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은 2013년 12월 인도에서 개최된 국제 하키 대회로,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 대회는 조별 예선, 순위 결정전, 메달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프랑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네덜란드가 3위, 말레이시아가 4위를 기록했다. 개인 기록에서는 독일의 크리스토퍼 뤼르가 최다 득점자 및 MVP를, 프랑스의 에드가 레노가 대회 골키퍼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에서 개최된 필드하키 대회 - 2018년 남자 하키 월드컵
2018년 남자 하키 월드컵은 인도 부바네스와르에서 개최되었으며, 16개 팀이 참가하여 벨기에가 우승을 차지한 국제 하키 연맹 주관의 대회이다. - 인도에서 개최된 필드하키 대회 - 2016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2016년 인도에서 열린 국제 하키 연맹 주관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에는 16개 팀이 참가하여 아르헨티나가 우승, 독일이 3위, 대한민국이 15위를 기록했다.
2013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2013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
개최국 | 인도 |
개최 도시 | 뉴델리 |
경기장 | 찬드 국립 경기장 |
대회 기간 | 2013년 12월 6일 ~ 2013년 12월 15일 |
참가국 수 | 16 |
대륙 연맹 수 | 5 |
결과 | |
총 경기 수 | 44 |
총 득점 | 223 |
득점왕 | 크리스토퍼 뤼르 (9골) |
최우수 선수 | 크리스토퍼 뤼르 |
최우수 골키퍼 | 에드가 르노 |
통계 | |
득점왕 | Christopher Rühr |
득점왕 골 수 | 9 |
최고 선수 | Christopher Rühr |
최고 골키퍼 | Edgar Reynaud |
관련 정보 | |
이전 대회 | 2009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
다음 대회 | 2016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
기타 | |
![]() |
2. 대회 개요
2. 1. 대회 방식
2. 2. 참가국
개최국 인도를 포함하여 총 16개 팀이 2013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에 참가한다.[3] 각 대륙 연맹은 주니어 대륙 선수권 대회를 통해 참가 자격을 얻었으며, FIH 세계 랭킹에 따라 할당량이 배정되었다.[3]대회 | 할당량 | 참가팀 |
---|---|---|
2012 주니어 아시아컵 | 3 | , , |
2012 유로하키 주니어 선수권 대회 | 6 | , , , , , |
2012 팬 아메리카 주니어 선수권 대회 | 2 | , |
2012 주니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 | , |
2013 주니어 오세아니아컵 | 2 | , |
2. 3. 경기 일정
''모든 시간은 인도 표준시(UTC+05:30)이다.''3. 조별 예선
''모든 시간은 인도 표준시(UTC+05:30)이다.''
=== A조 ===
A조에서는 벨기에, 독일, 파키스탄, 이집트가 경기를 치렀다.[5] 경기 결과, 벨기에와 독일이 8강전에 진출했다.[5]
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1 | 7 | 3 | 2 | 1 | 0 | 10 | 3 | +7 | |
2 | 6 | 3 | 2 | 0 | 1 | 13 | 4 | +9 | |
3 | 4 | 3 | 1 | 1 | 1 | 6 | 10 | -4 | |
4 | 0 | 3 | 0 | 0 | 3 | 2 | 14 | -12 |
2013년 12월 6일, 독일은 벨기에에 1-3으로 패배했다. 같은 날 파키스탄은 이집트를 3-2로 이겼다. 12월 7일, 벨기에는 이집트를 5-0으로 완파했고, 파키스탄은 독일에 1-6으로 대패했다. 12월 10일, 독일은 이집트를 6-0으로 꺾었고, 벨기에는 파키스탄과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 B조 ===
B조는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아르헨티나, 스페인이 속해 있었다.[5] 경기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프랑스가 8강에 진출했다.[5]
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1 | 9 | 3 | 3 | 0 | 0 | 9 | 2 | +7 | |
2 | 6 | 3 | 2 | 0 | 1 | 7 | 7 | 0 | |
3 | 3 | 3 | 1 | 0 | 2 | 5 | 8 | -3 | |
4 | 0 | 3 | 0 | 0 | 3 | 3 | 7 | -4 |
2013년 12월 6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5-2 승리를 거두었다. 더글러스, 메인, 빌, 헤이워드, 해먼드가 득점하였고, 아르헨티나는 코엘료와 페이얏이 득점하였다. 같은 날 스페인은 프랑스에 3-4로 패배했다. 스페인은 이글레시아스, 벨트란, 산체스가 득점했고, 프랑스는 제네스테, 마르탱-브리삭(2골), P. 반 스트라텐이 득점했다.
