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는 조별 예선을 통과한 16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전은 8월 5일부터 8일까지, 8강전은 8월 11일과 12일에 열렸다. 준결승전은 8월 15일과 16일에, 3·4위전은 8월 19일에, 결승전은 8월 20일에 개최되었다. 결선 토너먼트의 모든 경기는 정규 시간 90분 종료 후 동점일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 스페인이 결승전에서 잉글랜드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H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H조는 독일, 모로코, 콜롬비아, 대한민국이 참가하여 콜롬비아와 모로코가 16강에 진출하고 독일과 대한민국이 탈락하는 이변이 일어났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D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D조는 잉글랜드, 아이티, 덴마크, 중국이 참가하여 잉글랜드와 덴마크가 16강에 진출했으며, 각 팀의 경기 결과, 선수 및 심판 정보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 | |
---|---|
대회 정보 | |
대회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
기간 | 2023년 8월 5일 ~ 2023년 8월 20일 |
참가팀 수 | 16개국 |
경기 수 | 15경기 |
우승 | 스페인 |
준우승 | 잉글랜드 |
3위 | 스웨덴 |
4위 | 오스트레일리아 |
최다 득점자 | 미야자와 히나타 (5골) 카드 소우자 (5골) 알렉산드라 포프 (5골) |
최우수 선수 | 아이타나 본마티 |
최우수 젊은 선수 | 살마 파라유엘로 |
골든 글러브 | 메리 얼프스 |
경기 결과 | |
16강전 | 2023년 8월 5일 ~ 2023년 8월 8일 |
8강전 | 2023년 8월 11일 ~ 2023년 8월 12일 |
준결승전 | 2023년 8월 15일 ~ 2023년 8월 16일 |
3·4위전 | 2023년 8월 19일 |
결승전 | 2023년 8월 20일 |
관련 정보 | |
이전 대회 | 2019년 |
다음 대회 | 2027년 |
2. 진출팀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90분 경기(정규 시간)가 종료되었을 때 경기가 동점인 경우, 각 팀이 여섯 번째 교체를 할 수 있는 연장전 (전, 후반 각 15분)이 진행된다. 연장전 이후에도 동점인 경우, 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승부차기로 경기가 결정된다.[3]
{| class="wikitable"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16강전에서는 여러 흥미로운 경기들이 펼쳐졌다.
각 8개 조에서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2]
3. 경기 방식
4. 대진표
|-
! 16강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8월 5일, 오클랜드 Schweizde 1 - 5 Españaes 8월 5일, 웰링턴 日本일본어 3 - 1 Norgeno 8월 6일, 시드니 (풋볼) Nederlandnl 2 - 0 Suid-Afrikaaf 8월 6일, 멜버른 Sverigesv 0 (5) - 0 (4) United States영어 8월 7일, 시드니 (AUS) Australia영어 2 - 0 Danmarkda 8월 7일, 브리즈번 England영어 0 (4) - 0 (2) Nigeria영어 8월 8일, 애들레이드 France프랑스어 4 - 0 المغربar 8월 8일, 멜버른 Colombiaes 1 - 0 Jamaica영어
|8월 11일, 웰링턴 Españaes 2 - 1 Nederlandnl 8월 11일, 오클랜드 日本일본어 1 - 2 Sverigesv 8월 12일, 브리즈번 Australia영어 0 (7) - 0 (6) France프랑스어 8월 12일, 시드니 (AUS) England영어 2 - 1 Colombiaes
|
|8월 20일, 시드니 (AUS) Españaes 1 - 0 England영어
|-
! colspan="3" | 3위 결정전
|-
| colspan="3" |8월 19일, 브리즈번 Sverigesv 2 - 0 Australia영어
|}
5. 16강전
8월 5일,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 노르웨이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3-1로 승리했다. 일본은 전반 15분 잉리드 쉬르스타드 엥엔의 자책골로 앞서나갔지만, 노르웨이는 전반 20분 구로 레이텐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후반전에는 일본이 시미즈 리사와 미야자와 히나타의 연속골로 승리하며 미야자와 히나타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같은 날, 스위스와 스페인의 경기에서는 스페인이 5-1로 크게 이겼다. 아이타나 본마티가 2골을 넣는 등 맹활약하며 스페인의 승리를 이끌었고,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8월 6일에는 네덜란드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2-0으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질 로르트가 선제골을 넣었고, 리네트 베이렌스테인이 추가골을 기록하며 질 로르트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같은 날, 스웨덴과 미국의 경기는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스웨덴이 승리했다. 양 팀은 정규 시간과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겼고, 승부차기에서 스웨덴이 5-4로 이겼다. 스웨덴 골키퍼 제시라 무쇼비치는 뛰어난 선방으로 최우수 선수에 선정되었다.
