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FIFA 클럽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은 모로코에서 개최된 국제 클럽 축구 대회이다. 모로코, 이란,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랍에미리트가 유치 경쟁에 참여했으며, 모로코가 최종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레알 마드리드가 결승전에서 CA 산로렌소를 2-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세르히오 라모스가 골든볼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원래 기니 개최 예정이었으나 준비 부족으로 모로코로 변경되었고, 6개 도시에서 24개국이 본선에 진출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릴 예정이다. - 모로코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30년 FIFA 월드컵
2030년 FIFA 월드컵은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가 공동 개최하고,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가 100주년 기념 경기를 개최하며, 총 48개 팀이 참가하여 각 대륙별 예선을 거쳐 본선 진출팀을 결정한다.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은 국제 농구 연맹 주관으로 스페인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개최되었고, 미국이 세르비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카이리 어빙이 MVP, 필리핀이 MVF 최고 국가로 선정되었다.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14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국제 배구 연맹 주관으로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2014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대륙 예선을 통과한 23개국과 개최국 이탈리아를 포함한 총 24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우승, 중국이 준우승, 브라질이 3위를 기록했다. - 2014년 12월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4년 아베 신조가 이끄는 자유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난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아베노믹스, 소비세 인상, 원자력 발전, 집단적 자위권, 미군기지 이전 등을 쟁점으로 다루었으며 자유민주당-공명당 연립이 승리하여 제3차 아베 내각이 출범하였다. - 2014년 12월 - 제65회 NHK 홍백가합전
2014년 섣달 그믐날에 방송된 제65회 NHK 홍백가합전은 "노래하자. 섣달 그믐날은 전원 참가로!"라는 테마로 요시타카 유리코와 아라시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사잔 올 스타즈의 특별 출연과 백조의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FIFA 클럽 월드컵 2014 |
기타 명칭 | FIFA 클럽 월드컵 모로코 2014 Toyota presents FIFA 클럽 월드컵 모로코 2014 كأس العالم للأندية لكرة القدم المغرب 2014 |
![]() | |
개최국 | 모로코 |
개최 기간 | 12월 10일 – 12월 20일 |
참가 팀 수 | 7 |
참가 연맹 수 | 6 |
경기장 수 | 2 |
개최 도시 수 | 2 |
결과 | |
우승 팀 | 레알 마드리드 |
우승 횟수 | 1 |
준우승 팀 | 산로렌소 |
3위 팀 | 오클랜드 시티 |
4위 팀 | 크루스 아술 |
총 경기 수 | 8 |
총 득점 수 | 20 |
총 관중 수 | 228021 |
최다 득점 선수 | 가레스 베일 (레알 마드리드), 2골 세르히오 라모스 (레알 마드리드), 2골 헤라르도 토라도 (크루스 아술), 2골 |
최우수 선수 | 세르히오 라모스 (레알 마드리드) |
페어플레이 상 | 레알 마드리드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3 |
다음 대회 | 2015 |
경기장 |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2 |
득점 | |
득점 합계 | 20 |
경기당 평균 득점 | 2.5 |
2. 대회 유치 과정
2013년과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은 같은 개최국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며, 유치를 위해 다음 4개국이 입찰했다.[6]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에는 각 대륙 연맹의 클럽 대항전 우승팀과 개최국 리그 우승팀을 포함하여 총 7개 팀이 참가했다. 대한민국 팀은 참가하지 않았다.
