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남자 K-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남자 K-1은 1972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종목은 예선, 준결승, 결승 세 라운드로 진행되며, 선수들은 약 250m 길이의 코스에 설치된 25개의 게이트를 통과해야 한다. 2024년 대회에서는 이탈리아의 조반니 데 제나로가 금메달, 프랑스의 티투안 카스트릭이 은메달, 스페인의 파우 에차니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 20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남자 C-1
20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남자 C-1 경기는 2024년 8월 5일부터 8월 7일까지 프랑스 파리 라 데팡스 아레나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예선, 준결승, 결승, 코스 정보, 최종 순위, 메달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직 제공되지 않았다. - 20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 20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여자 C-1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신설된 카누 여자 C-1은 국제 카누 연맹의 성 평등 강화 노력의 일환으로, 예선, 준결승, 결승 라운드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의 제시카 폭스가 금메달, 영국의 앤더슨 레아가 은메달, 독일의 마르티나 말리츠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24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2024년 파리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은 7월 27일과 28일에 진행되었으며, 셰위가 금메달, 페데리코 닐로 말디니가 은메달, 파올로 몬나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이원호는 4위를 기록했으며, 예선 세계 기록은 진종오의 594점, 결선 세계 기록은 김성국의 246.5점이다. - 202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24년 하계 올림픽 농구 남자
2024년 하계 올림픽 농구 남자 종목은 12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8강 토너먼트를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하며, 조별 리그에서는 3개 조로 나뉘어 단일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 후 각 조 상위 2팀과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2팀이 8강에 진출하고, 8강 대진은 예선 성적에 따라 추첨 및 대진 조정 제한 사항이 적용된다.
20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남자 K-1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올림픽 종목 정보 | |
연도 | 2024 |
종류 | 하계 |
종목 | 카누 남자 슬라럼 K-1 |
개최국 | 프랑스 |
개최도시 | 베르쉬르마른 |
개최 기간 | 2024년 7월 30일 ~ 8월 1일 |
경기장 | 일드프랑스 국립 올림픽 해상 스타디움 |
참가국 | 24 |
참가 선수 | 24 |
금메달 국가 | ITA |
금메달 | 조반니 데 제나로 |
은메달 국가 | FRA |
은메달 | 티투안 카스트릭 |
동메달 국가 | ESP |
동메달 | 파우 에차니스 |
이전 대회 | 2020 |
2. 역사
카누 슬라럼 K-1 종목은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 이후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제외되었다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다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
카누 남자 슬라럼 K-1은 예선, 준결승, 결승의 총 세 라운드로 구성된다. 예선에서는 각 선수들이 2번의 주행 기회를 가지며, 이 중 더 좋은 기록으로 상위 20명이 준결승에 진출한다. 준결승에서는 한 번의 주행으로 상위 10명이 결승에 진출하며, 결승에서는 한 번의 주행으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각 카누 선수의 배번은 ICF 월드 랭킹에 의거하여 순서대로 부여된다.
3. 대회 방식
3. 1. 경기 규칙
카누 코스는 약 250m 길이로, 카누 선수는 코스에 놓인 25개 기문을 올바른 방향으로 통과해야 한다.[1] 기문을 잘못된 방향으로 통과하거나 기문을 만지는 등의 위반 행위를 할 경우 페널티 시간이 부과된다.[1] 일반적으로 한 차례 코스 주행에는 95초 정도가 소요된다.[1]
4. 일정
모든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UTC+02) 기준이다.
