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는 수단 내전의 종식과 포괄적 평화 협정(CPA)에 따라 실시된 투표로, 남수단의 독립 여부를 결정했다. 2011년 1월 9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 투표에서 유권자들은 압도적으로 독립을 지지했으며, 최종 투표율은 97.58%에 달했다. 투표 결과에 따라 2011년 7월 9일 남수단 공화국이 독립했으며, 국제 사회는 투표의 공정성을 감시하고 독립을 인정했다. 이 투표는 아프리카 대륙의 분리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과 함께, 민족 자결주의와 국제 관계에 중요한 선례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의 분리주의 - 수단 인민해방군
수단 인민해방군은 존 가랑이 창설하여 수단 정부에 맞서 싸운 무장 조직으로, 남수단 독립 후에는 남수단군이 되었으며, 내전과 평화 협정, 독립에 기여했으나 독립 후 파벌 분열과 내전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 |
---|---|
개요 | |
투표 명칭 |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
원어 명칭 | 2011 South Sudanese independence referendum |
목표 | 남수단의 독립 여부 결정 |
날짜 | 2011년 1월 9일 – 15일 |
![]() | |
![]() | |
투표 결과 | |
찬성 (분리 독립) | 3,792,518표 |
반대 (통합 유지) | 44,888표 |
총 투표수 | 3,851,994표 |
유권자 수 | 3,947,676명 |
투표율 | 97.58% |
투표율 충족 조건 | 60.00% |
배경 | |
관련 사건 | 수단 내전 |
주요 인물 |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남수단) |
목표 | 남수단 독립 여부 결정 |
기타 정보 | |
관련 기사 | 수단 국민투표, 평화로운 첫날 (VOA) 남수단, 1월 국민투표에 집중 (VOA) 동수단 전선: 전쟁 속의 평온과 평화 속의 불협화음 (2) (Sudan Tribune) 2011년 국민투표로 가는 길은 장애물로 가득 차 있다 – 남수단의 키르 (Sudan Tribune) 수십 년간의 전쟁 후 역사적인 날이 밝았다 (CNN) 남수단, 독립 지지 – 결과 (BBC News) 수단 국민투표: 무엇을 투표하고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The Telegraph) 수단 국민투표 위원회, 1월 9일 남수단 국민투표 발표 (People's Daily Online) 남수단 국민투표 첫날 평화롭게 종료 (Tehran Times) |
2. 역사적 배경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는 오랜 내전과 갈등의 역사를 배경으로 한다. 국민투표의 전제 조건에는 인구 조사가 포함되었는데, 이는 지역 간 부와 정치적 권력을 어떻게 배분할지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다. 인구 조사는 유권자 등록 절차의 기반이 되었으며, 이는 2010년 총선거에도 사용되어 국민투표의 무대를 마련했다.[8] 나이바샤 협정에 따라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남북 간의 의견 불일치, 자금 조달의 어려움, 그리고 엄청난 물류적 어려움이 포함되어 인구조사는 3차례 연기되었다.[8] 남부에서는 전쟁으로 인한 지뢰밭이 아직도 이동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최대 500만 명의 수단인들이 유목민 생활을 하고 있었다.[8] 최대 200만 명의 국내 실향민들이 수단 중앙부의 카르툼 주변 캠프에 남아 있는 반면, 난민들은 우간다와 케냐에 남아 있었다.[8] 서쪽의 다르푸르 분쟁으로 인해 또 다른 복잡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공격으로 인해 피난한 민간인들은 정부가 그 결과를 자신들에게 불리하게 사용할까 봐 인구 조사에 참여하기를 거부했다. 다르푸르 반군 세력들은 계획된 인구 조사를 일제히 비난했으며, 정의평등운동 단체는 인구 조사원을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8]
(수단) 국민회의당(NCP)과 SPLA/M 간에는 독립 찬성 투표율이 얼마나 되어야 하는지(NCP는 최소 75%의 지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함), 북부에 거주하는 남수단 주민들이 투표할 수 있는지, 그리고 국민투표 이후 분리 과정(국가 부채 분담 포함)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있었다.[9] 포괄적 평화 협정(CPA) 조건에 따라 2009년 10월, 수단 중앙 정부와 남수단 정부는 380만 명의 유권자 중 최소 60%의 투표율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이 경우, 독립에 대한 간단한 과반수 투표로 남수단의 분리가 이루어질 것이다.[13][14] 만약 첫 번째 국민투표에서 투표율이 부족할 경우, 60일 이내에 두 번째 국민투표가 실시될 것이다.[15]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과정 초기에 이집트는 남북 간의 연방을 제안했다. 그러나 오마르 알-바시르 대통령은 국민투표의 쟁점이 "통합 또는 분리"이며, 연방 제안을 남측이 거부하고 있기 때문에 고려 대상이 아니라고 말했다. 만약 국민투표 결과 분리가 된다면, 양측은 향후 관계에 대해 협상할 것이라고 밝혔다.[25]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과 리비아의 무암마르 카다피 지도자는 이후 수단을 방문하여 갈등을 완화하려고 노력했지만, 두 사람 모두 이전에는 수단의 통합을 촉구했었다.[26]
2. 1. 제1차 수단 내전 (1955~1972)
1955년부터 1972년까지 벌어진 제1차 수단 내전은 남수단 지역의 자치권 요구와 북부 정부의 탄압으로 인해 발생했다.2. 2. 제2차 수단 내전 (1983~2005)
1983년 재개된 내전은 남수단의 독립 투쟁으로 이어졌고, 2005년 포괄적 평화 협정(CPA) 체결로 종식되었다. 이 협정은 2011년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실시의 근거가 되었다.3. 국민투표 캠페인
오마르 알바시르 수단 대통령은 남부 지역의 분리 선택 권리를 존중하고 투표 결과를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19] 그러나 분리가 남부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19] 남수단 자치정부(2005-2011)와 수단 정부는 평화적인 투표 진행을 위해 노력했다.[18]
