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24년 레바논 정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4년 레바논 정전은 레바논의 국영 전력 회사인 엘렉트리시테 뒤 리방(EDL)이 연료 고갈로 인해 모든 발전소 가동을 중단하면서 발생한 무기한 전면 정전 사태이다. 이로 인해 베이루트 항구, 베이루트 라피크 하리리 국제공항 등 주요 시설의 운영이 중단되었으며,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의 군사 활동 증가, 이라크 연료 수입 대금 미지불, 정부와 중앙은행 간의 책임 공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정전은 교통 신호등 작동 중단, 주유소 및 현금 자동 입출금기 폐쇄, 물 부족 등 광범위한 사회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부에 대한 비판과 시위 가능성을 야기했다. 알제리는 레바논에 연료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라크는 금융 문제로 인해 연료 제공 계약 갱신을 거부하여 사태 해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레바논 - 이스라엘-헤즈볼라 분쟁 (2023년~현재)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이후 헤즈볼라가 이스라엘 북부를 공격하며 시작된 이스라엘-헤즈볼라 분쟁은 2006년 레바논 전쟁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고조되었으며, 양측은 국경 지역에서 군사적 충돌을 이어가고 있고, 현재 미국과 프랑스의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분쟁은 더욱 격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 2024년 레바논 - 2024년 레바논 무선호출기 폭발
    2024년 레바논 무선호출기 폭발은 2024년 9월 베이루트에서 발생한 연쇄적인 휴대용 무선 호출기 폭발 사건으로, 다수의 부상자를 발생시키고 사회적 충격을 주었으며, 사건의 배후와 책임 소재에 대한 논란과 함께 레바논의 정치적·사회적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 2024년 8월 - 2024년 하계 올림픽
    2024년 하계 올림픽은 2024년 7월 26일부터 8월 11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33회 하계 올림픽으로, 파리의 세 번째 올림픽 개최라는 역사적 의미와 함께 환경, 안보, 인권 등 다양한 논란 속에서 총 206개국이 참가하여 32개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 2024년 8월 - 2024년 하계 올림픽 폐막식
2024년 레바논 정전
개요
사건레바논의 연료 부족으로 인한 광범위한 정전 발생
날짜2024년 8월 17일
장소레바논
원인
주요 원인연료 부족
부패
경제 위기
영향
주요 영향광범위한 정전
필수 서비스 중단
사회적 불안 증가
대응
정부 대응긴급 연료 수입 시도
국제 사회에 지원 요청
국제적 반응
국제 사회인도적 지원 제공 및 경제 개혁 촉구

2. 배경

2024년 레바논 정전 사태는 레바논의 고질적인 에너지 문제와 이스라엘-헤즈볼라 간의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레바논은 에너지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며, 내전으로 기반 시설이 노후화되어 만성적인 전력난을 겪고 있었다.[2][3][4] 2021년에는 연료 부족으로 주요 발전소가 가동을 중단하면서 전국적인 정전 사태가 발생했고,[5] 레바논 정부의 외화 부족으로 연료 수입이 어려워지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7]

이러한 경제 위기는 이스라엘헤즈볼라 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과 맞물려 발생했다. 정전 직전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시리아 국적자 10명이 사망하기도 했다.[8]

2. 1. 에너지 수입 의존과 기반 시설 노후화

레바논은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2] 레바논의 에너지 시장은 소비 급증과 잦은 공급 부족이 특징이다. 이러한 공급 부족은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지속된 내전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파괴된 노후화된 기반 시설 때문이다.[3][4]

2021년 10월, 레바논의 주요 발전소인 자흐라니와 데이르 암마르 발전소가 연료 부족으로 가동을 중단하면서 레바논 전역에 정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레바논은 중앙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완전히 끊기고 개인 발전기용 연료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5] 다음 날 레바논군이 자체 보유 연료를 공급하면서 전력이 복구되었다.[6]

레바논 정부가 이라크 등 외국으로부터의 연료 수입 대금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국가 전력 생산량이 크게 감소했고, 이로 인해 레바논 전역의 정전 빈도가 증가했다.[7]

