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L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 LA는 2018년 6월 2일 나미비아 상공에서 화구로 관측된 수 미터 크기의 소행성이다. 마운트 레몬 탐사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ATLAS)의 관측을 통해 궤도가 정밀하게 계산되었다. 보츠와나 남부에서 화구 관측 보고가 있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불가청음 I47 기지에서 화구 및 충돌 에너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2018 LA는 하워다이트-유크라이트-디오게나이트(HED) 유형의 운석으로 확인되었으며, 약 2,300만 년 전 베스타 소행성에서 분출된 것으로 밝혀졌다. 과학자들은 운석 잔해 수집 및 연구를 통해 소행성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18년 동계 올림픽 남아프리카 공화국 선수단
2018년 동계 올림픽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알파인 스키 선수 1명을 파견하여 남자 대회전과 남자 회전에 출전했으나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 2018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18년 크룬스타트 열차 충돌 사고
2018년 1월 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크룬스타트 인근에서 발생한 열차와 트럭의 충돌 사고로 최소 20명이 사망하고 264명이 부상당했으며, 사고 원인으로는 트럭 운전자의 부주의, 철도 시스템 안전 관리 소홀, 열차 설계 및 관리 문제 등이 지목되었다. - 2018년 발견한 천체 - 이카로스 (항성)
- 2018년 발견한 천체 - 에르사 (위성)
에르사는 2018년에 발견된 목성의 위성으로, S/2018 J 1으로 명명되었다가 국제 천문 연맹에 의해 이슬의 여신 에르세의 이름을 따 에르사로 명명되었으며, 평균 궤도 긴반지름은 1140만 1000 km이고 황도면에 대해 약 29.1°의 궤도 경사를 가지고 목성을 공전한다.
2018 LA | |
---|---|
기본 정보 | |
![]() | |
발견 | 2018년 6월 2일 |
발견자 | 마운트 렘몬 탐사팀, 리차드 코발스키 |
발견 장소 | 마운트 렘몬 천문대 |
MPC 이름 | 2018 LA |
다른 이름 | ZLAF9B2 (NEOCP) |
명명 이유 | 알 수 없음 |
소행성 분류 | NEO, 아폴로 |
궤도 정보 | |
역기점 | 2018년 6월 2일 (JD 2458271.5) |
불확실성 | 8 |
관측 호 | 3.8시간 (14회 관측) |
원일점 | 1.9709 AU |
근일점 | 0.7820 AU |
근일점 통과 시간 | 2018년 7월 26일 |
긴반지름 | 1.3764 AU |
궤도 이심률 | 0.4319 |
공전 주기 | 1.61 yr (590일) |
평균 근점 이각 | 326.73° |
평균 운동 | 0.6103°/일 |
궤도 경사 | 4.2975° |
승교점 경도 | 71.870° |
근일점 인수 | 256.05° |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5000 km 미만 |
금성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0557 AU |
화성 최소 궤도 교차 거리 | 0.0191 AU |
물리적 특징 | |
평균 지름 | 1.6-5.2 m (반사율 0.05–0.3 추정) |
질량 | 25–35 t (55,000–77,000 lbs.) |
반사율 | 0.15–0.30 (충돌 크기 추정) |
분광형 | 알 수 없음 |
절대 등급 | 30.554 |
겉보기 등급 | 18.3 (발견 당시) |
2. 발견 및 관측
2018년 6월 2일, 마운트 레몬 탐사에서 지구로 접근하는 작은 소행성 2018 LA를 처음 발견했다. 이 소행성은 소행성 충돌 예측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ATLAS)의 추가 관측으로 궤도 정보가 정밀화되었으며, 소행성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여 나미비아 지역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이는 화구 보고와 일치했다.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불가청음 I47 기지에서도 화구가 관측되었다.