8월 7일, 잉글랜드는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끝에 승리했다. 양 팀은 정규 시간과 연장전 동안 0-0으로 득점 없이 비겼고, 승부차기에서 잉글랜드가 4-2로 승리하며 잉글랜드의 골키퍼 메리 어프스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같은 날, 오스트레일리아는 덴마크를 2-0으로 꺾었다. 케이틀린 푸어드와 헤일리 라소가 득점을 기록하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승리를 이끌었고, 스테프 캐틀리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8월 8일, 콜롬비아는 자메이카를 1-0으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카탈리나 우스메가 결승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프랑스는 모로코를 4-0으로 크게 이겼다. 카디디아투 디아니, 켄자 달리, 외제니 르 소메가 득점을 기록했다. 특히, 외제니 르 소메는 두 골을 넣으며 활약했고, 카디디아투 디아니는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5. 1. 스위스 vs 스페인
2023년 8월 5일, 오클랜드의 이든 파크에서 열린 스위스와 스페인의 16강전 경기는 스페인이 5-1로 크게 이겼다.
경기 초반 본마티의 선제골과 레돈도의 추가골로 스페인이 앞서나갔다. 스위스는 코디나의 자책골로 한 점을 만회했지만, 전반 종료 직전 코디나가 자신의 실수를 만회하는 골을 넣어 스페인이 3-1로 앞선 채 전반전을 마쳤다.
후반전에도 스페인의 공세는 이어졌다. 에르모소가 추가골을 기록하며 스페인이 4-1로 달아났다. 경기는 스페인의 5-1 승리로 끝났다.
이 경기에서 본마티는 뛰어난 활약으로 경기 최우수 선수(Man of the Match)에 선정되었다.[4]
- 상세 정보
- 선수 명단
스위스 | 스페인 |
---|---|
5. 2. 일본 vs 노르웨이
'''일본'''은 2023년 8월 5일 17:00 (UTC+12)에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16강전에서 노르웨이를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었다.
선수 | 포지션 | |
---|---|---|
일본 | ||
미야자와 히나타 | 공격수 | |
시미즈 리사 | 미드필더 | |
노르웨이 | ||
잉리드 쉬르스타드 엥엔 | 미드필더 | |
구로 레이텐 | 공격수 |
'''최우수 선수''': 미야자와 히나타 (일본)
5. 3. 네덜란드 vs 남아프리카 공화국
{| class="wikitable"
|-
! width="40%"| 네덜란드
! width="40%"| 남아프리카 공화국
|-
|
width=25| | width=25| | |||
---|---|---|---|---|
GK | 1 | 다프너 판 돔셀라르 | ||
CB | 3 | 스테파니 판 데르 흐라흐트 | ||
CB | 20 | 린 빌름스 | ||
CB | 8 | 셰리다 스피처 (주장) | ||
RM | 17 | 질 로르트 | ||
CM | 6 | 질 바이에닝스 | ||
CM | 14 | 자키 흐루넌 | ||
LM | 22 | 에스메이 브뤼흐츠 | ||
AM | 10 | 다니엘러 판 더 동크 | ||
CF | 9 | 카티아 스누에이스 | ||
CF | 11 | 리커 마르턴스 | ||
교체 선수: | ||||
FW | 7 | 리네트 베이렌스테인 | ||
MF | 21 | 다마리스 에휘롤라 | ||
MF | 19 | 비커 캅테인 | ||
DF | 18 | 케르스틴 카스파레이 | ||
DF | 2 | 케이틀린 데이크스트라 | ||
감독: | ||||
안드리스 용커르 |
|
width=25| | width=25| | |||
---|---|---|---|---|
GK | 1 | 케일린 스와르트 | ||
RB | 2 | 레보강 라말레페 | ||
CB | 13 | 밤바나니 음바네 | ||