국민투표 이후 시민권, 안보, 재정, 석유 수입 분배 등의 문제에 대한 협상이 진행되었다.[20] 뎅 석유부 장관은 북부에 대한 즉각적인 예산 삭감이 전쟁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하며, 분쟁을 피하기 위해 북부가 대안을 얻을 때까지 일정 기간 석유를 제공하는 단계적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20] 남부 석유 수출을 위한 파이프라인은 북부를 통과하며, 남부는 해당 경로를 피하는 파이프라인 건설을 시작하지 않았다. 분리가 결정되면 북부 정부는 국가 부채 380억 달러의 대부분을 인수할 것이라고 밝혔다.[21]
알바시르 대통령은 남수단 분리 시 시민권 문제를 둘러싼 긴장을 완화하고자 남부 주민들이 분리를 선택하더라도 "수단 북부와 남부 사이의 감정적 통합과 사회적 관계는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분리 후 북부에 남는 남부 시민의 권리가 보호될 것이며, 여당은 시민권에 관계없이 북부의 남부 주민, 재산, 자유 및 거주권을 침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서약했다.[22]
북부의 정의평화포럼당은 통일을 "강제된 나쁜 결혼"으로 비판하며 국가 분리를 옹호했다.[23] 알 타이브 무스타파 의장은 국민투표에 대한 예상되는 지지는 "수단의 진정한 독립 기념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23]
1월 8일, 남부 수도인 주바와 그 주변 지역에서는 독립을 미리 축하하는 최종 분리 지지 집회가 열렸다.[24]
4. 주요 쟁점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를 앞두고 여러 가지 이유로 관찰자들과 주요 이해 관계자들은 폭력을 우려했다. 가령 독립이 인정되더라도 문제는 산적해 있다. 유전은 남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만, 파이프라인 등의 수출 시설은 북부에만 있다. 남북 양측 주민에게 석유 수입은 생명줄과 같기에, 이러한 협상은 수개월 동안 교착 상태에 놓여 있다.[122]
== 아비에이 지역 문제 ==
아비에이(Abyei)는 남북 경계 상에 위치하여 현재도 귀속지가 미결정된 지역이다.[121] 2011년 독립을 둘러싼 주민투표와 같은 날 귀속지를 결정하는 주민투표가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유권자 자격을 누구에게 부여할 것인가에 대해 양측이 합의하지 못해 동시 개최는 보류되었다.[121]
분쟁 지역인 아베이 지역의 지위와 유권자 자격 기준 해결을 위한 논의는 2010년 10월 결렬되었지만, 중앙 집권 여당인 국민회의(NCP)와 남부의 수단인민해방운동(SPLM) 모두 각 팀이 "10월 말 에티오피아에서 다시 만나 논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측은 갈등 재발 방지라는 공동 목표에 계속 헌신하고 있다.[27] 국민회의 관리인 디디리 모하메드 아마드는 아베이의 미래에 대한 주민투표를 제때에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몇 달 지연될 수도 있거나 투표 없이 해결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회담에서 다른 대안을 모색하려고 합의했다"고 덧붙였다.[28]
수단 국방장관인 압델 라힘 모하메드 후세인은 투표가 연기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현실적으로... 국경 문제와 아베이 문제는 하나의 국가의 틀 안에서 해결되어야 한다. 두 국가의 틀에서 해결하려고 하면 외세의 개입을 초래한다."라고 하였다.[29] 수단의 UN 대사인 다파 알라 엘하그 알리 오스만은 안전보장이사회에 "아베이에서 양측 간에 수용 가능한 합의에 이르기 전에 주민투표를 실시하려는 어떤 시도도 전쟁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할 뿐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30] 미국은 주민투표를 실시하지 못할 경우 발생할 "위험"을 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31] 정부는 주민투표를 위한 투표용지 인쇄를 UN에 요청했으며, 외교관과 선거위원회는 추가 지연 시 선거를 치를 마감일을 놓칠 것이라고 경고했다.[32] 아베이는 투표 대상으로 확정되지 않았다.[33]
아베이 지역을 딩카족과 함께 장악하고 있는 미세리아족의 비시티나 모하메드 엘 살람은 남부가 분리를 선호하더라도 아베이가 분리되어 남부에 합류하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딩카족이 아베이를 남부에 합병하는 결정을 내린다면, 어떤 변명도 없이 즉각적인 전쟁이 일어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34]
== 남코르도판과 청나일 주 문제 ==
남코르도판과 청나일주는 민족 구성이 복잡하여 지위 문제가 더욱 난해했다.[36] 특히 청나일주 북부는 아랍인이 다수였지만, 잉게사나족 거주지는 토착종교 신봉자가 많아 내전 중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36] 남코르도판의 누바산맥 지역은 누바족이 다수 거주하며, 이들은 내전 시기 SPLA와 연합하기도 했다.[40][41]
2010년 지방 선거에서 NCP는 청나일주에서 48석 중 29석, 남코르도판에서 17석 중 13석을 확보하며 우위를 보였다.[38] 그러나 SPLM은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며 결과에 불복했다.[39][45] 2011년 남코르도판 주지사 선거에서도 NCP 후보가 승리했으나, SPLM은 유권자 위협 등을 이유로 결과에 불복했다.[44][45]
== 종교와 부족 문제 ==
종교는 국민투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46] 수단 기독교인 및 기타 소수 민족에 대한 만성적인 차별 분위기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47] 어떤 사람들에게는 종교가 문제가 아니었지만,[48] 다른 남부 주민들은 이슬람화에 반대했다.[49][50][51][52] 일부 남수단 주민들은 부족주의와 인종차별이 자신의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8] 남수단 무슬림들은 분리를 지지했다.[53]
