남동부에서는 큰 변화가 있었는데, 이전에는 대통령 선거를 제외한 모든 선거에서 민주당과 공화당이 거의 균등하게 나뉘었으나, 2010년 선거 이후 딥 사우스 출신 백인 민주당원 중 단 한 명만이 하원 재선에 성공했다.[20]
3. 3. 민주당 현직 의원들의 대거 낙선
2010년 미국 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많은 현직 의원들이 낙선하거나 은퇴하는 상황을 맞았다. 1994년 공화당 혁명에서 재선에 성공했던 9명의 민주당 의원들이 이번 선거에서 패배하였다.은퇴한 17명의 민주당 현역 의원들은 다음과 같다.
- 앨라배마주 제7선거구: 아서 데이비스 - 앨라배마 주지사 출마.[22]
- 아칸소주 제1선거구: 매리언 베리 - 건강 문제로 은퇴.[23]
- 아칸소주 제2선거구: 빅 스나이더 -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은퇴.[24]
- 캘리포니아주 제33선거구: 다이앤 왓슨 - 은퇴; "이 지역구의 모든 사람을 대표할 수 있는 사람이 물려받아야 할 자리입니다."[25]
- 플로리다주 제17선거구: 켄드릭 미크 - 미국 상원 출마.[26]
- 인디애나주 제8선거구: 브래드 엘스워스 - 미국 상원 출마.
- 캔자스주 제3선거구: 데니스 무어 - 은퇴; "새로운 세대의 리더십이 필요한 때입니다."[27]
- 루이지애나주 제3선거구: 찰리 멜랑콘 - 미국 상원 출마.[28]
- 매사추세츠주 제10선거구: 빌 델라헌트 - 은퇴; "인생은 변화에 관한 것입니다. 건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때가 되었습니다."[29]
- 미시간주 제1선거구: 바트 스투팍 - 은퇴; "원하는 바를 이루었습니다."[30]
- 뉴햄프셔주 제2선거구: 폴 호데스 - 미국 상원 출마.[31]
- 펜실베이니아주 제7선거구: 조 세스타크 - 미국 상원 출마.[32]
- 로드아일랜드주 제1선거구: 패트릭 J. 케네디 - "새로운 방향을 잡기 위해" 은퇴.[33]
- 테네시주 제6선거구: 바트 고든 - 은퇴; "…새로운 장이 시작될 때입니다."[34]
- 테네시주 제8선거구: 존 S. 태너 - 은퇴; 20년이면 충분하다고 결정.[35]
- 워싱턴주 제3선거구: 브라이언 베어드 - 은퇴하여 다른 진로를 모색.[36]
- 위스콘신주 제7선거구: 데이브 오베이 - 은퇴;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뼈가 다 닳았습니다."[37] 언론 보도에 따르면 오베이는 전 하원의원 딕 게파트가 운영하는 워싱턴 D.C. 로비 회사에 합류할 계획이었다.[38]
3. 4. 정당별 의석 변화
2010년 미국 하원 선거에서는 공화당과 민주당의 의석 수 변화가 컸다. 특히, 공화당은 여러 현역 의원들의 은퇴에도 불구하고 선거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다음은 은퇴한 공화당 현역 의원 목록이다.
3. 5. 유권자 인구 통계
2010년 미국 하원 선거 유권자 인구 통계[22] | |||||||
---|---|---|---|---|---|---|---|
유권자 인구 통계 | 민주당 | 공화당 | 기타 | % of 총 투표수 | |||
총 투표 | 45 | 52 | 3 | 100 | |||
이념 | |||||||
자유주의자 | 90 | 8 | 2 | 20 | |||
중도주의 | 55 | 42 | 3 | 38 | |||
보수주의자 | 13 | 84 | 3 | 42 | |||
정당 | |||||||
민주당 | 91 | 7 | 2 | 35 | |||
공화당 | 5 | 94 | 1 | 35 | |||
무소속 | 37 | 56 | 7 | 29 | |||
성별 | |||||||
남성 | 41 | 55 | 4 | 48 | |||
여성 | 48 | 49 | 3 | 52 | |||
인종/민족 | |||||||
백인 | 37 | 60 | 3 | 77 | |||
흑인 | 89 | 9 | 2 | 11 | |||
아시아계 | 58 | 40 | 2 | 2 | |||
기타 | 53 | 44 | 3 | 2 | |||
히스패닉 (모든 인종 포함) | 60 | 38 | 2 | 8 | |||
인종/민족별 성별 | |||||||
백인 남성 | 34 | 62 | 4 | 38 | |||
백인 여성 | 39 | 58 | 3 | 40 | |||
흑인 남성 | 86 | 13 | 1 | 5 | |||
흑인 여성 | 92 | 6 | 2 | 6 | |||
라틴계 남성 (모든 인종 포함) | 55 | 44 | 1 | 4 | |||
라틴계 여성 (모든 인종 포함) | 65 | 33 | 2 | 4 | |||
기타 모든 인종 | 55 | 42 | 3 | 4 | |||
종교 | |||||||
개신교 | 38 | 59 | 3 | 55 | |||
가톨릭 | 44 | 54 | 2 | 23 | |||
유대교 | n/a | n/a | n/a | 2 | |||
기타 종교 | 74 | 24 | 2 | 8 | |||
무교 | 68 | 30 | 2 | 12 | |||
종교 활동 참여 빈도 | |||||||
매주 | 40 | 58 | 2 | 48 | |||
매주 미만 | 53 | 44 | 3 | 52 | |||
백인 복음주의 또는 거듭난 기독교인 | |||||||
백인 복음주의 또는 거듭난 기독교인 | 19 | 77 | 4 | 25 | |||
