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B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B조는 오스트레일리아, 아일랜드, 나이지리아, 캐나다로 구성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개최국 자격으로, 아일랜드는 UEFA 플레이오프 승자, 나이지리아는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4위, 캐나다는 2022년 CONCACAF W 챔피언십 준우승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나이지리아가 16강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H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H조는 독일, 모로코, 콜롬비아, 대한민국이 참가하여 콜롬비아와 모로코가 16강에 진출하고 독일과 대한민국이 탈락하는 이변이 일어났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D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D조는 잉글랜드, 아이티, 덴마크, 중국이 참가하여 잉글랜드와 덴마크가 16강에 진출했으며, 각 팀의 경기 결과, 선수 및 심판 정보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B조 | |
---|---|
대회 정보 | |
대회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
조 | B조 |
기간 | 2023년 7월 20일 ~ 2023년 7월 31일 |
경기장 | 랭커스터 파크 (크라이스트처치) 에덴 파크 (오클랜드) 브리즈번 스타디움 (브리즈번) |
참가국 |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나이지리아 아일랜드 |
순위 | |
1위 | 오스트레일리아 |
2위 | 나이지리아 |
3위 | 캐나다 |
4위 | 아일랜드 |
통계 | |
최다 득점자 | 케이틀린 포드 (오스트레일리아, 2골) 소피아 스미스 (캐나다, 1골) 스테파니 케이틀리 (아일랜드, 1골) 오신나에 오할레 (나이지리아, 1골) 아시사트 오쇼알라 (나이지리아, 1골) 에밀리 반 에그몬트 (오스트레일리아, 1골) 헤일리 라소 (오스트레일리아, 1골) 앨러시아 루소-알레스 (오스트레일리아, 1골) 케티 맥케이브 (아일랜드, 1골) |
총 득점 | 11골 (경기당 1.38골) |
2. 참가팀
시드 배정 | 팀 | 연맹 | 출전 방식 | 참가 확정 날짜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최고 순위 | 2022년 10월 FIFA 랭킹 | 2023년 6월 FIFA 랭킹 |
---|---|---|---|---|---|---|---|---|---|
B1 | AFC | 개최국 | 2020년 6월 25일 | 8회 | 2019년 | 8강 (2007년, 2011년, 2015년) | 13위 | 10위 | |
B2 | UEFA | UEFA 플레이오프 2위 승자 | 2022년 10월 11일 | 1회 | — | 첫 출전 | 24위 | 22위 | |
B3 | CAF | 202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4위 | 2022년 7월 14일 | 9회 | 2019년 | 8강 (1999년) | 45위 | 40위 | |
B4 | CONCACAF | 2022년 CONCACAF W 챔피언십 준우승 | 2022년 7월 8일 | 8회 | 2019년 | 4위 (2003년) | 7위 | 7위 |
다음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B조 경기 결과이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 기준이다.[7]
3. 순위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결과 1 -- 오스트레일리아 3 2 0 1 7 3 +4 6 16강 진출 2 -- 나이지리아 3 1 2 0 3 2 +1 5 16강 진출 3 -- 캐나다 3 1 1 1 2 5 -3 4 조별 리그 탈락 4 -- 아일랜드 3 0 1 2 1 3 -2 1 조별 리그 탈락
B조 1위인 오스트레일리아는 D조 2위인 덴마크와, B조 2위인 나이지리아는 D조 1위인 잉글랜드와 16강 경기를 치렀다.
4. 경기 결과
4. 1. 오스트레일리아 vs 아일랜드
2023년 7월 20일, 시드니의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와 아일랜드의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스테파니 캐틀리의 페널티킥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10] 경기 최우수 선수는 스테파니 캐틀리(오스트레일리아)가 선정되었다.[4]
당초 이 경기는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FIFA는 2023년 1월 말 티켓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인해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로 경기 장소를 변경한다고 발표했다.[3]
! width="5%" | ! width="30%" | 오스트레일리아 선수 | ! width="5%" | ! width="30%" | 아일랜드 선수 | ||||
