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된 국제 여자 축구 대회이다. 2014년 유치 신청을 시작하여 프랑스가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며, 24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미국이 네덜란드를 결승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메건 라피노가 골든볼과 골든슈를 수상했다. 대회 기간 중 경기 일정, VAR 판정, 잉글랜드와 카메룬의 16강전에서의 선수 행동 등 다양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9년 프랑스 - 2019년 프랑스 오픈
2019년 프랑스 오픈은 파리에서 열린 테니스 그랜드 슬램 대회로, 남자 단식은 라파엘 나달, 여자 단식은 애슐리 바티가 우승했으며, 이 문서는 대회 단식 경기 결과와 상금 정보를 제공한다. - 2019년 프랑스 - 2019년 칸 영화제
2019년 칸 영화제는 2019년 5월 프랑스 칸에서 개최되었으며,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 2019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은 47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진출 팀을 가리는 대회였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의 출전 자격이 박탈되어 포르투갈이 대신 본선에 진출했다. - 2019년 여자 축구 -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201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태국에서 개최된 16세 이하 여자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국제 대회로, 일본이 우승했으며 상위 3팀은 FIFA U-17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결승전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결승전은 2019년 7월 7일 프랑스 리옹에서 미국과 네덜란드가 맞붙어 미국이 2-0으로 승리하며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네덜란드는 사상 첫 결승 진출을 기록했으며, 메건 라피노의 선제골과 로즈 라벨의 추가골로 미국의 승리를 이끌었다.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A조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A조는 개최국 프랑스, UEFA 예선 통과국 노르웨이,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우승팀 나이지리아, AFC 여자 아시안컵 5위 대한민국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랑스가 1위, 노르웨이가 2위, 나이지리아가 3위, 대한민국이 4위를 기록했다.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대회 명칭 | FIFA 여자 월드컵 |
연도 | 2019 |
다른 명칭 |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2019 Coupe du Monde Féminine de la FIFA – France 2019 |
![]() | |
개최국 | 프랑스 |
기간 | 2019년 6월 7일 – 2019년 7월 7일 |
참가 팀 수 | 24 |
참가 연맹 수 | 6 |
경기장 수 | 9 |
도시 수 | 9 |
우승 횟수 | 4 |
총 경기 수 | 52 |
총 득점 수 | 146 |
총 관중 수 | 1131312 |
최다 득점 선수 | 엘런 화이트 알렉스 모건 메건 라피노 (각 6골) |
최우수 선수 | 메건 라피노 |
최우수 골키퍼 | 사리 판 페이넨달 |
최우수 신인 선수 | 기울리아 그빈 |
이전 대회 | 2015 |
다음 대회 | 2023 |
공식 웹사이트 | |
FIFA |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2019(TM) Coupe du Monde Féminine de la FIFA, France 2019(TM) |
2. 개최국 선정
2014년 국제 축구 연맹(FIFA)은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유치 신청을 시작했다. 프랑스, 대한민국, 잉글랜드,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유치 의사를 밝혔으나, 잉글랜드,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유치를 철회했다.[3][4][5][6][7][8] 일본과 스웨덴은 각각 2019년 럭비 월드컵과 2020년 하계 올림픽, 유럽 U-17 대회 개최에 집중하기 위해 유치를 포기했다.[9][10][11]
최종적으로 프랑스와 대한민국이 유치 신청서를 제출했으며,[12][13] 2015년 3월 19일 FIFA 집행위원회의 투표 결과 프랑스가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14][15] 프랑스는 2018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개최권도 자동으로 획득했다.[103]
프랑스는 1938 FIFA 월드컵과 1998 FIFA 월드컵에 이어 남녀 월드컵을 모두 개최하는 네 번째 국가가 되었으며, UEFA 유로 2016 개최 경험을 바탕으로 여자 월드컵을 준비했다.
FIFA 평의회는 2016년 10월 13일과 14일에 각 대륙별 슬롯 할당을 승인했다.[16] 이는 이전 토너먼트와 동일하지만 개최국 슬롯이 CONCACAF(캐나다)에서 UEFA(프랑스)로 변경되었다.[17]
3. 예선
예선 경기는 2017년 4월 3일에 시작하여 2018년 12월 1일에 종료되었다.
아시아 예선에서는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태국이 차례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고, 5위를 차지한 대한민국도 본선에 합류했다.[106]
북중미카리브 예선에서는 미국과 캐나다가 결승에 진출하며 본선행을 확정지었고, 자메이카는 3위를 차지하며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남미 예선에서는 브라질과 칠레가 각각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하며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고, 3위 아르헨티나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오세아니아 예선에서는 뉴질랜드가 우승을 차지하며 본선에 직행했다.