남부 독립이 성립될 경우, 바시르 대통령은 헌법을 개정하여 이슬람 율법(샤리아)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북부에는 기독교를 믿는 남부 출신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앞으로 비무슬림이나 온건파 무슬림들 사이에서도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126] 남부에도 약 15~20% 정도의 무슬림 흑인들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도 주바에는 모스크가 13곳 있다. 이슬람법으로 우대받아야 할 무슬림 흑인들 중에는 흑인이라는 이유로 북부 주민(수단 정부)으로부터 차별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일부는 수단 인민해방군에 참여하거나 이번 주민투표에서 독립을 지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북부의 압정을 받은 남부 주민들 중에는 그들을 '(북부의) 하수인'으로 여기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127]
4. 1. 아비에이 지역 문제
아비에이(Abyei)는 남북 경계 상에 위치하여 현재도 귀속지가 미결정된 지역이다.[121] 2011년 독립을 둘러싼 주민투표와 같은 날 귀속지를 결정하는 주민투표가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유권자 자격을 누구에게 부여할 것인가에 대해 양측이 합의하지 못해 동시 개최는 보류되었다.[121]분쟁 지역인 아베이 지역의 지위와 유권자 자격 기준 해결을 위한 논의는 2010년 10월 결렬되었지만, 중앙 집권 여당인 국민회의(NCP)와 남부의 수단인민해방운동(SPLM) 모두 각 팀이 "10월 말 에티오피아에서 다시 만나 논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측은 갈등 재발 방지라는 공동 목표에 계속 헌신하고 있다.[27] 국민회의 관리인 디디리 모하메드 아마드는 아베이의 미래에 대한 주민투표를 제때에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몇 달 지연될 수도 있거나 투표 없이 해결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회담에서 다른 대안을 모색하려고 합의했다"고 덧붙였다.[28]
수단 국방장관인 압델 라힘 모하메드 후세인은 투표가 연기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현실적으로... 국경 문제와 아베이 문제는 하나의 국가의 틀 안에서 해결되어야 한다. 두 국가의 틀에서 해결하려고 하면 외세의 개입을 초래한다."라고 하였다.[29] 수단의 UN 대사인 다파 알라 엘하그 알리 오스만은 안전보장이사회에 "아베이에서 양측 간에 수용 가능한 합의에 이르기 전에 주민투표를 실시하려는 어떤 시도도 전쟁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할 뿐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30] 미국은 주민투표를 실시하지 못할 경우 발생할 "위험"을 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31] 정부는 주민투표를 위한 투표용지 인쇄를 UN에 요청했으며, 외교관과 선거위원회는 추가 지연 시 선거를 치를 마감일을 놓칠 것이라고 경고했다.[32] 아베이는 투표 대상으로 확정되지 않았다.[33]
아베이 지역을 딩카족과 함께 장악하고 있는 미세리아족의 비시티나 모하메드 엘 살람은 남부가 분리를 선호하더라도 아베이가 분리되어 남부에 합류하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딩카족이 아베이를 남부에 합병하는 결정을 내린다면, 어떤 변명도 없이 즉각적인 전쟁이 일어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34]
4. 2. 남코르도판과 청나일 주 문제
남코르도판과 청나일주는 민족 구성이 복잡하여 지위 문제가 더욱 난해했다.[36] 특히 청나일주 북부는 아랍인이 다수였지만, 잉게사나족 거주지는 토착종교 신봉자가 많아 내전 중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36] 남코르도판의 누바산맥 지역은 누바족이 다수 거주하며, 이들은 내전 시기 SPLA와 연합하기도 했다.[40][41]2010년 지방 선거에서 NCP는 청나일주에서 48석 중 29석, 남코르도판에서 17석 중 13석을 확보하며 우위를 보였다.[38] 그러나 SPLM은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며 결과에 불복했다.[39][45] 2011년 남코르도판 주지사 선거에서도 NCP 후보가 승리했으나, SPLM은 유권자 위협 등을 이유로 결과에 불복했다.[44][45]
4. 3. 종교와 부족 문제
종교는 국민투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46] 수단 기독교인 및 기타 소수 민족에 대한 만성적인 차별 분위기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47] 어떤 사람들에게는 종교가 문제가 아니었지만,[48] 다른 남부 주민들은 이슬람화에 반대했다.[49][50][51][52] 일부 남수단 주민들은 부족주의와 인종차별이 자신의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8] 남수단 무슬림들은 분리를 지지했다.[53]남부 독립이 성립될 경우, 바시르 대통령은 헌법을 개정하여 이슬람 율법(샤리아)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북부에는 기독교를 믿는 남부 출신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앞으로 비무슬림이나 온건파 무슬림들 사이에서도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126] 남부에도 약 15~20% 정도의 무슬림 흑인들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도 주바에는 모스크가 13곳 있다. 이슬람법으로 우대받아야 할 무슬림 흑인들 중에는 흑인이라는 이유로 북부 주민(수단 정부)으로부터 차별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일부는 수단 인민해방군에 참여하거나 이번 주민투표에서 독립을 지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북부의 압정을 받은 남부 주민들 중에는 그들을 '(북부의) 하수인'으로 여기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127]
5. 여론 조사
공식 국민투표 전 여론조사에서 남수단 국민의 97%가 독립에 투표할 것이라고 답했다.[56]
1월 국민투표 전 남수단의 시민단체 연합이 1,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초기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97%가 분리를 선택할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 의장 존 안드루가에 따르면 우니티주와 동적도주 응답자의 100%가 분리에 투표할 것이라고 한다.[57] 미국 민주주의 국제연구소가 1년 전 실시한 유사한 조사에서는 유권자의 90%가 분리에 투표할 것이라고 나타났다.[57]
많은 남부 출신 주민들은 독립을 원하지만, 일부에서는 여전히 "통일"을 바라는 목소리가 강하다.
