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경기는 2018년 2월 10일 대한민국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서 진행되었다. 예선, 준결승, 결승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36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임효준(대한민국)이 2:10.485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싱키 크네흐트(네덜란드)가 은메달, 세묜 옐리스트라토프(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는 대한민국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서 열렸으며, 우다징이 세계 신기록과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심석희, 최민정, 김아랑, 김예진)이 금메달, 이탈리아 대표팀이 은메달, 네덜란드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준결승에서는 대한민국과 중국이 올림픽 기록을, 파이널 B에서는 네덜란드가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는 남자 2인승, 남자 4인승, 여자 2인승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최다 메달을 획득, 대한민국은 남자 4인승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2개국 164명의 선수가 참가, 나이지리아의 첫 동계 올림픽 출전도 있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경기는 2018년 2월 18일에 개최되었으며, 일본의 고다이라 나오가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고, 이상화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총 22명으로 구성되어 쇼트트랙,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피겨스케이팅 등의 종목에 참가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는 대한민국과 남북 단일팀으로 출전하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으나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2018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평창군
평창군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84%가 산악 지형인 고랭지대로 밭농사와 고랭지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온난하계 습윤 기후를 보이며, 동계 올림픽 등 주요 국제 스포츠 대회를 개최한 곳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 |
![]() | |
대회 정보 | |
연도 | 2018 |
종류 | 동계 |
종목 | 쇼트트랙 |
세부 종목 | 남자 1500m |
개최국 | 대한민국 |
개최지 | 강릉 |
경기장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기간 | 2월 10일 (예선/결선) |
참가 선수 | 32 |
참가국 | 16 |
메달 정보 | |
금메달 | 임효준 |
금메달 국가 | KOR |
은메달 | 싱키 크네흐트 |
은메달 국가 | NED |
동메달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동메달 국가 | OAR |
올림픽 연혁 | |
이전 대회 | 2014 |
다음 대회 | 2022 |
2. 출전권 예선
2017-18 ISU 쇼트트랙 월드컵 기간 동안의 경기 결과에 따른 세계랭킹에 따라 각국에 일정 쿼터가 배정된다. 한 국가가 받을 수 있는 최대 쿼터수는 그 국가가 계주 경기에 참가하면 남녀당 5쿼터까지이며, 계주 경기에 참가하지 않으면 3쿼터까지이다.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10쿼터를 자동으로 부여받는다.
경기는 예선, 준결승, 결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예선은 총 6개 조로 나뉘어 치러졌으며, 각 조 상위 3명과 추가 진출자(ADV)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은 3개 조로 진행되었고, 각 조 상위 2명과 추가 진출자가 파이널 A에 진출하여 메달 경쟁을 벌였다. 나머지 선수들은 파이널 B에서 순위 결정전을 치렀다.
남자 1500m 종목에는 총 36명의 선수에게 쿼터가 배정됐다.
3. 결과
3. 1. 예선
: '''Q''' – 준결승에 진출
: '''ADV''' – 피반칙으로 진출
: '''PEN''' – 페널티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조 | |||||
1 | 1 | 류 사오린 샨도르 | 헝가리 | 2:12.835 | Q |
2 | 1 | 사뮈엘 지라르 | 캐나다 | 2:12.923 | Q |
3 | 1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러시아 출신 | 2:13.087 | Q |
4 | 1 | 요코야마 히로키 | 일본 | 2:13.323 | |
5 | 1 | 와르드 페트레 | 벨기에 | 2:17.362 | |
1 | 패럴 트레이시 | 영국 | DNF | ||
2조 | |||||