2011년 10월, FIFA은 이란,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랍에미리트가 입찰을 철회하여 모로코가 유일한 입찰국으로 남았다고 밝혔다.[7] FIFA 집행위원회는 2011년 12월 1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회의에서 모로코를 개최국으로 공식 확정했다.[8]
2014년 8월 21일, FIFA는 2014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으로 인해 개최지 변경 루머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로코를 개최국으로 재확인하는 성명을 발표했다.[9] 모로코는 에볼라에 대한 우려로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를 취소했지만, 에볼라 발생이 가장 심각한 국가 출신 참가자가 없기 때문에 클럽 월드컵을 개최할 것을 다짐했다.[10]
3. 출전 팀
3. 1. 출전 팀 목록
팀명 | 소속 연맹 | 자격 | 출전 횟수 (이전 참가 대회) |
---|---|---|---|
레알 마드리드 | 유럽 축구 연맹 | 2013-14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 2번째 출전 (2000년) |
산로렌소 | 남미 축구 연맹 | 201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 1번째 출전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아시아 축구 연맹 | 2014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ES 세티프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2014년 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크루스 아술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2013-14년 CONCA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오클랜드 시티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 2013-14년 O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6번째 출전 (2006년, 2009년, 2011년, 2012년, 2013년) |
모그레브 테투안 | 아프리카 축구 연맹 (개최국) | 2013-14년 보톨라 우승 | 1번째 출전 |
4.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은 모로코의 라바트와 마라케시에서 개최되었다.[11]
5. 선수 명단
각 팀은 2014년 11월 28일 FIFA 마감일까지 23명의 선수(그 중 3명은 골키퍼여야 함)로 구성된 선수 명단을 제출했다. 부상 선수는 팀의 첫 경기 24시간 전까지 교체할 수 있었다.[2] 선수 명단은 2014년 12월 4일 FIFA에 의해 발표되었다.[14]
6. 경기 심판진
FIFA는 6개 대륙 연맹에서 심판진을 배정했다.[12]
대륙 연맹 | 주심 | 부심 |
---|---|---|
AFC | 벤자민 윌리엄스 | 매튜 크림 폴 세트랑골로 |
CAF | 누만디에스 두에 | 송귀폴로 예오 장-클로드 비루무샤후 |
CONCACAF | 월터 로페스 | 레오넬 레알 게르손 로페스 |
CONMEBOL | 엔리케 오세스 | 카를로스 아스트로자 세르지오 로만 |
OFC | 노르베르트 하우아타 | 테비타 마카시니 폴 아후푸 |
UEFA | 페드루 프로엔사 | 베르티노 미란다 티아고 트리고 |
7. 경기 결과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에 따라 승부를 결정했다.[2]
- 플레이오프, 준준결승전, 준결승전, 결승전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을 통해 승부를 결정했다. 연장전에서도 양 팀이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를 결정했다.
- 5·6위전, 3·4위전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실시했다.
2014년 10월 11일 19:00 WEST (UTC+1)에 마라케시에 위치한 라 마무니아 호텔에서[15] 4강 진출팀의 대진을 결정하기 위한 추첨이 진행되었다.[16]
7. 1. 경기 일정 및 결과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의 경기 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2]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에 따라 승부를 결정했다.
- 플레이오프, 준준결승전, 준결승전, 결승전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을 통해 승부를 결정했다. 연장전에서도 양 팀이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를 결정했다.
- 5·6위전, 3·4위전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실시했다.
경기 | 날짜 | 시간 | 팀 1 | 점수 | 팀 2 | 경기장 | 관중 |
---|---|---|---|---|---|---|---|
플레이오프 | 12월 10일 | 19:30 | 모그레브 테투안 | 0 – 0 (연장) (3 – 4 승) | 오클랜드 시티 | 라바트 | 35,247명 |
8강전 1 | 12월 13일 | 16:00 | ES 세티프 | 0 – 1 | 오클랜드 시티 | 라바트 | 22,153명 |
8강전 2 | 12월 13일 | 19:30 | 크루스 아술 | 3 – 1 (연장)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라바트 | 22,153명 |
5위 결정전 | 12월 17일 | 16:30 | ES 세티프 | 2 – 2 (5 – 4 승)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마라케시 | 18,458명 |
준결승전 1 | 12월 16일 | 19:30 | 크루스 아술 | 0 – 4 | 레알 마드리드 | 마라케시 | 34,862명 |
준결승전 2 | 12월 17일 | 19:30 | 산로렌소 | 2 – 1 (연장) | 오클랜드 시티 | 마라케시 | 18,548명 |
3위 결정전 | 12월 20일 | 16:30 | 크루스 아술 | 1 – 1 (2 – 4 승) | 오클랜드 시티 | 마라케시 | 38,345명 |
결승전 | 12월 20일 | 19:30 | 레알 마드리드 | 2 – 0 | 산로렌소 | 마라케시 | 38,345명 |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00) 기준이다.
- 2014년 10월 11일 19:00 WEST (UTC+1)에 마라케시에 위치한 라 마무니아 호텔에서[15] 4강 진출팀의 대진을 결정하기 위한 추첨이 진행되었다.[16]
7. 2. 플레이오프 (개막전)
2014년 12월 10일 현지 시각 19시 30분, 모로코 라바트의 프린스 물라이 압델라 경기장에서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 플레이오프(개막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는 모로코의 모그레브 테투안과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시티가 맞붙었다.[1]두 팀은 정규 시간과 연장전 동안 득점 없이 비겼다. 결국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가리게 되었는데, 오클랜드 시티가 4-3으로 승리하였다.[1]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5,247명이었으며, 왈테르 로페스 (과테말라)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1]
7. 3. 준준결승전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 준준결승전은 12월 13일에 두 경기가 열렸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00)을 따른다.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을 통해 승부를 결정한다. 연장전에서도 양 팀이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를 결정한다.