날짜 | 시간 | 경기 |
---|---|---|
2024년 7월 30일 | 16:00 | 예선 |
2024년 8월 1일 | 15:30 | 준결승 |
17:20 | 결승 |
5. 결과
2024년 하계 올림픽 카누 남자 K-1 종목의 결승전은 예선과 준결승을 통과한 상위 12명의 선수가 메달을 놓고 경쟁하는 최종 라운드이다. 최종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 | 배번 | 선수 | 국가 | 기록 | 페널티 | 최종 순위 |
---|---|---|---|---|---|---|
2 | 조반니 데 제나로 | 88.22 | 0 | 1 | ||
6 | 티투안 카스트릭 | 88.42 | 0 | 2 | ||
15 | 파우 에차니스 | 86.87 | 2 | 3 | ||
4 | 5 | 마틴 두구 | 89.44 | 0 | 4 | |
5 | 3 | 조셉 클라크 | 89.82 | 0 | 5 | |
6 | 11 | 야쿠프 그리가르 | 90.21 | 0 | 6 | |
7 | 12 | 노아 헤게 | 89.73 | 2 | 7 | |
8 | 9 | 티모시 앤더슨 | 88.90 | 2 | 8 | |
9 | 1 | 지리 프리스카베츠 | 87.74 | 4 | 9 | |
10 | 7 | 펠릭스 오슈마우츠 | 90.21 | 2 | 10 | |
11 | 8 | 취안신 | 92.75 | 2 | 11 | |
12 | 16 | 이삭 얼스터럼 | 95.39 | 52 | 12 |
5. 1. 예선
예선에서는 각 선수별로 2번의 주행을 실시하고, 그 중 최고 기록으로 순위를 매긴다. 상위 20명의 선수가 준결승에 진출한다.순위 | 배번 | 선수 | 국가 | 예선 | |||||
---|---|---|---|---|---|---|---|---|---|
런 1 | 페널티 시간 | 런 2 | 페널티 시간 | 기록 | 라운드별 순위 | ||||
1 | 2 | 조반니 데 제나로 | style="text-align:left;"| | 88.46 | 2 | 85.34 | 0 | 85.34 | 3 |
2 | 6 | 티투안 카스트릭 | style="text-align:left;"| | 83.71 | 0 | 80.09 | 0 | 80.09 | 1 |
3 | 15 | 파우 에차니스 | style="text-align:left;"| | 87.84 | 2 | 88.37 | 2 | 87.84 | 12 |
4 | 5 | 마틴 두구 | style="text-align:left;"| | 86.30 | 0 | 138.24 | 52 | 86.30 | 6 |
5 | 3 | 조셉 클라크 | style="text-align:left;"| | 136.89 | 50 | 85.62 | 2 | 85.62 | 4 |
6 | 11 | 야쿠프 그리가르 | style="text-align:left;"| | 87.10 | 0 | 91.80 | 4 | 87.10 | 9 |
7 | 12 | 노아 헤게 | style="text-align:left;"| | 87.67 | 2 | 87.15 | 0 | 87.15 | 10 |
8 | 9 | 티모시 앤더슨 | style="text-align:left;"| | 88.37 | 0 | 85.78 | 2 | 85.78 | 5 |
9 | 1 | 지리 프리스카베츠 | style="text-align:left;"| | 83.74 | 0 | 84.90 | 2 | 83.74 | 2 |
10 | 7 | 펠릭스 오슈마우츠 | style="text-align:left;"| | 90.07 | 4 | 92.40 | 4 | 90.07 | 18 |
11 | 8 | 취안신 | style="text-align:left;"| | 87.23 | 0 | 89.80 | 2 | 87.23 | 11 |
12 | 16 | 이삭 얼스터럼 | style="text-align:left;"| | 89.43 | 2 | 135.55 | 50 | 89.43 | 15 |
13 | 13 | 마테쯔 폴라치크 | style="text-align:left;"| | 87.89 | 0 | 139.58 | 52 | 87.89 | 13 |
14 | 20 | 다나카 유우키 | style="text-align:left;"| | 103.21 | 12 | 91.78 | 2 | 91.78 | 20 |
15 | 17 | 노엘 헨드릭 | style="text-align:left;"| | 98.64 | 10 | 90.68 | 2 | 90.68 | 19 |