그 외 | 55 | 42 | 3 | 75 | |||
연령 | |||||||
18–24세 | 57 | 39 | 4 | 6 | |||
25–29세 | 54 | 44 | 2 | 6 | |||
30–39세 | 47 | 48 | 5 | 14 | |||
40–49세 | 43 | 54 | 3 | 21 | |||
50–64세 | 46 | 52 | 2 | 32 | |||
65세 이상 | 38 | 59 | 3 | 21 | |||
성적 지향 | |||||||
LGBT | 69 | 29 | 2 | 3 | |||
비LGBT | 46 | 52 | 2 | 97 | |||
학력 | |||||||
고등학교 미만 졸업 | 57 | 36 | 7 | 3 | |||
고등학교 졸업 | 46 | 52 | 2 | 17 | |||
일부 대학 교육 이수 | 43 | 53 | 4 | 28 | |||
대학 졸업 | 40 | 58 | 2 | 30 | |||
대학원 교육 | 53 | 45 | 2 | 21 | |||
인종/민족별 학력 | |||||||
백인 대학 졸업 | 39 | 58 | 3 | 42 | |||
백인 비(非) 대학 졸업 | 33 | 63 | 4 | 35 | |||
비(非) 백인 대학 졸업 | 70 | 28 | 2 | 9 | |||
비(非) 백인 비(非) 대학 졸업 | 75 | 23 | 2 | 13 | |||
가구 소득 | |||||||
30000USD 미만 | 57 | 40 | 3 | 17 | |||
30000USD–49999USD | 51 | 46 | 3 | 19 | |||
50000USD–74999USD | 45 | 51 | 4 | 21 | |||
75000USD–99999USD | 42 | 56 | 2 | 15 | |||
100000USD–199999USD | 43 | 56 | 1 | 19 | |||
200000USD 이상 | 34 | 64 | 2 | 8 | |||
인종별 가구 소득 | |||||||
백인 50000USD 미만 | 42 | 54 | 4 | 25 | |||
백인 50000USD 초과 | 37 | 61 | 3 | 53 | |||
비(非) 백인 50000USD 미만 | 80 | 19 | 1 | 11 | |||
비(非) 백인 50000USD 초과 | 69 | 29 | 2 | 11 | |||
노동 조합 가구 | |||||||
노동 조합 | 61 | 37 | 2 | 17 | |||
비(非) 노동 조합 | 43 | 54 | 3 | 83 | |||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슈 | |||||||
아프가니스탄 전쟁 | 58 | 40 | 2 | 7 | |||
건강 관리 | 51 | 47 | 2 | 18 | |||
경제 | 43 | 54 | 3 | 63 | |||
불법 이민 | 26 | 68 | 6 | 8 | |||
지역 | |||||||
북동부 | 54 | 44 | 2 | 21 | |||
중서부 | 44 | 53 | 3 | 25 | |||
남부 | 37 | 61 | 2 | 31 | |||
서부 | 49 | 48 | 3 | 23 | |||
지역 규모 | |||||||
도시 | 56 | 41 | 3 | 31 | |||
교외 | 42 | 55 | 3 | 49 | |||
농촌 | 36 | 61 | 3 | 20 |
4. 주요 이슈 및 쟁점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는 경제 문제, 건강보험 개혁(오바마케어), 그리고 티 파티 운동의 부상 등이 주요 쟁점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쟁점들은 공화당과 민주당 간의 경쟁을 심화시켰고,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1. 경제 회복 및 재투자법 (ARRA)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와 정당별 의석수 변화, 득표율 등이 나타나 있지만, '경제 회복 및 재투자법(ARRA)'에 대한 내용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해당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을 작성하기 어렵다.4. 2. 환자 보호 및 적정 의료법 (오바마케어)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환자 보호 및 적정 의료법(오바마케어)은 주요 쟁점 중 하나였다.4. 3. 티 파티 운동의 부상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는 공화당이 하원 다수당을 차지하며 큰 변화가 일어났다. 공화당은 64석을 추가로 획득한 반면, 민주당은 현직 의원 54명을 포함해 총 64석을 잃었다.[56] 특히 2006년과 2008년 선거에서 민주당 돌풍으로 당선된 의원들과 남동부 지역의 오랜 현직 의원들이 대거 낙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010년 선거에서 나타난 티 파티 운동의 부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5. 주요 지역별 선거 결과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52석을 잃는 큰 패배를 겪었다. 다음은 주요 지역별 선거 결과이다.