6. 논란
수단 남북부 당국은 언론의 반대 의견 보도를 막기 위해 언론탄압 및 협박을 자행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인권 단체들은 언론에 대한 추가 제한 조치가 가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58] 주바 등에서는 유권자 등록증을 누군가가 빈곤층으로부터 대량으로 매수하는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국민회의당(NCP)의 하지 마지드 수와르 청년체육부 장관은 정부가 "결과를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시사했다.[59] 그는 수단인민해방운동이 포괄적 평화협정(CPA)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59] 남부 지역 대통령이자 수단 제1부통령인 살바 키르는 국민투표가 지연되거나 거부될 경우 전쟁으로 회귀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60] SPLM군 대변인은 NCP가 전쟁을 시작할 구실을 찾고 있다고 비난했다.[60]
수단 대통령 오마르 알바시르는 SPLM이 평화협정 조건을 위반했다고 비난하며, 국민투표 전에 분쟁이 해결되지 않으면 갈등으로 회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61] NCP는 SPLM이 수단 북부에 거주하는 남부 주민들의 등록을 막았다고 비난했다.[62] 북부의 남부 주민들은 집에서 쫓겨날까 봐 투표를 꺼렸고,[63] 남부 국경 지방 무슬림들도 폭력 운동을 우려했다.[64]
내전으로 회귀할 것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며,[65] 주님의 저항군이 내전에 연루되어 우간다가 갈등에 휘말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67] 사우디아라비아 외무장관 사우드 알 파이살은 국민투표가 "평화를 가져오기보다는 폭력을 재점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69]
투표 전후로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긴장이 고조되었다. 투표 이틀 전, 다비드 야우 야우(David Yau Yau)의 민병대와 남수단 인민해방군(SPLA)이 피보르(Pibor) 외곽에서 충돌했다.[78] 투표 시작 전날, 남수단 보안군과 수단 정부 편에 선 유니티 주의 민병대 간의 충돌로 최소 6명이 사망했다.[107] 아비에이 지역에서는 미세리야 부족과 경찰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107] SPLA/M은 미세리야 부족 때문에 싸움이 시작되었다고 밝혔다.[107] 투표 첫날인 1월 10일, 아베이 근처에서 추가 충돌로 6명이 사망하여,[21] 그 지역에서 총 30명이 사망했다.[108] 1월 7일, 아비에이 부근에서 자치정부군의 거점을 공격한 무장세력 32명이 체포되었다. 같은 날, 아비에이 지역의 유전을 둘러싼 남북 주민 간의 충돌로 33명이 사망했다.[128] 1월 11일 저녁, 아비에이 부근에서 북부에서 귀향하는 남부 출신 주민들을 태운 장거리 버스가 공격을 받아 10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입었다.[129]
7. 국제사회의 감시 및 지원
국제 사회는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83][84][85] 국제연합, 아프리카 연합, 유럽 연합 등 여러 국제기구와 국가들이 감시단을 파견하여 투표 과정을 감독했다.[86][89]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80][133]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80] 조셉 와리오바 전 탄자니아 총리[80], 존 케리 미 상원의원[81] 등 주요 인사들이 감시 활동에 참여하여 투표의 신뢰성을 높였다. 특히, 카터 센터는 국제 관찰단을 이끌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80]
배우 조지 클루니는 위성을 이용한 수단 정세 감시 프로젝트인 '위성 센티넬 프로젝트'를 지원하여[82] 갈등 상황을 조기에 경보하고[130], 국민투표 기간 동안 수단을 방문했다.[82]
일본은 쓰야다 아야코 예비역 육군 하사 등 15명으로 구성된 투표 감시단을 파견했다.[131][132] 이 외에도 유럽, 미국, 중동, 러시아, 중국 등에서 총 1,200명 이상의 감시단이 현지에 파견되어 투표 과정을 면밀히 감시했다.[132]
국내 관찰 기구들도 수단 남성과 여성들을 파견하여 과정을 관찰했는데, 여기에는 수단 민주적 선거 네트워크(SuNDE),[87] 수단 국내 선거 감시 프로그램(SuDEMOP),[88] 그리고 수단 민주주의 및 선거 그룹(SuGDE)이 포함된다.[88]
일반적으로 유엔은 선거 관찰자를 파견하지 않지만, 포괄적 평화 협정(CPA) 당사자들의 요청에 따라 유엔 사무총장의 수단 국민투표 패널이 설립되었다.[89] 이 패널은 벤자민 음카파 탄자니아 전 대통령, 안토니우 몬테이루 포르투갈 전 외무장관 그리고 보즈라즈 포카렐 네팔 선거위원회 전 위원장 등 세 명의 고위 관리로 구성되었다.[89]
8. 투표
2011년 1월 9일부터 15일까지 남수단 독립을 위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94] 투표 시작 3일째인 1월 12일, 수단 인민 해방군은 자체 추산 결과 투표율이 60%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국민투표 위원회는 투표율이 60%를 "초과"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94] 지미 카터는 1월 13일 투표가 국제 표준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95]
