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아시안 게임 태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 태국 선수단은 총 12개의 금메달, 14개의 은메달, 32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세팍타크로에서 4개의 금메달, 요트에서 3개의 금메달, 골프에서 2개의 금메달, 태권도에서 2개의 금메달, e스포츠에서 1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육상, 배드민턴, 배구, 복싱, 카누, 사이클, 승마, 주짓수, 가라테, 쿠라쉬, 브리지, 롤러 스포츠, 조정, 사격, 탁구, 테니스, 역도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e스포츠와 육상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태국 선수단 - 2010년 아시안 게임 태국 선수단
2010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태국 선수단은 세팍타크로와 요트 등 여러 종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금메달 19개, 은메달 17개, 동메달 26개, 총 62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8위를 기록했다. - 아시안 게임 태국 선수단 - 2018년 아시안 게임 태국 선수단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 태국은 45개 종목에 830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여 금메달 11개, 은메달 16개, 동메달 46개를 획득하며 종합 12위를 기록했다. - 2022년 아시안 게임 선수단 - 2022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2022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은 2023년 중화인민공화국 항저우에서 개최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아시아 국가들과의 우호 증진에 기여했으며, 총 39개의 금메달, 45개의 은메달, 83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아시안 게임 선수단 - 2022년 아시안 게임 필리핀 선수단
2022년 아시안 게임 필리핀 선수단은 중화인민공화국 항저우에서 열린 대회에 참가한 선수단으로, 복싱, 유도, 사격, 체조 등에서 메달을 기대했으며, 3개의 금메달, 5개의 은메달, 8개의 동메달을 획득하여 총 1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2023년 태국 - 2023년 아시아 폭염
2023년 아시아 폭염은 아시아 전역에서 기록적인 기온 상승을 보이며 사망자 발생, 학교 휴교, 정전, 농작물 피해 등 다양한 피해를 야기했다. - 2023년 태국 - 미스터 글로벌 2022
미스터 글로벌 2022는 베트남의 응우옌 반 쿠엔이 우승하고 필리핀의 마크 카르테스와 태국의 나타폰 치암타라논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으며, 다양한 특별상 수상자들이 배출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이동규가 Top 15에 진출, 김민규가 미스터 글로벌 소셜 미디어 상을 수상했다.
2022년 아시안 게임 태국 선수단 | |
---|---|
2022년 아시안 게임 태국 선수단 | |
NOC | THA |
공식 웹사이트 | 태국 올림픽 위원회 |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기수 | 위라폰 종조호, 타냐폰 프룩사콘 (개막식) |
NOC 명칭 | 태국 올림픽 위원회 |
종목 | 미제공 |
타이틀 | 미제공 |
참가 선수 | 929명 |
위치 | 항저우 시, 저장 성, 중화인민공화국 |
대회 | 아시안 게임 |
날짜 | 미제공 |
연도 | 2022년 |
순위 | 8위 |
금메달 | 12개 |
은메달 | 14개 |
동메달 | 32개 |
총 메달 | 58개 |
국기 설명 | 태국 국기 |
2. 메달 집계
일자 | 날짜 | -- | -- | -- | 합계 |
---|---|---|---|---|---|
1 | 9월 24일 | 0 | 0 | 1 | 1 |
2 | 9월 25일 | 1 | 0 | 1 | 2 |
3 | 9월 26일 | 1 | 0 | 3 | 4 |
4 | 9월 27일 | 4 | 3 | 3 | 10 |
5 | 9월 28일 | 0 | 0 | 1 | 1 |
6 | 9월 29일 | 2 | 0 | 0 | 2 |
7 | 9월 30일 | 0 | 1 | 5 | 6 |
8 | 10월 1일 | 2 | 2 | 0 | 4 |
9 | 10월 2일 | 0 | 1 | 2 | 3 |
10 | 10월 3일 | 0 | 4 | 3 | 7 |
11 | 10월 4일 | 0 | 1 | 5 | 6 |
12 | 10월 5일 | 0 | 2 | 3 | 5 |
13 | 10월 6일 | 0 | 0 | 3 | 3 |
14 | 10월 7일 | 2 | 0 | 2 | 4 |
합계 | 12 | 14 | 32 | 58 |
2022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에서 태국의 메달 집계 현황을 볼 수 있다.