12월 8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페인을 2-0으로 꺾었다. 빌과 워터스푼이 득점하였다. 아르헨티나는 프랑스에 2-3으로 패배했다. 아르헨티나는 페레스 페사도와 페이얏이 득점했고, 프랑스는 P. 반 스트라텐, 퐁티외, 키에퍼가 득점하였다.
12월 9일, 아르헨티나는 스페인을 1-0으로 이겼다. 사케티가 득점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프랑스를 2-0으로 꺾었다. 메인과 조이스가 득점하였다.
=== C조 ===
C조에서는 네덜란드가 3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5] 대한민국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여 8강전에 진출했다.[5] 인도와 캐나다는 각각 1승 1무 1패, 3패를 기록했다.[5]
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1 | 9 | 3 | 3 | 0 | 0 | 13 | 4 | +9 | |
2 | 4 | 3 | 1 | 1 | 1 | 12 | 10 | +2 | |
3 | 4 | 3 | 1 | 1 | 1 | 8 | 8 | 0 | |
4 | 0 | 3 | 0 | 0 | 3 | 6 | 17 | -11 |
대한민국은 2013년 12월 6일 캐나다와의 첫 경기에서 서인우의 해트트릭과 유승주의 해트트릭, 유민영의 득점에 힘입어 7-4로 승리했다. 12월 7일 네덜란드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는 서인우와 유승주가 득점했지만, 2-3으로 패배했다. 12월 10일 인도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유승주가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3-3 무승부를 거두었다.
네덜란드는 12월 6일 인도와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했고, 12월 7일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했다. 12월 10일 캐나다와의 경기에서는 7-0 대승을 거두었다.
인도는 12월 7일 캐나다를 3-2로 이겼고, 12월 10일 대한민국과 3-3으로 비겼다.
=== D조 ===
D조에서는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잉글랜드가 경기를 치렀다.[5] 경기 결과 말레이시아가 3승(승점 9점)으로 1위, 뉴질랜드가 1승 1무 1패(승점 4점)로 2위를 기록하여 8강에 진출했다.[5]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승 2패(승점 3점), 잉글랜드는 1무 2패(승점 1점)로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5]
2013년 12월 6일, 뉴질랜드는 말레이시아에 2-3으로 패배했고, 잉글랜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1-2로 졌다. 12월 8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말레이시아에 1-2로 패배했고, 뉴질랜드는 잉글랜드와 2-2로 비겼다. 12월 9일, 잉글랜드는 말레이시아에 2-4로 패배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뉴질랜드에 0-1로 졌다.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9 | 3 | 3 | 0 | 0 | 9 | 5 | +4 | |
2 | 4 | 3 | 1 | 1 | 1 | 5 | 5 | 0 | |
3 | 3 | 3 | 1 | 0 | 2 | 3 | 4 | -1 | |
4 | 1 | 3 | 0 | 1 | 2 | 5 | 8 | -3 |
3. 1. A조
A조에서는 벨기에, 독일, 파키스탄, 이집트가 경기를 치렀다.[5] 경기 결과, 벨기에와 독일이 8강전에 진출했다.[5]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1 | 7 | 3 | 2 | 1 | 0 | 10 | 3 | +7 | |
2 | 6 | 3 | 2 | 0 | 1 | 13 | 4 | +9 | |
3 | 4 | 3 | 1 | 1 | 1 | 6 | 10 | -4 | |
4 | 0 | 3 | 0 | 0 | 3 | 2 | 14 | -12 |
2013년 12월 6일, 독일은 벨기에에 1-3으로 패배했다. 같은 날 파키스탄은 이집트를 3-2로 이겼다. 12월 7일, 벨기에는 이집트를 5-0으로 완파했고, 파키스탄은 독일에 1-6으로 대패했다. 12월 10일, 독일은 이집트를 6-0으로 꺾었고, 벨기에는 파키스탄과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3. 2. B조
B조는 오스트레일리아 , 프랑스, 아르헨티나, 스페인이 속해 있었다.[5] 경기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프랑스가 8강에 진출했다.[5]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1 | 9 | 3 | 3 | 0 | 0 | 9 | 2 | +7 | |
2 | 6 | 3 | 2 | 0 | 1 | 7 | 7 | 0 | |
3 | 3 | 3 | 1 | 0 | 2 | 5 | 8 | -3 | |
4 | 0 | 3 | 0 | 0 | 3 | 3 | 7 | -4 |
2013년 12월 6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5-2 승리를 거두었다. 더글러스, 메인, 빌, 헤이워드, 해먼드가 득점하였고, 아르헨티나는 코엘료와 페이얏이 득점하였다. 같은 날 스페인은 프랑스에 3-4로 패배했다. 스페인은 이글레시아스, 벨트란, 산체스가 득점했고, 프랑스는 제네스테, 마르탱-브리삭(2골), P. 반 스트라텐이 득점했다.