투표 등록은 11월 15일 살바 키르의 대규모 등록 호소와 함께 시작되었다.[90][91] 12월 5일 마감일 전까지 거의 400만 명이 등록했다.[92][93]
최종 투표율은 97.58%를 기록했으며, 찬성 3,792,518표(98.83%), 반대 44,888표(1.17%)로 남수단의 독립이 압도적인 지지로 결정되었다.[140] 남수단 국민투표 위원회는 투표의 유효성을 확인했다.[99] 투표가 끝나자 수단은 결과를 인정할 것을 맹세했다.[100]
AP통신이 검토한 예비 집계에 따르면, 독립 찬성이 96%, 통합 찬성이 3%였다.[97] 국민투표 위원회 위원장 모하메드 이브라힘 칼릴은 남부의 경우 유권자의 83%, 북부의 경우 53%가 투표했다고 말했다.[98] 남부 지역 주민들의 99% 이상이 독립에 투표했지만, 당시 북부에 거주하던 주민들의 42%는 통합에 투표했다.[105]
다르푸르에 거주하는 남부 수단 주민들은 특별 투표소에서 투표할 기회를 얻었다.[102]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이집트,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 영국, 미국 등 8개국에 남수단 인구가 많은 국가에 투표소가 설치되었다.[104]
9. 투표 이후 상황
9. 1. 남수단의 독립
투표 결과에 따라 2011년 7월 9일 남수단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독립하였다.[114] 독립 국가의 이름으로는 남수단(South Sudan) 외에도 나일 공화국, 주바 공화국, 쿠시 공화국, 아자니아 등 12개 이상의 이름이 제안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남수단 공화국으로 결정되었다.[113][112]남수단은 독립 이후, 국가 건설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일자리 창출이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으며,[115] 나일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하나뿐이고 전기와 상수도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는 등 열악한 인프라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123]
9. 2. 국제사회의 반응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유권자들이 "자신들의 미래를 결정하고 아프리카의 정의와 민주주의를 향한 긴 여정에서 또 다른 발걸음을 내디뎠다"며 투표 결과가 "고무적"이라고 말했다.[124] 그는 7월에 남수단의 독립이 공식화되면 미국이 이를 인정할 것이라고 밝혔다.[124] 오바마 대통령은 투표 종료 후 과제 해결에 "전면적으로 참여할 것"이라는 의향을 발표했으며,[124] 1월 8일자 기고문에서 "수단 지도부가 투표 결과를 준수한다면, 경제 제재 해제와 테러 지원 국가 지정 해제"를 촉구했다.[125]살바 키르는 아프리카 연합 정상회의에서 폴리사리오 전선의 지도자 모하메드 아브델아지즈를 만나 축하를 받았다. 아브델아지즈는 평화적인 분쟁 해결을 위한 남수단 국민의 "지혜와 용기"를 높이 평가했으며, 국가 수립 이전의 과도 기간 동안 국민투표 이후의 합의 및 협정이 완료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키르에게 유사한 국민투표를 위한 서사하라의 과정에 대해 설명했다.[110]
최종 결과 발표 후, 미국은 공식적으로 독립 주권 국가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119] 중국 또한 중국중앙텔레비전의 보도를 통해 남수단의 독립 승인을 보도했다.[134]

10. 영향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의 긍정적인 결과는 아프리카 대륙의 다른 분리주의 운동에 선례를 남길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었다.[79] 알자지라 영어판은 분리주의 운동의 이유로 포스트 식민지 정치 엘리트의 통치 및 자원 관리 전문성 부족, 냉전의 영향으로 인한 주권 무력화, 부족적 편견과 특혜 제공, 정부의 기본적 자유 보장 실패 등을 꼽았다.[79]
이러한 상황에서 동수단, 다르푸르,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분리 독립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79] 특히 아프리카 연합의 주요 회원국인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남수단 독립 인정이 자국 내 자치권 투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여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79]
아프리카 통일 기구는 아프리카 대부분 국가의 국경이 식민지 시대에 결정되어 종교, 민족,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구성을 가지게 된 현실을 고려하여, 국경 재조정으로 인한 분쟁 발생을 우려해 국경 재조정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111]
남수단의 독립 이후, 수단의 바시르 대통령은 남부의 의사를 존중하며 독립 후에도 남북이 맹우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최종 결과 발표 후 남수단을 독립 주권 국가로 공식 인정했다.[119] 중국은 중국중앙텔레비전 보도를 통해 남수단의 독립을 승인했는데, 이는 수단과 마찬가지로 민족 문제를 안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이례적인 일이었다.[134]
남수단의 독립은 민족 자결주의와 국제 관계에서 중요한 선례로 평가받는다.
