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남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남자 경기는 일본 삿포로에서 개최되었으며, 미카호 체육관, 츠키사무 체육관, 호시노키 스케이팅 링크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디비전 1에서는 태국이 1위를, 중화 타이베이가 2위를 차지했으며, 톱 디비전에서는 카자흐스탄이 금메달을,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여자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여자 경기는 2017년 2월 18일부터 23일까지 6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남자 | |
---|---|
대회 정보 | |
종목 | 아이스하키 남자 |
대회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
경기장 | 미카호 체육관 호시오키 스케이팅 링크 츠키사무 체육관 |
날짜 | 2017년 2월 18일–26일 |
참가 선수 | 391명 |
참가 국가 | 18개국 |
이전 대회 | 2011년 |
다음 대회 | 2025년 |
메달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남자 경기는 일본 삿포로에 위치한 세 곳의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미카호 체육관에서는 조별 리그, 토너먼트, 결승전이, 츠키사무 체육관에서는 조별 리그, 토너먼트, 동메달 결정전이 개최되었다. 호시노키 스케이팅 링크에서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경기가 열렸다.
경기장 | 수용 인원 |
---|---|
미카호 체육관 | 39,103 |
츠키사무 체육관 | 20,891 |
호시노키 스케이팅 링크 | 42,311 |
2. 1. 경기장 목록
3. 참가국 및 선수 명단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각국은 최대 23명의 선수로 구성된 선수 명단을 제출했다.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3. 1. 디비전 1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남자 디비전 1은 미카호 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팀 | 승 | 연장승 | 연장패 | 패 | 득점 | 실점 |
---|---|---|---|---|---|---|
4 | 1 | 0 | 0 | 36 | 12 | |
3 | 1 | 1 | 0 | 34 | 13 | |
3 | 0 | 0 | 2 | 29 | 24 | |
2 | 0 | 0 | 3 | 25 | 23 | |
1 | 0 | 1 | 3 | 27 | 27 | |
0 | 0 | 0 | 5 | 4 | 56 |
2월 18일, 홍콩은 싱가포르를 상대로 12-1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아랍에미리트를 10-3으로 이겼으며, 태국은 몽골에 5-4로 승리했다.
2월 20일, 아랍에미리트는 태국에 4-6으로 패배했고, 몽골은 싱가포르를 8-0으로 완파했다. 홍콩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중화 타이베이의 5-4 승부샷 승리로 끝났다.
2월 21일, 싱가포르는 중화 타이베이에 1-11로 대패했고, 홍콩은 태국에 2-8로 졌다. 아랍에미리트는 몽골을 6-3으로 꺾었다.
2월 23일, 중화 타이베이와 태국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태국의 3-2 승리로 마무리되었고, 몽골은 홍콩을 8-6으로 이겼다.
3. 2. 디비전 2
디비전 2는 별도로 내용이 없다.3. 3. 톱 디비전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남자 톱 디비전에는 대한민국, 카자흐스탄, 일본, 중국이 참가하였다.순위 | 국가 | 승리 | 연장승 | 연장패 | 패배 | 득점 | 실점 |
---|---|---|---|---|---|---|---|
1 | 3 | 0 | 0 | 0 | 19 | 0 | |
2 | 2 | 0 | 0 | 1 | 14 | 5 | |
3 | 1 | 0 | 0 | 2 | 15 | 11 | |
4 | 0 | 0 | 0 | 3 | 0 | 32 |
2월 22일 쓰키사무 체육관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카자흐스탄의 경기에서 카자흐스탄이 4-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일본은 중국을 14-0으로 대파했다. 2월 24일에는 카자흐스탄이 중국을 8-0으로 이겼고, 대한민국은 일본을 4-1로 꺾었다. 2월 26일, 대한민국은 중국에 10-0 완승을 거두었고, 카자흐스탄은 일본을 7-0으로 제압하며 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3. 4. 선수 명단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각국은 최대 23명의 선수로 구성된 선수 명단을 제출했다.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4. 경기 결과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남자 경기는 디비전별 예선 리그를 거쳐, 상위 팀들이 결선 토너먼트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디비전 2 ==
디비전 2에서는 예선 리그와 결승전이 진행되었다.
== 디비전 1 ==
미카호 체육관에서 2017년 2월 18일부터 2월 23일까지 6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팀 | 승 | 연장승 | 연장패 | 패 | 득점 | 실점 |
---|---|---|---|---|---|---|
4 | 1 | 0 | 0 | 36 | 12 | |
3 | 1 | 1 | 0 | 34 | 13 | |
3 | 0 | 0 | 2 | 29 | 24 | |
2 | 0 | 0 | 3 | 25 | 23 | |
1 | 0 | 1 | 3 | 27 | 27 | |
0 | 0 | 0 | 5 | 4 | 56 |
2월 18일, 홍콩은 싱가포르를 12-1로 이겼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아랍에미리트를 10-3으로 이겼고, 태국은 몽골을 5-4로 이겼다.
