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페이즈 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1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페이즈 2는 2021년 7월 21일부터 8월 29일까지 진행된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대회이다. 대한민국, 일본, 중화 타이베이/홍콩/마카오, 몽골 팀들이 참가했으며, 1주차부터 5주차까지 위클리 서바이벌, 와일드카드, 위클리 파이널이 진행된 후, 6주차에 그랜드 파이널이 열렸다. 그랜드 파이널에서 Gen.G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과 PCS 5 Asia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틀그라운드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최대 100명의 플레이어가 경쟁하는 배틀로얄 방식의 PVP 슈팅 게임이며, 텐센트 게임즈가 배급하고, 무기 등을 활용하여 마지막까지 생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e스포츠 리그를 지원하고 높은 수익을 기록했다. - 배틀그라운드 - 칼리스토 프로토콜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2022년에 출시된 3인칭 서바이벌 호러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제이콥 리가 되어 칼리스토 행성의 교도소에서 탈출하기 위해 근접 및 원거리 전투를 벌이며, PC 버전의 기술적 문제와 낮은 판매량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2021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페이즈 2 | |
---|---|
리그 정보 | |
리그 이름 | 2021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페이즈 2 |
리그 시작일 | 2021년 7월 21일 |
리그 종료일 | 2021년 8월 29일 |
게임 버전 | 12.2 |
주최 | 크래프톤 |
주관 | 크래프톤 |
후원사 | 핫식스 아프리카TV |
이전 시즌 | 2021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페이즈 1 |
다음 시즌 | 2022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페이즈 1 |
최우수 선수 | Pio 차승훈 (Gen.G) |
리그 우승 | Gen.G (1회) |
참가 팀 | 28팀 |
총 상금 | 2억 2,500만원 |
2. 대회 일정
2021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페이즈 2는 2021년 7월 21일부터 8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매주 위클리 서바이벌, 와일드카드, 위클리 파이널이 진행되었고, 6주차에는 그랜드 파이널이 개최되었다.
2. 1. 세부 일정
주차 | 위클리 서바이벌 | 와일드카드 | 위클리 파이널 |
---|---|---|---|
1주차 | 7월 21일 ~ 22일 | 7월 23일 | 7월 24일 ~ 25일 |
2주차 | 7월 28일 ~ 29일 | 7월 30일 | 7월 31일 ~ 8월 1일 |
3주차 | 8월 4일 ~ 5일 | 8월 6일 | 8월 7일 ~ 8일 |
4주차 | 8월 11일 ~ 12일 | 8월 13일 | 8월 14일 ~ 15일 |
5주차 | 8월 18일 ~ 19일 | 8월 20일 | 8월 21일 ~ 22일 |
그랜드 파이널 | 8월 27일 ~ 29일 |
2021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페이즈 2에는 대한민국, 일본, 중화 타이베이/홍콩/마카오, 몽골에서 총 29개 팀이 참가한다. 대부분은 프로 시드를 받아 참가하며, 일부 팀은 2021 LSP S2 대회 결과를 통해 시드를 획득하여 참가한다.