10. 1. 한국과의 관계
11.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Sudan Referendum Has Peaceful First Day
https://www.voanews.[...]
2023-04-19
[2]
웹사이트
Southern Sudan Focuses on January Referendum
https://www.voanews.[...]
2023-04-19
[3]
웹사이트
Eastern Sudan Front: Quiescence at war & discordance in peace (2)
https://sudantribune[...]
2023-04-19
[4]
웹사이트
Road to 2011 referendum is full of obstacles – South Sudan's Kiir
https://sudantribune[...]
2023-04-19
[5]
뉴스
Historic day ahead after decades of war
http://www.cnn.com/2[...]
CNN
2011-01-10
[6]
뉴스
South Sudan backs independence – results
https://www.bbc.co.u[...]
2018-06-20
[7]
웹사이트
Sudan referendum: what's being voted on and what will happen?
https://www.telegrap[...]
2023-04-19
[8]
뉴스
Sudanese stand up to be counted
http://news.bbc.co.u[...]
2023-04-19
[9]
웹사이트
Sudan's NCP & SPLM fail to agree on census, referendum law
http://www.sudantrib[...]
2011-01-05
[10]
웹사이트
Sudan partners make modest progress on referendum talks
http://www.sudantrib[...]
2011-01-05
[11]
뉴스
Will Sudan's Nuba Mountains be left high and dry?
http://news.bbc.co.u[...]
2023-04-19
[12]
웹사이트
The Nuba Mountains - straddling the north-south divide
https://reliefweb.in[...]
2023-04-19
[13]
웹사이트
Darfur NCP Civil Society groups to Where?
https://sudantribune[...]
2023-04-19
[14]
뉴스
Terms for Sudan referendum agreed
http://news.bbc.co.u[...]
2023-04-19
[15]
웹사이트
Talks on South Sudan referendum progress in Khartoum
http://www.sudantrib[...]
2011-01-05
[16]
웹사이트
Is Sudan heading for an acrimonious divorce?
https://www.bbc.co.u[...]
BBC
2014-02-10
[17]
웹사이트
Popular consultations must go ahead
http://www.sudantrib[...]
2011-10-21
[18]
간행물
South Sudan Moves Toward Independence
https://content.time[...]
2023-04-19
[19]
웹사이트
Bashir: Secession is south's right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05
[20]
뉴스
South Sudan independence vote at risk
https://www.washingt[...]
2011-01-05
[21]
웹사이트
South Sudanese vote for second day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16
[22]
웹사이트
Sudan's Al-Bashir warns against "unilateral solutions" to north-south disputes
http://talkofsudan.c[...]
Sudan Tribune
2011-01-05
[23]
웹사이트
Bye bye Juba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16
[24]
웹사이트
Bashir warns of unstable South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1-10
[25]
웹사이트
Al-Bashir troubled over Sudan vot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05
[26]
웹사이트
African leaders calm tension
https://www.aljazeer[...]
2023-04-19
[27]
웹사이트
Talks on Sudan's Abyei break down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1-05
[28]
웹사이트
Sudan row over Abyei escalates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1-05
[29]
웹사이트
Sudan says referendum may need to be postponed
http://www.sudantrib[...]
2011-01-05
[30]
웹사이트
Sudan warns of civil war over Abyei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1-05
[31]
뉴스
U.S Pushes Sudanese Meetings to Ensure Southern Referendum, Avoid Violence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1-01-05
[32]
웹사이트
South Sudan vote put in doubt
https://www.aljazeer[...]
2023-04-19
[33]
웹사이트
Caught in Sudan's ethnic faultline
https://www.aljazeer[...]
2023-04-19
[34]
웹사이트
Tribe warns of war over Sudan vot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05
[3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gulf2000.colu[...]
2011-01-14
[36]
웹사이트
Ingessana
http://www.sudanupda[...]
Sudanupdate.org
2011-01-16
[37]
서적
Electoral Designs – Proportionality, representation, and constituency boundaries in Sudan's 2010 elections
https://web.archive.[...]
Rift Valley Institute
2012-02-23
[38]
웹사이트
NATIONAL ASSEMBLY – SEAT ALLOCATIONS
https://web.archive.[...]
2011-01-14
[39]
웹사이트
SPLM lauds election of Malik Aggar as Blue Nile State Governor
https://sudantribune[...]
2011-01-16
[40]
웹사이트
Nuba Mountains Sudan
http://www.lnsart.co[...]
Lnsart.com
2008-01-10
[41]
웹사이트
Nuba: A Pure People
https://web.archive.[...]
Nubasurvival.com
2011-01-16
[42]
서적
SUDAN'S SOUTHERN KORDOFAN PROBLEM: THE NEXT DARFUR?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8-10-21
[43]
웹사이트
English
https://web.archive.[...]
Nec.org.sd
2011-01-16
[44]
뉴스
Sudan state poll results 'credible': Carter Centre
https://archive.toda[...]