2. 2. 2021년 연료 부족 사태

레바논은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한다.[2] 레바논의 에너지 시장은 소비 급증과 잦은 공급 부족이 특징인데, 이는 1975년부터 1990년까지 내전으로 파괴된 노후 기반 시설 때문이다.[3][4]

2021년 10월, 레바논의 자흐라니와 데이르 암마르 등 두 대형 발전소가 연료 부족으로 가동을 중단하면서 레바논 전역에 정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중앙 생산 전기가 완전히 끊기고 개인 발전기용 연료도 부족하게 되었다.[5] 다음 날 레바논군이 자체 보유 연료를 공급하면서 전력이 복구되었다.[6]

레바논 정부가 이라크 등 외국으로부터의 연료 수입 대금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국가 전력 생산량이 크게 감소했고, 이로 인해 레바논 전역의 정전 빈도가 증가했다.[7]

이러한 경제 위기는 이스라엘헤즈볼라 간의 군사 활동 증가와 맞물려 발생했다. 정전 직전인 8월 17일,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시리아 국적자 10명이 사망했다.[8]

2. 3. 이스라엘-헤즈볼라 갈등

2021년 10월, 레바논의 자흐라니와 데이르 암마르 발전소가 연료 부족으로 가동을 중단하면서 레바논 전역에 정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레바논은 중앙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완전히 끊기고 개인 발전기용 연료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5] 다음 날 레바논군이 자체 보유 연료를 공급하면서 전력이 복구되었다.[6]

이러한 경제 위기는 이스라엘헤즈볼라 간의 군사 활동 증가와 맞물려 발생했다. 정전 직전인 8월 17일,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시리아 국적자 10명이 사망했다.[8]

3. 2024년 정전 사태

2024년 8월 17일, 레바논 전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정전 사태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EDL)의 연료 소진으로 인한 발전 중단은 베이루트 항구베이루트 라피크 하리리 국제공항을 포함한 주요 시설의 마비를 초래했다.[1][9][10]

이번 정전은 지속되는 경제 위기와 더불어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의 군사적 긴장 고조로 인한 연료 부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8] 특히, 남부 레바논 수자원공사는 정전으로 인해 물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하며 시민들에게 물 절약을 당부했다.[1][12]

정전으로 인해 교통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아 교통 혼란이 발생하고, 주유소와 현금인출기가 폐쇄되는 등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초래되었다.[11] 또한, 전기 울타리와 경보 네트워크와 같은 보안 조치가 중단되면서 약탈, 기물 파손 등의 범죄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1]

월리드 파야드 에너지 장관은 이집트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지만,[13] 장기적인 해결책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3. 1. 전력 공급 중단

2024년 8월 17일, 엘렉트리시테 뒤 리방(EDL)은 보유한 모든 연료를 소진하여 모든 발전소의 발전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EDL은 동부 유럽 표준시(EEST) 정오부터 레바논 전역에서 무기한 완전 정전이 시작될 것이며, 이는 "공항, 항구, 급수 펌프, 하수 시스템, 교도소 등의 필수 시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했다.[1] 전력 공급이 중단된 지역에는 베이루트 항구베이루트 라피크 하리리 국제공항 등 레바논의 여러 핵심 기관이 포함되었다. 베이루트 공항의 민간항공 총국장인 파디 알-하산은 공항이 전기 공급을 위해 발전기를 사용해야 했다고 밝혔다.[9][10] 레바논 관리들은 정전이 24시간에서 48시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주장했다.[11]

레바논 전력망에 에너지를 공급하던 마지막 발전소는 남부 레바논의 자흐라니 발전소였다. 이 발전소는 연료 소비를 제한하고 전기 생산을 연장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사용한 후 연료 자원을 모두 소진했다고 보고하며 생산을 중단해야 했다.[9] 레바논 정부가 언급한 24시간에서 48시간 이내의 전력 복구 예상과는 달리, 자흐라니 발전소 관계자들은 전력이 언제, 어떤 단계로 복구될지에 대한 예상 일정을 제시하지 않았다.[7]

EDL은 지속되는 경제 위기 외에도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의 군사 활동 증가와 국경 간 포격이 이스라엘에 대한 작전에 연료가 사용되면서 연료 부족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암시했다.[8]