2. 1. 초기 관측
2018년 6월 2일 UTC 08:22(현지 시각 01:22) 경, 마운트 레몬 탐사는 배경별을 뒤로 두고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겉보기등급 18 정도의 소행성을 관측하였다. 15분간 관측한 결과를 소행성체 센터에 제출하였고, 그 후 1시간 동안 추가로 관측하여 총 1시간 17분의 관측호를 얻었다. 관측 결과, 이 소행성은 소행성 충돌 예측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제트 추진 연구소(JPL)의 스카우트 프로그램에서는 30%, 빌 그레이는 82%의 충돌 확률을 계산했다. 발견 관측 7분 전에 사전 관측이 한 건 있었고, 소행성이 광범위하게 사라지기 전까지 총 85분의 관측 호가 확보되었다.[1]2. 2. ATLAS 관측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ATLAS)의 추가 관측으로 궤도 정보가 정밀화되었다. 4시간의 관측으로 오차 구간이 줄어들었으며, 소행성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여 나미비아 지역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이는 화구 보고와 일치했다.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불가청음 I47 기지에서도 화구가 관측되었으며, 그 무게는 대략 0.47kt으로 추산되었다. 소행성의 지름은 수 m이며, 대략 17km/s의 속도로 낙하하고 있었다. 속도-에너지 관계에 비추어 소행성의 지름은 대략 2.6-3.8m로 추산되었다.
지름이 수m밖에 되지 않는 소행성은 너무 작아서 햇빛을 제대로 반사할 수 없기 때문에 관측하기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2018년 5월 24일에는 이 소행성이 지구로부터 0.069AU 정도 떨어져 있었는데도 겉보기 등급이 25.5등급으로 현대 주요 천문 관측 기관이 30초 스냅샷을 사용하여 관측할 수 있는 최소 등급의 천체보다도 더 어두웠다.
3. 대기 진입 및 충돌
· · · ]]
몇 시간 후인 16:44 UTC, 보츠와나 남부에서 매우 밝은 화구가 관측되기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초기 관측 결과 예측된 지역보다는 더 서쪽에 있었으나, 한 곳에서만 관측되었음에도 시간대와 위치는 거의 비슷했다.
소행성이 단순히 지구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지구 대기권 안으로 들어온다는 것이 확인되자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ATLAS) 2기가 같은 날 밤에 도착하여 관측호를 85분에서 3시간 47분으로 크게 늘였고, 궤도매개변수 관측값을 정밀하게 얻었다. 4시간의 관측호로 오차 구간이 확연히 줄어들었으며, 소행성이 확실히 지구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과 지상 관측 결과 나미비아 지역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화구 보고서와 일치했다.
3. 1. 화구 관측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ATLAS)의 관측 결과와 화구 보고를 종합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 불가청음 I47 기지에서도 화구가 관측되었으며, 그 폭발 에너지는 대략 0.47kt으로 추산되었다. 소행성은 대략 17km/s의 속도로 낙하했으며, 속도-에너지 관계에 비추어 소행성의 지름은 대략 2.6-3.8m로 추산되었다.지름이 수 m밖에 되지 않는 소행성은 너무 작아서 햇빛을 제대로 반사할 수 없기 때문에 관측하기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2018년 5월 24일, 이 소행성이 지구로부터 0.069AU 떨어져 있었는데도 겉보기 등급이 25.5등급으로, 현대 주요 천문 관측 기관이 30초 스냅샷을 사용하여 관측할 수 있는 최소 등급의 천체보다도 더 어두웠다.
4. 운석 발견 및 연구
과학자들은 날씨가 나빠지기 전에 스트룬 지역(Strewn field)에서 운석 잔해들을 찾기 시작했다. 운석 조각들은 종말속도에서 점점 감속되면서 빛을 잃는데, 파편 속도가 대략 2km에서 4km 이하로 떨어지면 빛을 잃는다. 큰 조각일수록 더 아래쪽에 떨어진다.
2018 LA의 잔해가 2008 TC3 때와 비슷한 비율로 남았다고 가정하면, 수 kg의 운석이 땅에 떨어져 발견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8 LA의 질량은 2008 TC3의 40% 정도이다.