CB | 4 | 노코 마틀루 | ||
LB | 7 | 카라보 들라미니 | ||
CM | 15 | 레필로에 자네 (주장) | ||
CM | 3 | 봉게카 가메데 | ||
RW | 8 | 힐다 마가이아 | ||
AM | 10 | 린다 모틀할로 | ||
LW | 6 | 녹솔로 체사네 | ||
CF | 11 | 템비 가틀라나 | ||
교체 선수: | ||||
MF | 22 | 놈불라 크고알레 | ||
FW | 12 | 저메인 세오포센웨 | ||
DF | 5 | 피킬레 마가마 | ||
FW | 23 | 웬디 숑웨 | ||
감독: | ||||
데지레 엘리스 |
|}
'''최우수 선수:''' 질 로르트 (네덜란드)
'''부심:'''
- 테시로기 나오미 (일본)
- 마키조노 나오미 (일본)
'''대기심:''' 오현정 (대한민국)
'''후보 대기심:''' 박미숙 (대한민국)
'''비디오 판독심:''' 압둘라 알마리 (카타르)
'''보조 비디오 판독심:''' 무하맛 타키 (싱가포르)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심:''' 압둘라 알셰흐리 (사우디아라비아)
5. 4. 스웨덴 vs 미국
{| class="wikitable"
! 선수 정보 (스웨덴)
! 선수 정보 (미국)
|-
|
포지션 | 번호 | 선수 이름 | 비고 |
---|---|---|---|
GK | 1 | 제시라 무쇼비치 | |
RB | 14 | Nathalie Björn|나탈리 비요른영어 | |
CB | 13 | Amanda Ilestedt|아만다 일레스테트영어 | |
CB | 6 | Magdalena Eriksson|마그달레나 에릭손영어 | |
LB | 2 | Jonna Andersson|요나 안데르손영어 | |
CM | 16 | Filippa Angeldahl|필리파 앙엘달영어 | |
CM | 23 | Elin Rubensson|엘린 루벤손영어 | |
RW | 19 | Johanna Rytting Kaneryd|요한나 리팅 카네리드영어 | |
AM | 9 | 코소바레 아슬라니 (주장) | |
LW | 18 | 프리돌리나 롤푀 | |
CF | 11 | 스티나 블락스테니우스 | |
교체 선수 | |||
FW | 8 | Lina Hurtig|리나 후르티그영어 | |
FW | 10 | 소피아 야콥손 | |
MF | 20 | Hanna Bennison|한나 베니손영어 | |
FW | 15 | Rebecka Blomqvist|레베카 블롬크비스트영어 | |
감독 | |||
Peter Gerhardsson|페테르 예르하르드손영어 |
|
포지션 | 번호 | 선수 이름 | 비고 |
---|---|---|---|
GK | 1 | Alyssa Naeher|앨리사 네어영어 | |
RB | 23 | Emily Fox (soccer)|에밀리 폭스영어 | |
CB | 4 | Naomi Girma|나오미 기르마영어 | |
CB | 8 | Julie Ertz|줄리 어츠영어 | |
LB | 19 | 크리스털 던 | |
CM | 14 | Emily Sonnett|에밀리 소넷영어 | |
CM | 17 | Andi Sullivan|앤디 설리번영어 | |
RW | 20 | 트리니티 로드먼 | |
AM | 10 | Lindsey Horan|린지 호런영어 (주장) | |
LW | 11 | Sophia Smith (soccer, born 2000)|소피아 스미스영어 | |
CF | 13 | 알렉스 모건 | |
교체 선수 | |||
FW | 6 | Lynn Williams (soccer)|린 윌리엄스영어 | |
FW | 15 | 메건 라피노 | |
MF | 22 | Kristie Mewis|크리스티 무위스영어 | |
DF | 5 | Kelley O'Hara|켈리 오하라영어 | |
감독 | |||
블라트코 안도노프스키 |
|}
'''경기 최우수 선수:''' 제시라 무쇼비치 (스웨덴)
'''부심:'''
- 마누엘라 니콜로시
- 엘로디 코폴라
'''제4 심판:'''
- 케이시 레이벨트
'''예비 부심:'''
- 라미나 초이
'''비디오 보조 심판:'''
- 마시밀리아노 이라티
'''보조 비디오 보조 심판:'''
- 타티아나 구스만
'''오프사이드 비디오 보조 심판:'''
- 카트린 라팔스키