2011-05-19
[45]
웹사이트
SPLM's Al-Hilu vows to buck result of South Kordofan's polls as killing incident stokes tension
https://sudantribune[...]
2011-05-18
[46]
웹사이트
Religion influences Sudan vote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1-04
[47]
뉴스
The Rush to Reconcile
http://www.christian[...]
2011-01-05
[48]
웹사이트
Racism undermines Sudanese unity
https://www.aljazeer[...]
[49]
뉴스
6 Months Until South Sudan Votes to Secede
https://web.archive.[...]
2010-07-09
[50]
뉴스
Former Sudan slave, others marching to D.C. in support of homeland
http://www.cnn.com/2[...]
CNN
2010-09-15
[51]
뉴스
'Slaves' aim to separate from Arabs in Sudan vote
https://web.archive.[...]
2011-01-09
[52]
뉴스
Southern Sudan votes on secession
https://www.latimes.[...]
2011-01-10
[53]
Youtube
South Sudan's Muslims welcome secession
https://www.youtube.[...]
[54]
웹사이트
Mixed feelings about Sudan's futur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16
[55]
웹사이트
A question of identity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17
[56]
웹사이트
Unabhängigkeits-Referendum im Süd-Sudan am Sonntag
https://web.archive.[...]
[57]
웹사이트
Nearly 4m set for south Sudan vot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03
[58]
웹사이트
How Sudan muzzles its media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09-24
[59]
웹사이트
Sudan ruling party warns south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09-28
[60]
웹사이트
South Sudan Independence Referendum Delay May Reignite War, President Say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0-09-22
[61]
웹사이트
Bashir warns of new Sudan civil war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0-10
[62]
웹사이트
Sudan party issues vote ultimatum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1-22
[63]
웹사이트
Hesitancy in Sudan referendum
https://www.aljazeer[...]
[64]
웹사이트
South Sudan braces for trouble
https://www.aljazeer[...]
[65]
웹사이트
South Sudan plagued by war fear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0-16
[66]
웹사이트
Sudan, Chad in joint army operation
https://www.aljazeer[...]
[67]
방송
People and Power
Al Jazeera English
2011-01-09
[68]
웹사이트
S Sudan leaders in show of unity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0-18
[69]
웹사이트
Saudi FM Warns Sudan Referendum Could Lead to More Violence
https://archive.alma[...]
Al-ManarTV
2010-12-15
[70]
웹사이트
Obama renews Sudan sanction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1-01
[71]
웹사이트
US offers Sudan 'terror list' deal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1-08
[72]
웹사이트
US hails Bashir's Sudan comment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05
[73]
웹사이트
Sudan rivals vow to hold poll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1-17
[74]
웹사이트
Media campaign under way in Sudan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1-03
[75]
웹사이트
Darfur leader threatens fight
https://www.aljazeer[...]
2010-12-13
[76]
뉴스
Sudan's highest court to probe vote complaints
https://www.reuters.[...]
2010-12-14
[77]
웹사이트
Some north Sudanese flee South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10
[78]
간행물
South Sudan: Army in Talks With Jonglei Rebels
http://allafrica.com[...]
2012-12-24
[79]
웹사이트
A lesson for Africa?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1-07
[80]
웹사이트
Carter and Kofi Annan – Referendum on Self-Determination of Southern Sudan
http://www.cartercen[...]
Cartercenter.org
2011-01-03
[81]
뉴스
Kerry hails peaceful independence vote in southern Sudan
https://web.archive.[...]
2011-01-10
[82]
웹사이트
Front page | Satellite Sentinel Project
https://web.archive.[...]
Satsentinel.org
[83]
웹사이트
Arrival Statement of the African Union Observer Mission to the Southern Sudan Referendum. | African Union
https://web.archive.[...]
Au.int
[84]
웹사이트
EU Election Observation Mission to Sudan 2011 – EU EOM Sudan 2011 – Election Observation – European Commission
http://www.eueom.eu/[...]
Eueom.eu
[85]
웹사이트
Southern Sudan Observation Mission
http://igad.int/inde[...]
Igad.int
2011-01-05
[86]
보도자료
Joint Press Release
https://web.archive.[...]
African Union, Carter Center, European Union, League of Arab States
2011-01-09
[87]
웹사이트
Sudanese Network for Democratic Elections
https://web.archive.[...]
Democracysudan.org
2011-01-20
[88]
웹사이트
undp-sssr.org
http://www.undp-sssr[...]
undp-sssr.org
[89]
웹사이트
Secretary-General Appoints Panel to Monitor Self-Determination Referenda in Sudan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10-09-21
[90]
웹사이트
Braving odds for South Sudan vot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0-10-25
[91]
웹사이트
Southern Sudanese return hom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03
[92]
웹사이트
Registration starts for Sudan vote
https://www.aljazeer[...]
2010-11-15
[93]
웹사이트
South Sudan's lost voter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06
[94]
뉴스
Official: South Sudan Voter Turnout to Reach 60 Percent Threshold
https://www.voanews.[...]
2011-01-12
[95]
뉴스
Carter: South Sudan Vote Will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https://www.voanews.[...]
2011-01-13
[96]
웹사이트
Turnout in Southern Sudan vote passes 60 percent
https://web.archive.[...]
Yahoo! News
2011-01-12
[97]
웹사이트
S.Sudan early returns show big vote for secession
https://www.sandiego[...]