2. 1.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별 메달 | ||||
---|---|---|---|---|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세팍타크로 | 4 | 0 | 0 | 4 |
요트 | 3 | 2 | 2 | 7 |
골프 | 2 | 1 | 0 | 3 |
태권도 | 2 | 0 | 2 | 4 |
e스포츠 | 1 | 1 | 2 | 4 |
복싱 | 0 | 3 | 4 | 7 |
육상 | 0 | 2 | 0 | 2 |
역도 | 0 | 1 | 3 | 4 |
드래곤보트 | 0 | 1 | 2 | 3 |
카누 | 0 | 1 | 1 | 2 |
사이클 | 0 | 1 | 1 | 2 |
승마 | 0 | 1 | 1 | 2 |
주짓수 | 0 | 0 | 2 | 2 |
가라테 | 0 | 0 | 2 | 2 |
쿠라쉬 | 0 | 0 | 2 | 2 |
배드민턴 | 0 | 0 | 1 | 1 |
브리지 | 0 | 0 | 1 | 1 |
롤러스포츠 | 0 | 0 | 1 | 1 |
조정 | 0 | 0 | 1 | 1 |
사격 | 0 | 0 | 1 | 1 |
탁구 | 0 | 0 | 1 | 1 |
테니스 | 0 | 0 | 1 | 1 |
배구 | 0 | 0 | 1 | 1 |
합계 | 12 | 14 | 32 | 58 |
2. 2. 일자별 메달 집계
날짜 | -- 금메달 | -- 은메달 | -- 동메달 | 총 메달 |
---|---|---|---|---|
9월 24일 | 0 | 0 | 1 | 1 |
9월 25일 | 1 | 0 | 1 | 2 |
9월 26일 | 1 | 0 | 3 | 4 |
9월 27일 | 3 | 3 | 3 | 9 |
9월 28일 | 0 | 0 | 1 | 1 |
9월 29일 | 2 | 0 | 0 | 2 |
9월 30일 | 0 | 1 | 3 | 4 |
10월 1일 | 2 | 2 | 0 | 4 |
10월 2일 | 0 | 1 | 2 | 3 |
10월 3일 | 0 | 4 | 3 | 7 |
10월 4일 | 0 | 1 | 5 | 6 |
10월 5일 | 0 | 2 | 3 | 5 |
10월 6일 | 0 | 0 | 3 | 3 |
10월 7일 | 2 | 0 | 2 | 4 |
합계 | 12 | 14 | 32 | 58 |
3. 메달리스트
메달 이름 종목 세부 종목 금메달 태국은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1] 은메달 (주어진 원본 소스에 은메달 정보 없음) 동메달 (주어진 원본 소스에 동메달 정보 없음)
3. 1. 금메달
태국은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1]
3. 2. 은메달
원문 소스에 은메달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비워둡니다.
3. 3. 동메달
해당 섹션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동메달 획득자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
4. 종목별 성적
선수 | 종목 | 시간 | 순위 |
---|---|---|---|
타나크릿 키티야 | 남자 10km 마라톤 | 2:02:20.5 | 9 |
콤찬 위차차이 | 실격 | ||
핌푼 추퐁 | 여자 10km 마라톤 | 2:16:43.3 | 12 |
티티랏 차로엔섭 | 2:19:40.6 | 13 |
태국은 이번 아시안 게임에서 육상, 배드민턴, 배구, e스포츠, 태권도, 요트, 골프, 세팍타크로 등 다양한 종목에 참가했다.
- 육상에서는 푸리폰 분손이 남자 100m에서 은메달, 여자 4x1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 태권도에서는 파니팍 웡파타나키트가 여자 -49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e스포츠에서는 티뎃 송사이사쿨이 EA 스포츠 FC 온라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아레나 오브 발러와 드림 삼국지 2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여자 배구 대표팀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요트와 세팍타크로에서도 금메달을 다수 획득했다.
