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슬로바키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슬로바키아는 총 56명의 선수(남자 41명, 여자 15명)를 파견했다. 바이애슬론에서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가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를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루지, 스노보드 종목에도 출전했으나, 아이스하키 남자팀은 11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계 올림픽 슬로바키아 선수단 - 2010년 동계 올림픽 슬로바키아 선수단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슬로바키아 선수단은 바이애슬론에서 금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루지, 스키 점프 등 다양한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했다. - 동계 올림픽 슬로바키아 선수단 - 2014년 동계 올림픽 슬로바키아 선수단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 슬로바키아는 7개 종목에 49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바이애슬론 여자 7.5km 스프린트에서 아나스타샤 쿠즈미나가 금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아이스하키 선수 즈데노 하라가 개회식 기수를 맡았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총 22명으로 구성되어 쇼트트랙,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피겨스케이팅 등의 종목에 참가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는 대한민국과 남북 단일팀으로 출전하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으나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남북 단일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아이스하키 여자 종목에서 '코리아'라는 명칭의 단일팀을 구성하여 참가하였으며, 이는 평화 올림픽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출전 기회 박탈 및 졸속 결정 논란도 있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슬로바키아 선수단 | |
---|---|
기본 정보 | |
NOC | SVK |
참가 연도 | 2018년 |
대회 종류 | 동계 올림픽 |
대회 링크 | 2018년 동계 올림픽 |
국기 | 슬로바키아 국기 |
국기 설명 | 슬로바키아 국기 |
NOC 명칭 | 슬로바키아 올림픽 스포츠 위원회 |
웹사이트 | 슬로바키아 올림픽 스포츠 위원회 웹사이트 |
개최지 | 평창군, 대한민국 |
대회 기간 | 2018년 2월 9일 – 2018년 2월 25일 |
참가 선수 | 56명 |
남자 선수 | 41명 |
여자 선수 | 15명 |
종목 | 7개 |
개막식 기수 | 베로니카 벨레즈-주줄로바 |
폐막식 기수 | 페트라 블호바 |
순위 | 17위 |
금메달 | 1개 |
은메달 | 2개 |
동메달 | 0개 |
총 메달 | 3개 |
참가 횟수 | 자동 |
관련 정보 | 자동 |
2. 참가 선수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슬로바키아 선수단은 총 56명으로, 남자 41명, 여자 15명이었다.
3. 메달 집계
메달 선수 종목 세부 종목 날짜 -- 금메달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바이애슬론 여자 12.5km 매스 스타트 2월 17일 -- 은메달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바이애슬론 여자 10km 추적 2월 12일 -- 은메달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바이애슬론 여자 15km 개인 2월 15일
슬로바키아는 이번 대회에서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가 금메달 1개와 은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3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
3. 1. 메달리스트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 금메달 |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 바이애슬론 | 여자 12.5km 매스 스타트 | 2월 17일 |
-- 은메달 |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 바이애슬론 | 여자 10km 추적 | 2월 12일 |
-- 은메달 |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 바이애슬론 | 여자 15km 개인 | 2월 15일 |
4. 종목별 경기 결과
슬로바키아는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총 7개 종목에 56명의 선수를 파견했다. 바이애슬론 종목에서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가 금메달 1개와 은메달 2개를 획득하며 슬로바키아 선수단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현지) |
---|---|---|---|---|
-- |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 바이애슬론 | 여자 12.5km 매스 스타트 | 2월 17일 |