유럽 예선에서는 각 조 1위를 차지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이 본선에 직행했고,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네덜란드도 합류했다. 프랑스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는 아르헨티나가 파나마를 합계 5-1로 꺾고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07]
3. 1. 본선 진출국
총 24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18] 각 팀의 2019년 3월 FIFA 랭킹은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다.[19]
대륙 | 참가국 | FIFA 랭킹 |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중국, 태국 | (14), (6), (7), (16), (34)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카메룬 | (38), (49), (46)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미국, 자메이카, 캐나다 | (1), (53), (5) |
남아메리카 축구 연맹 (CONMEBOL) |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 (10), (37), (39)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 | 뉴질랜드 | (19) |
유럽 축구 연맹 (UEFA) | 프랑스(개최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독일, 스웨덴, 스코틀랜드, 스페인, 이탈리아, 잉글랜드 | (4), (8), (12), (2), (9), (20), (13), (15), (3) |
칠레, 자메이카, 스코틀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여자 월드컵에 처음으로 출전했고,[20] 이탈리아는 1999년 이후 처음으로, 아르헨티나는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이 대회에 참가했다. 브라질, 독일, 일본, 나이지리아, 노르웨이, 스웨덴, 미국은 8번째 월드컵에 진출하여, 지금까지 열린 모든 월드컵에 진출하는 기록을 이어갔다.
4. 개최 도시 및 경기장
국제 축구 연맹(FIFA)은 2017년 6월 14일에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개최 도시 9곳을 선정했다. 개최 도시는 리옹, 파리, 니스, 몽펠리에, 렌, 르아브르, 발랑시엔, 랭스, 그르노블이다.[21][22]
12개 도시가 후보로 올랐으나, 낭트(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낭시(스타드 마르셀 피코), 오세르(스타드 드 라베 데샹)는 최종 선정에서 제외되었다.[22]
준결승과 결승전은 리옹 교외 데신샤르피외에 있는 58,000석 규모의 파르크 올랭피크 리요네에서 열렸고, 개막전은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개최되었다.[23]
리옹 | 파리 | 니스 | 렌 |
---|---|---|---|
파르크 올랭피크 리요네 | 파르크 데 프랭스 | 알리안츠 리비에라 | 로아종 파르크 |
수용 인원: 57,900명[25] | 수용 인원: 45,600명[26] | 수용 인원: 35,100명[27] | 수용 인원: 28,600명[28] |
![]() | ![]() | ![]() | ![]() |
르아브르 | 발랑시엔 | 랭스 | 몽펠리에 |
스타드 오세안 | 스타드 뒤 에노 | 스타드 오귀스트-들론 | 스타드 드 라 모송 |
수용 인원: 24,000명[29] | 수용 인원: 22,600명[30] | 수용 인원: 20,500명[31] | 수용 인원: 19,300명[32] |
![]() | ![]() | ![]() | |
그르노블 | |||
스타드 데 알프 | |||
수용 인원: 18,000명[33] | |||
![]() |
5. 경기 심판진
2018년 12월 3일, FIFA는 주심 27명과 부심 48명의 명단을 발표했다.[132][133]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심판들은 다음과 같다.
주심 | 부심 |
---|---|
6. 조 추첨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조 추첨은 2018년 12월 8일 CET (UTC+1) 18:00에 프랑스 불로뉴비양쿠르 세갱 섬에 있는 라 센 뮤지컬에서 진행되었다.[42] 24개 팀은 4팀씩 6개 조로 편성되었다.[43]
24개 팀은 2018년 12월 7일에 발표된 FIFA 여자 랭킹을 기준으로 4개의 포트에 배정되었으며, 개최국 프랑스는 자동으로 포트 1에 배정되어 A1 자리에 위치했다.[44] 포트 1의 팀들이 먼저 추첨되어 1번 자리에 배정되었다. 그 다음 포트 2, 포트 3, 마지막으로 포트 4의 순서로 추첨이 진행되었으며, 각 팀은 해당 조의 2~4번 자리에 배정되었다. UEFA에 속한 9개 팀을 제외하고, 각 조는 같은 컨페더레이션 소속 팀을 1팀 이상 포함할 수 없으며, UEFA 소속 팀은 3개 조에 2팀씩 포함되어야 했다.[45][46]
조 추첨 방식은 다음과 같다.[121]
- 포트 배정(4개의 포트에 6개 팀씩)은 2018년 12월 7일 발표된 FIFA 여자 랭킹을 기준으로 한다.