3. 참가 팀
구분 국가 팀 비고 프로 시드 대한민국 아프리카 프릭스 Gen.G 기블리 e스포츠 DWG KIA 매드 클랜 이엠텍 스톰엑스 다나와 e스포츠 T1 그리핀 ATA 고엔고 프린스 OP.GG 스포츠 일본 엔터 포스 36 리젝트 데토네이션 게이밍 화이트 라스칼 제스터 제타 디비전 마쓰이 게이밍 클럽 아르카나 중화 타이베이
홍콩
마카오글로벌 e스포츠 엑셋 아우라 e스포츠 커즌 클랜 XXX 슛 유어 페이스 더 슈퍼 탱크 올웨이즈 아웃사이드 더 서클 일반 시드 대한민국 베로니카 7 2021 LSP S2 우승 몽골 팀 리뉴얼 2021 LSP S2 준우승
3. 1. 대한민국 (14팀)
구분 | 국가 | 팀 | 비고 |
---|---|---|---|
프로 시드 | 대한민국 | 아프리카 프릭스 | |
Gen.G | |||
기블리 e스포츠 | |||
DWG KIA | |||
매드 클랜 | |||
이엠텍 스톰엑스 | |||
다나와 e스포츠 | |||
T1 | |||
그리핀 | |||
ATA | |||
고엔고 프린스 | |||
OP.GG 스포츠 | |||
베로니카 7 | 2021 LSP S2 우승 | ||
일반 시드 | 2021 LSP S2 준우승팀 | 팀 레전드는 몽골팀으로 잘못된 정보 |
3. 2. 일본 (7팀)
3. 3. 중화 타이베이/홍콩/마카오 (7팀)
중화 타이베이/홍콩/마카오 |
---|
글로벌 e스포츠 엑셋 |
아우라 e스포츠 |
커즌 클랜 |
XXX |
슛 유어 페이스 |
더 슈퍼 탱크 |
올웨이즈 아웃사이드 더 서클 |
3. 4. 몽골 (1팀)
팀 리뉴얼은 2021 LSP S2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여 일반 시드를 배정받았다.4. 진행 방식
는 1~5주차의 주차별 경기와 6주차의 그랜드 파이널로 진행된다. 1~5주차에는 위클리 서바이벌, 와일드카드, 위클리 파이널 경기가 진행되고, 6주차에는 그랜드 파이널 경기가 진행된다. 주차별 경기에서 위클리 파이널 1위 5팀과 위클리 파이널 WWCD 횟수 상위 11팀이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한다.
4. 1. 주차별 경기 (1~5주차)
위클리 서바이벌- 2일 동안 12경기를 진행한다. 경기별 치킨 디너(WWCD) 팀은 위클리 파이널에 직행한다.
- 1주차 경기 순서는 PWS: 페이즈 1 순위를 기반으로 진행했다.
- 2주차 이후 경기 순서는 위클리 파이널 상위 1~12위와 와일드카드 5~8위부터 진행했다.
와일드카드
- 1일 동안 6경기를 진행한다. 위클리 서바이벌 하위 16팀이 경기를 치러 최종 1~4위가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한다.
위클리 파이널
- 2일 동안 10경기를 진행한다. 위클리 서바이벌 12팀, 와일드 카드 4팀이 경기를 치른다. 1위는 그랜드 파이널에 직행한다.
4. 2. 그랜드 파이널 (6주차)
3일 동안 6매치를 진행한다. 위클리 파이널 1위 5팀, 위클리 파이널 WWCD 횟수 상위 11팀이 경기를 치른다.5. 결과
순위 | 팀 | 1위 횟수 | 킬 횟수 | 비고 |
---|---|---|---|---|
1 | Gen.G | 4 | 106 | 우승 PGC 2021 진출 PCS 5 Asia 진출 |
2 | 매드 클랜 | 4 | 76 | PCS 5 Asia 진출 |
3 | ATA | 3 | 112 | |
4 | 다나와 e스포츠 | 2 | 87 | |
5 | 기블리 e스포츠 | 1 | 88 | |
6 | DWG KIA | 1 | 85 | |
7 | 데토네이션 게이밍 화이트 | 1 | 64 | |
8 | 베로니카 7 | 1 | 58 | |
9 | 그리핀 | 1 | 57 | |
10 | 이엠텍 스톰엑스 | 0 | 60 | |
11 | 글로벌 e스포츠 엑셋 | 0 | 59 | |
12 | 아프리카 프릭스 | 0 | 56 | |
13 | 엔터 포스 36 | 0 | 52 | |
14 | 고엔고 프린스 | 0 | 37 | |
15 | OPGG 스포츠 | 0 | 35 | |
16 | 제타 디비전 | 0 | 31 |
대회 MVP는 Gen.G 소속 차승훈 선수이다.
