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기 KBS 바둑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6기 KBS 바둑왕전은 2007년에 개최된 바둑 기전으로,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창호 九단이 최종 결승에서 조한승 九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KBS 1TV를 통해 중계되었으며, 노영하 九단이 해설을, 한해원 三단이 진행을 맡았다.
2. 기전 진행 방식
2. 1.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
3. 참가 선수 명단
3. 1. 시드 배정
3. 2. 예선 통과자
4. 대진표 및 결과
대진 | 대국일자 | 승자 | 패자 | 결과 | 기보 |
---|---|---|---|---|---|
승자 1회전 | 2007년 1월 8일 | 홍민표 五단 | 안영길 五단 | 254수 백 1집반승 | |
1월 15일 | 윤성현 九단 | 박소현 二단 | 158수 백 불계승 | ||
홍기표 三단 | 백대현 六단 | 211수 흑 불계승 | |||
1월 29일 | 주형욱 三단 | 진동규 三단 | 197수 흑 불계승 | ||
이영구 六단 | 박승화 初단 | 224수 백 불계승 | |||
2월 5일 | 손근기 二단 | 홍성지 五단 | 252수 백 1집반승 | ||
윤현석 八단 | 서무상 六단 | 291수 흑 불계승 | |||
2월 12일 | 원성진 七단 | 허영호 五단 | 164수 백 불계승 | ||
목진석 九단 | 박영훈 九단 | 228수 백 불계승 | |||
3월 5일 | 루이나이웨이 九단 | 이상훈(小) 六단 | 236수 백 불계승 | ||
김지석 三단 | 박승철 五단 | 177수 흑 불계승 | |||
3월 19일 | 박정상 九단 | 김진우 三단 | 283수 흑 3집반승 |
4. 1. 승자조
wikitext안영길 五단 | 홍민표 五단 |
홍민표 五단 | |
이창호 九단 | |
박정상 九단 | 김진우 三단 |
박정상 九단 | |
박소현 二단 | 윤성현 九단 |
윤성현 九단 | |
김지석 三단 | 박승철 五단 |
김지석 三단 | |
이세돌 九단 | |
진동규 三단 | 주형욱 三단 |
주형욱 三단 | |
박영훈 九단 | 목진석 九단 |
목진석 九단 | |
원성진 七단 | 허영호 五단 |
원성진 七단 | |
조한승 九단 | |
윤현석 八단 | 서무상 六단 |
윤현석 八단 | |
이영구 六단 | 박승화 初단 |
이영구 六단 | |
루이나이웨이 九단 | 이상훈(小) 六단 |
루이나이웨이 九단 | |
최철한 九단 | |
홍성지 五단 | 손근기 三단 |
손근기 三단 | |
백대현 六단 | 홍기표 三단 |
홍기표 三단 |
4. 1. 1. 승자 1회전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4. 1. 2. 승자 2회전
4. 1. 3. 승자 3회전
(내용 없음)4. 1. 4. 승자 준결승
4. 1. 5. 승자 결승
(내용 없음)4. 2. 패자조
26기 KBS 바둑왕전의 패자조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패자 1회전 | 패자 2회전 | 패자 3회전 | 패자 4회전 | 패자 준결승 | 패자 결승 | |
---|---|---|---|---|---|---|
홍민표 五단 | 홍민표 五단 | 목진석 九단 | 목진석 九단 | 이세돌 九단 | 최철한 九단 | 이창호 九단 |
손근기 三단 | ||||||
목진석 九단 | ||||||
윤성현 九단 | 윤성현 九단 | 이영구 六단 | ||||
루이나이웨이 九단 | ||||||
이영구 六단 | ||||||
이세돌 九단 | ||||||
김지석 三단 | 김지석 三단 | rowspan="3"| | 김지석 四단 | 최철한 九단 | ||
윤현석 八단 | ||||||
홍기표 三단 | ||||||
주형욱 三단 | 원성진 七단 | 원성진 七단 | ||||
원성진 七단 | ||||||
박정상 九단 | ||||||
최철한 九단 | ||||||
이창호 九단 |
패자 1회전에서는 홍민표 五단이 손근기 三단을, 윤성현 九단이 루이나이웨이 九단을, 김지석 三단이 윤현석 八단을, 주형욱 三단이 원성진 七단을 상대로 승리했다. 패자 2회전에서는 목진석 九단이 홍민표 五단을, 이영구 六단이 윤성현 九단을, 홍기표 三단이 김지석 三단을, 원성진 七단이 주형욱 三단을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패자 3회전에서는 목진석 九단과 이영구 六단이 각각 승리했고, 패자 4회전에서는 김지석 四단과 원성진 七단이 패배하며 탈락했다.
패자 준결승에서는 이세돌 九단이 목진석 九단을 꺾었고, 패자 결승에서는 최철한 九단이 이세돌 九단을 꺾고 최종 결승전에 진출, 이창호 九단과 맞붙게 되었다.
4. 2. 1. 패자 1회전
4. 2. 2. 패자 2회전
요약(summary)과 원본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패자 2회전'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2. 3. 패자 3회전
입력된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2. 4. 패자 4회전
4. 2. 5. 패자 준결승
(내용 없음)4. 2. 6. 패자 결승
4. 3. 최종 결승
26기 KBS 바둑왕전 최종 결승전은 2007년 11월 22일부터 12월 3일까지 진행되었다. 결승에서는 이창호 九단이 조한승 九단을 상대로 2:1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1국에서는 조한승 九단이 280수 만에 백 2집반승을 거두었으나, 2국에서는 이창호 九단이 194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두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마지막 3국에서 이창호 九단이 282수 만에 흑 2집반승을 거두면서 최종 우승을 확정지었다.
5. 중계
KBS 1TV에서 매주 토요일에 방송되었으며, 노영하 九단이 해설을 맡고 한해원 三단이 진행하였다. 결승 3국(최종국)이 끝난 후 열린 시상식은 이성민 아나운서가 진행했으나, 시상은 경명철 KBS TV제작본부장이 맡았다. 시간 관계상 우승자와 준우승자의 인터뷰 소감만 밝혔다.
6. 특이 사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