- 각 그룹에는 각 포트에서 한 팀씩 들어간다.
- 유럽(UEFA) 이외의 지역 연맹 팀은 동일 그룹에 동일한 지역 연맹 팀이 들어가지 않는다. 유럽(UEFA) 팀은 동일 그룹에 1팀 또는 2팀이 들어간다.
포트 배정[122] 및 조 추첨 결과[123]는 다음과 같다(괄호 안은 랭킹).
포트 |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팀 | 프랑스 (3) ※개최국 | 네덜란드 (7) | 대한민국 (14) | 아르헨티나 (36) |
미국 (1) | 일본 (8) | 중국 (15) | 칠레 (38) | |
독일 (2) | 스웨덴 (9) | 이탈리아 (16) | 나이지리아 (39) | |
잉글랜드 (4) | 브라질 (10) | 뉴질랜드 (19) | 카메룬 (46) | |
캐나다 (5) | 스페인 (12) | 스코틀랜드 (20) | 남아프리카 공화국 (48) | |
오스트레일리아 (6) | 노르웨이 (13) | 태국 (29) | 자메이카 (53) | |
↓ | ↓ | ↓ | ↓ | |
A조 | 프랑스 (3) | 노르웨이 (13) | 대한민국 (14) | 나이지리아 (39) |
B조 | 독일 (2) | 스페인 (12) | 중국 (15) | 남아프리카 공화국 (48) |
C조 | 오스트레일리아 (6) | 브라질 (10) | 이탈리아 (16) | 자메이카 (53) |
D조 | 잉글랜드 (4) | 일본 (8) | 스코틀랜드 (20) | 아르헨티나 (36) |
E조 | 캐나다 (5) | 네덜란드 (7) | 뉴질랜드 (19) | 카메룬 (46) |
F조 | 미국 (1) | 스웨덴 (9) | 태국 (29) | 칠레 (38) |
각 조의 색상은 다음과 같다.
7. 조별 리그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는 각 조 상위 2팀과 각 조 3위 팀 중 상위 4팀이 16강에 진출했다.[48]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 (CEST/UTC+2) 기준이다.[49]
;조별 리그 순위 결정 방식
조별 리그 팀 순위는 다음 방식으로 결정된다:[48]
# 승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획득한 점수 (승리 3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득점한 골 수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획득한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득점한 골 수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페어 플레이 점수 (한 경기에서 한 선수에게 한 번만 감점 적용):
# 추첨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C | 브라질 | 3 | 2 | 0 | 1 | 6 | 3 | +3 | 6 | 16강전 진출 |
B | 중국 | 3 | 1 | 1 | 1 | 1 | 1 | 0 | 4 | |
E | 카메룬 | 3 | 1 | 0 | 2 | 3 | 5 | -2 | 3 | |
A | 나이지리아 | 3 | 1 | 0 | 2 | 2 | 4 | -2 | 3 | |
F | 칠레 | 3 | 1 | 0 | 2 | 2 | 5 | -3 | 3 | 조별 리그 탈락 |
D | 아르헨티나 | 3 | 0 | 2 | 1 | 3 | 4 | -1 | 2 |
6개 조 1, 2위 팀과 함께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상위 4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
7. 1. A조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A조에서는 프랑스, 노르웨이, 나이지리아가 16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3패로 탈락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3 | 3 | 0 | 0 | 7 | 1 | +6 | 9 |
Norge|노르웨이no | 3 | 2 | 0 | 1 | 6 | 3 | +3 | 6 |
Nigeria|나이지리아영어 | 3 | 1 | 0 | 2 | 2 | 4 | -2 | 3 |
대한민국한국어 | 3 | 0 | 0 | 3 | 1 | 8 | -7 | 0 |
경기 일정은 2018년 2월 8일에 결정되었다.[1] 각 조 상위 2개 팀과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4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1] 일시는 현지 시간 (중앙유럽 하계 시간: UTC+2) 기준이다.[1]
개최국 프랑스는 대한민국과의 개막전에서 4-0 대승을 거두었다.[2] 르 소메의 선제골을 시작으로 르나르가 2골, 앙리가 쐐기골을 넣었다.[2] 노르웨이는 나이지리아를 3-0으로 완파했다.[3] 레이텐, 우트란의 연속골과 상대 오하레의 자책골을 묶어 승리했다.[3]
나이지리아는 대한민국을 2-0으로 꺾고 대회 첫 승을 신고했다.[4] 김도연의 자책골과 오쇼알라의 추가골로 승리했다.[4] 프랑스는 노르웨이와의 2차전에서 2-1로 승리하며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5] 고뱅의 선제골과 르 소메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승리했으나, 르나르의 자책골로 한 점을 내주었다.[5]
나이지리아는 프랑스와의 최종전에서 0-1로 패했으나,[6] 조 3위로 16강에 진출했다.[6] 르나르에게 페널티킥 결승골을 허용했다.[6] 대한민국은 노르웨이와의 최종전에서 1-2로 패하며 3전 전패로 대회를 마감했다.[7] 여민지가 만회골을 넣었지만, C.한센과 헤를로브센에게 페널티킥으로 실점하며 무릎을 꿇었다.[7]
7. 2. B조
독일, 스페인, 중국이 16강에 진출하였다.