최초 발표 이후, 남부 레바논 수자원공사는 정전으로 인해 국가의 필요를 충족시킬 만큼의 물을 펌프로 끌어올릴 수 없게 되어 레바논 시민들이 물 사용을 제한하고 물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1] 월리드 파야드 에너지 장관은 EDL과 리타니강 관리청에 남은 모든 자원과 서비스를 가능한 한 많은 물 공급에 할당하도록 지시했다.[12]

Crisis24의 작성자들은 정전으로 인해 교통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아 교통량과 자동차 운송에 광범위한 혼란이 발생할 수 있고, 전국의 주유소현금인출기가 폐쇄되며, 레바논 기업 관행에 지장이 생기고, 전기 울타리와 경보 네트워크 같은 보안 조치가 중단되어 기회주의적 약탈, 기물 파손, 무단 침입 등 다양한 형태의 범죄 활동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정전이 장기화될 경우 정부에 대한 광범위한 시위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11]

전화 인터뷰에서 파야드는 이집트로부터 연료 선적을 받기로 합의했으며, 8월 23일까지 도착할 것이라고 밝혔다.[13]

3. 2. 피해 상황

2024년 8월 17일, 엘렉트리시테 뒤 리방(EDL)은 보유한 모든 연료를 소진하여 모든 발전소의 발전 작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EDL은 동부 유럽 표준시(EEST) 정오부터 레바논 전 영토에서 무기한 완전 정전이 시작될 것이며, 이는 "공항, 항구, 급수 펌프, 하수 시스템, 교도소 등의 필수 시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했다.[1] 전력 공급이 중단된 지역에는 베이루트 항구베이루트 라피크 하리리 국제공항 등 레바논의 주요 기관이 포함되었다. 베이루트 공항의 민간항공 총국장인 파디 알-하산은 공항이 전기 공급을 위해 발전기를 사용해야 했다고 밝혔다.[9][10] 레바논 관리들은 정전이 24시간에서 48시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주장했다.[11]

레바논 전력망에 에너지를 공급하던 마지막 발전소는 남부 레바논의 자흐라니 발전소였다. 이 발전소는 연료 소비를 제한하고 전기 생산을 연장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사용한 후 연료 자원을 모두 소진했다고 보고하며 생산을 중단해야 했다.[9]

EDL은 지속되는 경제 위기 외에도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의 군사 활동 증가와 국경 간 포격이 이스라엘에 대한 작전에 연료가 사용되면서 연료 부족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암시했다.[8]

최초 발표 이후, 남부 레바논 수자원공사는 정전으로 인해 국가의 필요를 충족시킬 만큼의 물을 펌프로 끌어올릴 수 없게 되어 레바논 시민들이 물 사용을 제한하고 물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1] 월리드 파야드 에너지 장관은 EDL과 리타니강 관리청에 남은 모든 자원과 서비스를 가능한 한 많은 물 공급에 할당하도록 지시했다.[12]

Crisis24의 작성자들은 정전으로 인해 교통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아 교통량과 자동차 운송에 광범위한 혼란이 발생할 수 있고, 전국의 주유소현금인출기가 폐쇄되며, 레바논 기업 관행에 지장이 생기고, 전기 울타리와 경보 네트워크 같은 보안 조치가 중단되어 기회주의적 약탈, 기물 파손, 무단 침입 등 다양한 형태의 범죄 활동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정전이 장기화될 경우 정부에 대한 광범위한 시위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11]

3. 3. 물 공급 위기

최초 발표 이후, 남부 레바논 수자원공사는 정전으로 인해 국가의 필요를 충족시킬 만큼의 물을 펌프로 끌어올릴 수 없게 되자, 레바논 시민들에게 물 사용을 제한하고 물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발표했다.[1] 월리드 파야드 에너지 장관은 EDL과 리타니강 관리청에 남은 모든 자원과 서비스를 가능한 한 많은 물 공급에 할당하도록 지시했다.[12]

4. 원인 분석

2024년 레바논 정전 사태는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한 결과였다. 레바논의 전력 회사인 엘렉트리시테 뒤 리방(EDL)은 2024년 8월 17일, 보유 연료 소진으로 모든 발전소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발표했다.[1] 이로 인해 레바논 전역에서 무기한 정전이 발생했으며, 베이루트 항구베이루트 라피크 하리리 국제공항 등 주요 시설도 영향을 받았다.[9][10]