2월 20일, 태국은 아랍에미리트를 6-4로 이겼다. 몽골은 싱가포르를 8-0으로 이겼고, 중화 타이베이는 홍콩을 연장전 끝에 승부샷으로 5-4로 이겼다.
2월 21일, 중화 타이베이는 싱가포르를 11-1로 이겼다. 태국은 홍콩을 8-2로 이겼고, 아랍에미리트는 몽골을 6-3으로 이겼다.
2월 23일, 태국은 중화 타이베이를 연장전 끝에 3-2로 이겼고, 몽골은 홍콩을 8-6으로 이겼다.
== 경기 결과 요약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디비전 1 경기에서, (태국)은 4승 1연장승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 (중화 타이베이)는 3승 1연장승 1연장패로 2위를 기록하였다. (아랍에미리트)는 3승 2패로 3위를 차지하였다.
== 톱 디비전 ==
톱 디비전에서는 4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순위 | 국가 | 승 | 연장 승 | 연장 패 | 패 | 득 | 실 |
---|---|---|---|---|---|---|---|
1 | 22px 카자흐스탄 | 3 | 0 | 0 | 0 | 19 | 0 |
2 | 22px 대한민국 | 2 | 0 | 0 | 1 | 14 | 5 |
3 | 22px 일본 | 1 | 0 | 0 | 2 | 15 | 11 |
4 | 22px 중국 | 0 | 0 | 0 | 3 | 0 | 32 |
- ---
2월 22일 쓰키사무 체육관에서 열린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카자흐스탄에 0-4로 패했다. 맷 달튼이 골리로 나섰으나, 볼코프, 미하일리스, 아세토프, 사벤코프에게 실점했다.
같은 날, 일본은 중국을 14-0으로 대파했다. 유타카 후쿠후지와 다쿠토 오노다가 골리로 나섰고, 니시와키, 타카하시, 쿠지(2골), 하가, 후루하시(3골), 미타무라, 우에노, H. 테라오, 타카기, 히라노, 야마시타가 득점했다.
2월 24일, 카자흐스탄은 중국을 8-0으로 이겼다. 쿠드럅체프가 골리로 나섰고, 볼코프(2골), 코브잘로프, 사벤코프(3골), 그렌츠, 사가데예프가 득점했다.
같은 날, 대한민국은 일본을 4-1로 꺾었다. 맷 달튼이 골리로 나섰고, 서영준, 스위프트, 김원중, 박우상이 득점했다. 일본은 우에노가 한 골을 기록했다.
2월 26일, 대한민국은 중국에 10-0 대승을 거두었다. 맷 달튼이 골리로 나섰고, 신상훈(3골), 김상욱, 스위프트, 박우상, 박진규(2골), 신형윤, 김기성이 득점했다.
같은 날, 카자흐스탄은 일본을 7-0으로 완파했다. 비탈리 콜레스닉이 골리로 나섰고, 예브도키모프(2골), 코브잘로프(2골), 사비츠키, 미하일리스, 사벤코프가 득점했다.
== 경기 결과 요약 ==
순위 | 국가 | 승 | 연장 승 | 연장 패 | 패 | 득 | 실 |
---|---|---|---|---|---|---|---|
1 | 22px 카자흐스탄 | 3 | 0 | 0 | 0 | 19 | 0 |
2 | 22px 대한민국 | 2 | 0 | 0 | 1 | 14 | 5 |
3 | 22px 일본 | 1 | 0 | 0 | 2 | 15 | 11 |
4 | 22px 중국 | 0 | 0 | 0 | 3 | 0 | 32 |
- ---
2월 22일 쓰키사무 체육관에서 열린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카자흐스탄에 0-4로 패했다. 같은 날, 일본은 중국을 14-0으로 대파했다.
2월 24일, 카자흐스탄은 중국을 8-0으로 이겼다. 같은 날, 대한민국은 일본을 4-1로 꺾었다.
2월 26일, 대한민국은 중국에 10-0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카자흐스탄은 일본을 7-0으로 완파했다.