5. 5. 잉글랜드 vs 나이지리아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잉글랜드 대 나이지리아 경기 정보'''경기 정보 | |
---|---|
일시 | 2023년 8월 7일 |
시간 | 20:30 (UTC+10) |
경기장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관중 | 75,784명 |
주심 | 레베카 웰치 (잉글랜드) |
최우수 선수 | 메리 어프스 (잉글랜드) |
'''선발 명단'''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center;" | 잉글랜드
|+ style="text-align:center;" | 나이지리아
|-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
GK | 1 | 메리 어프스 | |
CB | 5 | 앨릭스 그린우드 | |
CB | 16 | 제스 카터 | |
CB | 6 | 밀리 브라이트 (주장) | |
RWB | 2 | 루시 브론즈 | |
LWB | 9 | 레이철 데일리 | |
CM | 4 | 키라 월시 | |
CM | 8 | 조지아 스탠웨이 | |
AM | 10 | 엘라 툰 | |
CF | 23 | 알레시아 루소 | |
CF | 11 | 로런 헴프 |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
GK | 16 | 치아마카 은나도지 (주장) | |
RB | 22 | 미셸 알로지 | |
CB | 3 | 오시나치 오할레 | |
CB | 14 | 올루와토신 데메힌 | |
LB | 2 | 애슐리 플럼트레 | |
CM | 10 | 크리스티 우체이베 | |
CM | 18 | 할리마투 아인데 | |
RW | 6 | 이페오마 오누모누 | |
AM | 7 | 토니 페인 | |
LW | 15 | 라시다트 아지바데 | |
CF | 12 | 우첸나 카누 |
|}
'''교체 선수'''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center;" | 잉글랜드
|+ style="text-align:center;" | 나이지리아
|-
|
번호 | 선수 | 비고 | |
---|---|---|---|
FW | 18 | 클로이 켈리 | |
FW | 7 | 로런 제임스 | |
FW | 19 | 베서니 잉글랜드 | |
MF | 17 | 로라 쿰스 | |
DF | 3 | 니암 찰스 |
|
번호 | 선수 | 비고 | |
---|---|---|---|
FW | 8 | 아시사트 오쇼알라 | |
FW | 17 | 프란시스카 오르데가 | |
FW | 9 | 데지레 오파라노지 | |
MF | 19 | 제니퍼 에체지니 |
|}
'''감독'''
사리나 비흐만 | 랜디 왈드럼 |
'''경기 심판'''
역할 | 이름 | 소속 협회 |
---|---|---|
부심 | 셜리 페레요 | 온두라스 |
부심 | 산드라 라미레스 | 멕시코 |
대기심 | 에미카르 칼데라스 | 베네수엘라 |
후보 대기심 | 미겔리나 로드리게스 | 베네수엘라 |
비디오 판독심 | 아르만도 비야레알 | 미국 |
보조 비디오 판독심 | 캐럴 앤 셰나르 | 캐나다 |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심 | 펠리샤 마리스칼 | 미국 |
5. 6. 오스트레일리아 vs 덴마크
wikitext{| class="wikitable"
|-
! colspan="2" | 선수 정보
|-
! width="50%" | 오스트레일리아
! width="50%" | 덴마크
|-
|
width=25| | width=25| | |
---|---|---|
GK | 18 | 매켄지 아널드 |
RB | 21 | 엘리 카펜터 |
CB | 15 | 클레어 헌트 |
CB | 14 | 알라나 케네디 |
LB | 7 | 스테프 캐틀리 (주장) |
RM | 16 | 헤일리 라소 |
CM | 19 | 카트리나 고리 |
CM | 23 | 키라 쿠니-크로스 |
LM | 9 | 케이틀린 푸어드 |
CF | 10 | 에밀리 반 에그몬드 |
CF | 11 | 메리 파울러 |
교체 선수: | ||
FW | 20 | 샘 커 |
FW | 17 | 카이아 사이먼 |