4. 1. 육상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육상 종목에서 태국은 여러 세부 종목에 참가하여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남자 100m에서 푸리폰 분손이 10.02초로 은메달을 획득하며 태국 육상의 저력을 과시했다. 여자 4x100m 계주에서도 수파완 티팟, 수파니치 풀커드, 오누마 챗타, 수칸다 페트락사가 은메달을 획득하며 여자 육상의 밝은 미래를 예고했다.4. 1. 1. 남자 트랙/도로
; 트랙 & 로드 경기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소라오앗 답방 | 100m | 10.26 | 6 | 10.16 | 5 | 실격 | |
푸리폰 분손 | 10.13 | 2 | 10.06 | 2 | 10.02 | ||
푸리폰 분손 | 200m | 21.26 | 11 | 실격 | 진출 실패 | ||
사라웃 누안시 | 400m | 47.02 | 13 | rowspan=2 colspan=2| | |||
조슈아 로버트 앳킨슨 | 800m | 1:48.18 | 4 | 1:50.50 | 6 | ||
키어런 툰티베이트 | 5000m | colspan=4| | 기권 | ||||
나타폰 단성노엔 | 110m 허들 | 13.97 | 9 | rowspan=3 colspan=2| | 진출 실패 | ||
400m 허들 | 50.42 | 12 | |||||
나타왓 이아무돔, 소라오앗 답방, 차유트 콩프라싯, 푸리폰 분손 | 4 × 100m 계주 | 39.57 | 6 | 38.81 | 4 | ||
사라웃 누안시, 타왓차이 히마이아드, 지라유 플레나라람, 조슈아 로버트 앳킨슨 | 4 × 400m 계주 | 3:06.96 | 5 | 3:04.23 | 4 |
4. 1. 2. 여자 트랙/도로
선수 | 종목 | 예선 | 결선 |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수파니치 풀커드 | 100m | 11.36 | 5 | 11.35 | 4 |
베니 논타남 | 400m | 56.00 | 11 | 진출 실패 | |
수파완 티팟, 수파니치 풀커드, 오누마 챗타, 수칸다 페트락사 | 4 × 100m 계주 | colspan=2| | 44.32 | ||
수칸야 잔차오나, 베니 논타남, 몬티다 통프라추카에오, 앙카나 통태 | 4 × 400m 계주 | colspan=2| | 3:50.44 | 6 |
4. 1. 3. 남자 필드
선수 | 종목 | 예선 | 결승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타완 깨오담 | 높이뛰기 | 2.15m | 2 | 2.26m | 5 |
콥싯 싯티차이 | 1.9m | 16 | 진출 실패 | ||
카신포브 촘차나드 | 장대높이뛰기 | 5.3m | 7 | ||
팟사퐁 암사마르앙 | 5.55m | 4 | |||
자카팟 노이시리 | 포환던지기 | 17.24m | 10 | ||
키앗프라딧 시리사이 | 원반던지기 | 51.59m | 9 | ||
키티퐁 분마완 | 해머던지기 | 55.2m | 13 | ||
와치라윗 손위차이 | 창던지기 | 63.29m | 11 |
4. 1. 4. 여자 필드
선수 | 종목 | 결선 | |
---|---|---|---|
기록 | 순위 | ||
차야니사 촘추엔디 | 장대높이뛰기 | 4.20 | 4 |
촌티차 카붓 | 3.80 | 8 | |
파리야 츄아이마로엥 | 세단뛰기 | 13.22 | 7 |
아리랏 인타디스 | 포환던지기 | 15.50 | 8 |
수벤랏 인샌 | 원반던지기 | 58.26 | 4 |
밍카몬 쿰폰 | 해머던지기 | 60.30 | 8 |
자리야 위차이디트 | 창던지기 | 53.78 | 8 |
4. 1. 5. 남자 10종 경기
수티삭 싱콘은 남자 10종 경기에 출전하여 7239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 세부 종목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종목 | 100m | 멀리뛰기 | 포환던지기 | 높이뛰기 | 400m | 110m 허들 | 원반던지기 | 장대높이뛰기 | 창던지기 | 1500m | 최종 | 순위 |
---|---|---|---|---|---|---|---|---|---|---|---|---|
결과 | 11.15 | 7.29 | 14.12 | 1.94 | 50.12 | 15.57 | 40.88 | 4.30 | 48.53 | 5:10.24 | 7239 | 6 |
점수 | 827 | 883 | 736 | 749 | 809 | 782 | 682 | 702 | 567 | 502 |
4. 1. 6. 여자 7종 경기
선수 | 종목 | 200m | 800m | 최종 점수 | 순위 | |||||
---|---|---|---|---|---|---|---|---|---|---|
수니사 코트시므앙 | 기록 | 15.09 | 1.61 | 11.06 | 26.90 | 5.34 | 35.35 | 2:39.42 | 4708 | 10 |
점수 | 830 | 747 | 599 | 720 | 654 | 578 | 580 |
4. 2. 배드민턴
점수점수
점수
점수
점수
점수
승 (17–21, 21–18, 21–15)
패 (21–10, 19–21, 6–21)
승 (21–7, 21–9)
승 (21–3, 21–5)
패 (17–21, 12–21)
파카폰 티라라차쿨
수닐 조시 (NEP)
승 (21–8, 21–5)
무하마드 리안 아르디안토 (INA)
패 (15–21, 15–21)
키티누퐁 케드렌
짐바 상게이 렌둡 (BHU)
승 (21–4, 21–4)
소 우이 윅 (MAS)
패 (12–21, 14–21)
패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