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메달 집계
- 3. 종목별 경기 결과
- 3.1. [[2012년 하계 올림픽 농구|농구]]
- 3.2. [[20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레슬링]]
- 3.3.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사격]]
- 3.4. [[2012년 하계 올림픽 수구|수구]]
- 3.5. [[2012년 하계 올림픽 육상|육상]]
- 3.6. [[2012년 하계 올림픽 조정|조정]]
- 3.7. [[2012년 하계 올림픽 카누|카누]]
- 3.8. [[2012년 하계 올림픽 탁구|탁구]]
- 3.9. [[2012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태권도]]
- 3.10. [[2012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테니스]]
- 3.11. [[2012년 하계 올림픽 펜싱|펜싱]]
- 3.12. [[2012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핸드볼]]
- 3.13. [[2012년 하계 올림픽 유도|유도]]
- 3.14. [[2012년 하계 올림픽 요트|요트]]
- 3.15. [[2012년 하계 올림픽 체조|체조]]
- 3.16. [[2012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사이클]]
- 3.17. [[2012년 하계 올림픽 수영|수영]]
- 참조
1. 개요
2012년 하계 올림픽에 크로아티아는 육상, 사격, 수구, 조정, 태권도, 핸드볼 등 6개 종목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산드라 페르코비치(육상), 조반니 체르노고라즈(사격), 남자 수구 대표팀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조정 남자 쿼드러플 스컬이 은메달, 남자 핸드볼 대표팀과 루치야 자니노비치(태권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 2008년 하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크로아티아 선수단은 15개 종목에 101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메달리스트로는 체조의 필리프 우데, 육상의 블란카 블라시치, 조정의 마리요 시보치치, 이반 모드리치, 산자 아나치치, 다니엘 바소, 사격의 산드라 샬리치 등이 있다. - 하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 2024년 하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는 크로아티아 선수단은 수영, 육상, 사이클, 사격, 태권도, 요트, 테니스, 핸드볼, 농구, 수구 등 다양한 종목에 총 80명의 선수가 출전할 예정이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한 중국 선수단은 396명의 선수들이 출전하여 금메달 38개, 은메달 31개, 동메달 22개로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다이빙, 체조, 수영, 배드민턴, 역도, 탁구 등에서 강세를 보였다. -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은 총 11개의 메달을 획득했지만, 역도에서 획득한 금메달이 도핑으로 박탈되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 |
---|---|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 | |
NOC | 크로아티아 올림픽 위원회 |
웹사이트 | www.hoo.hr |
대회 정보 | |
개최지 | 런던 |
참가 선수 | 108명 |
참가 종목 | 17개 |
기수 | 베니오 로세르트(개막식) 다미르 마르틴(폐막식) |
순위 | 25위 |
금메달 | 3개 |
은메달 | 1개 |
동메달 | 2개 |
올림픽 참가 연혁 | |
첫 참가 | 1992년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관련 항목 | (1900) (1920–1988) |
2. 메달 집계
크로아티아는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산드라 페르코비치 | 육상 | 여자 원반던지기 | 8월 4일 | |
조반니 체르노고라즈 | 사격 | 남자 트랩 | 8월 6일 | |
요시프 파비치 외 12명 | 수구 | 남자 토너먼트 | 8월 12일 | |
다비드 샤인 외 3명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3일 | |
루치야 자니노비치 | 태권도 | 여자 49kg | 8월 8일 | |
베니오 로세르트 외 14명 | 핸드볼 | 남자 토너먼트 | 8월 12일 |
2. 1. 종목별 메달 집계
2. 2. 메달리스트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 금 | 산드라 페르코비치 | 육상 | 여자 원반던지기 | 8월 4일 |
-- 금 | 조반니 체르노고라즈 | 사격 | 남자 트랩 | 8월 6일 |
-- 금 | 요시프 파비치, 다미르 부리치, 미호 보슈코비치, 니크샤 도부드, 마로 요코비치, 페타르 무슬림, 이반 불류바시치, 안드로 부슐레, 산드로 수크노, 사미르 바라치, 이고르 히니치, 파울로 오브라도비치, 프라노 비찬 | 수구 | 남자 | 8월 12일 |
-- 은 | 다비드 샤인, 마르틴 신코비치, 다미르 마르틴, 발렌트 신코비치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3일 |
-- 동 | 루치야 자니노비치 | 태권도 | 여자 49kg급 | 8월 8일 |
-- 동 | 베니오 로세르트, 이바노 발리치, 도마고이 두브냐크, 블라젠코 라츠코비치, 마르코 코플랴르, 이고르 보리, 야코브 고윤, 즐라트코 호르바트, 드라고 부코비치, 다미르 비차니치, 데니스 분티치, 미르코 알릴로비치, 마누엘 슈trlek, 이반 추피치, 이반 닌체비치 | 핸드볼 | 남자 | 8월 12일 |
크로아티아는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육상, 농구, 카누, 사이클, 펜싱, 체조, 핸드볼, 유도, 조정, 요트, 사격, 수영, 탁구, 태권도, 테니스, 수구,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서 경기를 펼쳤다.