DF | 4 | 클레어 폴킹혼 |
DF | 2 | 코트니 네빈 |
|
width=25| | width=25| | |
---|---|---|
GK | 1 | 레네 크리스텐센 |
RB | 4 | 산네 트뢸스고르 닐센 |
CB | 3 | 스티네 발링스발레 |
CB | 5 | 시모네 보위에 쇠렌센 |
LB | 11 | 카트리네 베이예 |
RM | 19 | 유아네 탕고르 |
CM | 2 | 카렌 홀름고르 |
CM | 12 | 카트리네 묄레르 퀼 |
LM | 10 | 페르닐레 하르데르 (주장) |
CF | 9 | 아말리 뱅스고르 |
CF | 17 | 리케 마리 마센 |
교체 선수: | ||
FW | 14 | 니콜리네 쇠렌센 |
FW | 20 | 시그네 브룬 |
MF | 7 | 산네 트뢸스고르 닐센 |
MF | 6 | 카렌 홀름고르 |
MF | 8 | 엠마 스네르고르 |
|}
|-
! colspan="2" | 경기 정보
|-
| colspan="2" |
'''최우수 선수:''' 스테프 캐틀리 (오스트레일리아)
'''부심:'''
'''대기심:''' 스테파니 프라파르 (프랑스)
'''예비 대기심:''' 카렌 디아스 메디나 (스페인)
'''비디오 보조 심판:''' 폴 판 부컬 (네덜란드)
'''보조 비디오 보조 심판:''' 후안 마르티네스 무누에라 (스페인)
'''오프사이드 비디오 보조 심판:''' 과달루페 포라스 아유소 (스페인)
|}
5. 7. 콜롬비아 vs 자메이카
카디디아투 디아니프랑스어 (프랑스)'''부심:'''
브룩 메이요 (미국)
미젠사 렌시 (수리남)
'''대기심:'''
안나-마리 키글리 (뉴질랜드)
'''예비 부심:'''
사라 존스 (뉴질랜드)
'''비디오 판독:'''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에르난데스 (스페인)
'''부심 비디오 판독:'''
무하마드 타키 (싱가포르)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
시안 매시-엘리스 (잉글랜드)
5. 8. 프랑스 vs 모로코
(작성할 내용 없음)6. 8강전
2023년 8월 11일 이든 파크에서 열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8강전에서 스웨덴이 일본을 2-1로 꺾었다.[4]
경기 정보 | |
---|---|
경기 MVP | 아만다 일레스테트 (스웨덴) |
부심 | 카트린 라팔스키 (독일), 수잔 큉 (스위스) |
대기 심판 | 카티아 가르시아 (멕시코) |
예비 부심 | 카렌 디아스 메디나 (멕시코) |
비디오 판독 심판 | 마시밀리아노 이라티 (이탈리아) |
비디오 부심 | 드루 피셔 (캐나다) |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 심판 | 네우자 바크 (브라질) |
대기 비디오 판독 심판 | 살로메 디 요리오 (아르헨티나) |
대기 비디오 부심 | 다이아니 무니스 두스 산투스 (브라질) |
1 – 2 | ||
---|---|---|
하야시 호노카 (일본) | ||
아만다 일레스테트, 필리파 앙엘달 (스웨덴) |
일본 | 스웨덴 | ||||
---|---|---|---|---|---|
GK | 1 | 야마시타 아야카 | GK | 1 | 제치라 무쇼비치 |
DF | 3 | 미나미 모에카 | DF | 2 | 욘나 안데르손 |
DF | 4 | 구마가이 사키 (주장) | DF | 6 | 마그달레나 에릭손 |
DF | 12 | 다카하시 하나 | DF | 13 | 아만다 일레스테트 |
MF | 2 | 시미즈 리사 | DF | 14 | 나탈리 비외른 |
MF | 6 | 스기타 히나 | MF | 9 | 코소바레 아슬라니 (주장) |
MF | 10 | 나가노 후카 | MF | 16 | 필리파 앙엘달 |
MF | 14 | 하세가와 유이 | MF | 18 | 프리돌리나 롤푀 |
FW | 7 | 미야자와 히나타 | MF | 19 | 요한나 뤼팅 카네뤼드 |
FW | 11 | 다나카 미나 | MF | 23 | 엘린 루벤손 |
FW | 15 | 후지노 아오바 | FW | 11 | 스티나 블락스테니우스 |
MF | 13 | 엔도 준 (교체) | FW | 7 | 마델렌 야노위 (교체) |