16 | 14 | 마티스 소우디 | style="text-align:left;"| | 89.90 | 0 | 89.45 | 2 | 89.45 | 16 |
17 | 23 | 살림 제마이 | style="text-align:left;"| | 101.11 | 6 | 90.03 | 0 | 90.03 | 17 |
18 | 4 | 피터 카우저 | style="text-align:left;"| | 90.93 | 2 | 88.84 | 2 | 88.84 | 14 |
19 | 10 | 핀 버처 | style="text-align:left;"| | 86.35 | 0 | 142.08 | 54 | 86.35 | 7 |
20 | 18 | 페페 곤살베스 | style="text-align:left;"| | 86.64 | 0 | 90.71 | 4 | 86.64 | 8 |
21 | 19 | 알렉스 발도니 | style="text-align:left;"| | 95.18 | 2 | 97.25 | 4 | 95.18 | 21 |
22 | 24 | 이브 부리스 | style="text-align:left;"| | 150.11 | 56 | 97.85 | 2 | 97.85 | 22 |
23 | 21 | 우샤오쉬안 | style="text-align:left;"| | 101.22 | 6 | 99.45 | 2 | 99.45 | 23 |
24 | 22 | 앤디 바라트 | style="text-align:left;"| | 105.82 | 4 | 107.59 | 2 | 105.82 | 24 |
5. 2. 준결승
순위 | 배번 | 선수 | 국가 | 기록 | 페널티 시간 | 순위 |
---|---|---|---|---|---|---|
1 | 3 | 조셉 클라크 | 89.51 | 0 | 1 | |
2 | 12 | 노아 헤게 | 91.24 | 2 | 2 | |
3 | 6 | 티투안 카스트릭 | 91.56 | 4 | 3 | |
4 | 7 | 펠릭스 오슈마우츠 | 91.83 | 0 | 4 | |
5 | 11 | 야쿠프 그리가르 | 94.00 | 4 | 5 | |
6 | 1 | 지리 프리스카베츠 | 92.53 | 2 | 6 | |
7 | 5 | 마틴 두구 | 93.07 | 0 | 7 | |
8 | 2 | 조반니 데 제나로 | 93.47 | 2 | 8 | |
9 | 16 | 이삭 얼스터럼 | 94.69 | 2 | 9 | |
10 | 9 | 티모시 앤더슨 | 94.95 | 2 | 10 | |
11 | 8 | 취안신 | 95.95 | 2 | 11 | |
12 | 15 | 파우 에차니스 | 96.11 | 2 | 12 | |
13 | 13 | 마테쯔 폴라치크 | 98.49 | 6 | 13 | |
14 | 20 | 다나카 유우키 | 101.90 | 4 | 14 | |
15 | 17 | 노엘 헨드릭 | 102.46 | 4 | 15 | |
16 | 14 | 마티스 소우디 | 104.11 | 8 | 16 | |
17 | 23 | 살림 제마이 | 106.68 | 2 | 17 | |
18 | 4 | 피터 카우저 | 142.80 | 50 | 18 | |
19 | 10 | 핀 버처 | 146.40 | 56 | 19 | |
20 | 18 | 페페 곤살베스 | 147.09 | 56 | 20 |
준결승에서는 상위 10명의 선수가 결승에 진출했다.
5. 3. 결승
wikitext순위 | 배번 | 선수 | 국가 | 기록 | 페널티 | 최종 순위 |
---|---|---|---|---|---|---|
2 | 조반니 데 제나로 | 88.22 | 0 | 1 | ||
6 | 티투안 카스트릭 | 88.42 | 0 | 2 | ||
15 | 파우 에차니스 | 86.87 | 2 | 3 | ||
4 | 5 | 마틴 두구 | 89.44 | 0 | 4 | |
5 | 3 | 조셉 클라크 | 89.82 | 0 | 5 | |
6 | 11 | 야쿠프 그리가르 | 90.21 | 0 | 6 | |
7 | 12 | 노아 헤게 | 89.73 | 2 | 7 | |
8 | 9 | 티모시 앤더슨 | 88.90 | 2 | 8 | |
9 | 1 | 지리 프리스카베츠 | 87.74 | 4 | 9 | |
10 | 7 | 펠릭스 오슈마우츠 | 90.21 | 2 | 10 | |
11 | 8 | 취안신 | 92.75 | 2 | 11 | |
12 | 16 | 이삭 얼스터럼 | 95.39 | 52 | 12 |
6. 메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