3. 종목별 경기 결과
; 육상
크로아티아 육상 선수들은 각 종목당 최대 3명의 선수가 'A' 기준, 1명이 'B' 기준을 충족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1][2] 전 세계 높이뛰기 챔피언인 블란카 블라시치는 부상으로 인해 런던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올림픽 출전 자격을 갖추었다.
남자 필드 종목에서는 안드라시 하클리츠가 해머던지기에서 70.61m로 30위, 이반 호르바트가 장대높이뛰기에서 5.35m로 20위, 마틴 마리치와 롤란드 바르가가 원반던지기에서 각각 62.87m(17위)와 58.17m(36위), 네자드 물라베고비치가 포환던지기에서 19.86m로 18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여자 트랙 & 도로 종목에서는 니콜리나 호르바트가 400m 허들에서 58.49초로 8위를 기록하며 준결선 진출에 실패했고, 리사 스투블리치가 마라톤에서 2시간 34분 03초로 52위를 기록했다. 여자 필드 종목에서는 산드라 페르코비치가 원반던지기에서 69.11m의 국가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아나 시미치는 높이뛰기에서 1.80m로 29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 농구
크로아티아는 여자 농구팀을 올림픽에 출전시켰다.
; 레슬링
크로아티아는 남자 그레코로만형 레슬링에서 네벤 주가이가 –74 kg급에 출전하여 10위, 네나드 주가이가 –84 kg급에 출전하여 14위를 기록했다.
; 사격
크로아티아는 2011년 국제 사격 연맹 월드컵 대회, 2011년 유럽 사격 선수권 대회, 2012년 10m 종목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승리하여 5개의 사격 종목 출전권을 획득했다.[4]
남자부에서는 조반니 체르노고라즈가 트랩에서 14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안톤 글라스노비치는 트랩에서 143점으로 6위, 더블 트랩에서 114점으로 23위를 기록했다. 보얀 쥬르코비치는 10m 공기 소총에서 590점으로 36위, 50m 소총 3자세에서 1152점으로 35위, 50m 소총 복사에서 698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페타르 고르사는 10m 공기 소총에서 586점으로 43위를 기록했다.
여자부에서는 스녜자나 페이치치가 10m 공기 소총에서 395점으로 18위, 50m 소총 3자세에서 681.9점으로 5위를 기록했다.
; 수구
크로아티아 남자 수구 국가대표팀은 2011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으며, 남자 토너먼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조정
마리오 베키치는 남자 싱글 스컬에서 7분 27초 60으로 15위를 기록했고, 다미르 마틴, 다비드 샤인, 마틴 싱코비치, 발렌트 싱코비치는 남자 쿼드러플 스컬에서 5분 44초 78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 카누
딘코 뮬리치는 남자 K-1 슬라롬에서 143.28점으로 22위를 기록하며 준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 탁구
크로아티아는 2011년 5월 16일 기준 국제 탁구 연맹(ITTF) 세계 랭킹에 따라 조란 프리모라츠가 남자 단식에 출전 자격을 얻었다.[7] 안드레이 가치나는 남자 단식 8강에 진출했고, 조란 프리모라츠는 남자 단식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코르넬리아 몰나르와 톈위안은 여자 단식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 태권도
크로아티아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2011년 세계 태권도 올림픽 선발 대회에서 3위 안에 들어 태권도 종목에 출전 자격을 확보했다.[8][9] 루치야 자니노비치는 -49kg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아나 자니노비치는 -57kg 16강에서 탈락했다.
; 테니스
마린 칠리치와 이반 도디그는 남자 단식 32강에서 탈락했고, 이보 카를로비치와 페트라 마르티치는 부상으로 기권했다. 마린 칠리치와 이반 도디그는 남자 복식 8강에서 탈락했다.
; 펜싱
보얀 요바노비치는 남자 개인 플뢰레 32강에서 탈락했다.
; 핸드볼
남자 대표팀은 남자 토너먼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2012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남자 동메달 -- 베니오 로셀트, 이바노 발리치, 도마고이 두브냐크, 블라젠코 라츠코비치, 마르코 코프리야르, 이고르 보리, 야코브 고윤, 즈라트코 호르바트, 드라코 부코비치, 다미르 비차니치, 데니스 분티치, 미르코 알릴로비치, 마누엘 슈트르레크, 이반 추피치, 이반 닌체비치
여자 대표팀은 여자 토너먼트 8강에서 탈락했다.[1]
; 유도
토미슬라브 마리야노비치는 남자 −81 kg 32강에서, 마리야나 미슈코비치는 여자 −63 kg 16강에서 탈락했다.