FW | 9 | 우에키 리코 (교체) | FW | 8 | 리나 후르티그 (교체) |
DF | 17 | 세이케 기코 (교체) | MF | 20 | 한나 베니손 (교체) |
MF | 16 | 하야시 호노카 (교체) | FW | 10 | 소피아 야콥손 (교체) |
FW | 20 | 하마노 마이카 (교체) | |||
감독 | 이케다 후토시 | 감독 | 페테르 예르하르손 |
스웨덴은 아만다 일레스테트의 선제골과 필리파 앙엘달의 페널티킥 골로 앞서갔으며, 일본은 하야시 호노카가 만회골을 넣었으나 경기를 뒤집지 못했다. 이날 경기에는 43,217명의 관중이 입장했다.[4]
6. 1. 스페인 vs 네덜란드
2023년 8월 11일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8강전 스페인과 네덜란드의 경기 결과이다.경기 정보 | |
---|---|
경기 MVP | 살마 파라유엘로 (스페인) |
부심 | 마누엘라 니콜로시 (프랑스), 엘로디 코폴라 (프랑스) |
대기 심판 | 마리아 솔레 페리에리 카푸티 (이탈리아) |
예비 부심 | 프란체스카 디 몬테 (이탈리아) |
비디오 판독 심판 | 타티아나 구스만 (니카라과) |
비디오 부심 | 마르코 프리츠 (독일) |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 심판 | 엘라 데 브리스 (벨기에) |
대기 비디오 판독 심판 | 압둘라 알-마리 (카타르) |
대기 비디오 부심 | 아딜 주라크 (모로코) |
2 – 1 | ||
---|---|---|
칼덴테이 , 파라유엘로 (스페인) | ||
판 데르 흐라흐트 (네덜란드) |
스페인 | 네덜란드 | ||||
---|---|---|---|---|---|
GK | 23 | 카타 콜 | GK | 1 | 다프네 판 돔셀라르 |
RB | 12 | 오이아네 에르난데스 | CB | 8 | 셰리다 스피체 (주장) |
CB | 4 | 이레네 파레데스 | CB | 3 | 스테파니 판 데르 흐라흐트 |
CB | 14 | 라이아 코디나 | CB | 20 | 도미니크 얀센 |
LB | 2 | 오나 바틀레 | RM | 17 | 빅토리아 펠로바 |
DM | 3 | 테레사 아벨레이라 | CM | 6 | 질 로르트 |
CM | 6 | 아이타나 본마티 | CM | 14 | 재키 흐로언언 |
CM | 10 | 제니퍼 에르모소 | CM | 21 | 다마리스 에구롤라 |
RF | 17 | 알바 레돈도 | LM | 22 | 에스메 브루츠 |
CF | 9 | 에스텔 고메스 (주장) | CF | 7 | 리네트 베렌스테인 |
LF | 8 | 마리오나 칼덴테이 | CF | 11 | 리케 마르텐스 |
스페인 | 네덜란드 | ||||
---|---|---|---|---|---|
FW | 18 | 살마 파라유엘로 | DF | 2 | 린 윌름스 |
DF | 5 | 이바나 안드레스 | FW | 9 | 카티아 스노에이스 |
MF | 7 | 이레네 게레로 | DF | 4 | 아니크 누엔 |
DF | 19 | 올가 카르모나 | DF | 15 | 캐틀린 데이크스트라 |
FW | 15 | 에바 나바로 | MF | 18 | 케르스틴 카스파리 |
FW | 11 | 알렉시아 푸테야스 | |||
감독 | 호르헤 빌다 | 감독 | 안드리스 욘커 |
6. 2. 일본 vs 스웨덴
이든 파크에서 열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8강전에서 스웨덴이 일본을 2-1로 꺾었다. 스웨덴은 아만다 일레스테트의 선제골과 필리파 앙엘달의 페널티킥 골로 앞서갔다. 일본은 하야시 호노카가 만회골을 넣었으나,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이날 경기에는 43,217명의 관중이 입장했다.[4]6. 3. 오스트레일리아 vs 프랑스
2023년 8월 12일, 브리즈번의 랑 파크에서 2023 FIFA 여자 월드컵 8강전 오스트레일리아 대 프랑스 경기가 열렸다. 양 팀은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프랑스를 7-6으로 꺾었다. 관중 수는 49,461명이었으며, 주심은 칠레의 마리아 카르바할이 맡았다.