주 | 선거구 | 민주당 후보 (첫 당선 연도) | 공화당 승자 |
---|---|---|---|
앨라배마주 | 2구 | 바비 브라이트 (2008년) | 마사 로비 |
애리조나주 | 1구 | 앤 키르크패트릭 (2008년) | 폴 고사 |
애리조나주 | 5구 | 해리 미첼 (2006년) | 데이비드 슈와이크 |
콜로라도주 | 3구 | 존 살라자르 (2004년) | 스콧 팁턴 |
콜로라도주 | 4구 | 베치 마키 (2008년) | 코리 가드너 |
플로리다주 | 2구 | 앨런 보이드 (1996년) | 스티브 서덜랜드 |
플로리다주 | 8구 | 앨런 그레이슨 (2008년) | 다니엘 웹스터 |
플로리다주 | 22구 | 론 클라인 (2006년) | 앨런 웨스트 |
플로리다주 | 24구 | 수잔 코스마스 (2008년) | 샌디 애덤스 |
조지아주 | 8구 | 짐 마셜 (2002년) | 오스틴 스콧 |
아이다호주 | 1구 | 월트 미닉 (2008년) | 라울 라브라도 |
일리노이주 | 8구 | 멜리사 빈 (2004년) | 조 월시 |
일리노이주 | 11구 | 데비 할보슨 (2008년) | 아담 킨징거 |
일리노이주 | 14구 | 빌 포스터 (2008년) | 랜디 훌트그렌 |
일리노이주 | 17구 | 필 헤어 (2006년) | 바비 실링 |
인디애나주 | 9구 | 배런 힐 (1998년) | 토드 영 |
메릴랜드주 | 1구 | 프랭크 크라토빌 (2008년) | 앤드루 P. 해리스 |
미시간주 | 7구 | 마크 쇼어 (2008년) | 팀 월버그 |
미네소타주 | 8구 | 짐 오버스타 (1974년) | 칩 크라바크 |
미시시피주 | 1구 | 트래비스 차일더스 (2008년) | 앨런 넌릴리 |
미시시피주 | 4구 | 진 테일러 (1989년) | 스티븐 팔라조 |
미주리주 | 4구 | 아이크 스켈턴 (1976년) | 비키 하르츨러 |
네바다주 | 3구 | 디나 타이투스 (2008년) | 조 헥 |
뉴햄프셔주 | 1구 | 캐롤 셰이-포터 (2006년) | 프랭크 군타 |
뉴저지주 | 3구 | 존 애들러 (2008년) | 존 러니언 |
뉴멕시코주 | 2구 | 해리 티그 (2008년) | 스티브 피어스 |
뉴욕주 | 13구 | 마이클 맥마흔 (2008년) | 마이클 그림 |
뉴욕주 | 19구 | 존 홀 (2006년) | 낸 헤이워스 |
뉴욕주 | 20구 | 스콧 머피 (2009년) | 크리스 깁슨 |
뉴욕주 | 24구 | 마이크 아큐리 (2006년) | 리처드 해나 |
뉴욕주 | 25구 | 댄 매페이 (2008년) | 앤 마리 버클 |
노스캐롤라이나주 | 2구 | 밥 에더리지 (1996년) | 르네 엘머스 |
노스다코타주 | 노스다코타 광역구 | 얼 포머로이 (1992년) | 릭 버그 |
오하이오주 | 1구 | 스티브 드리에하우스 (2008년) | 스티브 샤보 |
오하이오주 | 6구 | 찰리 윌슨 (2006년) | 빌 존슨 |
오하이오주 | 15구 | 메리 조 킬로이 (2008년) | 스티브 스티버스 |
오하이오주 | 16구 | 존 보치에리 (2008년) | 짐 레나치 |
오하이오주 | 18구 | 자크 스페이스 (2006년) | 밥 깁스 |
펜실베이니아주 | 3구 | 캐시 달켐퍼 (2008년) | 마이크 켈리 |
펜실베이니아주 | 8구 | 패트릭 머피 (2006년) | 마이크 피츠패트릭 |
펜실베이니아주 | 10구 | 크리스 카니 (2006년) | 톰 마리노 |
펜실베이니아주 | 11구 | 폴 E. 칸조르스키 (1984년) | 루 바르레타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5구 | 존 스프래트 (1982년) | 믹 멀바니 |
사우스다코타주 | 사우스다코타 광역구 | 스테파니 허세스 샌들린 (2004년) | 크리스티 노엠 |
테네시주 | 4구 | 링컨 데이비스 (2002년) | 스콧 데스자레 |
텍사스주 | 17구 | 체트 에드워즈 (1990년) | 빌 플로레스 |
텍사스주 | 23구 | 시로 로드리게스 (1996년) | 키코 칸세코 |
텍사스주 | 27구 | 솔로몬 P. 오르티스 (1982년) | 블레이크 파렌솔드 |
버지니아주 | 2구 | 글렌 네이 (2008년) | 스콧 리걸 |
버지니아주 | 5구 | 톰 페리에로 (2008년) | 로버트 허트 |
