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010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진행되었다. 가봉과 적도 기니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한 가운데, 53개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소속 국가 중 45개 팀이 예선에 참가했다. 예선은 조 추첨을 통해 11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과 K조 2위 팀, 그리고 A조에서 J조까지 2위 팀 중 상위 2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보츠와나, 튀니지, 말리, 니제르, 모로코, 수단, 앙골라, 코트디부아르,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가나, 기니, 잠비아, 리비아, 앙골라가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B조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B조는 기니,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마다가스카르로 구성되어 2010년 9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 팀을 가리는 예선 조별 리그이다.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J조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J조는 기니비사우, 케냐, 우간다, 앙골라가 속하여 2010년 9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예선 조별 리그이다.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B조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B조는 기니,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마다가스카르로 구성되어 2010년 9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 팀을 가리는 예선 조별 리그이다.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J조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J조는 기니비사우, 케냐, 우간다, 앙골라가 속하여 2010년 9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예선 조별 리그이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부르키나파소에서 개최될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대회로, 예비 라운드와 조별 리그를 거쳐 가나, 앙골라, 코트디부아르 등 14개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나이지리아는 기권으로 출전 금지, 감비아 등 5개국은 예선 도중 기권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
---|---|
대회 요약 | |
대회 명칭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로마자 표기 | 2012 Nyeon Apeurika Neisyeonskeop Yeseon |
주최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참가 자격 | CAF 소속 국가대표팀 |
경기 방식 | 조별 리그 및 플레이오프 |
본선 진출팀 | 14팀 |
예선 기간 | 2010년 7월 ~ 2011년 10월 |
결과 | |
본선 진출 국가 | 적도 기니 (개최국) 가봉 (개최국) 보츠와나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앙골라 기니 가나 리비아 말리 니제르 세네갈 수단 잠비아 |
관련 정보 | |
이전 대회 |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다음 대회 |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 참가국 및 시드 배정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소속 53개국 중 8개국이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불참하였다. 레소토, 상투메 프린시페, 세이셸,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는 출전 의사를 밝히지 않아 불참 처리되었고, 레위니옹과 잔지바르는 CAF 준회원국이라 참가 자격이 없어 불참하였다.
이에 따라 나머지 45개 팀(토고 포함)이 예선에 참여하였다. 시드 배정은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성적을 토대로, 개최국 가봉과 출전 금지 징계를 받은 토고를 제외한 상위 11개 팀을 최상위 시드에 배정하였다. 나머지 33개 팀은 2010년 2월 FIFA 랭킹 순서대로 2~4포트에 11개 팀씩 배정되었다.
2. 1. 톱시드 배정 팀 선정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에 진출한 팀은 모두 톱시드에 배정되었다.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8강전에서 탈락 | |||
8강에 진출하지 못한 팀 중에서도 전적 순서대로 3팀이 추가 배정되었다.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비고 |
---|---|---|---|---|---|---|---|---|---|
† | 1 | 2 | 0 | 1 | 1 | 0 | 1 | −1 | 톱시드 |
style="text-align:left;" | | 4 | 3 | 1 | 1 | 1 | 7 | 6 | +1 | 톱시드 |
align=left | | 3 | 3 | 0 | 3 | 0 | 3 | 3 | 0 | 톱시드 |
† 부르키나파소는 다른 조들보다 한 경기를 덜 치렀기 때문에 형평성 문제로 시드 순위가 올라갔다.
2. 2. 시드 배정 전반
순위순위
성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