6. 4. 잉글랜드 vs 콜롬비아
Leicy Santos|레이시 산토스영어의 선제골로 콜롬비아가 앞서나갔으나, Lauren Hemp|로렌 햄프영어와 Alessia Russo|알레시아 루소영어의 연속골로 잉글랜드가 2-1 역전승을 거두었다.[4] 이 경기는 시드니의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렸으며, 75,784명의 관중이 입장했다.[4]7. 준결승전
2023년 8월 16일에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와 잉글랜드의 경기에서는 잉글랜드가 3-1로 승리했다.[2]
- '''오스트레일리아'''는 샘 커가 63분에 득점하였다.[2]
- '''잉글랜드'''는 엘라 툰이 36분, 로렌 헴프가 71분, 알레시아 루소가 86분에 득점하였다.[2]
이 경기의 최우수 선수는 잉글랜드의 로렌 헴프가 선정되었다.[2]
{| class="wikitable"
|+ 경기 정보
|-
! width=40%|'''오스트레일리아'''
! width=40%|'''잉글랜드'''
! width=20%|'''기타 정보'''
|-
|
width=25| | width=25| | |
---|---|---|
GK | 18 | 매켄지 아널드 |
RB | 21 | 엘리 카펜터 |
CB | 15 | 클레어 헌트 |
CB | 4 | 클레어 폴킹혼 |
LB | 7 | 스테프 캐틀리 |
RM | 16 | 헤일리 래소 |
CM | 19 | 캐트리나 고리 |
CM | 23 | 카이라 쿠니-크로스 |
LM | 9 | 케이틀린 포드 |
CF | 20 | 샘 커 (주장) |
CF | 11 | 메리 파울러 |
교체 선수: | ||
FW | 5 | 코트니 바인 |
FW | 10 | 에밀리 밴 에그먼드 |
MF | 8 | 알렉스 치디액 |
감독: | ||
토니 구스타브손 |
|
width=25| | width=25| | |
---|---|---|
GK | 1 | 메리 업스 |
CB | 16 | 제스 카터 |
CB | 6 | 밀리 브라이트 (주장) |
CB | 5 | 알렉스 그린우드 |
RM | 2 | 루시 브론즈 |
CM | 8 | 조지아 스탠웨이 |
CM | 4 | 키라 월시 |
CM | 10 | 엘라 툰 |
LM | 9 | 레이철 댈리 |
CF | 23 | 앨레시아 루소 |
CF | 11 | 로렌 헴프 |
교체 선수: | ||
FW | 18 | 클로이 켈리 |
DF | 3 | 니암 찰스 |
감독: | ||
사리나 비흐만 |
|
- '''최우수 선수:''' 로렌 헴프 (잉글랜드)
- '''부심(선심):'''
- * 브룩 메이요 (미국)
- * 메미엔사 렌스 (수리남)
- '''대기심:''' 야마시타 요시미 (일본)
- '''예비 대기심:''' 보조노 마코토 (일본)
- '''비디오 보조 심판:''' 마시밀리아노 이라티 (이탈리아)
- '''보조 비디오 보조 심판:''' 캐롤 앤 체너드 (캐나다)
- '''오프사이드 비디오 보조 심판:''' 캐스린 네스비트 (미국)
- '''지원 비디오 보조 심판:''' 드루 피셔 (캐나다)
|}
7. 1. 스페인 vs 스웨덴
스페인es과 스웨덴sv의 준결승전은 2023년 8월 15일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에덴 파크에서 열렸다.[1] 이 경기에서 스페인이 스웨덴을 2-1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했다.[1]경기 초반은 양 팀 모두 조심스럽게 경기를 운영했다. 스페인은 점유율을 높이며 경기를 주도했지만, 스웨덴의 견고한 수비를 뚫지 못했다. 스웨덴은 역습으로 스페인의 골문을 노렸지만, 결정적인 기회를 만들지 못했다.