-- |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 바이애슬론 | 여자 10km 추적 | 2월 12일 |
-- |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 바이애슬론 | 여자 15km 개인 | 2월 15일 |
4. 1. 바이애슬론
2016–17 바이애슬론 월드컵의 국가별 랭킹을 기준으로 슬로바키아는 남자 5명, 여자 5명의 팀 자격을 얻었다.[2][3];남자
선수 | 종목 | 시간 | 미스 | 순위 |
---|---|---|---|---|
Šimon Bartko | 스프린트 | 26:18.4 | 5 (2+3) | 74 |
Tomáš Hasilla | 스프린트 | 26:10.4 | 3 (1+2) | 70 |
개인 | 58:55.2 | 9 (3+1+3+2) | 86 | |
Matej Kazár | 스프린트 | 22:33.7 | 1 (0+1) | 22 |
추적 | 36:42.4 | 5 (1+2+1+1) | 31 | |
개인 | 51:52.4 | 2 (0+1+1+0) | 34 | |
Martin Otčenáš | 스프린트 | 25:39.7 | 4 (0+4) | 52 |
추적 | 36:22.5 | 3 (0+0+3+0) | 27 | |
개인 | 57:16.0 | 5 (1+2+0+2) | 84 | |
Michal Šíma | 개인 | 57:52.3 | 6 (1+1+2+2) | 85 |
Šimon Bartko Tomáš Hasilla Matej Kazár Martin Otčenáš | 팀 계주 | 16 (10+6) | 18 |
;여자
선수 | 종목 | 시간 | 미스 | 순위 |
---|---|---|---|---|
Ivona Fialková | 스프린트 | 24:48.6 | 5 (2+3) | 74 |
개인 | 48:04.4 | 6 (1+1+1+3) | 64 | |
Paulína Fialková | 스프린트 | 21:56.8 | 1 (1+0) | 11 |
추적 | 34:33.6 | 8 (2+2+2+2) | 38 | |
개인 | 42:09.5 | 1 (1+0+0+0) | 5 | |
매스 스타트 | 37:52.6 | 4 (1+2+0+1) | 21 | |
Anastasiya Kuzmina | 스프린트 | 22:00.1 | 3 (2+1) | 13 |
추적 | 31:04.7 | 4 (0+1+2+1) | -- | |
개인 | 41:31.9 | 2 (0+1+1+0) | -- | |
매스 스타트 | 35:23.0 | 1 (0+0+0+1) | -- | |
Terézia Poliaková | 스프린트 | 25:32.2 | 5 (1+4) | 83 |
개인 | 54:46.3 | 10 (1+4+3+2) | 87 | |
Paulína Fialková Anastasiya Kuzmina Terézia Poliaková Ivona Fialková | 팀 계주 | 1:12:41.8 | 10 (3+7) | 5 |
;혼성
선수 | 종목 | 시간 | 미스 | 순위 |
---|---|---|---|---|
Paulína Fialková Matej Kazár Anastasiya Kuzmina Martin Otčenáš | 팀 계주 | 14 (10+4) | 20 |
4. 2. 알파인 스키
슬로바키아는 2018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 종목에 남자 3명, 여자 4명, 총 7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남자
선수 |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합계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마테이 팔라트 | 복합 | 1:23.21 | 53 | 기권 | |||
대회전 | 1:14.99 | 49 | 1:19.79 | 61 | 2:34.78 | 50 | |
회전 | 51.86 | 32 | 기권 | ||||
아담 잠파 | 복합 | 1:23.02 | 51 | 48.08 | 9 | 2:11.10 | 22 |
대회전 | 1:11.40 | 26 | 1:10.46 | 13 | 2:21.86 | 25 | |
회전 | 49.91 | 24 | 52.36 | 26 | 1:42.27 | 24 | |
안드레아스 잠파 | 슈퍼대회전 | - | 1:28.89 | 39 | |||
대회전 | 1:10.61 | 18 | 기권 | ||||
회전 | 54.15 | 39 | 59.43 | 36 | 1:53.58 | 35 |
;여자
선수 | 종목 | 1차 시기 | 2차 시기 | 합계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바르바라 칸토로바 | 활강 | - | 1:45.99 | 29 | |||
슈퍼대회전 | - | 1:25.30 | 35 | ||||
복합 | 1:45.58 | 21 | 44.36 | 18 | 2:29.94 | 18 | |
대회전 | 1:17.74 | 42 | 1:15.20 | 41 | 2:32.94 | 41 | |
회전 | 54.62 | 40 | 53.81 | 34 | 1:48.43 | 34 | |
소냐 모라브치코바 | 대회전 | 1:17.88 | 43 | 1:14.11 | 34 | 2:31.99 | 37 |
회전 | 기권 | ||||||
베로니카 벨레즈-주주로바 | 회전 | 51.46 | 21 | 50.61 | 16 | 1:42.07 | 17 |
페트라 블라호바 | 활강 | - | 기권 | ||||
슈퍼대회전 | - | 1:24.26 | 32 | ||||
복합 | 1:42.58 | 13 | 40.41 | 2 | 2:22.99 | 5 | |
대회전 | 1:11.71 | 12 | 1:10.42 | 21 | 2:22.13 | 13 | |
회전 | 51.12 | 12 | 50.46 | 14 | 1:41.58 | 13 |
;혼성
선수 | 종목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동메달 결정전 | |
---|---|---|---|---|---|---|
상대 | 상대 | 상대 | 상대 | 순위 | ||
마테이 팔라트[1], 아담 잠파[1], 안드레아스 잠파[1], 소냐 모라브치코바[1], 베로니카 벨레즈-주주로바[1], 페트라 블라호바[1] | 단체전 | 진출 실패 |
4. 3. 크로스컨트리 스키
안드레이 세게츠알레나 프로하즈코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