4. 1. 디비전 2
디비전 2에서는 예선 리그와 결승전이 진행되었다.4. 2. 디비전 1
미카호 체육관에서 2017년 2월 18일부터 2월 23일까지 6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팀 | 승 | 연장승 | 연장패 | 패 | 득점 | 실점 |
---|---|---|---|---|---|---|
4 | 1 | 0 | 0 | 36 | 12 | |
3 | 1 | 1 | 0 | 34 | 13 | |
3 | 0 | 0 | 2 | 29 | 24 | |
2 | 0 | 0 | 3 | 25 | 23 | |
1 | 0 | 1 | 3 | 27 | 27 | |
0 | 0 | 0 | 5 | 4 | 56 |
2월 18일, 홍콩은 싱가포르를 12-1로 이겼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아랍에미리트를 10-3으로 이겼고, 태국은 몽골을 5-4로 이겼다.
2월 20일, 태국은 아랍에미리트를 6-4로 이겼다. 몽골은 싱가포르를 8-0으로 이겼고, 중화 타이베이는 홍콩을 연장전 끝에 승부샷으로 5-4로 이겼다.
2월 21일, 중화 타이베이는 싱가포르를 11-1로 이겼다. 태국은 홍콩을 8-2로 이겼고, 아랍에미리트는 몽골을 6-3으로 이겼다.
2월 23일, 태국은 중화 타이베이를 연장전 끝에 3-2로 이겼고, 몽골은 홍콩을 8-6으로 이겼다.
4. 2. 1. 경기 결과 요약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아이스하키 디비전 1 경기에서, (태국)은 4승 1연장승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 (중화 타이베이)는 3승 1연장승 1연장패로 2위를 기록하였다. (아랍에미리트)는 3승 2패로 3위를 차지하였다.4. 3. 톱 디비전
톱 디비전에서는 4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순위 | 국가 | 승 | 연장 승 | 연장 패 | 패 | 득 | 실 |
---|---|---|---|---|---|---|---|
1 | 22px 카자흐스탄 | 3 | 0 | 0 | 0 | 19 | 0 |
2 | 22px 대한민국 | 2 | 0 | 0 | 1 | 14 | 5 |
3 | 22px 일본 | 1 | 0 | 0 | 2 | 15 | 11 |
4 | 22px 중국 | 0 | 0 | 0 | 3 | 0 | 32 |
- ---
2월 22일 쓰키사무 체육관에서 열린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카자흐스탄에 0-4로 패했다. 맷 달튼이 골리로 나섰으나, 볼코프, 미하일리스, 아세토프, 사벤코프에게 실점했다.
같은 날, 일본은 중국을 14-0으로 대파했다. 유타카 후쿠후지와 다쿠토 오노다가 골리로 나섰고, 니시와키, 타카하시, 쿠지(2골), 하가, 후루하시(3골), 미타무라, 우에노, H. 테라오, 타카기, 히라노, 야마시타가 득점했다.
2월 24일, 카자흐스탄은 중국을 8-0으로 이겼다. 쿠드럅체프가 골리로 나섰고, 볼코프(2골), 코브잘로프, 사벤코프(3골), 그렌츠, 사가데예프가 득점했다.
같은 날, 대한민국은 일본을 4-1로 꺾었다. 맷 달튼이 골리로 나섰고, 서영준, 스위프트, 김원중, 박우상이 득점했다. 일본은 우에노가 한 골을 기록했다.
2월 26일, 대한민국은 중국에 10-0 대승을 거두었다. 맷 달튼이 골리로 나섰고, 신상훈(3골), 김상욱, 스위프트, 박우상, 박진규(2골), 신형윤, 김기성이 득점했다.
같은 날, 카자흐스탄은 일본을 7-0으로 완파했다. 비탈리 콜레스닉이 골리로 나섰고, 예브도키모프(2골), 코브잘로프(2골), 사비츠키, 미하일리스, 사벤코프가 득점했다.
4. 3. 1. 경기 결과 요약
순위 | 국가 | ||||||
---|---|---|---|---|---|---|---|
1 | 22px 카자흐스탄 | 3 | 0 | 0 | 0 | 19 | 0 |
2 | 22px 대한민국 | 2 | 0 | 0 | 1 | 14 | 5 |
3 | 22px 일본 | 1 | 0 | 0 | 2 | 15 | 11 |
4 | 22px 중국 | 0 | 0 | 0 | 3 | 0 | 32 |
- ---
{{#ifeq:true|true|
2월 22일 쓰키사무 체육관, 삿포로에서 열린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카자흐스탄에 0-4로 패했다. 맷 달튼이 골리로 나섰으나, 볼코프, 미하일리스, 아세토프, 사벤코프에게 실점했다.
같은 날, 일본은 중국을 14-0으로 대파했다. 유타카 후쿠후지와 다쿠토 오노다가 골리로 나섰고, 니시와키, 타카하시, 쿠지(2골), 하가, 후루하시(3골), 미타무라, 우에노, H. 테라오, 타카기, 히라노, 야마시타가 득점했다.