후반전에 스페인은 더욱 공격적으로 나섰다. 후반 36분, 교체 투입된 살마 파라예루가 페널티 박스 안에서 왼발 슈팅으로 선제골을 넣었다.[1] 스웨덴은 곧바로 반격하여 후반 43분에 레베카 블롬크비스트가 동점골을 넣었다.[1] 하지만 스페인은 1분 뒤 올가 카르모나가 강한 왼발 중거리 슈팅으로 결승골을 넣어 승리했다.[1]
이 경기에서 스페인의 살마 파라예루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1]
경기 후 스페인의 호르헤 빌다 감독은 "우리는 역사를 만들었다. 선수들이 자랑스럽다"라고 말했다. 스웨덴의 페테르 예르하르손 감독은 "결과에 실망했지만, 선수들은 최선을 다했다"라고 말했다.
경기 | 스페인es vs 스웨덴sv |
---|---|
날짜 | 2023년 8월 15일 |
시간 | 20:00 (UTC+12) |
장소 | 에덴 파크, 오클랜드 (뉴질랜드) |
결과 | 2 – 1 |
관중 | 43,217명 |
주심 | 에디나 알베스 바티스타 (브라질) |
최우수 선수 | 살마 파라예루 (스페인es) |
스페인es | 스웨덴sv |
---|---|
7. 2. 오스트레일리아 vs 잉글랜드
8. 3·4위전
2023년 8월 19일, 브리즈번의 랑 파크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스웨덴이 오스트레일리아를 2-0으로 꺾었다. 프리돌리나 롤푀가 전반 30분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코소바레 아슬라니가 후반 17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이날 경기에는 49,461명의 관중이 입장했다.[1]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
GK | 1 | 제칠라 무쇼비치 |
RB | 14 | |
CB | 13 | |
CB | 6 | |
LB | 2 | |
CM | 16 | |
CM | 23 | |
RW | 19 | |
AM | 9 | 코소바레 아슬라니 |
LW | 18 | 프리돌리나 롤푀 |
CF | 11 | 스티나 블락스테니우스 |
항목 | 내용 |
---|---|
경기 MVP | 프리돌리나 롤푀 |
부심 | 미셸 오닐 Franca Overtoom |
제4 심판 | 레베카 웰치 |
제5 공식 | 나탈리 아스피날 |
비디오 보조 심판 | |
보조 VAR |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에르난데스 |
오프사이드 VAR | |
지원 VAR | 마시밀리아노 이르라티 |
9. 결승전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결승전은 2023년 8월 20일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의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의 결승전 경기였다. 스페인과 잉글랜드가 맞붙었으며, 스페인이 1-0으로 승리하여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atch schedule: FIFA Women's World Cup Australia & New Zealand 2023
https://digitalhub.f[...]
FIFA
2022-10-24
[2]
웹사이트
Regulations: FIFA Women's World Cup Australia & New Zealand 2023
https://digitalhub.f[...]
FIFA
2022-12-14
[3]
웹사이트
Regulations: FIFA Women's World Cup Australia & New Zealand 2023
https://digitalhub.f[...]
FIFA
2022-12-14
[4]
웹사이트
なでしこジャパンが2大会ぶり準々決勝進出。清水・宮澤弾などでノルウェー撃破し8強へ
https://www.fifa.com[...]
FIFA
2023-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