EDL은 지속되는 경제 위기와 더불어 이스라엘헤즈볼라 간의 군사적 충돌 및 국경 간 포격으로 인해 연료 부족이 심화되었다고 언급했다.[8] 레바논 남부의 자흐라니 발전소는 연료 소비를 최대한 억제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연료 자원 고갈로 가동을 중단해야 했다.[9]

이러한 상황은 레바논의 고질적인 에너지 문제, 경제 위기, 그리고 지정학적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4. 1. 레바논 정부의 책임

레바논 포스당 소속 라지 알 하즈 의원은 에너지 부문에 400억달러를 투입하고도 완전 정전에 이르게 된 사실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는 레바논의 1000억달러 공공 부채의 거의 절반에 해당한다.[12] 그는 레바논 정부 관리들이 지속적으로 단기적 해결책만 추구하고, 국가의 만성적인 에너지 부족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비난했으며, 레바논 에너지 부문의 분권화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2]

레바논 에너지 장관은 이라크로부터의 연료 수입 대금을 지불하지 못해 정전이 발생했다며 레바논 중앙은행(Banque du Liban)을 비난했고, 은행 측은 의회가 이에 대한 승인을 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12] 와심 만수리 중앙은행 임시 총재는 은행이 외화 비상 준비금으로 연료 수입 대금을 지불하는 데 제한을 받았으며, 이를 위해서는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2] 사기흐 아티에 의원은 EDL이 "세금 징수에 실패한 것이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비난하며, 이로 인해 EDL이 이라크 연료 수입 대금을 지불할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했고 다른 기관들도 에너지 부문을 기능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12]

4. 2. 레바논 중앙은행의 책임

레바논 포스당 소속 라지 알 하즈 의원은 에너지 부문에 400억달러(레바논 공공 부채 1000억달러의 거의 절반)를 투입하고도 완전 정전에 이르게 된 것을 비판했다. 그는 레바논 정부 관리들이 단기적 해결책만 추구하고 국가의 만성적인 에너지 부족 문제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려 하지 않았다고 비난했으며, 레바논 에너지 부문의 분권화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2]

와심 만수리 레바논 중앙은행(Banque du Liban) 임시 총재는 은행이 외화 비상 준비금으로 연료 수입 대금을 지불하는 데 제한을 받았으며, 이를 위해서는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이라크로부터의 연료 수입 대금을 지불하지 못해 정전이 발생했다는 레바논 에너지 장관의 비난에 반박했다. 사기흐 아티에 의원은 EDL이 "세금 징수에 실패한 것이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비난하며, 이로 인해 EDL이 이라크 연료 수입 대금을 지불할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했고 다른 기관들도 에너지 부문을 기능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12]

4. 3. 이스라엘-헤즈볼라 갈등 심화

2024년 8월 17일, 엘렉트리시테 뒤 리방(EDL)은 보유한 모든 연료를 소진하여 모든 발전소의 발전 작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EDL은 동부 유럽 표준시(EEST) 정오부터 레바논 전역에서 무기한 완전 정전이 시작될 것이며, 이는 "공항, 항구, 급수 펌프, 하수 시스템, 교도소 등의 필수 시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했다.[1] 전력 공급이 중단된 지역에는 베이루트 항구베이루트 라피크 하리리 국제공항 등 레바논의 여러 핵심 기관이 포함되었다. 베이루트 공항의 민간항공 총국장인 파디 알-하산은 공항이 전기 공급을 위해 발전기를 사용해야 했다고 밝혔다.[9][10] 레바논 관리들은 정전이 24시간에서 48시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주장했다.[11]

EDL은 지속되는 경제 위기 외에도 이스라엘헤즈볼라 간의 군사 활동 증가와 국경 간 포격이 이스라엘에 대한 작전에 연료가 사용되면서 연료 부족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암시했다.[8]

5. 대응 및 반응

2024년 레바논 정전 사태에 대해 레바논 포스당, 레바논 에너지 장관, 레바논 중앙은행, 그리고 의회 의원들은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며 책임 소재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12]