4. 1. 운석 수집
2018 LA의 첫 번째 운석 조각은 충돌 3주 후인 2018년 6월 23일에 발견되었으며, 근처 물웅덩이의 이름을 따서 모토피 팬이라고 명명되었다.[5] 피터 제니센스는 마운 대학교 오카방고 연구소의 올리버 모세스와 팀을 이루어 비디오 기록을 바탕으로 수색 범위를 좁혔다. 이들은 보츠와나 지구과학 연구소의 모후치와 가바디르웨, BIUST의 알렉산더 프로이어가 조직한 수색대에 합류하여 첫 번째 운석을 발견했다.[5]헬싱키 대학교의 비파괴 연구 결과, 이 운석은 하워다이트-유크라이트-디오게나이트(HED) 유형으로 밝혀졌다. 이후 추가 탐사를 통해 총 23개의 운석 조각이 발견되었다.[5][6][7] 2018년 10월 가바디르웨가 이끄는 탐험대에서 22개의 운석이 추가로 회수되었고, 2020년 BIUST의 풀비오 프란치가 이끄는 탐험대에서 1개가 더 회수되었다.[5]
6개의 운석 표본은 2018 LA 운석 컨소시엄에 국제적으로 배포되었고, 2021년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8 LA 소행성은 하워다이트-유크라이트-디오게나이트(HED) 유형의 물질, 구체적으로 하워다이트로, 개별 디오게나이트, 누적 및 현무암 유크라이트, 하워다이트 표본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8 LA는 약 2,300만 년 전 베스타 소행성에서 분출되었으며, 루브리아라는 충돌구에서 유래했다.[7]
4. 2. 운석 연구
피터 제니센스는 마운 대학교 오카방고 연구소의 올리버 모세스와 팀을 이루어 비디오 기록을 바탕으로 수색 범위를 좁혔다. 보츠와나 지구과학 연구소와 BIUST 연구자들도 수색에 합류했고, 6월 23일 첫 번째 운석 조각을 발견했다.[5] 이 운석은 근처 물웅덩이 이름을 따서 모토피 팬이라고 불린다. 헬싱키 대학교에서 비파괴 연구를 진행하여 이 운석이 하워다이트-유크라이트-디오게나이트(HED) 유형임을 밝혔다.이후 추가 탐사를 통해 총 23개의 운석 조각이 회수되었다. 6개의 운석 표본은 2018 LA 운석 컨소시엄에 국제적으로 배포되어 연구가 진행되었고, 2021년에 결과가 발표되었다.[6] 연구 결과, 2018 LA 소행성은 하워다이트, 개별 디오게나이트, 누적 및 현무암 유크라이트를 포함하는 하워다이트-유크라이트-디오게나이트(HED) 유형의 물질로 확인되었다. 2018 LA는 약 2,300만 년 전 베스타 소행성에서 분출되었으며, 루브리아라는 충돌구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7]
5. 의의 및 시사점
2018 LA의 발견과 충돌, 그리고 운석 연구는 소행성 위협에 대한 국제적인 대응 시스템을 점검하고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projectp[...]
2018-06-03
[2]
간행물
On the Pre-impact Orbital Evolution of 2018 LA, Parent Body of the Bright Fireball Observed Over Botswana on 2018 June 2
2018-06-18
[3]
간행물
Pre-airburst Orbital Evolution of Earth's Impactor 2018 LA: An Update
2018-07-26
[4]
간행물
Waiting to make an impact: A probable excess of near-Earth asteroids in 2018 LA-like orbits
2019
[5]
뉴스
First Fragment Of Shattered Asteroid Recovered In Botswana
http://astrobob.area[...]
Bob King
2018-07-06
[6]
간행물
The impact and recovery of asteroid 2018 LA
[7]
웹사이트
A 22-Million-Year Journey From the Asteroid Belt to Botswana
https://www.nytimes.[...]
2021-04-29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projectp[...]
2020-02-09
[9]
저널
On the Pre-impact Orbital Evolution of 2018 LA, Parent Body of the Bright Fireball Observed Over Botswana on 2018 June 2
2018-06-18
[10]
저널
Pre-airburst Orbital Evolution of Earth's Impactor 2018 LA: An Update
2018-07-26
[11]
저널
Waiting to make an impact: A probable excess of near-Earth asteroids in 2018 LA-like orbits
2019
[12]
뉴스
First Fragment Of Shattered Asteroid Recovered In Botswana
http://astrobob.area[...]
Bob King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