12월 8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페인을 2-0으로 꺾었다. 빌과 워터스푼이 득점하였다. 아르헨티나는 프랑스에 2-3으로 패배했다. 아르헨티나는 페레스 페사도와 페이얏이 득점했고, 프랑스는 P. 반 스트라텐, 퐁티외, 키에퍼가 득점하였다.
12월 9일, 아르헨티나는 스페인을 1-0으로 이겼다. 사케티가 득점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프랑스를 2-0으로 꺾었다. 메인과 조이스가 득점하였다.
3. 3. C조
C조에서는 네덜란드가 3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5] 대한민국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여 8강전에 진출했다.[5] 인도와 캐나다는 각각 1승 1무 1패, 3패를 기록했다.[5]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1 | 9 | 3 | 3 | 0 | 0 | 13 | 4 | +9 | |
2 | 4 | 3 | 1 | 1 | 1 | 12 | 10 | +2 | |
3 | 4 | 3 | 1 | 1 | 1 | 8 | 8 | 0 | |
4 | 0 | 3 | 0 | 0 | 3 | 6 | 17 | -11 |
대한민국은 2013년 12월 6일 캐나다와의 첫 경기에서 서인우의 해트트릭과 유승주의 해트트릭, 유민영의 득점에 힘입어 7-4로 승리했다. 12월 7일 네덜란드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는 서인우와 유승주가 득점했지만, 2-3으로 패배했다. 12월 10일 인도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유승주가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3-3 무승부를 거두었다.
네덜란드는 12월 6일 인도와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했고, 12월 7일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했다. 12월 10일 캐나다와의 경기에서는 7-0 대승을 거두었다.
인도는 12월 7일 캐나다를 3-2로 이겼고, 12월 10일 대한민국과 3-3으로 비겼다.
3. 4. D조
D조에서는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잉글랜드가 경기를 치렀다.[5] 경기 결과 말레이시아가 3승(승점 9점)으로 1위, 뉴질랜드가 1승 1무 1패(승점 4점)로 2위를 기록하여 8강에 진출했다.[5]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승 2패(승점 3점), 잉글랜드는 1무 2패(승점 1점)로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5]2013년 12월 6일, 뉴질랜드는 말레이시아에 2-3으로 패배했고, 잉글랜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1-2로 졌다. 12월 8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말레이시아에 1-2로 패배했고, 뉴질랜드는 잉글랜드와 2-2로 비겼다. 12월 9일, 잉글랜드는 말레이시아에 2-4로 패배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뉴질랜드에 0-1로 졌다.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9 | 3 | 3 | 0 | 0 | 9 | 5 | +4 | |
2 | 4 | 3 | 1 | 1 | 1 | 5 | 5 | 0 | |
3 | 3 | 3 | 1 | 0 | 2 | 3 | 4 | -1 | |
4 | 1 | 3 | 0 | 1 | 2 | 5 | 8 | -3 |
4. 순위 결정전
2013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의 순위 결정전은 9위부터 16위까지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15-16위전에서는 이집트가 캐나다를 3-0으로 꺾었다. 이집트는 카렘(32분), 사이드(67분), 아흐메드(70분)의 득점으로 승리했다. 13-16위전에서는 이집트가 잉글랜드를 6-1로, 스페인이 캐나다를 3-2로 이겼다. 13-14위전에서는 스페인이 잉글랜드를 3-2로 꺾고 13위를 차지했다. 스페인은 벨트란(5분), 메르카데(19분), 데 프루토스(68분)의 득점으로 승리했다.
9-12위전에서는 파키스탄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4-0으로, 인도가 아르헨티나를 4-2로 이겼다. 파키스탄은 딜버(8분), 버트(42분, 44분), 이르판(61분)의 득점으로 승리했다. 11-12위전에서는 아르헨티나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4-1로 꺾었다. 9-10위전에서는 파키스탄과 인도가 1-1로 비긴 후, 승부샷에서 파키스탄이 4-2로 승리하여 9위를 차지했다.