5. 1. 레바논 내부 반응

레바논 포스당 소속 라지 알 하즈 의원은 에너지 부문에 400억달러(레바논의 1000억달러 공공 부채의 거의 절반)를 투입하고도 결국 완전 정전에 이르게 된 사실을 강하게 비판했다.[12] 그는 레바논 정부 관리들이 지속적으로 단기적 해결책만을 추구하고 국가의 만성적인 에너지 부족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비난했으며, 레바논 에너지 부문의 분권화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2]

레바논 에너지 장관은 이라크로부터의 연료 수입 대금을 지불하지 못해 정전이 발생했다며 레바논 중앙은행(Banque du Liban)을 비난했고, 은행 측은 의회가 이에 대한 승인을 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12] 와심 만수리 중앙은행 임시 총재는 은행이 외화 비상 준비금으로 연료 수입 대금을 지불하는 데 제한을 받았으며, 이를 위해서는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2] 사기흐 아티에 의원은 EDL이 "세금 징수에 실패한 것이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비난하며, 이로 인해 EDL이 이라크 연료 수입 대금을 지불할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했고 다른 기관들도 에너지 부문을 기능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12]

5. 2. 국제 사회 반응


  • 알제리의 나디르 라르바우이 총리는 나지브 미카티 레바논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위기 극복을 돕기 위해 레바논에 즉시 일정량의 연료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14]
  • 정전과 동시에 이라크는 금융 문제, 특히 레바논 중앙은행이 협정 한도 내에서 레바논을 유지하기 위해 7억달러의 신용한도를 승인하지 않기로 한 결정과 관련하여 서비스와 교환으로 레바논에 연료를 제공하는 계약 갱신을 거부했다. 나지브 미카티 레바논 총리는 이라크에 초기 7억달러의 부채를 면제해 줄 것을 설득하려 했으며 이를 위해 바그다드를 방문하려 했으나 거절당했다.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이라크 총리는 원래 부채에 7억달러를 추가하여 협정을 갱신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는 레바논이 이라크에 진 부채를 14억달러로 두 배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이 제안은 레바논 중앙은행이 거절하였다.[15]

참조

[1] 웹인용 Lebanon's state electricity company runs out of fuel, sparking blackout fears https://www.thenatio[...] 2024-08-17
[2] 웹인용 Lebanon - Countries & Regions https://www.iea.org/[...] 2020-07-06
[3] 웹인용 Électricité au Liban : ce qu'il faut savoir pour comprendre une crise qui va crescendo https://www.lorientl[...] 2018-01-31
[4] 웹인용 Electricité du Liban, symbole de la faillite des élites politiques https://www.lopinion[...] 2019-10-25
[5] 웹인용 Lebanon power outage will last several days, official says https://www.jpost.co[...] 2021-10-09
[6] 웹인용 Lebanon electricity back online after army supplies fuel https://www.aljazeer[...] 2021-10-10
[7] 웹인용 Nationwide Power Outage Hits Lebanon As Last Production Unit Shuts Down, Beirut's Airport And Port Affected https://www.timesnow[...] 2024-08-18
[8] 웹인용 Lebanon faces complete power outage https://newsukraine.[...] 2024-08-18
[9] 뉴스 Lebanon without electricity https://ina.iq/eng/3[...] Iraqi News Agency 2024-08-16
[10] 웹인용 Lebanon faces nationwide power outage after last production unit shuts down https://www.aa.com.t[...] 2024-08-17
[11] 웹인용 Lebanon: Nationwide power outage reported as state power provider announces depletion of fuel oil reserves Aug. 17 https://crisis24.gar[...] 2024-08-17
[12] 웹인용 Lebanon Plunges into Complete Darkness as Gas Oil Runs out to Fuel Power Plants https://english.aaws[...] 2024-08-18
[13] 뉴스 وزير الطاقة اللبناني للعربية: ننتظر وصول شحنات الغاز من مصر https://www.alarabiy[...] Al-Arabiya 2024-08-18
[14] 웹인용 Algeria to supply Lebanon with fuel to solve electricity crisis https://www.aa.com.t[...] 2024-08-18
[15] 웹인용 Iraq declines to renew fuel supply deal with Lebanon due to financial disputes https://shafaq.com/e[...] 2024-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