7. 3. C조
7. 4. D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잉글랜드 | 3 | 3 | 0 | 0 | 5 | 1 | +4 | 9 |
일본 | 3 | 1 | 1 | 1 | 2 | 3 | -1 | 4 |
아르헨티나 | 3 | 0 | 2 | 1 | 3 | 4 | -1 | 2 |
스코틀랜드 | 3 | 0 | 1 | 2 | 5 | 7 | -2 | 1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D조에서 '''잉글랜드'''와 '''일본'''이 16강에 진출하였다.[1]
7. 5. E조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E조 경기는 2018년 2월 8일에 결정되었다. 각 조 상위 2개 팀과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4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네덜란드, 캐나다, 카메룬이 16강에 진출했다. 경기 일시는 현지 시간 기준(중앙유럽 하계 시간: UTC+2)이다.[2]
7. 6. F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미국 | 3 | 3 | 0 | 0 | 18 | 0 | +18 | 9 |
스웨덴 | 3 | 2 | 0 | 1 | 7 | 3 | +4 | 6 |
칠레 | 3 | 1 | 0 | 2 | 2 | 5 | -3 | 3 |
태국 | 3 | 0 | 0 | 3 | 1 | 20 | -19 | 0 |
미국과 스웨덴이 16강에 진출하였다.
7. 7.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C | 브라질 | 3 | 2 | 0 | 1 | 6 | 3 | +3 | 6 | 16강전 진출 |
B | 중국 | 3 | 1 | 1 | 1 | 1 | 1 | 0 | 4 | |
E | 카메룬 | 3 | 1 | 0 | 2 | 3 | 5 | -2 | 3 | |
A | 나이지리아 | 3 | 1 | 0 | 2 | 2 | 4 | -2 | 3 | |
F | 칠레 | 3 | 1 | 0 | 2 | 2 | 5 | -3 | 3 | 조별 리그 탈락 |
D | 아르헨티나 | 3 | 0 | 2 | 1 | 3 | 4 | -1 | 2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여섯 개 조의 1위, 2위 팀과 함께,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상위 4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
8. 결선 토너먼트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의 결선 토너먼트는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 정규 시간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연장전(전후반 각 15분)이 진행되었고, 연장전에서도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했다. 연장전에서는 각 팀에게 네 번째 선수 교체가 허용되었다.[48]
16강 대진은 FIFA의 토너먼트 규정집 18절에 게재된 대진표에 따라 결정되었다. 조별 리그 3위로 16강에 진출한 팀들의 조합에 따라 대진은 아래 표와 같이 구성되었다.
조별 리그 3위 진출팀 | A조 1위 대진 | B조 1위 대진 | C조 1위 대진 | D조 1위 대진 |
---|---|---|---|---|
A B C D | 3C | 3D | 3A | 3B |
A B C E | 3C | 3A | 3B | 3E |
A B C F | 3C | 3A | 3B | 3F |
A B D E | 3D | 3A | 3B | 3E |
A B D F | 3D | 3A | 3B | 3F |
A B E F | 3E | 3A | 3B | 3F |
A C D E | 3C | 3D | 3A | 3E |
A C D F | 3C | 3D | 3A | 3F |
A C E F | 3C | 3A | 3F | 3E |
A D E F | 3D | 3A | 3F | 3E |
B C D E | 3C | 3D | 3B | 3E |
B C D F | 3C | 3D | 3B | 3F |
B C E F | 3E | 3C | 3B | 3F |
B D E F | 3E | 3D | 3B | 3F |
C D E F | 3C | 3D | 3F | 3E |
8. 1. 16강전
(승부차기 4-1)(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