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은 2012년 7월 29일 영국 런던의 로드 크리켓 그라운드에서 열렸다. 3명의 선수로 구성된 팀들이 랭킹 라운드 결과에 따라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꺾고 금메달을,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새로운 올림픽 기록이나 세계 신기록은 나오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여자 양궁 -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개인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개인은 리커브 보우를 사용하는 표적 양궁 경기로, 64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랭킹 라운드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기보배(대한민국)가 금메달, 아이다 로만(멕시코)이 은메달, 마리아나 아비티아(멕시코)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2012년 런던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은 랭킹 라운드 후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랭킹 1위였으나 준결승에서 패배 후 3,4위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은 리커브를 사용하는 양궁 종목으로 런던에서 64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오진혁이 금메달을, 임동현이 랭킹 라운드에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런던을 포함한 6개 도시에서 경기가 진행되었고, 미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캐나다가 프랑스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12년 하계 올림픽 펜싱 여자 플뢰레 단체
2012년 하계 올림픽 펜싱 여자 플뢰레 단체는 2012년 8월 2일 런던에서 9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45투셰 또는 시간 종료 시 더 많은 투셰를 기록하는 팀이 승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탈리아가 금메달, 러시아가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여자 단체 양궁 |
대회 | 2012년 하계 올림픽 |
![]() | |
개최지 | 로드 크리켓 그라운드 |
기간 | 2012년 7월 27일 – 2012년 7월 29일 |
참가 선수 | 36명 |
참가 국가 | 12개국 |
메달 정보 | |
금메달 | 이성진, 기보배, 최현주 |
금메달 국가 | KOR |
은메달 | 팡위팅, 청밍, 쉬징 |
은메달 국가 | CHN |
동메달 | 가와나카 가오리, 하야카와 렌, 가니에 미키 |
동메달 국가 | JPN |
올림픽 양궁 | |
이전 대회 | 2008 |
다음 대회 | 2016 |
2. 경기 방식
3명의 팀 구성원의 랭킹 라운드 결과에 따라 팀 순위가 1위부터 12위까지 매겨졌으며, 이 순위는 토너먼트 방식의 대진표에 팀을 배치하는 데 사용되었다.[2] 각 팀원은 경기에서 8발의 화살을 쏘았고(팀당 총 24발), 총점이 가장 높은 팀이 경기에서 승리했다. 승자는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고, 패자는 경기에서 탈락했다.
모든 시간은 영국 서머 타임(UTC+1) 기준이다.
경기는 개최 도시인 런던에 있는 로드 크리켓 그라운드에서 열렸다.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 경기가 열리기 전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3]
3. 경기 일정
날짜 시간 라운드 2012년 7월 27일 금요일 13:00–15:00 랭킹 라운드 2012년 7월 29일 일요일 09:00–10:40 16강 2012년 7월 29일 일요일 15:00–16:40 8강 2012년 7월 29일 일요일 16:40–17:30 준결승 2012년 7월 29일 일요일 17:31–18:26 결승
4. 경기장
도시 경기장 런던 로드 크리켓 그라운드
5. 기록
기록 종류 선수 기록 장소 날짜 세계 기록 박성현, 이성진, 윤미진 2030 그리스 아테네 2004년 8월 12일 올림픽 기록 박성현, 윤옥희, 주현정 2004 중국 베이징 2008년 8월 9일 세계 기록 박성현, 윤옥희, 주현정 231 중국 베이징 2008년 8월 10일 올림픽 기록 박성현, 윤옥희, 주현정 231 중국 베이징 2008년 8월 10일
5. 1. 216발 랭킹 라운드
경기가 열리기 전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3]
기록 | 선수 | 점수 | 장소 | 날짜 |
---|---|---|---|---|
세계 기록 | 박성현, 이성진, 윤미진 | 2030 | 아테네 (그리스) | 2004년 8월 12일 |
올림픽 기록 | 박성현, 윤옥희, 주현정 | 2004 |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 2008년 8월 9일 |
5. 2. 24발 경기
5. 3. 신기록
경기가 열리기 전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216발 랭킹 라운드
- 24발 매치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에서는 올림픽 신기록이나 세계신기록이 세워지지 않았다.