2011-01-16
[98]
웹사이트
Sudan vote trend points at split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16
[99]
웹사이트
US Vice President Lands in Afghanistan in Surprise Visit
https://archive.toda[...]
Almanar.com.lb
2011-01-26
[100]
웹사이트
Al-ManarTV:: South Sudan Referendum Wraps up, Khartoum Vows to Recognize Results 15/01/2011
http://www.almanar.c[...]
Almanar.com.lb
2011-01-15
[101]
웹사이트
Southern Sudan Referendum Final Results Report
https://web.archive.[...]
2011-01-30
[102]
웹사이트
Mixed feelings in Darfur
https://web.archive.[...]
Al Jazeera
2011-01-09
[103]
웹사이트
Sudan vote in USA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10
[104]
뉴스
Some Sudanese-Canadians boycott referendum over fears of bias
https://web.archive.[...]
2011-01-09
[105]
뉴스
Report: Vote for South Sudan independence nearly unanimous
http://www.cnn.com/2[...]
CNN
2011-01-22
[106]
웹사이트
Sudan's SPLA signs pact with rebels
http://english.aljaz[...]
2011-01-06
[107]
웹사이트
Deadly clashes ahead of Sudan vot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108]
뉴스
Clashes during south Sudan referendum
https://www.bbc.co.u[...]
2011-01-10
[109]
웹사이트
Southern government reacts to Khartoum "provocation"
https://www.rfi.fr/e[...]
2011-01-13
[110]
웹사이트
Southern Sudan leader meets with Polisario Front chief: report
https://sudantribune[...]
2011-02
[111]
웹사이트
Sudan after the referendum: a test case for Africa
http://www.csmonitor[...]
2011-02-09
[112]
웹사이트
Southern Sudanese debate new nam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1-23
[113]
뉴스
Southern Sudan Nears a Decision on One Matter: Its New Name
https://www.nytimes.[...]
2011-01-24
[114]
뉴스
South Sudan chosen as name for new country
https://www.bbc.co.u[...]
2011-02-16
[115]
웹사이트
South Sudan's big challeng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2-26
[116]
웹사이트
South Sudan minister shot dead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2-09
[117]
뉴스
スーダン南部 独立支持99%
http://www.nhk.or.jp[...]
NHKニュース
2011-01-30
[118]
웹사이트
Results for the Referendum of Southern Sudan
http://southernsudan[...]
2011-01-30
[119]
뉴스
スーダン南部独立確定
http://www.tokyo-np.[...]
中日新聞東京本社
2011-02-08
[120]
웹사이트
【世界選挙紀行】南スーダン 識字率27%の選挙
https://www.nhk.or.j[...]
NHK
2016-07-27
[121]
뉴스
スーダン南部独立選択へ
中日新聞
2011-01-08
[122]
뉴스
スーダン南部の独立問う住民投票始まる、石油分配など課題も
http://jp.reuters.co[...]
2011-01-10
[123]
뉴스
ここに注目! 「スーダン 独立問う住民投票」
http://www.nhk.or.jp[...]
2011-01-07
[124]
뉴스
米大統領:スーダン南部分離独立 投票後も積極関与を約束
https://web.archive.[...]
2011-01-11
[125]
웹사이트
スーダン共和国
http://www.arsvi.com[...]
2023-04
[126]
뉴스
スーダン 北部は屈辱・孤立… イスラム法強化宣言で不安定化の懸念
http://sankei.jp.msn[...]
2011-01-11
[127]
뉴스
願う独立「宗教共存できる国に」 スーダン南部 黒人イスラム教徒
中日新聞
2011-01-11
[128]
뉴스
油田地帯の帰属巡り対立、スーダンで33人死亡
https://web.archive.[...]
2011-01-10
[129]
뉴스
長距離バス襲われ10人死亡…スーダン南北境界
https://web.archive.[...]
2011-01-13
[130]
웹사이트
G・クルーニーさん、衛星でスーダン監視のプロジェクト
http://www.cnn.co.jp[...]
[131]
뉴스
スーダン住民投票への監視団派遣、閣議決定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0-12-10
[132]
웹사이트
スーダン住民投票・日本国政府監視団 団員名簿
https://warp.ndl.go.[...]
国立国会図書館インターネット資料収集保存事業
[133]
뉴스
スーダンの住民投票成立を確認
http://sankei.jp.msn[...]
2011-01-14
[134]
뉴스
中国中央テレビ(CCTV)
2011-02-07
[135]
뉴스
Sudan's Referendum Commission says southern Sudan referendum on Jan. 9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2010-10-21
[136]
웹사이트
Road to 2011 referendum is full of obstacles – South Sudan's Kiir
http://www.sudantrib[...]
Sudan Tribune
2007-07-12
[137]
웹인용
First day of south Sudan referendum ends peacefully
http://www.tehrantim[...]
tehran times
[138]
뉴스
Official: South Sudan Voter Turnout to Reach 60 Percent Threshold
http://www.voanews.c[...]
VOA News
2011-01-20
[139]
뉴스
Carter: South Sudan Vote Will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http://www.voanews.c[...]
VOA News
2011-01-20
[140]
웹인용
Results for the Referendum of Southern Sudan
http://southernsudan[...]
Southern Sudan Referendum Commission and Southern Sudan Referendum Bureau
2011-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