1 | 2 | 샤를 아믈랭 | 캐나다 | 2:12.130 | Q |
2 | 2 | 옌스 알마이 | 벨기에 | 2:12.998 | Q |
3 | 2 | 에런 트란 | 미국 | 2:14.133 | Q |
4 | 2 | 앤디 정 | 오스트레일리아 | 2:16.995 | ADV |
5 | 2 | 한톈위 | 중국 | 2:38.865 | ADV |
2 | 유리 콘포르톨라 | 이탈리아 | PEN | ||
3조 | |||||
1 | 3 | 황대헌 | 대한민국 | 2:15.561 | Q |
2 | 3 | 이츠학 더 라트 | 네덜란드 | 2:15.691 | Q |
3 | 3 | 우다징 | 중국 | 2:15.823 | Q |
4 | 3 | 톰마소 도티 | 이탈리아 | 2:16.177 | |
5 | 3 | 파스칼 디옹 | 캐나다 | 2:16.856 | ADV |
6 | 3 | 최은성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18.213 | |
3 | 블라디슬라브 비카노브 | 이스라엘 | PEN | ||
4조 | |||||
1 | 4 | 임효준 | 대한민국 | 2:13.891 | Q |
2 | 4 | 세바스티앵 르파프 | 프랑스 | 2:13.965 | Q |
3 | 4 | 류 사오앙 | 헝가리 | 2:14.160 | Q |
4 | 4 | 데니스 니키샤 | 카자흐스탄 | 2:14.847 | |
5 | 4 | 막심 샤르헤예우 | 벨라루스 | 2:15.242 | |
4 | 요시나가 가즈키 | 일본 | PEN | ||
5조 | |||||
1 | 5 | 서이라 | 대한민국 | 2:18.750 | Q |
2 | 5 | 로베르토 푸치티스 | 라트비아 | 2:18.825 | Q |
3 | 5 | J. R. 셀스키 | 미국 | 2:19.028 | Q |
4 | 5 | 와타나베 게이타 | 일본 | 2:19.205 | |
5 | 5 | 부리안 처버 | 헝가리 | 2:19.284 | |
6 | 5 | 알렉산드르 슐기노프 | 러시아 출신 | 2:19.308 | |
6조 | |||||
1 | 6 | 존헨리 크루거 | 미국 | 2:15.671 | Q |
2 | 6 | 티보 포코네 | 프랑스 | 2:15.768 | Q |
3 | 6 | 싱키 크네흐트 | 네덜란드 | 2:15.949 | Q |
4 | 6 | 파벨 시트니코프 | 러시아 출신 | 2:33.653 | |
5 | 6 | 쉬훙즈 | 중국 | 2:35.641 | ADV |
6 | 누르베르겐 주마가지예프 | 카자흐스탄 | DNF |
3. 2. 준결승
- '''QA''' – 파이널 A에 진출
- '''QB''' – 파이널 B에 진출
- '''ADV''' – 피반칙으로 진출
- '''PEN''' – 페널티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 | 2:11.003 | QA |
2 | 1 | 샤를 아믈랭 | 캐나다 | 2:11.124 | QA |
3 | 1 | 서이라 | 대한민국 | 2:11.126 | QB |
4 | 1 | 로베르토 푸치티스 | 라트비아 | 2:11.165 | QB |
5 | 1 | 앤디 정 | 오스트레일리아 | 2:11.183 | |
6 | 1 | 사뮈엘 지라르 | 캐나다 | 기록 없음 | ADV |
7 | 1 | J. R. 셀스키 | 미국 | 기록 없음 | PEN |
1 | 2 | 싱키 크네흐트 | 네덜란드 | 2:11.900 | QA |
2 | 2 | 티보 포코네 | 프랑스 | 2:12.049 | QA |
3 | 2 | 파스칼 디옹 | 캐나다 | 2:12.640 | QB |
4 | 2 | 에런 트란 | 미국 | 2:13.487 | QB |
5 | 2 | 류 사오린 샨도르 | 헝가리 | 2:45.709 | ADV |
6 | 2 | 옌스 알마이 | 벨기에 | 기록 없음 | |
7 | 2 | 존헨리 크루거 | 미국 | 기록 없음 | PEN |
1 | 3 | 임효준 | 대한민국 | 2:11.389 | QA |
2 | 3 | 황대헌 | 대한민국 | 2:11.469 | QA |
3 | 3 | 이츠학 더 라트 | 네덜란드 | 2:11.781 | ADV |
4 | 3 | 한톈위 | 중화인민공화국 | 2:11.827 | QB |
5 | 3 | 세바스티앵 르파프 | 프랑스 | 2:11.967 | |
6 | 3 | 쉬훙즈 | 중화인민공화국 | 2:19.310 | |
7 | 3 | 류 사오앙 | 헝가리 | 기록 없음 | PEN |
7 | 3 | 우다징 | 중화인민공화국 | 기록 없음 | PEN |
3. 3. 결승
결승전은 메달을 결정하는 파이널 A와 순위 결정전인 파이널 B로 나뉘어 진행되었다.파이널 A에서는 대한민국의 임효준이 2:10.485의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네덜란드의 싱키 크네흐트가 은메달, 러시아 출신의 세묜 옐리스트라토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함께 출전한 대한민국의 황대헌은 완주하지 못했다. 캐나다의 샤를 아믈랭은 페널티를 받아 실격 처리되었다.
파이널 B에서는 중국의 한톈위가 1위, 대한민국의 서이라가 2위를 기록했다.
3. 3. 1. 파이널 B
wikitext
3. 3. 2. 파이널 A
wikitext순위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임효준 | 대한민국 | 2:10.485 | OR |
2 | 싱키 크네흐트 | 네덜란드 | 2:10.555 | |
3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러시아 출신 | 2:10.687 | |
4 | 사뮈엘 지라르 | 캐나다 | 2:11.176 | |
5 | 류 사오린 샨도르 | 헝가리 | 2:11.520 | |
6 | 이츠학 더 라트 | 네덜란드 | 2:12.362 | |
7 | 티보 포코네 | 프랑스 | 2:53.150 | |
황대헌 | 대한민국 | DNF | ||
샤를 아믈랭 | 캐나다 | PEN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