; 요트
크로아티아는 각 종목에 1척의 보트를 출전시켰다. 남자부에서는 루카 므라토비치가 RS:X에서 21위, 톤치 스티파노비치가 레이저에서 4위, 이반 클랴코비치 가스피치가 핀에서 5위, 시메 판텔라와 이고르 마레니치가 470에서 6위, 페타르 쿠파치와 파블레 코스토프가 49인승에서 17위, 단 로브로비치와 마린 로브로비치 주니어가 스타에서 16위를 기록했다. 여자부에서는 티나 미헬리치가 레이저 레디얼에서 17위, 에니아 닌체비치와 로마나 주판이 470에서 17위를 기록했다.
; 체조
필리프 우데는 남자 안마에서 13.933점으로 32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고, 티나 에르체그는 여자 개인 종합에서 52.065점으로 40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 사이클
크리스티얀 주라세크와 라도슬라브 로기나는 2012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 남자 도로에서 각각 5시간 46분 37초로 68위와 41위를 기록했다. 로베르트 키셰를로프스키는 2012년 투르 드 프랑스 14구간에서 부상을 입어 기권했고, 크리스티얀 주라세크가 대체 선수로 선발되었다.[3]
; 수영
크로아티아 수영 선수들은 다음 종목에서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5][6]
남자부에서는 마리오 토도로비치가 50m 자유형에서 22.75초로 28위를 기록하며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여자부에서는 산야 요바노비치가 100m 배영에서 1분 03초 38로 36위, 킴 다니엘라 파블린이 200m 배영에서 2분 15초 67로 33위, 200m 개인 혼영에서 2분 17초 17로 30위를 기록하며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카를라 시티치는 10km 오픈 워터에서 1시간 58분 54초 7로 11위를 기록했다.
3. 1. [[2012년 하계 올림픽 농구|농구]]
크로아티아는 여자 농구팀을 올림픽에 출전시켰다.
; 선수 명단
다음은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농구 토너먼트에 참가한 크로아티아 선수 명단이다.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신장 | 소속팀 |
---|---|---|---|---|
G | 옐라비치 | 1980년 9월 21일 | 172cm | 카이세리 KASKİtr |
G | 렐라스 | 1982년 3월 20일 | 183cm | 몽펠리에프랑스어 |
C | 이베지치 | 1984년 3월 17일 | 188cm | 츠리카베니차hr |
F | 카르치치 | 1986년 11월 26일 | 178cm | 시우다드 데 부르고스es |
G | 살로페크 | 1987년 4월 18일 | 178cm | 시베니크 졸리 JBShr |
F | 미슈라 | 1988년 5월 19일 | 181cm | 시베니크 졸리 JBShr |
F | 만디르 | 1977년 8월 4일 | 174cm | 고스피치hr |
C | 브르살코 | 1989년 8월 12일 | 198cm | 고스피치hr |
F/C | 이반코비치 | 1987년 9월 26일 | 198cm | 시베니크 졸리 JBShr |
F/C | 슬리슈코비치 | 1984년 9월 4일 | 191cm | 셀타 비고es |
G | 시글라르 | 1983년 12월 11일 | 176cm | 페르푸메리아스 아베니다es |
C | 마지치 | 1985년 12월 24일 | 195cm | 노비 자그레브hr |
; 조별 예선
팀 | 승 | 패 | 득점 | 실점 | 점수차 | 승점 |
---|---|---|---|---|---|---|
미국 | 5 | 0 | 462 | 279 | +183 | 10 |
튀르키예 | 4 | 1 | 343 | 316 | +27 | 9 |
중화인민공화국 | 3 | 2 | 346 | 363 | −17 | 8 |
체코 | 2 | 3 | 346 | 332 | +14 | 7 |
크로아티아 | 1 | 4 | 324 | 379 | −55 | 6 |
앙골라 | 0 | 5 | 243 | 395 | −152 | 5 |
날짜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7월 28일영어 | 14:30영어 | 미국 | 81 : 56 | 크로아티아 | 바스켓볼 아레나 |
7월 30일영어 | 9:00영어 | 크로아티아 | 65 : 70 | 중화인민공화국 | 바스켓볼 아레나 |
8월 1일영어 | 16:45영어 | 크로아티아 | 58 : 83 | 체코 | 바스켓볼 아레나 |
8월 3일영어 | 9:00영어 | 튀르키예 | 70 : 65 | 크로아티아 | 바스켓볼 아레나 |
8월 5일영어 | 11:15영어 | 앙골라 | 56 : 75 | 크로아티아 | 바스켓볼 아레나 |
3. 2. [[20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레슬링]]
결과결과
결과
결과
결과
결과
결과
승 3–0 PO
패 0–3 PO
패 1–3 PP
패 0–3 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