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2인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2인승 경기는 2017-18 시즌 월드컵 5차까지의 세계 랭킹에 따라 출전권이 배정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했다. 경기는 두 차례의 시도로 진행되었으며, 두 번의 주행 기록을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독일의 토비아스 벤들과 토비아스 아를트 조가 금메달, 오스트리아의 페터 펜츠와 게오르그 피슐러 조가 은메달, 독일의 토니 에거트와 사샤 베네켄 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 대표 박진용, 조정명 조는 9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단체 계주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단체 계주는 13개국이 참가하여 여자 싱글, 남자 싱글, 남자 2인승 순서로 진행된 경기에서 독일팀이 금메달, 캐나다팀이 은메달, 오스트리아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여자 1인승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여자 1인승은 평창에서 3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나흘간 네 번의 시도로 순위를 결정했으며, 독일의 나탈리 가이젠베르거가 금메달, 다야나 아이트베르거가 은메달, 캐나다의 알렉스 고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루지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는 2018년 2월에 개최되었으며, 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2인승, 팀 계주 경기가 진행되었고, 독일이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루지에 관한 - 2014년 동계 올림픽 루지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루지는 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2인승, 팀 릴레이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고 러시아 도핑 스캔들이 있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2인승
2018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2인승은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에서 30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되어 캐나다와 독일이 공동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원윤종과 서영우 조가 6위를 기록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4인승
2018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남자 4인승 경기는 2018년 2월 평창에서 개최되었으며, 독일의 프란체스코 프리드리히 조가 금메달을, 대한민국 원윤종 조와 독일 니코 발터 조가 공동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2인승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2인승 |
대회 | 2018년 동계 올림픽 |
![]() | |
개최지 | 평창, 대한민국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 |
날짜 | 2월 14일 |
참가 선수 | 40명 |
참가 국가 | 13개국 |
우승 기록 | 1:31.697 |
이전 대회 | 2014 |
다음 대회 | 2022 |
메달 정보 | |
금메달 | 토비아스 벤들, 토비아스 아를트 |
금메달 국가 | GER |
은메달 | 페터 펜츠, 게오르크 피슐러 |
은메달 국가 | AUT |
동메달 | 토니 에거트, 사샤 베네켄 |
동메달 국가 | GER |
2. 예선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남자 2인승 종목 출전권은 2017-18시즌 루지 월드컵 5차까지의 결과를 점수로 합산한 세계랭킹에 따라 배정되었다. 총 110쿼터의 출전권이 각 선수들에게 배정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권을 획득했다.[1]
2. 1. 참가 선수 명단