4. 1. 대한민국 순위 결정전
5. 메달 라운드
8강전 | 5-8위전 | 준결승전 | 3-4위전 | 결승전 |
---|---|---|---|---|
2013년 12월 12일: | 2013년 12월 13일: | 2013년 12월 13일: | 2013년 12월 15일 17시 45분: | 2013년 12월 15일 20시: |
5. 1. 8강전
2013년 12월 12일, 8강전 네 경기가 열렸다. 벨기에는 프랑스에 4-5로 패배했다. 말레이시아는 대한민국을 2-1로 꺾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독일에 3-4로 졌다. 네덜란드는 뉴질랜드를 3-2로 이겼다.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벨기에와 프랑스의 경기에서 벨기에는 전반 29분 상대 자책골로 선취점을 얻었고, 플렌느보가 전반 37분과 후반 47분에 필드골을, 티에리가 후반 42분에 필드골을 추가하여 4점을 획득했다. 프랑스는 샤를레가 전반 15분 페널티 코너로 득점, 제네스테가 전반 40분 페널티 코너로 득점, 키에퍼가 후반 48분 필드골과 후반 65분 페널티 코너로 득점, 퐁티외가 후반 58분 페널티 코너로 득점하여 총 5점을 얻었다.
말레이시아와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샤흐릴가 전반 18분 필드골과 후반 62분 페널티 코너로 2점을 득점했고, 대한민국은 유승주가 전반 29분 페널티 코너로 1점을 득점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독일의 경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길모어가 전반 8분, 워더스푼이 후반 57분과 69분에 각각 필드골을 넣어 총 3점을 득점했다. 독일은 뢰어가 전반 21분 페널티 코너, 린네코겔이 후반 55분 필드골, 그람부쉬가 후반 58분 필드골, 벨렌이 후반 65분 필드골을 넣어 총 4점을 득점했다.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의 경기에서 네덜란드는 브링크만이 전반 28분과 39분에 필드골을, 히벤달이 후반 42분 페널티 스트로크로 득점하여 총 3점을 얻었다. 뉴질랜드는 우즈가 전반 38분 페널티 코너로, 판 워르콤이 후반 60분 필드골로 총 2점을 얻었다.
5. 2. 5-8위전
2013년 12월 12일, 5-8위 결정전 첫 경기에서 벨기에는 프랑스를 4-5로, 말레이시아는 대한민국을 2-1로 꺾었다. 같은 날, 오스트레일리아는 독일에 3-4로 패했고, 네덜란드는 뉴질랜드를 3-2로 이겼다.12월 13일, 프랑스는 말레이시아와의 경기에서 1-1로 비긴 후 승부치기에서 3-1로 승리했다. 독일은 네덜란드를 5-3으로 이겼다.
크로스오버 경기에서 벨기에는 대한민국을 6-1로 대파했다. 벨기에의 헨드릭스는 페널티 코너로, 플렌느보, 코브에르트, 페레즈, 카펠, 티에리는 필드 골로 득점했다. 대한민국은 남윤선이 페널티 코너로 한 골을 만회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뉴질랜드를 2-1로 꺾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조이스는 페널티 코너로, 워터스푼은 필드 골로 득점했고, 뉴질랜드는 판치아가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12월 15일, 7-8위 결정전에서 뉴질랜드가 대한민국을 4-2로 이겼다. 뉴질랜드의 모리스는 필드 골을, 러셀은 세 번의 페널티 코너 득점을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유민영의 필드 골과 대한민국의 자책골로 두 골을 얻었다. 같은 날, 5-6위 결정전에서 벨기에와 오스트레일리아는 2-2로 비긴 후 승부치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3-2로 승리했다. 벨기에의 플렌느보와 판 린트호우트가 필드 골을 넣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빌의 필드 골과 헤이워드의 페널티 코너 득점으로 응수했다.
프랑스는 독일과의 5-8위전 최종전에서 2-5로 패배하였고, 말레이시아는 네덜란드에 2-7로 패배하였다.