5. 1. 주차별 위클리 파이널 결과
순위 | 팀 | 1위 횟수 | 킬 횟수 | 비고 |
---|---|---|---|---|
1 | 젠지한국어 | 3 | 72 | 그랜드 파이널 진출 |
2 | 매드 클랜한국어 | 3 | 36 | |
3 | 그리핀한국어 | 1 | 54 | |
4 | 아프리카 프릭스한국어 | 1 | 45 | |
5 | 제타 디비전일본어 | 1 | 37 | |
6 | 다나와 e스포츠한국어 | 1 | 32 | |
7 | 기블리 e스포츠한국어 | 0 | 52 | |
8 | T1한국어 | 0 | 45 | |
9 | 팀 리뉴얼mn | 0 | 44 | |
10 | 슛 유어 페이스중국어 | 0 | 32 | |
11 | OPGG 스포츠한국어 | 0 | 30 | |
12 | 라스칼 제스터일본어 | 0 | 29 | |
13 | 리젝트일본어 | 0 | 29 | |
14 | 엔터 포스 36일본어 | 0 | 26 | |
15 | 베로니카 7한국어 | 0 | 22 | |
16 | 마쓰이 게이밍 클럽일본어 | 0 | 11 |
순위 | 팀 | 1위 횟수 | 킬 횟수 | 비고 |
---|---|---|---|---|
1 | 그리핀한국어 | 3 | 44 | 그랜드 파이널 진출 |
2 | 기블리 e스포츠한국어 | 2 | 48 | |
3 | 아프리카 프릭스한국어 | 1 | 48 | |
4 | 다나와 e스포츠한국어 | 1 | 47 | |
5 | DWG KIA한국어 | 1 | 41 | |
6 | 젠지한국어 | 1 | 36 | |
7 | 엔터 포스 36일본어 | 1 | 35 | |
8 | 매드 클랜한국어 | 0 | 58 | |
9 | 이엠텍 스톰엑스한국어 | 0 | 45 | |
10 | ATA한국어 | 0 | 41 | |
11 | 데토네이션 게이밍 화이트일본어 | 0 | 35 | |
12 | 팀 리뉴얼mn | 0 | 33 | |
13 | 올웨이즈 아웃사이드 더 서클중국어 | 0 | 28 | |
14 | 아우라 e스포츠중국어 | 0 | 22 | |
15 | OPGG 스포츠한국어 | 0 | 21 | |
16 | T1한국어 | 0 | 21 |
순위 | 팀 | 1위 횟수 | 킬 횟수 | 비고 |
---|---|---|---|---|
1 | 젠지한국어 | 2 | 55 | 그랜드 파이널 진출 |
2 | 매드 클랜한국어 | 2 | 43 | |
3 | 엔터 포스 36일본어 | 1 | 47 | |
4 | DWG KIA한국어 | 1 | 47 | |
5 | 베로니카 7한국어 | 1 | 43 | |
6 | 이엠텍 스톰엑스한국어 | 1 | 38 | |
7 | 아프리카 프릭스한국어 | 1 | 32 | |
8 | 그리핀한국어 | 1 | 30 | |
9 | 기블리 e스포츠한국어 | 0 | 62 | |
10 | 다나와 e스포츠한국어 | 0 | 43 | |
11 | 제타 디비전일본어 | 0 | 31 | |
12 | ATA한국어 | 0 | 39 | |
13 | 아우라 e스포츠중국어 | 0 | 32 | |
14 | 데토네이션 게이밍 화이트일본어 | 0 | 17 | |
15 | XXX중국어 | 0 | 16 | |
16 | 마쓰이 게이밍 클럽일본어 | 0 | 11 |
순위 | 팀 | 1위 횟수 | 킬 횟수 | 비고 |
---|---|---|---|---|
1 | 이엠텍 스톰엑스한국어 | 2 | 41 | 그랜드 파이널 진출 |
2 | 팀 리뉴얼mn | 2 | 37 | |
3 | 아프리카 프릭스한국어 | 1 | 49 | |
4 | 고엔고 프린스한국어 | 1 | 48 | |
5 | 데토네이션 게이밍 화이트일본어 | 1 | 41 | |
6 | 다나와 e스포츠한국어 | 1 | 39 | |
7 | 제타 디비전일본어 | 1 | 39 | |
8 | OPGG 스포츠한국어 | 1 | 22 | |
9 | 젠지한국어 | 0 | 55 | |