버지니아주 | 9구 | 릭 보처 (1982년) | 모건 그리피스 |
위스콘신주 | 8구 | 스티브 케이건 (2006년) | 레이드 리블 |
[1][57][59][66][68][69][71][72][73][74][76][77][81][82][83][84][85][87][90]
5. 1. 앨라배마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앨라배마주에서는 민주당 소속 바비 브라이트 의원이 공화당 마사 로비 후보에게 패배하여 재선에 실패했다. 브라이트 의원은 2008년에 처음 당선되었다.5. 2. 아칸소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소속 하원의원 52명이 재선에 실패했다. 원본 자료에 아칸소 주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아칸소 주 관련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5. 3. 애리조나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애리조나주에서는 민주당 의원 2명이 재선에 실패했다.선거구 | 민주당 후보 | 당선 년도 | 공화당 승자 |
---|---|---|---|
애리조나 1구 | 앤 키르크패트릭 | 2008년 | 폴 고사 |
애리조나 5구 | 해리 미첼 | 2006년 | 데이비드 슈와이크 |
5. 4. 캘리포니아
California영어에서는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 의석 변동은 없었다.5. 5. 콜로라도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콜로라도주에서는 민주당 의원 2명이 재선에 실패했다.- 콜로라도 3구: 2004년에 처음 당선된 존 살라자르가 스콧 팁턴에게 패배했다.
- 콜로라도 4구: 2008년에 처음 당선된 베치 마키가 코리 가드너에게 패배했다.
콜로라도 3구에서는 득표율 4.34% 차이로 당선자가 바뀌었다.
5. 6. 플로리다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플로리다 주는 민주당에게 어려운 지역이었다. 민주당 소속 의원 4명이 재선에 실패했다.선거구 | 민주당 후보 (첫 당선 연도) | 공화당 후보 |
---|---|---|
2구 | 앨런 보이드 (1996년) | 스티브 서덜랜드 |
8구 | 앨런 그레이슨 (2008년) | 다니엘 웹스터 |
22구 | 론 클라인 (2006년) | 앨런 웨스트 |
24구 | 수잔 코스마스 (2008년) | 샌디 애덤스 |
5. 7. 조지아
조지아주에서는 두 번의 특별 선거와 한 번의 일반 선거가 있었다.- 9선거구: 네이선 딜 의원은 1992년 처음 당선되었으며, 원래 민주당 소속이었으나 1995년 4월 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했다.[57] 2010년 3월 21일, 조지아 주지사 선거 출마를 위해 사임했다. 2010년 6월 8일 특별 선거에서 톰 그레이브스가 리 호킨스를 누르고 당선되어 공화당이 의석을 유지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율 |
---|---|---|
톰 그레이브스 | 공화당 | 56.4% |
리 호킨스 | 공화당 | 43.6% |
5. 8. 하와이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하와이 지역 의석을 잃지 않았다. 그러나 원문에 따르면, 민주당 소속 하원의원 52명이 재선에 실패했다는 내용이 있으므로, 이 문장은 삭제하는 것이 적절하다.5. 9. 아이다호
201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아이다호주 제1선거구의 민주당 의원 월트 미닉은 공화당 후보 라울 라브라도에게 패배하여 재선에 실패했다.[59]5. 10. 일리노이
공화당 획득.공화당 획득.
공화당 획득.
공화당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