5. 3. 준결승전
2013년 12월 13일, 프랑스와 말레이시아의 첫 준결승전 경기가 15시 30분에 열렸다. 프랑스의 키에퍼가 후반 63분에 필드골을 넣었지만, 말레이시아의 하산이 전반 4분에 이미 필드골을 넣어 1-1 동점으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승부치기 결과, 프랑스가 3-1로 승리했다. 프랑스의 P. 판 스트라텐, 마르탱-브리삭, 보움가르텐, 록우드, 제네스테가 페널티 스트로크를 시도했고, 말레이시아에서는 잘리, 모흐드 유소프, 아샤아리, 사바가 시도했다. 심판은 마르셀로 세르베토(아르헨티나)와 가레스 그린필드(뉴질랜드)였다.같은 날 20시, 독일과 네덜란드의 두 번째 준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독일의 빈트페더가 전반 4분과 14분에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고, 뤼르가 후반 47분, 카파운이 후반 66분, 벨렌이 후반 68분에 각각 필드골을 넣어 5-3으로 승리했다. 네덜란드의 히벤달은 후반 49분과 60분에 페널티 스트로크로 득점했고, 브링크만이 후반 50분에 필드골을 넣었다. 심판은 팀 풀먼(오스트레일리아)와 피터 라이트(남아프리카 공화국)였다.
5. 4. 3-4위전
2013년 12월 15일 17시 45분에 말레이시아와 네덜란드가 3-4위전을 치렀다. 보벤데르트가 전반 3분에, 브링크만이 전반 6분과 28분에, 히벤달이 전반 18분과 37분에, 반 발이 전반 23분에, 갈레마가 후반 52분에 득점하여 네덜란드가 앞서나갔다. 말레이시아의 하심은 전반 7분과 60분에 페널티 코너로 득점하였으나, 최종 스코어는 2-7로 네덜란드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심판은 인도의 자베드 셰이크와 뉴질랜드의 가레스 그린필드가 맡았다.5. 5. 결승전
2013년 12월 15일 20시에 프랑스와 독일의 결승전 경기가 진행되었다. 보움가르텐이 16분, 40분에 득점하였으나, 독일의 벨렌이 2분, 44분, 46분에 득점하고, 고몰과 뤼르가 각각 60분, 68분에 득점하여 5-2로 독일이 승리하였다. 심판은 호주의 팀 풀먼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피터 라이트가 맡았다.6. 최종 순위
하키의 통계적 관례에 따라, 연장전에서 결정된 경기는 승패로, 승부차기로 결정된 경기는 무승부로 계산한다.
최종 순위 | |
---|---|
독일 | |
프랑스 | |
네덜란드 | |
4 | 말레이시아 |
5 | 오스트레일리아 |
6 | 벨기에 |
7 | 뉴질랜드 |
8 | 대한민국 |
9 | 파키스탄 |
10 | 인도 |
11 | 아르헨티나 |
1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3 | 스페인 |
14 | 잉글랜드 |
15 | 이집트 |
16 | 캐나다 |
6. 1. 대한민국 최종 순위
7. 개인 기록
2013년 남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에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한 선수는 9골을 넣은 독일의 크리스토퍼 뤼르이다. 그는 대회 MVP로도 선정되었다. 대한민국의 유승주는 8골로 득점 2위를 기록했다. 뉴질랜드의 케인 러셀은 7골을 기록했다.
6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벨기에의 막심 플레네보, 인도의 구르진더 싱, 프랑스의 장로랑 키에페르, 네덜란드의 티에리 브링크만, 톰 히벤달, 밀란 반 바알이 있다. 독일의 니클라스 벨렌은 5골을 기록했다.
대회 MVP는 독일의 크리스토퍼 뤼르가, 대회 골키퍼 상은 프랑스의 에드가 레노가 수상했다.
최다 득점자 | 대회 MVP | 대회 골키퍼 |
---|---|---|
크리스토퍼 뤼르 | 크리스토퍼 뤼르 | 에드가 레노 |
7. 1. 대한민국 선수 기록
참조
[1]
웹사이트
New Delhi named host of two major FIH events
http://www.fih.ch/en[...]
2013-03-06
[2]
웹사이트
Germany keeps Junior World Cup after exciting final
http://www.fih.ch/en[...]
2013-12-15
[3]
웹사이트
Qualification Criteria for FIH Junior World Cup 2013
http://www.fih.ch/fi[...]
2012-04-08
[4]
뉴스
FIH reveals schedule for Hero Hockey Junior World Cup 2013
http://www.fih.ch/en[...]
FIH
2013-10-09
[5]
웹사이트
FIH
https://www.juniorw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