10 | DWG KIA한국어 | 0 | 42 | |
11 | 그리핀한국어 | 0 | 38 | |
12 | 매드 클랜한국어 | 0 | 37 | |
13 | T1한국어 | 0 | 33 | |
14 | ATA한국어 | 0 | 30 | |
15 | 엔터 포스 36일본어 | 0 | 26 | |
16 | 마쓰이 게이밍 클럽일본어 | 0 | 11 |
순위 | 팀 | 1위 횟수 | 킬 횟수 | 비고 |
---|---|---|---|---|
1 | 다나와 e스포츠한국어 | 2 | 51 | 그랜드 파이널 진출 |
2 | 글로벌 e스포츠 엑셋중국어 | 2 | 41 | |
3 | 엔터 포스 36일본어 | 2 | 40 | |
4 | 젠지한국어 | 1 | 62 | |
5 | 고엔고 프린스한국어 | 1 | 44 | |
6 | 이엠텍 스톰엑스한국어 | 1 | 41 | |
7 | OPGG 스포츠한국어 | 1 | 24 | |
8 | DWG KIA한국어 | 0 | 43 | |
9 | 기블리 e스포츠한국어 | 0 | 41 | |
10 | 아프리카 프릭스한국어 | 0 | 39 | |
11 | 커즌 클랜중국어 | 0 | 31 | |
12 | 팀 리뉴얼mn | 0 | 31 | |
13 | 그리핀한국어 | 0 | 30 | |
14 | 아우라 e스포츠중국어 | 0 | 28 | |
15 | 올웨이즈 아웃사이드 더 서클중국어 | 0 | 24 | |
16 | 더 슈퍼 탱크중국어 | 0 | 20 |
5. 2. 그랜드 파이널 최종 순위
순위 | 팀 | 1위 횟수 | 킬 횟수 | 비고 |
---|---|---|---|---|
1 | -- 다나와 e스포츠 | 2 | 51 | 그랜드 파이널 진출 |
2 | -- 글로벌 e스포츠 엑셋 | 2 | 41 | |
3 | -- 엔터 포스 36 | 2 | 40 | |
4 | -- Gen.G | 1 | 62 | |
5 | -- 고엔고 프린스 | 1 | 44 | |
6 | -- 이엠텍 스톰엑스 | 1 | 41 | |
7 | -- OPGG 스포츠 | 1 | 24 | |
8 | -- DWG KIA | 0 | 43 | |
9 | -- 기블리 e스포츠 | 0 | 41 | |
10 | -- 아프리카 프릭스 | 0 | 39 | |
11 | -- 커즌 클랜 | 0 | 31 | |
12 | -- 팀 리뉴얼 | 0 | 31 | |
13 | -- 그리핀 | 0 | 30 | |
14 | -- 아우라 e스포츠 | 0 | 28 | |
15 | -- 올웨이즈 아웃사이드 더 서클 | 0 | 24 | |
16 | -- 더 슈퍼 탱크 | 0 | 20 |
5. 3. 최종 결과
순위 | 팀 | 1위 횟수 | 킬 횟수 | 비고 |
---|---|---|---|---|
1 | Gen.G | 4 | 106 | 우승 PGC 2021 진출 PCS 5 Asia 진출 |
2 | 매드 클랜 | 4 | 76 | PCS 5 Asia 진출 |
3 | ATA | 3 | 112 | |
4 | 다나와 e스포츠 | 2 | 87 | |
5 | 기블리 e스포츠 | 1 | 88 | |
6 | DWG KIA | 1 | 85 | |
7 | 데토네이션 게이밍 화이트 | 1 | 64 | |
8 | 베로니카 7 | 1 | 58 | |
9 | 그리핀 | 1 | 57 | |
10 | 이엠텍 스톰엑스 | 0 | 60 | |
11 | 글로벌 e스포츠 엑셋 | 0 | 59 | |
12 | 아프리카 프릭스 | 0 | 56 | |
13 | 엔터 포스 36 | 0 | 52 | |
14 | 고엔고 프린스 | 0 | 37 | |
15 | OPGG 스포츠 | 0 | 35 | |
16 | 제타 디비전 | 0 | 31 |
MVP는 Gen.G 팀의 차승훈(Pio) 선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