---|---|---|---|---|---|
GK | 18 | 매켄지 아널드 | GK | 1 | 코트니 브로스넌 |
RB | 21 | 엘리 카펜터 | CB | 5 | 니암 페이히 |
CB | 15 | 클레어 헌트 | CB | 4 | 루이즈 퀸 |
CB | 14 | 얼래나 케네디 | CB | 6 | 메건 코놀리 |
LB | 7 | 스테파니 캐틀리 (주장) | RM | 14 | 헤더 페인 |
RM | 16 | 헤일리 래소 | CM | 10 | 데니즈 오설리번 |
CM | 19 | 캐트리나 고리 | CM | 8 | 루에샤 리틀존 |
CM | 23 | 카이라 쿠니-크로스 | LM | 11 | 케이티 맥케이브 (주장) |
LM | 5 | 코트비 바인 | RF | 17 | 시니어드 퍼렐리 |
CF | 9 | 케이틀린 포드 | CF | 18 | 카이라 캐루사 |
CF | 11 | 메리 파울러 | LF | 20 | 마리사 셰바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MF | 10 | 에밀리 밴 에그먼드 | MF | 15 | 루시 퀸 |
DF | 4 | 클레어 폴킹혼 | FW | 19 | 애비 라킨 |
감독: | 감독: | ||||
토니 구스타브손 | 베라 파우 |
'''부심:'''
- 네우자 바크
- 레일라 모레이라 다 크루스
'''대기심:'''
- 마리아 카르바할
'''비디오 판독심:'''
- 다이아니 무니스 두스 산투스
'''보조 비디오 판독심:'''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심:'''
- 마리아나 데 알메이다
4. 2. 나이지리아 vs 캐나다
2023년 7월 21일 12시 30분(UTC+10) 멜버른의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캐나다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10]{| class="wikitable"
|-
! width="40%" | 나이지리아
! width="20%" |
! width="40%" | 캐나다
|-
|
width=25| | width=25| | |
---|---|---|
GK | 16 | 치아마카 은나도지에 (주장) |
RB | 22 | 미셸 알로지에 |
CB | 14 | 올루와토신 데메힌 |
CB | 2 | 애슐리 플럼프르 |
LB | 3 | 오시나치 오할레 |
CM | 10 | 크리스티 우체이베 |
CM | 13 | 데보라 아비오둔 |
RW | 6 | 이페오마 오누모누 |
AM | 7 | 토니 페인 |
LW | 17 | 프란시스카 오르데가 |
CF | 8 | 아시사트 오쇼알라 |
교체 선수: | ||
FW | 12 | 우체나 카누 |
FW | 21 | 에스터 오코로은크워 |
MF | 19 | 제니퍼 에체기니 |
|
|
width=25| | width=25| | |
---|---|---|
GK | 1 | 케일렌 셰리던 |
RB | 10 | 애슐리 로렌스 |
CB | 3 | 카데샤 뷰캐넌 |
CB | 14 | 바네사 질 |
LB | 8 | 제이드 리비에르 |
CM | 5 | 퀸 |
CM | 7 | 줄리아 그로소 |
RW | 9 | 조딘 휴이테마 |
AM | 12 | 크리스틴 싱클레어 (주장) |
LW | 6 | 디앤 로즈 |
CF | 19 | 아드리아나 레온 |
교체 선수: | ||
FW | 20 | 클로에 라카세 |
FW | 11 | 에블린 비엔 |
DF | 2 | 앨리샤 채프먼 |
MF | 13 | 소피 슈미트 |
FW | 15 | 니셸 프린스 |
|}
나이지리아의 치아마카 은나도지에가 경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나이지리아의 데보라 아비오둔은 경기 막판 퇴장당했다.[10]
4. 3. 캐나다 vs 아일랜드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B조 퍼스 렉탱귤러 스타디움에서 열린 캐나다와 아일랜드 공화국의 경기는 캐나다가 2-1로 승리하였다. 경기 시작 4분 만에 아일랜드 공화국의 케이티 맥케이브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캐나다가 메건 코놀리의 자책골과 아드리아나 레온의 골로 역전승을 거두었다.[4] 경기 최우수 선수는 케이티 맥케이브가 선정되었다.[4]캐나다 선수 | width="10%" | | 아일랜드 공화국 선수 | width="10%" | |
---|---|---|---|
케일렌 셰리던 | 골키퍼 | 코트니 브로스넌 | 골키퍼 |
제이드 리비에르 | 수비수 | 니암 페이 | 수비수 |
카데샤 뷰캐넌 | 수비수 | 루이스 퀸 | 수비수 |
바네사 질스 | 수비수 | 메건 코놀리 | 수비수 |
애슐리 로렌스 | 수비수 | 아인 오고먼 | 미드필더 |
퀸 | 수비형 미드필더 | 데니즈 오설리번 | 미드필더 |
제시 플레밍 (주장) | 미드필더 | 루에샤 리틀존 | 미드필더 |
줄리아 그로소 | 미드필더 | 케이티 맥케이브 (주장) | 미드필더 |
조딘 히우테마 | 공격수 | 루시 퀸 | 공격수 |
에블린 비앙 | 공격수 | 카이라 카루사 | 공격수 |
아드리아나 레온 | 공격수 | 시네이드 패럴리 | 공격수 |
교체 선수 | |||
셸리나 자도르스키 | 수비수 | 애비 락킨 | 공격수 |
크리스틴 싱클레어 | 공격수 | 마리사 셰바 | 공격수 |
소피 슈미트 | 미드필더 | 이시벨 아킨슨 | 수비수 |
클로에 라카스 | 공격수 | 릴리 애그 | 미드필더 |
알리샤 채프먼 | 수비수 | 앰버 바렛 | 공격수 |
감독 | |||
베브 프리스먼 | 베라 파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