2월 24일, 카자흐스탄은 중국을 8-0으로 이겼다. 쿠드럅체프가 골리로 나섰고, 볼코프(2골), 코브잘로프, 사벤코프(3골), 그렌츠, 사가데예프가 득점했다.
같은 날, 대한민국은 일본을 4-1로 꺾었다. 맷 달튼이 골리로 나섰고, 서영준, 스위프트, 김원중, 박우상이 득점했다. 일본은 우에노가 한 골을 기록했다.
2월 26일, 대한민국은 중국에 10-0 대승을 거두었다. 맷 달튼이 골리로 나섰고, 신상훈(3골), 김상욱, 스위프트, 박우상, 박진규(2골), 신형윤, 김기성이 득점했다.
같은 날, 카자흐스탄은 일본을 7-0으로 완파했다. 비탈리 콜레스닉이 골리로 나섰고, 예브도키모프(2골), 코브잘로프(2골), 사비츠키, 미하일리스, 사벤코프가 득점했다.
|
2월 22일 쓰키사무 체육관에서 열린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카자흐스탄에 0:4로 패했다. 같은 날, 일본은 중국을 14:0으로 대파했다.
2월 24일, 카자흐스탄은 중국을 8:0으로 이겼다. 같은 날, 대한민국은 일본을 4:1로 꺾었다.
2월 26일, 대한민국은 중국에 10:0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카자흐스탄은 일본을 7:0으로 완파했다.
}}
5. 최종 순위
wikitext
순위 | 팀 | 경기 | 승 | 연장전 승 | 연장전 패 | 패 |
---|---|---|---|---|---|---|
카자흐스탄 | 3 | 3 | 0 | 0 | 0 | |
대한민국 | 3 | 2 | 0 | 0 | 1 | |
일본 | 3 | 1 | 0 | 0 | 2 | |
4 | 중국 | 3 | 0 | 0 | 0 | 3 |
5 | 태국 | 5 | 4 | 1 | 0 | 0 |
6 | 중화 타이베이 | 5 | 3 | 1 | 1 | 0 |
7 | 아랍에미리트 | 5 | 3 | 0 | 0 | 2 |
8 | 몽골 | 5 | 2 | 0 | 0 | 3 |
9 | 홍콩 | 5 | 1 | 0 | 1 | 3 |
10 | 싱가포르 | 5 | 0 | 0 | 0 | 5 |
11 | 투르크메니스탄 | 4 | 4 | 0 | 0 | 0 |
12 | 키르기스스탄 | 4 | 3 | 0 | 0 | 1 |
13 | 필리핀 | 4 | 3 | 0 | 0 | 1 |
14 | 마카오 | 4 | 2 | 0 | 0 | 2 |
15 | 말레이시아 | 3 | 1 | 0 | 0 | 2 |
16 | 쿠웨이트 | 3 | 1 | 0 | 0 | 2 |
17 | 카타르 | 3 | 0 | 0 | 0 | 3 |
18 | 인도네시아 | 3 | 0 | 0 | 0 | 3 |
5. 1. 최종 순위 요약
순위 | 팀 |
---|
]]}} | align="left"|||3||3||0||0||0 |- |}]]}} | align="left"|대한민국()||3||2||0||0||1 |- |}]]}} | align="left"|||3||1||0||0||2 |- | 4 | align="left"|중국()||3||0||0||0||3 |- | 5 | align="left"|태국()||5||4||1||0||0 |- | 6 | align="left"|중화 타이베이()||5||3||1||1||0 |- | 7 | align="left"|아랍에미리트()||5||3||0||0||2 |- | 8 | align="left"|몽골()||5||2||0||0||3 |- | 9 | align="left"|홍콩()||5||1||0||1||3 |- | 10 | align="left"|싱가포르()||5||0||0||0||5 |- | 11 | align="left"|투르크메니스탄()||4||4||0||0||0 |- | 12 | align="left"|||4||3||0||0||1 |- | 13 | align="left"|필리핀()||4||3||0||0||1 |- | 14 | align="left"|마카오()||4||2||0||0||2 |- | 15 | align="left"|말레이시아()||3||1||0||0||2 |- | 16 | align="left"| 독립 올림픽 선수(Independent Olympic Athletes)||3||1||0||0||2 |- | 17 | align="left"|카타르()||3||0||0||0||3 |- | 18 | align="left"|인도네시아()||3||0||0||0||3 |} 6. 기록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6. 1. 팀 기록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6. 2. 개인 기록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7. 수상
참조
[1]
웹사이트
Ice hockey
https://sapporo2017.[...]
Sapporo 2017 Organizing Committee
2016-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