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2012년 3월 22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남자 500m, 1000m, 1500m, 5000m, 10000m, 단체 추월과 여자 500m, 1000m, 1500m, 3000m, 5000m, 단체 추월 경기가 열렸다. 네덜란드가 금메달 5개, 은메달 5개, 동메달 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모태범, 이상화 선수가 각각 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에서 개최된 스피드스케이팅 대회 - 2015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5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네덜란드 헤이렌베인에서 23개국 161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녀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경기를 펼친 국제 대회로, 네덜란드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하고 대한민국은 남자 팀 추월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스피드스케이팅 - 2012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2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2012년에 개최되었으며, 남자부에서는 스테판 흐로투이스가 새로운 포인트 기록을 세웠고, 여자부에서는 위징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스피드스케이팅 - 2012–13년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2012-13년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은 국제빙상경기연맹 주최 대회로, 이상화, 모태범 등 대한민국 선수들이 여자 500m, 남자 500m 등에서 금메달을 비롯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09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2009년 3월 12일부터 15일까지 개최되었으며, 네덜란드가 금메달 4개로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했다. -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20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20년 2월 13일부터 16일까지 열린 국제 스피드스케이팅 대회인 2020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네덜란드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파벨 쿨리즈니코프와 그레이엄 피시가 세계 기록을 경신했으며, 대한민국 김보름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영어 명칭 | World Single Distance Speed Skating Championships |
![]() | |
개최지 | 네덜란드 헤이렌베인 |
경기장 | 티알프 |
개최 기간 | 2012년 3월 22일 - 25일 |
이전 대회 | 2011 인첼 |
다음 대회 | 2013 소치 |
세부 종목 | |
500m | 남자 여자 |
1000m | 남자 여자 |
1500m | 남자 여자 |
3000m | 여자 |
5000m | 남자 여자 |
10000m | 남자 |
팀 추월 | 남자 여자 |
기타 정보 | |
여왕 참석 | http://www.koninklijkhuis.nl/nieuws/nieuwsberichten/2012/maart/koningin-aanwezig-bij-deel-schaatswedstrijden-wereldkampioenschappen-afstanden/ |
최다 금메달 획득국 | 네덜란드 (5) |
2. 경기 일정 및 종목
날짜 | 시간 | 종목 |
---|---|---|
3월 22일 | 16:30 | 남자 1500m |
여자 3000m | ||
3월 23일 | 15:00 | 남자 1000m |
여자 1500m | ||
남자 5000m | ||
3월 24일 | 12:00 | 여자 1000m |
남자 10000m | ||
여자 5000m | ||
3월 25일 | 13:30 | 여자 500m |
남자 500m | ||
여자 단체 추월 | ||
남자 단체 추월 |
[2][3]
2012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입상자는 다음과 같다.
3. 메달 집계
순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 네덜란드 5 5 4 14 2 캐나다 3 1 0 4 3 체코 2 0 0 2 3 대한민국 2 0 0 2 5 독일 0 2 1 3 6 중국 0 2 0 2 7 미국 0 1 3 4 8 러시아 0 1 1 2 9 핀란드 0 0 1 1 9 노르웨이 0 0 1 1 9 폴란드 0 0 1 1 합계 12 12 12 36
4. 입상자
종목 금 은 동 500m 모태범 (대한민국) 미헬 뮐더르 페카 코스켈라 (핀란드) 1000m 스테판 흐로트하위스 콀트 나위스 샤니 데이비스 (미국) 1500m 데니 모리슨 (캐나다) 이반 스코브레프 (러시아) 호바르 뵈코 (노르웨이) 5000m 스벤 크라머르 보프 더 용 조나선 컥 (미국) 10000m 보프 더 용 요릿 베르흐스마 조나선 컥 (미국) 팀추월 {{lang (스벤 크라머르, 쿤 페르베에이, 얀 블록하위선) 미국 (샤니 데이비스, 브라이언 핸슨, 조나선 컥) 러시아 (이반 스코브레프, 데니스 유스코프, 예브게니 랄렌코프) 종목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500m 이상화 (대한민국) 위징 (중국) 트헤이셔 우네마 1000m 크리스틴 네스빗 (캐나다) 위징 (중국) 마르곳 부르 1500m 크리스틴 네스빗 (캐나다) 이레인 뷔스트 린다 더프리스 3000m 마르티나 사블리코바 (체코) 슈테파니 베케르트 이레인 뷔스트 5000m 마르티나 사블리코바 (체코) 슈테파니 베케르트 클라우디아 페히슈타인 단체 추월 {{lang (이레인 뷔스트, 디아너 팔켄뷔르흐, 린다 더프리스) 캐나다 (브리트니 슈슬러, 크리스틴 네스빗, 신디 클래슨) 폴란드 (나탈리아 체르본카, 카타지나 보즈니아크, 루이자 즈워토프스카)
4. 1. 남자부
종목 | 금 | 은 | 동 |
---|---|---|---|
남자 500m[4] | 모태범 (대한민국) | 미헬 뮐더르 | 페카 코스켈라 (핀란드) |
남자 1000m[4] | 스테판 흐로트하위스 | 콀트 나위스 | 샤니 데이비스 (미국) |
남자 1500m[4] | 데니 모리슨 (캐나다) | 이반 스코브레프 (러시아) | 호바르 뵈코 (노르웨이) |
남자 5000m[4] | 스벤 크라머르 | 보프 더 용 | 조나선 컥 (미국) |
남자 10000m[4] | 보프 더 용 | 요릿 베르흐스마 | 조나선 컥 (미국) |
남자 팀추월[4] | {{lang (스벤 크라머르, 쿤 페르베에이, 얀 블록하위선) | 미국 (샤니 데이비스, 브라이언 핸슨, 조나선 컥) | 러시아 (이반 스코브레프, 데니스 유스코프, 예브게니 랄렌코프) |
4. 2. 여자부
참조
[1]
웹사이트
Koningin aanwezig bij deel schaatswedstrijden Wereldkampioenschappen Afstanden
http://www.koninklij[...]
Koninklijkhuis.nl
2012-03-20
[2]
웹사이트
Essent ISU WK Afstanden
http://schaatsen.nl/[...]
schaatsen.nl
2012-02-21
[3]
웹사이트
Announcement (Event Calendar)
http://isu.sportcent[...]
ISU.org
2012-03-21
[4]
웹사이트
ISU Results
http://live.isuresul[...]
ISU
2012-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