대회 출전권 배정은 2017-18시즌 월드컵 5차까지의 결과를 점수로 합산한 세계랭킹에 따른다. 이번 대회에서 총 110쿼터의 출전권이 각 선수들에게 배정되며, 남자 37명, 여자 27명, 그리고 단체 17팀이 처음에 배정된다. 한 국가당 돌아가는 출전권의 최대치는 남자 3명, 여자 3명, 단체 2팀이다. 단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선수가 최소요건을 갖추기만 한다면 남자, 여자, 단체 종목에 바로 한 명/팀씩 출전권이 자동 부여된다. 이후에는 8명분 쿼터가 새로 배정되는데 먼저 최상위 단체 팀 중 팀원 세 명 중에 출전권을 부여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면 우선 부여되고, 그 후에도 남은 쿼터가 있다면 동등하게 배분 처리된다.[1]다음은 남자 2인승 종목의 참가국별 선수 명단이다.[1]
국가 | 선수 |
---|---|
대한민국 | 조정명 & 박진용 |
독일 | 사샤 베네켄 & 토니 에거트 |
토비아스 아를트 & 토비아스 벤들 | |
라트비아 | 안드리스 시츠 & 유리스 시츠 |
오스카르스 구드라모비치스 & 페테리스 칼닌스 |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알렉산드르 데니시예프 & 블라디슬라프 안토노프 |
안드레이 보그다노프 & 안드레이 메드베데프 | |
루마니아 | 코스민 아토디레이세이 & 스테판 무세이 |
미국 | 제이슨 터디먼 & 매튜 모르텐센 |
앤드루 셔크 & 저스틴 크류슨 | |
슬로바키아 | 카롤 스투흘라크 & 마레크 솔찬스키 |
오스트리아 | 게오르크 피슐러 & 페터 펜츠 |
로렌츠 콜러 & 토마스 슈토이 | |
우크라이나 | 올렉산드르 오볼론치크 & 로만 자하르키우 |
이탈리아 | 파비안 말라이어 & 이반 나글러 |
루드비히 리더 & 파트리크 라스트너 | |
체코 | 안토닌 브로즈 & 루카스 브로즈 |
야로미르 쿠데라 & 마테이 크비찰라 | |
캐나다 | 저스틴 스니드 & 트리스탄 워커 |
폴란드 | 야쿠프 코발레프스키 & 보이치에흐 흐미엘레프스키 |
모든 시간은 한국 시간(UTC+9) 기준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남자 2인승 경기는 2차례의 시도 기록을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했다.[2] 독일의 토비아스 벤들과 토비아스 아를트가 금메달을, 오스트리아의 페터 펜츠와 게오르그 피슐러가 은메달, 독일의 토니 에거트와 사샤 베네켄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3. 경기 일정
날짜 시간 경기 2월 14일 20:20 1차 시기 2월 14일 21:30 2차 시기
4. 경기 결과
4. 1. 최종 순위
토비아스 아를트align=left| 45.820 1 45.877 1 1:31.697 – 5 페터 펜츠
게오르그 피슐러align=left| 45.891 2 45.894 2 1:31.785 +0.088 4 토니 에거트
사샤 베네켄align=left| 45.931 3 46.056 3 1:31.987 +0.290 4 12 토마스 슈토이
로렌츠 콜러align=left| 46.172 5 46.112 5 1:32.284 +0.587 5 9 트리스탄 워커
저스틴 스니쓰align=left| 46.134 4 46.235 6 1:32.369 +0.672 6 2 안드리스 시츠
유리스 시츠align=left| 46.336 9 46.106 4 1:32.442 +0.745 7 11 이반 나글러
파비안 말라이어align=left| 46.320 8 46.243 7 1:32.563 +0.866 8 16 저스틴 크루슨
앤드루 셔크align=left| 46.310 7 46.342 10 1:32.652 +0.955 9 18 박진용
조정명align=left| 46.396 10 46.276 8 1:32.672 +0.975 10 8 매튜 모텐슨
제이슨 터디먼align=left| 46.244 6 46.443 13 1:32.687 +0.990 11 1 알렉산더 데니시에프
블라디슬라프 안토노프align=left| 46.437 11 46.344 11 1:32.781 +1.084 12 7 보이치에흐 크미엘레프스키
야쿠프 코발레프스키align=left| 46.609 13 46.478 14 1:33.087 +1.390 13 14 루카스 브로즈
안토닌 브로즈align=left| 46.570 12 46.582 16 1:33.152 +1.455 14 6 오스카르 구드라모비치스
페테리스 칼닌스align=left| 46.890 17 46.317 9 1:33.207 +1.510 15 10 루드비히 리더
패트릭 라스트너align=left| 46.709 14 46.567 15 1:33.276 +1.579 16 15 안드레이 보그다노프
안드레이 메드베데프align=left| 47.106 19 46.402 12 1:33.508 +1.811 17 19 마레크 솔찬스키
카롤 스투흘라크align=left| 46.780 15 46.811 17 1:33.591 +1.894 18 20 마테이 크비찰라
야로미르 쿠데라align=left| 46.818 16 46.910 18 1:33.728 +2.031 19 13 코스민 아토디레세이
스테판 뮤세이align=left| 47.101 18 47.171 19 1:34.272 +2.575 20 17 올렉산드르 오볼론치크
로만 자카르키우align=left| 48.316 20 47.401 20 1:35.717 +4.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