6. 경기 결과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4]
순위 | 국가 | 선수 | 점수 | 10점 | X점 |
---|---|---|---|---|---|
1 | 이성진, 기보배, 최현주 | 1993 | 84 | 26 | |
2 | 미란다 리크, 카투나 로리그, 제니퍼 니콜스 | 1979 | 83 | 19 | |
3 | 레 치엔잉, 린 지아엔, 탄 야팅 | 1976 | 76 | 20 | |
4 | 마리아나 아비티아, 아이다 로만,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1974 | 72 | 21 | |
5 | 카오리 카와나카, 렌 하야카와, 미키 카니에 | 1965 | 79 | 23 | |
6 | 크세니아 페로바, 크리스티나 티모페예바, 인나 스테파노바 | 1962 | 82 | 22 | |
7 | 팡 위팅, 청 밍, 쉬징 | 1946 | 70 | 19 | |
8 | 루이즈 라우르센, 마야 예거, 카리나 크리스티안센 | 1946 | 65 | 16 | |
9 | 봄바야라 데비, 디피카 쿠마리, 체크로볼루 스와루 | 1938 | 64 | 21 | |
10 | 피아 카르멘 리오네티, 나탈리아 발레바, 제시카 토마시 | 1937 | 68 | 20 | |
11 | 나오미 폴카드, 에이미 올리버, 앨리슨 윌리엄슨 | 1874 | 50 | 15 | |
12 | 테티아나 도로호바, 카테리나 팔레카, 리디아 시체니코바 | 1868 | 44 | 15 |
대한민국은 결승전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1점 차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6. 1. 랭킹 라운드
순위[4] | 국가 | 선수 | 점수 | 10점 | X점 |
---|---|---|---|---|---|
1 | 이성진, 기보배, 최현주 | 1993 | 84 | 26 | |
2 | 미란다 리크, 카투나 로리그, 제니퍼 니콜스 | 1979 | 83 | 19 | |
3 | 레 치엔잉, 린 지아엔, 탄 야팅 | 1976 | 76 | 20 | |
4 | 마리아나 아비티아, 아이다 로만,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1974 | 72 | 21 | |
5 | 카오리 카와나카, 렌 하야카와, 미키 카니에 | 1965 | 79 | 23 | |
6 | 크세니아 페로바, 크리스티나 티모페예바, 인나 스테파노바 | 1962 | 82 | 22 | |
7 | 팡 위팅, 청 밍, 쉬징 | 1946 | 70 | 19 | |
8 | 루이즈 라우르센, 마야 예거, 카리나 크리스티안센 | 1946 | 65 | 16 | |
9 | 봄바야라 데비, 디피카 쿠마리, 체크로볼루 스와루 | 1938 | 64 | 21 | |
10 | 피아 카르멘 리오네티, 나탈리아 발레바, 제시카 토마시 | 1937 | 68 | 20 | |
11 | 나오미 폴카드, 에이미 올리버, 앨리슨 윌리엄슨 | 1874 | 50 | 15 | |
12 | 테티아나 도로호바, 카테리나 팔레카, 리디아 시체니코바 | 1868 | 44 | 15 |
6. 2. 토너먼트
2012년 하계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은 3명의 선수로 구성된 각 팀이 랭킹 라운드 결과에 따라 1위부터 12위까지 순위가 매겨져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 각 팀은 8발씩 총 24발을 쏘았고, 총점이 높은 팀이 승리하여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class="wikitable"
|-
! 16강전 !! 8강전 !! 준결승 !! 결승전
|-
|
DEN|덴마크영어 211 |
IND|인도영어 210 |
JPN|일본영어 207 |
UKR|우크라이나영어 192 |
GBR|영국영어 208 |
RUS|러시아영어 215 |
CHN|중화인민공화국영어 200 |
ITA|이탈리아영어 199 |
|
대한민국 206 |
DEN|덴마크영어 195 |
JPN|일본영어 219 |
MEX|멕시코영어 209 |
중화 타이베이중국어 216 (슛오프:26) |
RUS|러시아영어 216 (슛오프:28) |
CHN|중화인민공화국영어 218 |
USA|미국영어 213 |
|
대한민국 221 |
JPN|일본영어 206 |
RUS|러시아영어 207 |
CHN|중화인민공화국영어 208 |
|
대한민국 210 |
CHN|중화인민공화국영어 209 |
|-
! colspan="3" | 동메달 결정전
|-
| colspan="3" |
JPN|일본영어 209 |
RUS|러시아영어 207 |
|}
6. 3. 결승전 상세 결과
순위 | 선수 | End | 득점 | 점수 | ||
---|---|---|---|---|---|---|
![]() | 최현주, 이성진, 기보배 | 총점 | 210 | |||
1 | 7 | 8 | 6 | 21 | ||
9 | 9 | 10 | 28 | |||
2 | 7 | 10 | 10 | 27 | ||
9 | 10 | 8 | 27 | |||
3 | 8 | 9 | 9 | 27 | ||
8 | 10 | 9 | 27 | |||
4 | 9 | 10 | 9 | 28 | ||
9 | 8 | 9 | 26 | |||
![]() | 팡위팅, 청밍, 쉬징 | 총점 | 209 | |||
1 | 8 | 7 | 8 | 23 | ||
10 | 7 | 7 | 24 | |||
2 | 9 | 9 | 9 | 27 | ||
9 | 9 | 10 | 28 | |||
3 | 8 | 8 | 10 | 26 | ||
10 | 8 | 8 | 26 | |||
4 | 10 | 8 | 10 | 28 | ||
9 | 9 | 9 | 27 |
대한민국의 기보배, 이성진, 최현주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팡위팅( 方玉婷|팡위팅중국어), 청밍(程明|청밍중국어), 쉬징(徐靖|쉬징중국어)을 상대로 210-209, 1점 차이로 승리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Archery at the 2012 Summer Olympics
http://www.london201[...]
2012-05-07
[2]
웹사이트
Team competition format
http://www.london201[...]
London 2012 Organising Committee
2012-06-13
[3]
문서
This result is not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s an Olympic record, as the ranking round took place on 12 August, before the 2004 opening ceremony.
[4]
웹사이트
Archery: Results & Schedules
http://www.nbcolymp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