경기일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득점 |
---|---|---|---|---|---|
12월 13일 | 16:00 | ES 세티프 | 0 – 1 | 오클랜드 시티 | 어빙 52' [1] |
12월 13일 | 19:30 | 크루스 아술 | 3 – 1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토라도 89 (PK), 118 (PK), 파보네 108 / 라 로카 65 [2] |
두 경기 모두 라바트의 프린스 물라이 압델라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관중 수는 22,153명이었다. 첫 번째 경기의 심판은 포르투갈의 페드루 프로엔사였고, 두 번째 경기의 심판은 코트디부아르의 누망디에즈 두에였다.
7. 4. 준결승전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 준결승전은 12월 16일과 12월 17일에 걸쳐 마라케시의 마라케시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준결승전은 원래 라바트의 프린스 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경기장 상태가 좋지 않아 장소가 변경되었다.[17]준결승전에서는 정규 시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을 진행하고,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한다.
12월 16일에 열린 첫 경기에서는 레알 마드리드(스페인어: Real Madrid Club de Fútbol|레알 마드리드 클루브 데 푸트볼es)가 크루스 아술을 4-0으로 완파했다. 세르히오 라모스가 전반 15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카림 벤제마가 전반 36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후반전에는 가레스 베일이 50분에, 이스코가 72분에 각각 득점하며 레알 마드리드의 대승을 이끌었다.
12월 17일에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산로렌소가 오클랜드 시티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었다. 산로렌소의 파블로 바리엔토스가 전반 추가시간 2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오클랜드 시티의 앙헬 베를랑가가 후반 67분에 동점골을 터뜨렸다. 연장전에서 산로렌소의 마우로 마토스가 93분에 결승골을 기록하며 팀을 결승으로 이끌었다.
7. 5. 5·6위전
2014년 12월 17일 16시 30분(UTC+00)에 마라케시의 마라케시 경기장에서 5·6위전이 열렸다. ES 세티프(알제리)와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오스트레일리아)가 맞붙었으며, 타히티 출신 노르베르 하우아타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17]팀1 | 점수 | 팀2 | 득점자1 | 득점자2 |
---|---|---|---|---|
ES 세티프 | 2 – 2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멀런 (50, 자책골) 지아야 (57) | 카스텔런 (5) 사바 (89) |
ES 세티프 | 5 – 4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
자흐니트 (실패) 가스미 (성공) 벨라메이리 (성공) 지아야 (실패) 멜룰리 (성공) 아루시 (실패) 메가텔리 (성공) 제라라 (성공) | 사바 (성공) 할리티 (실패) 트리피로 (성공) 유리치 (성공) 부자니스 (실패) 멀런 (실패) 포파나 (성공) 아델레케 (실패) |
정규 시간 내에 양 팀이 2-2로 비겨 승부차기로 이어졌고, ES 세티프가 5-4로 승리하여 5위를 차지했다. 이날 경기에는 18,458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7. 6. 3·4위전
2014년 12월 20일 마라케시 경기장(마라케시)에서 3·4위전이 열렸다. 멕시코의 크루스 아술과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시티가 맞붙었는데, 로하스(크루스 아술)와 데 브리스(오클랜드 시티)가 각각 득점하여 정규 시간은 1-1 무승부로 끝났다. 연장전 없이 진행된 승부차기에서 오클랜드 시티가 4-2로 승리하며 3위를 차지했다.[17] 이 경기의 관중은 38,345명이었고, 페드루 프로엔사(포르투갈)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7. 7. 결승전
2014년 FIFA 클럽 월드컵 결승전은 2014년 12월 20일 현지 시각 19시 30분에 마라케시의 마라케시 경기장에서 열렸다. 레알 마드리드(스페인)가 산로렌소(아르헨티나)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7] 라모스는 전반 37분에 선제골을, 베일은 후반 51분에 추가골을 넣었다.[17]
이 경기는 과테말라의 왈테르 로페스 심판이 주심을 맡았으며, 38,345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17]
8. 최종 순위
순위 | 팀 | 소속 연맹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레알 마드리드 | 유럽 축구 연맹 (UEFA) | 2 | 2 | 0 | 0 | 6 | 0 | +6 | 6 |
2 | 산로렌소 |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 2 | 1 | 0 | 1 | 2 | 3 | -1 | 3 |
3 | 오클랜드 시티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 | 4 | 1 | 2 | 1 | 3 | 3 | 0 | 5 |
4 | 크루스 아술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3 | 1 | 1 | 1 | 4 | 6 | -2 | 4 |
5 | ES 세티프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2 | 0 | 1 | 1 | 2 | 3 | -1 | 1 |
6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2 | 0 | 1 | 1 | 3 | 5 | -2 | 1 |
7 | 모그레브 테투안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1 | 0 | 1 | 0 | 0 | 0 | 0 | 1 |
-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경기는 기록상 무승부로 기록된다.
9. 우승 팀
첫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